배이뇌 린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배이뇌 린나는 핀란드의 작가로, 1954년 출간된 소설 《무명 용사》와 1959년부터 1963년까지 출간된 3부작 소설 《북극성 아래》로 유명하다. 그는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경험을 바탕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했으며, 초기에는 노동자 생활을 하다가 작품 활동에 전념했다. 린나의 작품은 핀란드 사회와 전쟁, 인간의 삶을 다루며 핀란드 문학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84년 뇌졸중으로 언어 능력을 상실했고, 1992년 암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랼라 출신 - 밈미 카네르보
밈미 카네르보는 핀란드의 사회 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핀란드 사회민주당에 입당하여 여성 권익 신장과 노동 운동에 기여했으며, 핀란드 의회 의원으로 활동하며 사회 개혁과 민주주의 발전을 위해 노력했다. - 핀란드의 소설가 - 프란스 에밀 실란패
핀란드의 소설가 프란스 에밀 실란패는 조국 농민에 대한 깊은 이해와 삶, 자연과의 관계를 묘사한 예술성을 인정받아 1939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으며, 그의 작품은 자연주의적 묘사, 인간에 대한 이해, 사회 비판적 시각을 특징으로 한다. - 핀란드의 소설가 - 토베 얀손
토베 얀손은 핀란드의 스웨덴어 사용 소수민족 출신 작가, 화가, 삽화가, 만화가로서, 하마를 닮은 캐릭터 무민트롤이 등장하는 《무민》 시리즈를 통해 전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사회 비판적인 시각과 따뜻한 인간애를 담은 다양한 작품 활동을 펼쳤다. - 핀란드의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 칼 구스타브 에밀 만네르헤임 남작
칼 구스타브 에밀 만네르헤임 남작은 핀란드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핀란드 독립에 기여하고 섭정과 대통령을 역임하며 겨울 전쟁과 계속 전쟁을 이끌었으며 핀란드 원수 칭호를 받았다. - 핀란드의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 시모 해위해
시모 해위해는 겨울 전쟁에서 500명 이상의 적군 사상자를 기록한 핀란드의 저격수로, "흰 죽음"이라 불리며 공포의 대상이었고, 그의 전술과 전과는 전설적인 영웅담으로 남아 여러 작품에 영감을 주었으나 과장된 기록에 대한 의혹과 전쟁의 기억으로 고독한 삶을 살았다.
배이뇌 린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Väinö Linna |
출생일 | 1920년 12월 20일 |
출생지 | 핀란드 울리알라 |
사망일 | 1992년 4월 21일 |
사망지 | 핀란드 탐페레 |
국적 | 핀란드 |
직업 | 작가 |
작품 | |
대표작 | 무명 용사 북극성 아래에서 3부작 |
기타 |
2. 생애
배이뇌 린나는 피르칸마 지역의 우르얄라에서 빅토르 (비토리) 린나(1874년-1927년)와 요한나 마리아 (마이야) 린나(1888년-1972년)의 7번째 아이로 태어났다.[1] 린나의 아버지는 도축자였으며 그가 8세 때 사망하였고, 어머니가 가계 수입을 충당해야 했다.[1] 가정 환경 속에서도 문학에 대한 관심은 일찍부터 가지고 있었다. 어린 시절에는 근처 도서관에서 빌렸던 모험 소설을 즐겨 읽었다.[1] 1930년대 중반에 받은 6년간의 학교 교육이 그가 받은 교육의 전부이다.[2]
어머니가 일했던 곳에서 벌목꾼과 농장 인부로 일하다가, 1938년 탐페레로 이사하였다.[2] 그 시대의 다른 사람들처럼 갓 사춘기에 접어든 그는 교외에서 산업이 발달하기 시작한 탐페레로 이주하였고, 핀레이슨 섬유 공장에 취직하였다.[2]
1940년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징집당했고, 계속 전쟁(1941년-1944년)에 참가하여 동부 전선에서 싸웠다.[1] 분대장으로 지내면서 그와 그의 분대의 경험과 관찰에 대한 글을 썼다.[1] 이 시기에 작가가 되기로 결심하였다. 글이 출판되지 못해서 이후 태워 버렸다. 그 후 전쟁에 참가하는 병사의 입장에서 《무명 용사》라는 작품을 쓰게 되었다.
전후 린나는 결혼하였고, 낮에는 일하면서 밤에는 작품을 집필하였다. 핀레이슨에 있었을 때에도 책을 자주 읽었고, 쇼펜하우어, 도스토옙스키, 니체의 작품이 큰 영향을 주었다.[3] 이후 린나는 에리히 마리아 레마르크의 서부 전선 이상 없다 역시 큰 영향을 주었다고 밝혔다.[3] 첫 소설과 두 번째 소설 《Päämäärä》와 《Musta rakkaus》는 잘 팔리지 않았으며, 시를 쓰려고 시도해 보았으나 성공적이지 않았다.
1954년 《무명 용사》가 출판되면서 유명해졌다. 당시에는 전쟁과 일반 사람들의 생활을 다룬 소설이 시대의 흐름이었다. 소련과의 평화 협상 이후 10년이 지난 시점에서 핀란드인들은 그 당시 일을 언급하기 시작하였고, 일부는 비판하기 시작하였다. 이전 핀란드의 전쟁 소설과는 다른 주인공 때문에 충분히 주목받을 수 있었다. 출판된 후 6개월 동안 175,000부가 팔렸다. 하지만, 평판이 항상 좋은 편은 아니었다. 비평가 토이니 하부가 핀란드의 최대 언론사 헬싱긴 사노맛에 투고한 글에서 그는 등장 인물의 역사적이고 윤리적인 모습을 찾을 수 없다고 비판하였다.[3] 모더니스트 집단에서도 좋은 평가를 하지 않았다. 당시 투오마스 안하바는 장면에 초점을 맞춘 이야기 전개를 놓고 아동 소설이라고 언급하였다.[1] 일반 대중을 상대로 많이 팔렸기 때문에 이후 비판의 강도는 약해졌다.
1950년대 중반 해멘퀴뢰로 이주하여 농사를 짓기 시작하였다. 1959년 《북극성 아래》의 첫 부분이 출판되었다. 책이 잘 팔리면서 2부가 1960년, 3부가 1963년에 출판되었다. 1964년 농장을 팔고 다시 탐페레로 이주하였다. 이전에 집필한 작품이 상업적으로도 성공하여 문학으로 생계를 유지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이번에는 핀레이슨으로 복귀하지 않았다.[3] 1984년 뇌졸중으로 말을 못 하게 되었고, 이후 1992년 4월 21일 암으로 사망하였다.[3]
2. 1. 초기 생애
배이뇌 린나는 피르칸마 지역의 우르얄라에서 빅토르 (비토리) 린나(1874년-1927년)와 요한나 마리아 (마이야) 린나(1888년-1972년)의 7번째 아이로 태어났다.[1] 린나의 아버지는 도축자였으며 그가 8세 때 사망하였고, 어머니가 가계 수입을 충당해야 했다.[1] 가정 환경 속에서도 문학에 대한 관심은 일찍부터 가지고 있었다. 어린 시절에는 근처 도서관에서 빌렸던 모험 소설을 즐겨 읽었다.[1] 1930년대 중반에 받은 6년간의 학교 교육이 그가 받은 교육의 전부이다.[2]어머니가 일했던 곳에서 벌목꾼과 농장 인부로 일하다가, 1938년 탐페레로 이사하였다.[2] 그 시대의 다른 사람들처럼 갓 사춘기에 접어든 그는 교외에서 산업이 발달하기 시작한 탐페레로 이주하였고, 핀레이슨 섬유 공장에 취직하였다.[2]
1940년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징집당했고, 계속 전쟁(1941년-1944년)에 참가하여 동부 전선에서 싸웠다.[1] 분대장으로 지내면서 그와 그의 분대의 경험과 관찰에 대한 글을 썼다.[1] 이 시기에 작가가 되기로 결심하였다. 글이 출판되지 못해서 이후 태워 버렸다. 그 후 전쟁에 참가하는 병사의 입장에서 《무명 용사》라는 작품을 쓰게 되었다.
전후 린나는 결혼하였고, 낮에는 일하면서 밤에는 작품을 집필하였다. 핀레이슨에 있었을 때에도 책을 자주 읽었고, 쇼펜하우어, 도스토옙스키, 니체의 작품이 큰 영향을 주었다.[3] 이후 린나는 에리히 마리아 레마르크의 서부 전선 이상 없다 역시 큰 영향을 주었다고 밝혔다.[3] 첫 소설과 두 번째 소설 《Päämäärä》와 《Musta rakkaus》는 잘 팔리지 않았으며, 시를 쓰려고 시도해 보았으나 성공적이지 않았다.
1954년 《무명 용사》가 출판되면서 유명해졌다. 당시에는 전쟁과 일반 사람들의 생활을 다룬 소설이 시대의 흐름이었다. 소련과의 평화 협상 이후 10년이 지난 시점에서 핀란드인들은 그 당시 일을 언급하기 시작하였고, 일부는 비판하기 시작하였다. 이전 핀란드의 전쟁 소설과는 다른 주인공 때문에 충분히 주목받을 수 있었다. 출판된 후 6개월 동안 175,000부가 팔렸다. 하지만, 평판이 항상 좋은 편은 아니었다. 비평가 토이니 하부가 핀란드의 최대 언론사 헬싱긴 사노맛에 투고한 글에서 그는 등장 인물의 역사적이고 윤리적인 모습을 찾을 수 없다고 비판하였다.[3] 모더니스트 집단에서도 좋은 평가를 하지 않았다. 당시 투오마스 안하바는 장면에 초점을 맞춘 이야기 전개를 놓고 아동 소설이라고 언급하였다.[1] 일반 대중을 상대로 많이 팔렸기 때문에 이후 비판의 강도는 약해졌다.
1950년대 중반 해멘퀴뢰로 이주하여 농사를 짓기 시작하였다. 1959년 《북극성 아래》의 첫 부분이 출판되었다. 책이 잘 팔리면서 2부가 1960년, 3부가 1963년에 출판되었다. 1964년 농장을 팔고 다시 탐페레로 이주하였다. 이전에 집필한 작품이 상업적으로도 성공하여 문학으로 생계를 유지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이번에는 핀레이슨으로 복귀하지 않았다.[3] 1984년 뇌졸중으로 말을 못 하게 되었고, 이후 1992년 4월 21일 암으로 사망하였다.[3]
2. 2. 탐페레 이주와 노동 경험
배이뇌 린나는 피르칸마 지역의 우르얄라에서 태어나 1938년 탐페레로 이주하여 핀레이슨 섬유 공장에 취직하였다.[2] 8세 때 아버지가 사망하고, 어머니가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린나는 문학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 그는 어린 시절 근처 도서관에서 빌린 모험 소설을 즐겨 읽었으며, 1930년대 중반까지 받은 6년간의 학교 교육이 전부였다.[1]1940년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징집되어 계속 전쟁(1941년-1944년)에 참전, 동부 전선에서 분대장으로 복무하며 글을 쓰기 시작했다.[1] 이 시기에 작가가 되기로 결심했으나, 출판에 실패하여 쓴 글을 태워버렸다. 전후 린나는 결혼 후 핀레이슨 공장에서 일하면서 밤에는 쇼펜하우어, 도스토옙스키, 니체 등의 작품을 읽고, 에리히 마리아 레마르크의 서부 전선 이상 없다에 영향을 받아 집필 활동을 이어갔다.[3] 첫 소설들은 판매 부진을 겪었으나, 1954년 출간된 《무명 용사》는 출간 6개월 만에 175,000부가 팔리는 큰 성공을 거두었다.[10] 그러나 평론가 토이니 하부는 헬싱긴 사노맛에 투고한 글에서 등장인물의 역사적, 윤리적 모습을 찾을 수 없다고 비판했고,[10] 투오마스 안하바를 비롯한 모더니스트들은 작품을 아동 소설이라고 평가 절하하기도 했다.[9]
1950년대 중반 해메엔퀴뢰로 이주하여 농사를 짓다가, 1959년 《북극성 아래》 1부를 출간하며 작가로서의 입지를 굳혔다. 1964년 농장을 팔고 다시 탐페레로 돌아와 집필에 전념했다.[3]
2. 3.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배이뇌 린나는 1940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징집되어 계속 전쟁(1941년-1944년)에 참전했다.[1] 동부 전선에서 분대장으로 복무하면서, 그는 자신과 부대의 경험을 기록했다.[1] 이 시기에 작가가 되기로 결심했지만, 기록을 출판하지 못하고 태워 버렸다.[1] 하지만, 전쟁에 대한 평범한 군인들의 관점을 묘사하는 소설에 대한 아이디어는 훗날 《무명 용사》를 쓰는 계기가 되었다.전쟁이 끝난 후, 린나는 결혼하여 낮에는 핀레이슨 방적 공장에서 일하면서 밤에는 글을 썼다.[2][3] 쇼펜하우어, 도스토옙스키, 니체의 작품을 탐독했으며,[3] 에리히 마리아 레마르크의 《서부 전선 이상 없다》 역시 큰 영향을 주었다고 밝혔다. 첫 소설과 두 번째 소설은 판매 부진을 겪었지만, 1954년 출간된 《무명 용사》는 6개월 만에 175,000부가 팔리는 큰 성공을 거두었다.[3]
소련과의 평화 조약 이후 10년이 지난 시점에서, 핀란드 사회는 전쟁과 평범한 사람들의 역할에 대한 소설을 요구했고, 《무명 용사》는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했다. 이전 핀란드 전쟁 소설과는 다른 주인공들 덕분에 주목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초기에는 비판적인 반응도 있었다. 헬싱긴 사노맛의 평론가 토이니 하부는 등장인물의 역사적, 윤리적 모습을 찾을 수 없다고 비판했고,[3] 모더니스트 투오마스 안하바는 아동 소설이라고 평가절하했다.[1] 하지만 대중의 호응으로 부정적인 비판은 점차 약해졌다.
2. 4. 전후 집필 활동과 성공
배이뇌 린나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결혼하여 낮에는 핀레이슨 섬유 공장에서 일하고 밤에는 글을 쓰는 생활을 했다.[3] 쇼펜하우어, 도스토옙스키, 니체의 작품을 탐독했으며, 에리히 마리아 레마르크의 서부 전선 이상 없다에 큰 영향을 받았다.[3] 첫 소설과 두 번째 소설은 상업적으로 실패했지만, 1954년 출간된 《무명 용사》는 출간 6개월 만에 175,000부가 팔리는 성공을 거두었다.[3]《무명 용사》는 소련과의 평화 협상 이후 전쟁과 평범한 사람들의 삶을 다룬 소설에 대한 시대적 요구와 맞물려 큰 주목을 받았다.[3] 이전의 핀란드 전쟁 소설과는 다른 현실적인 주인공들 덕분에 대중의 인기를 얻었지만, 비평가 토이니 하부는 헬싱긴 사노맛에 기고한 글에서 등장인물의 역사적, 윤리적 측면을 비판했고,[3] 모더니스트 투오마스 안하바는 이야기 전개를 문제 삼아 아동 소설이라고 평가하기도 했다.[1][9] 그러나 대중의 호응에 힘입어 비판은 점차 수그러들었다.
1950년대 중반 린나는 해메엔퀴뢰로 이주하여 농사를 지었으며, 1959년 《북극성 아래》의 첫 부분을 출간했다. 이 작품의 성공으로 1960년과 1963년에 각각 2부와 3부가 출판되었다.[4] 1964년 농장을 팔고 탐페레로 돌아온 린나는, 이전 작품들의 상업적 성공 덕분에 전업 작가로서의 삶을 이어갈 수 있었다.[3]
2. 5. 《북극성 아래서》와 문학적 성취
배이뇌 린나는 피르칸마 지역의 우르얄라에서 태어났다. 빅토르 (비토리) 린나와 요한나 마리아 (마이야) 린나의 7번째 아이였다. 린나의 아버지는 도축자였으며 그가 8세 때 사망하였고, 어머니가 가계 수입을 충당해야 했다. 어린 시절부터 문학에 대한 관심이 있어 근처 도서관에서 빌렸던 모험 소설을 즐겨 읽었다. 1930년대 중반에 받은 6년간의 학교 교육이 그가 받은 교육의 전부이다.[10]어머니가 일했던 곳에서 벌목꾼과 농장 인부로 일하다 1938년 탐페레로 이사, 핀레이슨 섬유 공장에 취직하였다. 1940년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징집되어 겨울 전쟁(1941년-1944년)에 참가, 동부 전선에서 분대장으로 복무하며 글을 썼다. 이 경험을 바탕으로 《무명 용사》를 집필했다.[10]
전후 결혼하여 낮에는 일하고 밤에는 작품을 집필하였다. 쇼펜하우어, 도스토옙스키, 니체, 에리히 마리아 레마르크의 서부 전선 이상 없다에 영향을 받았다. 첫 소설과 두 번째 소설은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으나, 1954년 《무명 용사》가 출판되면서 유명해졌다.[10] 당시 핀란드 사회는 소련과의 평화 협상 이후 전쟁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기 시작했고, 《무명 용사》는 이전 핀란드의 전쟁 소설과는 다른 주인공을 제시하여 주목받았다. 출판 후 6개월 동안 175,000부가 팔렸으나, 비평가 토이니 하부는 헬싱긴 사노맛에 등장인물의 역사적, 윤리적 모습이 부족하다고 비판했고,[10] 모더니스트 집단에서도 아동 소설 같다는 비판을 받았다.[9] 그러나 대중적인 인기로 비판은 약해졌다.
1950년대 중반 해멘퀴뢰로 이주하여 농사를 지었다. 1959년 《북극성 아래서》 1부가 출판되었고, 인기에 힘입어 1960년과 1963년에 각각 2부와 3부가 출판되었다. 1964년 농장을 팔고 다시 탐페레로 이주, 문학만으로 생계를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1984년 뇌졸중으로 언어 능력을 상실했고, 1992년 4월 21일 암으로 사망하였다.
2. 6. 말년
배이뇌 린나는 1984년 뇌졸중으로 말을 할 수 없게 되었다.[3] 1992년 4월 21일 암으로 사망하였다.[3]3. 작품
- (1947년) 파마르/Päämääräfi (목표)
- (1948년) 무스타 라카우스/Musta rakkausfi (검은 사랑)
- (1949년-1953년) 메시아스/Messiasfi (구세주), 미완성
- (1954년) 툰테마톤 소틸라스/Tuntematon sotilasfi (무명용사)
- (1959년-1963년) 북극성 아래서 3부작 (태알라 포얀타흐덴 알라/Täällä Pohjantähden alla I–IIIfi)
- (1967년) 오헤이시아/Oheisiafi (첨부)
- (1990년) 무로크시아/Murroksiafi (돌파구), 비소설 문집
- (2000년) 소타로마니/Sotaromaanifi (전쟁소설), 무명용사의 무삭제판
3. 1. 소설
배이뇌 린나는 1947년 소설 《목표》(Päämäärä)를 발표했고, 1948년에는 《검은 사랑》(Musta rakkaus)을 발표했다. 1949년부터 1953년까지는 《구세주》(Messias)를 집필했지만 미완성으로 남았다. 1954년에는 무명용사(Tuntematon sotilas)를 발표했다. 1959년부터 1963년까지는 북극성 아래서 3부작(Täällä Pohjantähden alla I–III)을 발표했다. 2000년에는 《무명용사》의 무삭제판인 《전쟁소설》(Sotaromaani)이 출간되었다.3. 2. 에세이
배이뇌 린나는 1947년 《목표》(Päämäärä)와 1948년 《검은 사랑》(Musta rakkaus)을 출간했다. 1949년부터 1953년까지는 《구세주》(Messias)를 집필했지만 미완성으로 남았다. 1954년에는 무명용사(Tuntematon sotilas)를 발표했다. 1959년부터 1963년까지는 북극성 아래서 3부작(Täällä Pohjantähden alla I–III)을 출간했다. 1967년에는 《첨부》(Oheisia)를 발표했고, 1990년에는 비소설 문집인 《돌파구》(Murroksia)가 출간되었다. 2000년에는 《전쟁소설》(Sotaromaani)이 출간되었는데, 이는 《무명용사》의 무삭제판이다. 2007년에는 《무로크시아》 전집의 확장 재출간인 《에세이》가 출간되었다.3. 3. 각본
배이뇌 린나는 1947년 목표(''Päämäärä'')와 1948년 검은 사랑(''Musta rakkaus'')을 발표했다. 1949년에서 1953년 사이에는 구세주(''Messias'')를 집필했으나 미완성으로 남았다. 1954년에는 무명용사(Tuntematon sotilas)를 발표했고, 1959년부터 1963년까지는 북극성 아래서 3부작(''Täällä Pohjantähden alla I–III'')을 집필했다. 1967년에는 첨부(''Oheisia'')를 발표했다. 1990년에는 비소설 문집인 돌파구(''Murroksia'')가 출간되었다. 2000년에는 무명용사의 무삭제판인 전쟁소설(''Sotaromaani'')이 출간되었다.1957년 『블랙 러브』와 1958년 『스벤 투바』는 실제 각본가가 유하 네바라이넨이었다. 1968년 『북극성 아래』는 유하 네바라이넨, 마티 카실라, 에드빈 라이네와 공동 집필했다. 1970년 『악셀리와 엘리나』는 유하 네바라이넨, 에드빈 라이네, 유호 갈츠, 게오르그 코크만과 공동 집필했다. 1973년 『포얀타흐티』는 『북극성 아래』와 『악셀리와 엘리나』를 합작한 작품이다. 1976년 『신뢰』 대사는 미하일 샤트로프, 블라드렌 로고노프와 공동 집필했다. 1985년 『알 수 없는 병사』는 라우니 몰베리, 베이코 알토넨과 공동 집필했다.
4. 유산
1993년부터 유로 도입 이전까지 사용된 20마르카 지폐에 그의 초상화가 들어 있다. 그의 소설들은 핀란드의 문학적 정경에서 ''칼레발라'', ''일곱 형제'' 및 다른 고전들과 함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그의 작품에서 인용된 많은 구절들은 오늘날 핀란드 속담으로 사용된다. ''북극성 아래''의 첫 구절인 "시작은 늪지, 괭이, 그리고 유시였다"는 대부분의 핀란드인들이 인지하고 있으며, 또한 ''미지의 병사''에서 로카의 유명한 외침인 "진짜 훌륭한 남자가 필요하면, 여기 있네!" 역시 마찬가지이다. 무명 용사와 북극성 아래는 이후 영화로 제작되었다.
1995년, 탐페레에는 배이뇌 린나 광장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5. 영화화된 작품
배이뇌 린나의 작품들은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대표적으로 1993년부터 유로 도입 이전까지 사용된 20마르카 지폐에 그의 초상화가 들어갔던 소설 《무명 용사》를 원작으로 하는 영화들이 있다.
- 지옥의 최전선(에드빈 라이네 감독, 1955년)
- 젊은 병사들 영광 없는 전장(라우니 몰베르이 감독, 1985년)
- 언노운 솔저: 잊혀진 영웅(아쿠 로우히미에스 감독, 2017년)
참조
[1]
웹사이트
Linna, Väinö (1920–1992)
https://kansallisbio[...]
the Biographical Centre of the Finnish Literature Society
2003–2007
[2]
웹사이트
Linna Urjalassa
http://www.urjala.fi[...]
2017-01-26
[3]
웹사이트
Väinö Linna
http://www.kirjasto.[...]
Kuusankoski Public Library
[4]
웹사이트
Nordic Council Literature Prize
http://www.norden.or[...]
2017-11-15
[5]
웹사이트
Tammerkosken teollisuusmaisema
http://www.rky.fi/re[...]
Finnish Heritage Agency
2009
[6]
웹사이트
Raimo Heino: Väinö Linnan muotokuva
https://www.tampere.[...]
City of Tampere
[7]
문서
ここ北極星の下に
[8]
웹사이트
リンナ
http://100.yahoo.co.[...]
2012-10-30
[9]
웹인용
Linna, Väinö (1920–1992)
http://www.kansallis[...]
the Biographical Centre of the Finnish Literature Society
2007-06-30
[10]
웹인용
Väinö (Valtteri) Linna (1920-1992)
http://www.kirjasto.[...]
Pegasos
2007-06-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