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부 전선 이상 없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부 전선 이상 없다》는 제1차 세계 대전을 배경으로 한 에리히 마리아 레마르크의 소설이다. 이 소설은 독일군 병사 파울 보이머의 시점에서 전쟁의 참혹함과 무의미함을 생생하게 묘사하며, 반전, 맹목적 국가주의 비판, 세대 상실, 인간성 상실 등의 주제를 다룬다. 1929년 출간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여러 차례 영화, 만화, 연극 등으로 각색되었다. 나치 정권은 이 소설을 반독일적이라고 비난하며 공개적으로 불태우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럽을 배경으로 한 소설 - 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
    파울로 코엘료의 1998년 소설 《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는 슬로베니아 류블랴나 출신의 24세 여성 베로니카가 자살 시도 후 정신 병원에서 삶의 의미를 찾아가는 과정을 그린 작품으로, 삶의 의미와 가치, 광기와 정상의 경계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여러 미디어로 각색되었다.
  • 유럽을 배경으로 한 소설 - 프랑크푸르트행 여행자
    프랑크푸르트행 여행자는 1970년 조르주 상송이 발표한 소설로, 영국 외교관 스태퍼드 나이 경이 국제적인 음모에 휘말리면서 메리 앤을 중심으로 다양한 인물들이 사건 해결에 기여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으며, 냉전 시대의 불안과 파시즘 부활 우려를 다루면서 사회적 무관심에 대한 경고와 개인의 책임감을 강조한다.
  • 1929년 소설 - 무기여 잘 있거라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대표작 《무기여 잘 있거라》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이탈리아 전역을 배경으로 미국인 구급차 운전병과 영국인 간호사의 비극적인 사랑을 그린 소설로, 전쟁의 허무함과 개인의 사랑을 통해 삶의 의미를 찾으려는 주인공의 모습을 보여준다.
  • 1929년 소설 - 남방 우편기
    남방 우편기는 생텍쥐페리가 쓴 소설로, 조종사의 내면을 심도 있게 묘사하며 고독, 두려움, 사랑, 죽음 등 비행사의 삶을 통해 인간의 모습을 그린다.
서부 전선 이상 없다 - [서적]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원제Im Westen nichts Neues ()
번역 제목서부 전선 이상 없다
장르전쟁 소설
국가독일
언어독일어
배경서부 전선과 독일, 1916–18년
1929년 발간의 초판 표지
1929년 초판 표지
저자에리히 마리아 레마르크
삽화가칼 레믈
출판사프로필레엔 출판사
출판일1929년 1월 29일
일본어 번역가하타 토요키치
후나키 시게노부
후키자와 타다에
일본어 출판사주오코론샤
대학서림
공화출판사
신초샤 (신초 문고)
페이지 수 (일본어판)419 페이지
출판 정보
최초 출판1929년 1월 29일
영어 출판리틀, 브라운 앤드 컴퍼니, 1929년
페이지 수250쪽
Dewey 십진분류법833.912
의회도서관 분류PT2635.E68
관련 작품
후속작귀향
관련 저널포시셰 차이퉁
기타 정보
ISBN해당 없음
OCLC295972

2. 제목과 번역

아서 웨슬리 윈이 1929년에 번역한 영어 번역본은 제목을 《서부 전선 이상 없다》(All Quiet on the Western Front)로 하였다. "Im Westen nichts Neues|italic=node"를 직역하면 "서부에 새로운 소식 없음"이며, 여기서 "서부"는 서부 전선을 의미한다. 이 구절은 소설 마지막 부분에 나오는 공식적인 공보 내용과 관련이 있다.[5] 소설 마지막에 주인공 파울 보이머가 전사한 날, 사령부 보고에는 "''서부 전선 이상 무, 보고할 사항 없음''"이라고 기재되어 있었다. 이는 수많은 고뇌와 갈등을 겪은 병사의 죽음이 기록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며, 전쟁의 비인간성을 풍자하는 결말을 보여준다.

브라이언 O. 머독은 1993년 번역본에서 이 구절을 "서부 전선에는 보고할 새로운 소식이 없었다"로 번역했다. 그러나 머독은 서문에서 원본 도서 제목을 유지한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독일어 원문과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윈의 제목은 정당하게 영어의 일부가 되었으며, 이에 감사하며 이 제목을 유지한다.

""라는 구절은 어떤 맥락에서든 정체 또는 눈에 띄는 변화가 없음을 의미하는 구어적 표현이 되었다.[5]

머독은 또한 출판 당시 상황 때문에 윈의 번역본이 덜 알려진 독일어 표현을 영어식으로 바꾸고, 특정 구절의 영향을 줄이는 동시에 다른 구절을 완전히 삭제해야 했던 이유를 설명한다. 머독의 번역본은 원본 텍스트에 더 충실하며, 내용 삭제도 전혀 없다.

한편, 일본어 번역본으로는 진풍길 역, 중앙공론사, 1929년 판과 후키자와 타다에 역, 공화출판사, 1952년 판 등이 있다.

3. 줄거리

이 소설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서부 전선에 참전한 독일군 병사 파울 보이머의 시점에서 이야기가 전개된다. 파울은 학교 선생님 칸토레크의 애국주의적인 연설에 감명받아 제국 독일군에 자원 입대한다. 훈련소에서 히멜슈토스를 만나고, 프리지아 어부, 농부, 노동자들로 구성된 소대에 흩어져 친구가 된다. 파울은 친구들과 함께 서부 전선에 도착하여 베테랑 예비군인 스타니슬라우스 카친스키('카트')를 만나 멘토로 삼는다.

최전선에서 파울과 동료들은 빈번한 전투에 참여하고, 위험하고 불결한 참호전 상황을 견뎌낸다. 전투는 이름도 없고, 얻는 토지는 적지만 종종 다시 잃게 된다. 레마르크는 살아있는 군인들을 늙고 죽은 자, 감정적으로 지쳐 흔들리는 자라고 묘사한다.

파울은 고향을 방문하지만, 전쟁 전과 달리 "더 이상 여기에 속하지 않고, 이곳은 낯선 세상"이라고 느낀다. 전쟁의 트라우마로 인해 문학에 대한 열정이 사라졌고, 마을 사람들과 단절감을 느낀다. 그는 어머니와 애틋하지만 절제된 관계를 유지하며, "휴가를 와서는 안 되었다"고 결론 내린다.

파울은 돌아와 동료들과 재회하고, 순찰 중 처음으로 백병전에서 프랑스인을 죽인다. 그는 후회와 절망에 휩싸여 시체에게 용서를 구하고, 카트와 알베르트에게 고백하며 위로받는다. 파울과 부대는 점령된 프랑스 마을의 보급 기지에서 끔찍한 식량과 생활 조건으로부터 휴식을 얻지만, 연합군의 포격으로 계속 병사들을 잃는다. 파울과 알베르트는 민간인을 대피시키다 부상을 입어 후방의 가톨릭 병원으로 이송되고, 알베르트는 다리를 절단해야 한다. 파울은 군 복무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전선으로 복귀한다.

전쟁이 끝날 무렵, 독일군의 사기는 거의 사라진다. 병사들은 휴전을 늦추기 위해 싸우고 있다는 것을 깨닫고, 미국이 참전하면서 독일군은 더욱 열악한 상황에 놓인다. 절망에 빠진 파울은 친구들이 하나씩 쓰러지는 것을 지켜보고, 카트의 죽음으로 삶의 의지를 잃는다. 마지막 장에서 파울은 평화가 곧 오겠지만, 밝은 미래를 보지 못하고, 그들의 세대는 다르고 오해받을 것이라고 느낀다.

1918년 10월, 파울은 평화로운 날에 죽는다. 최전선 상황 보고서에는 "서부 전선 이상 무"라는 문구가 적혀 있다. 파울의 시체는 평온한 표정을 띠고 있었고, "마치 끝이 왔다는 것에 기뻐하는 듯"했다.

제1차 세계 대전서부 전선에서 독일군 지원병 파울 보이머가 전쟁터에서의 죽음과 고통, 불안, 공포, 불합리함, 분노, 그리고 허무함을 맛보고 마침내 전사하기까지의 이야기를 그린 소설이다.[1]

이야기는 파울의 시점을 통해 전쟁터 후방에서의 휴식, 신병 훈련, 야전 병원, 행군, 포격, 참호전, 돌격, 여성과의 만남, 부상, 전우의 죽음, 물자 조달, 귀향, 정찰 임무 등 다양한 에피소드를 시계열적으로 명확하지 않은 형태로 서술해 나간다. 파울의 몸 밖에서 일어나는 전쟁터에서의 일상과 전투 묘사, 파울의 내면에서의 사색이 대조적으로 그려져 있으며, 작가를 비롯한 전쟁터 병사들이 입은 마음의 상처 깊이를 두드러지게 보여준다. 제목 유래는 마지막에 밝혀지는데, 주인공 파울 보이머가 전사한 날 사령부 보고에 "''서부 전선 이상 무, 보고할 사항 없음''"이라고 기재된다. 무엇보다 고뇌와 갈등을 겪은 한 병사 이야기는 병졸의 죽음 따위는 기록에 남지 않고 별문제도 되지 않는다는, 전쟁이 가진 비인간성을 풍자한 결말을 보여준다.[1]

군사적 고증 또한 대체로 정확하게 묘사되어 있으며, 독가스에 대한 냉정한 대처 방법, 포격 시 소리 크고 작음으로 비행 거리와 포탄 종류를 구별하는 방법, 백병전에서는 적을 찌르면 잘 빠지지 않는 총검보다 연마한 진지 구축용 이 더 유용하다는 점, 칼날이 톱니 모양으로 된 총검은 사용하기 어려울 뿐더러 소지자가 적에게 잡히면 참살당한다는 점, 전투기보다 정찰기가 포격을 예고하는 존재로 더 꺼려진다는 점 등, 당시 전선 실상이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다.[1]

전쟁터에서 병사들이 보이는 소박한 애국심, 용기, 우정, 의무감 등도 그려져 있다. 그러나 그 이상으로 전쟁이라는 행위의 처참함과 불합리함, 그리고 병사들의 인생과 인간성이 파괴되는 모습이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으며, 후반부 주인공이 적군 시체와 마주하며 회고하는 장면 등에서 반전 문학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나치당 정권 하에서는 소유가 제한되었고, 레마르크 또한 유대계, 비국민, 프랑스 스파이 등으로 터무니없는 박해를 받아 결국 국외 망명을 강요받았다.[1]

4. 주제

이 책은 제1차 세계 대전서부 전선에 참전한 독일군 병사 파울 보이머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파울과 그의 친구들은 교사 칸토레크의 애국적인 연설에 감명받아 독일군에 자원 입대한다.[7] 훈련소에서 히멜슈토스를 만나고, 프리지아 어부, 농부, 노동자들로 구성된 소대에 흩어져 친구가 된다. 파울은 친구들과 함께 서부 전선에 도착하여 베테랑 예비군인 스타니슬라우스 카친스키('카트'라는 별명)를 만나 멘토가 된다.

최전선에서 싸우는 동안 보이머와 그의 동료들은 빈번한 전투에 참여하고, 위험하고 불결한 참호전의 상황을 견뎌낸다. 전투에는 이름이 없고, 소량의 토지만 획득할 뿐이며, 종종 나중에 다시 잃게 된다. 레마르크는 살아있는 군인들을 늙고 죽은 자, 감정적으로 지쳐 흔들리는 자라고 언급한다.

파울은 고향을 방문하고, 민간인 생활과의 대조는 그의 정신에 전쟁이 미치는 영향을 강조한다. 그는 "더 이상 여기에 속하지 않고, 이곳은 낯선 세상"이라고 느낀다. 전쟁의 트라우마로 인해 문학에 대한 열정이 완전히 사라진 것을 발견한다. 그는 자신의 경험에 대해 "멍청하고 고통스러운" 질문을 하거나, 파울과 그의 친구들이 "자신들의 작은 구역"만 알 뿐, 큰 그림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모른다고 주장하면서 전략과 파리 진격에 대해 설교하는 대부분의 마을 사람들과 단절된 것을 느낀다. 결국 그는 "휴가를 와서는 안 되었다"고 결론 내린다.

파울은 돌아와서 동료들과 재회하게 되어 기뻐한다. 얼마 지나지 않아 그는 순찰을 자원하여 처음으로 백병전에서 프랑스인을 죽인다. 그는 그 남자가 몇 시간 동안 고통 속에서 천천히 죽어가는 것을 지켜본다. 그는 후회와 절망에 휩싸여 그 남자의 시체에게 용서를 구한다. 그는 나중에 카트와 알베르트에게 고백하는데, 그들은 그를 위로하고 그것이 전쟁의 일부일 뿐이라고 안심시킨다.

전쟁이 끝날 무렵, 독일군의 사기는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병사들은 휴전을 늦추기 위해 싸우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절망에 빠진 파울은 친구들이 하나씩 쓰러지는 것을 지켜본다. 카트의 죽음은 마침내 파울이 삶의 의지를 잃게 만드는 마지막 짚단이 된다. 마지막 장에서 그는 평화가 곧 올 것이지만, 밝고 희망에 빛나는 미래를 보지 못한다고 말한다. 파울은 삶에 남은 목표가 없고, 그들의 세대는 다르고 오해받을 것이라고 느낀다.

1918년 10월 파울은 마침내 놀랍도록 평화로운 날에 죽는다. 최전선 상황 보고서에는 "서부 전선 이상 무"라는 간단한 문구가 적혀 있다. 파울의 시체는 그의 얼굴에 평온한 표정을 띠고 있었고, "마치 끝이 왔다는 것에 기뻐하는 듯"했다.

책의 시작 부분에서 레마르크는 "이 책은 고발도, 고백도, 모험도 아니다. 죽음은 그것과 마주한 사람들에게 모험이 아니기 때문이다. 단지 (그것의) 포탄에서 살아남았을지라도 전쟁으로 파괴된 한 세대의 사람들에 대해 말하려고 할 것이다."[6] 라고 썼다. 이 책은 용감함에 대한 영웅적인 이야기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병사들이 처한 상황에 대한 시각을 제공한다. 전투 사이의 단조로움, 포병 사격과 폭격의 끊임없는 위협, 식량을 구하기 위한 투쟁, 젊은 신병들의 훈련 부족(생존 가능성 감소를 의미함), 병사들의 삶과 죽음에서 무작위적 우연의 지배적인 역할 등이 자세히 묘사된다.

또 다른 주요 주제는 맹목적인 국수주의 개념이다. 레마르크는 종종 소년들이 그들의 의지에 반하여 전쟁에 참여한 것이 아니라 애국심과 자부심에 의해 참여하게 되었다고 강조한다. 칸토레크는 파울의 소대를 "강철 청년"이라고 부르며 학생들에게 조국에 대한 영광과 의무가 있는 낭만적 민족주의의 버전을 가르쳤다. 소년들이 전쟁에 나가 적의 총알과 포탄으로부터 거의 보호받지 못하고 배고픔과 질병에 시달리며 더럽고 비좁은 참호에서 살고 싸워야 할 때 그들은 실제로 군대에서 복무하는 것이 얼마나 절망적인지를 깨닫게 된다.[7]

제1차 세계 대전서부 전선에서 독일군의 지원병 파울 보이머가 전쟁터에서의 죽음과 고통, 불안, 공포, 불합리함, 분노, 그리고 허무함을 맛보고 마침내 전사하기까지의 이야기를 그린 소설이다.

이야기는 파울의 시점을 통해 전쟁터 후방에서의 휴식, 신병 훈련, 야전 병원, 행군, 포격, 참호전, 돌격, 여성과의 만남, 부상, 전우의 죽음, 물자 조달, 귀향, 정찰 임무 등 다양한 에피소드를 시계열적으로 명확하지 않은 형태로 서술해 나간다. 파울의 몸 밖에서 일어나는 전쟁터에서의 일상과 전투의 묘사와, 파울의 내면에서의 사색이 대조적으로 그려져 있으며, 작가를 비롯한 전쟁터의 병사들이 입은 마음의 상처의 깊이를 두드러지게 보여준다. 제목의 유래는 마지막에 밝혀지는데, 주인공 파울 보이머가 전사한 날의 사령부 보고에 "''서부 전선 이상 무, 보고할 사항 없음''"이라고 기재된다. 무엇보다 고뇌와 갈등을 겪은 한 병사의 이야기는 병졸의 죽음 따위는 기록에 남지 않고 별문제도 되지 않는다는, 전쟁이 가진 비인간성을 풍자한 결말을 보여준다.

군사적인 고증 또한 대체로 정확하게 묘사되어 있으며, 독가스에 대한 냉정한 대처 방법이나, 포격 시 소리의 크고 작음으로 그 비행 거리와 포탄의 종류를 구별하는 방법, 백병전에서는 적을 찌르면 잘 빠지지 않는 총검보다 연마한 진지 구축용 이 더 유용하다는 점, 칼날이 톱니 모양으로 된 총검은 사용하기 어려울 뿐더러 소지자가 적에게 잡히면 참살당한다는 점, 전투기보다 정찰기가 포격을 예고하는 존재로 더 꺼려진다는 점 등, 당시 전선의 실상이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다.

전쟁터에서 병사들이 보이는 소박한 애국심과 용기, 우정, 의무감 등도 그려져 있다. 그러나 그 이상으로 전쟁이라는 행위의 처참함과 불합리함, 그리고 병사들의 인생과 인간성이 파괴되는 모습이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으며, 후반부의 주인공이 적군의 시체와 마주하며 회고하는 장면 등에서 반전 문학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나치당 정권 하에서는 소유가 제한되었고, 레마르크 또한 유대계, 비국민, 프랑스 스파이 등으로 터무니없는 박해를 받아 결국 국외 망명을 강요받았다.

5. 등장인물



등장인물 표기는 1955년 신초 문고에서 출판된 진 토요키치의 번역을 따랐다.[27]

소설에는 주인공 파울 보이머와 그의 전우들 외에도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한다. 주요 등장인물 외에도 파울의 학교 친구, 훈련소 교관, 중대원, 병원 환자, 적군 병사 등이 나온다.

5. 1. 주요 등장인물


  • 파울 보이머: 이야기의 주인공. 브레멘 출신으로 18세이다.[28] 김나지움에서 아비투어를 목표로 공부하던 중, 담임교사 칸토레크의 설득으로 급우 크로프, 뮐러와 함께 군에 입대한다. 전쟁 전에는 희곡을 쓰는 것을 좋아했다.[27]
  • 스타니슬라우스 "카트" 카친스키: 보병 중대의 고참병으로, 40대이다. 본업은 구두 수선공이며, 수년간 전장에서 살아남은 경험과 지혜를 가지고 있다. 특히 물자 조달 능력이 뛰어나다. 파울에게는 아버지와 같은 존재이다.[27]
  • 알베르트 크로프: 파울의 김나지움 급우. 키는 작지만 강한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동기 중 처음으로 일등병으로 진급했다. 적의 습격으로 무릎 위를 다쳐 다리를 절단하게 된다.[27]
  • 뮐러: 파울의 김나지움 급우. 전장에서도 사관 편입을 꿈꾸며 공부에 매달렸다. 백병전에서 조명탄을 가슴에 맞고 사망한다.[27]
  • 프란츠 케메리히: 파울의 김나지움 급우. 이야기 초반에 다리를 절단하는 중상을 입고 야전 병원에서 사망한다.[27]
  • 레어: 파울의 김나지움 급우. 턱수염을 기르고 있어 연상으로 보인다. 수학을 잘하는 우등생이지만, 여자를 좋아한다. 포탄 파편에 맞아 사망한다.[27]
  • 요제프 벰: 파울의 김나지움 급우. 뚱뚱하고 쾌활한 성격이었으나, 급우들 중에서 가장 먼저 전사한다.[27]
  • 미텔슈테트: 파울의 김나지움 급우. 처세술이 능숙하여 병영의 신병 교육을 담당하게 되었고, 국민병으로 훈련소에 온 칸토레크를 괴롭힌다.[27]
  • 차덴: 파울이 소속된 보병 중대의 병사. 자물쇠 수리공 출신이다. 훈련소 교관이었던 힘멜토스에게 앙심을 품고 있다.[27]
  • 하이에 베스투스: 보병 중대의 병사. 이탄 채굴 노동자 출신이다. 등에 총을 맞아 폐가 보일 정도의 깊은 상처를 입고 전사한다.[27]
  • 데테링: 보병 중대의 고참병. 본업은 농부이다. 벚꽃을 보고 고향을 그리워하다 탈영하지만, 헌병에게 체포되어 군법회의로 보내진다.[27]
  • 베르팅크: 주인공들이 소속된 보병 연대 제2중대장. 병사 출신으로 승진하여 부하들을 배려한다. 전투 중 적의 총탄과 포탄 파편에 맞아 전사한다.[27]
  • 힘멜토스: 파울의 신병 교육을 담당했던 하사관. 본업은 우체부이다. 신병들을 괴롭혔으나, 전선에서 파울 등과 화해한다.[27]
  • 칸토레크: 파울이 재적하는 김나지움 교사. 학생들에게 군 입대를 강요했으나, 총동원령으로 국민병이 되어 훈련장에 소집되고, 미텔슈테트에게 괴롭힘을 당한다.[27]
  • 요제프 하마허: 파울이 병동에서 만난 부상병. 머리 부상 후유증으로 정신 장애를 앓는 척하며 병동 생활을 한다.[27]
  • 요한 레반도프스키: 파울이 병동에서 만난 부상병. 10개월간 입원 중이며, 아내와 재회한다.[27]
  • 제라르 뒤발: 프랑스군 병사. 인쇄업자 출신으로, 파울에게 칼에 찔려 사망한다.[27]
  • 빌헬름 2세: 독일 황제. 서부 전선을 방문하여 철십자 훈장을 수여한다.[27]

5. 2. 부차적 등장인물


  • '''뮐러''' : 파울 보이머의 학교 친구로, 전사한 케메리히의 군화를 물려받는다. 전장에서도 공부에 매달렸으며, 케메리히가 죽자 그의 장화를 물려받았다.[27] 뮐러 사후 케메리히의 신발은 파울에게, 파울 사후에는 차덴에게 넘어갔다.[27]
  • '''레어''' : 파울의 학교 친구로, 여성 편력이 심했다. 턱수염 때문에 연상으로 보였으며, 수학을 잘했지만 여자를 좋아했다.[27]
  • '''요제프 벰''' : 파울의 학교 친구로, 가장 먼저 전사했다. 뚱뚱하고 쾌활한 성격이었으나, 칸토레크에게 설득되어 자원했다가 급우 중 가장 먼저 전사했다.[27]
  • '''칸토레크''' : 파울과 친구들을 전쟁으로 내몬 학교 선생으로, 맹목적인 애국주의군국주의를 대표하는 인물이다. 학생들을 전장으로 몰아넣고 자신은 참전하지 않았다.[27]
  • '''미텔슈테트''' : 파울의 학교 친구로, 칸토레크에게 복수한다. 국민병으로 훈련소에 온 칸토레크를 '국민병 칸토레크'라 부르며 철저히 괴롭혔다.[27]
  • '''데테링''' : 파울의 부대 동료로, 농부 출신이며 탈영을 시도했다. 군마가 혹사당하는 것을 안타까워했으며, 벚꽃을 보고 고향을 그리워하다 탈영했으나 헌병에게 체포되었다.[27]
  • '''베르팅크 중위''' : 파울 부대의 지휘관으로, 부하들을 보호하다 전사했다. 병사 출신으로 승진하여 부하들을 배려하고 존경받았다.[27]
  • '''하마허''' : 파울이 입원한 병원의 환자로, 교활한 인물이다. 정신 장애를 주장하며 광조 증명서를 이용해 병원에서 제멋대로 행동했다.[27]

6. 출판과 반응

《Vossische Zeitung》 잡지에 1928년 11월 10일부터 12월 9일까지 《서부 전선 이상 없다》가 연재되었다. 이듬해 책으로 출간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고, 같은 해에 150만 부가 판매되었다. 《Publishers Weekly》에 따르면 1929년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소설이었다.[8] 출판사들은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10년이 넘으면서 전쟁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 것을 우려했지만, 젊은 병사들의 시각에서 참호전을 현실적으로 묘사한 레마르크의 소설은 전쟁 생존자들과 민간인 모두에게 깊은 울림을 주었고, 전 세계적으로 긍정적, 부정적 반응을 모두 불러일으켰다.

《서부 전선 이상 없다》를 통해 레마르크는 "포탄은 피했지만 전쟁으로 파괴된" 세대를 대변하는 웅변가가 되었다. 반면 레마르크의 가장 혹독한 비판자들은 그의 동포들이었는데,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은 이 책이 독일의 전쟁 노력을 폄하하고, 레마르크가 자신의 평화주의적 의제를 실현하기 위해 전쟁의 공포를 과장했다고 생각했다. 레마르크에 대한 가장 강력한 반대 목소리는 부상하는 나치당과 그 이념적 동맹에서 나왔다. 1933년, 나치가 권력을 잡자 《서부 전선 이상 없다》는 공개적으로 불태워진 최초의 퇴폐 서적 중 하나가 되었고,[9] 1930년에는 이 책을 원작으로 한 아카데미상 수상 영화의 상영에 나치 조직의 시위와 영화관 및 관람객에 대한 폭력적인 공격이 있었다.[9]

1929년 네덜란드어 번역본


레마르크가 제1차 세계 대전의 독일 군인을 묘사한 것에 대한 반대는 1933년 나치에게만 국한되지 않았다. Karl Kroner|카를 크로너de 박사는 레마르크가 의료진을 무관심하고, 무자비하거나 최전선에서 활동하지 않는 것으로 묘사한 것에 대해 우려했다. 크로너는 특히 이 책이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약화된 독일인에 대한 해외의 고정관념을 영속시킬 것을 우려했다. 그는 "해외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것입니다. 독일 의사들이 자기 동포들을 이렇게 대한다면, 그들이 무력한 포로들을 넘겨받거나 점령지의 인구에 대해 어떤 비인도적인 행위를 저지를지 알 수 없을 것입니다."라고 해명했다.[10][11]

레마르크의 뒤스부르크 군 병원의 동료 환자는 수녀와 환자에 대한 부정적인 묘사와 병사들에 대한 일반적인 묘사에 대해 "조국을 보호하고, 집과 가정을 보호하고, 가족을 보호하는 것이 가장 큰 목표였고, 조국을 보호하려는 의지가 어떤 극단적인 상황도 견딜 수 있는 힘을 주었던 병사들이 있었다."라며 이의를 제기했다.[11]

이러한 비판들은 전쟁의 경험과 개별 병사들이 자신의 경험에 대해 갖는 개인적인 반응이 레마르크가 묘사하는 것보다 더 다양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레마르크가 당시 간과되거나 억압되었던 전쟁의 한 측면과 그 경험에 대해 목소리를 내고 있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이러한 관점은 제1차 세계 대전의 진정한 영향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증거는 레마르크와 그의 많은 친구, 지인들이 10년 후에도 겪고 있던 지속적인 우울증에서 볼 수 있다.[10]

이 책은 또한 반전 선전으로 간주되어 다른 유럽 국가에서도 금지되었다. 1929년에는 오스트리아 병사들의 이 책 열람이 금지되었고, 체코슬로바키아는 군 도서관에서 이 책을 금지했다. 이탈리아어 번역본도 1933년에 금지되었다.[12] 나치가 독일을 재무장하면서 이 책은 독일 재무장에 역효과를 낸다는 이유로 금지되었다.[13] 반대로 《서부 전선 이상 없다》는 평화주의자들에 의해 반전 서적으로 칭송받았다.[11]

레마르크는 소설이 어떤 정치적 입장을 옹호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병사의 경험을 묘사하려는 시도일 뿐이라고 서두에서 밝히고 있다.[14]

문학 비평의 많은 부분은 살로모 프리들랜더가 쓴 책 《에리히 마리아 레마르크는 실제로 살았는가?》(필명 Mynona)에서 나왔으며, 이는 쿠르트 투홀스키의 《Mynona는 실제로 살았는가?》에서 비판을 받았다.[15] 프리들랜더의 비판은 주로 개인적인 성격을 띠었으며, 레마르크를 자기중심적이고 탐욕스럽다고 공격했다. 레마르크는 《서부 전선 이상 없다》를 프리들랜더가 비난한 것처럼 이익을 위해서가 아니라 개인적인 이유로 썼다고 공개적으로 밝혔다.[10][11]

7. 각색

7. 1. 영화


영화 《서부 전선 이상 없다》(1930) 포스터, 주연 루 아이어스

7. 2. 기타


  • 1952년 ''클래식 일러스트레이티드'' 시리즈의 일부로 만화책 각색본이 제작되었다.[20]
  • 1982년 엘튼 존의 앨범 ''Jump Up!''에 엘튼 존버니 토핀이 작사한 서부 전선 이상 없다는 곡이 수록되었다.
  • 2000년 Recorded Books에서 출판된 텍스트의 오디오북으로, 프랭크 뮬러가 낭독했다.[21]
  • 2010년 Hachette Audio UK에서 출판된 오디오북으로, 톰 로렌스가 낭독했다.[22]
  • 2024년 Electric City Entertainment에서 출판된 오디오북으로, 프랭크 치오페티니가 낭독했다.[23]

8. 한국어 번역


  • 진풍길 역, 중앙공론사, 1929년. 신초 문고, 1955년, 신판 2007년[1]
  • 후키자와 타다에 역, 공화출판사, 1952년[2]

9.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

Im Westen nichts Neues|서부 전선 이상 없다de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군 병사 파울 보이머의 경험을 통해 전쟁의 참혹함과 비인간성을 고발하는 소설이다. 이 소설은 분단과 징병제를 겪고 있는 한국 사회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던진다.
분단 현실과 군 복무: 한국은 여전히 전쟁의 위협 속에 있으며, 징병제를 통해 많은 젊은이들이 군 복무를 경험한다. 소설 속 파울의 이야기는 전쟁터에서의 죽음, 고통, 불안, 공포, 그리고 허무함을 생생하게 보여주며, 한국 사회에 전쟁과 군 복무의 현실을 다시금 생각하게 한다.
평화와 통일에 대한 열망: 소설은 전쟁의 비극을 통해 평화의 소중함을 강조한다. 특히, 더불어민주당과 진보 진영은 이 소설을 통해 분단 현실을 극복하고 평화로운 통일을 이루어야 한다는 열망을 더욱 강하게 느낄 수 있다. 전쟁의 참혹함은 평화 통일의 필요성을 역설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참조

[1] 서적 1987 English-language version
[2] 논문 All Quiet on the Western Front and the Fate of a War SAGE Publications 1980-04-01
[3] 웹사이트 Public Domain Day 2024 | Duke University School of Law https://web.law.duke[...]
[4] 웹사이트 Copyright Term and the Public Domain in the United States https://copyright.co[...] Cornell University Library Copyright Information Center 2020-01-03
[5] 뉴스 all quiet on the western Front https://idioms.thefr[...] 2017-12-29
[6] 서적 Erich Maria Remarque's All Quiet on the Western Front https://books.google[...] Infobase
[7] 논문 The Voices of a Lost Generation: The Gap between Promise and Fulfilment in Remarque’s Im Westen Nichts Neues (All Quiet on the Western Front) EBSCOhost 2018-08-01
[8] 서적 80 Years of Bestsellers: 1895–1975 R.R. Bowker Company 1977
[9] 간행물 The Most Loved and Hated Novel About World War I https://www.smithson[...] 2015-06-16
[10] 웹사이트 All Quiet on the Western Front: Reception http://modernism.res[...]
[11] 서적 Erich Maria Remarque Barnes & Noble Books
[12] 서적 120 banned books : censorship histories of world literature https://www.worldcat[...] Checkmark Books/Facts On File 2005
[13] 웹사이트 How 'All Quiet on the Western Front' ran afoul of Nazi film censors https://www.msn.com/[...]
[14] 서적 Understanding Erich Maria Remarqu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15] 간행물 Hat Mynona wirklich gelebt? http://www.textlog.d[...] 1929-12-31
[16] 웹사이트 Oscar Winner 'All Quiet on the Western Front' Leads German Film Awards Nominations With 12 https://www.hollywoo[...] 2023-03-24
[17] 뉴스 Remaking 'All Quiet on the Western Front' https://www.nytimes.[...] 1979-11-11
[18] 뉴스 All Quiet on the Western Front sweeps Baftas as Banshees also gets an Oscar boost https://www.theguard[...] 2023-02-19
[19] 뉴스 Oscars 2023 Winners: The Complete List https://www.nytimes.[...] 2023-03-12
[20] 웹사이트 GCD :: Issue :: Classics Illustrated #95 [O] – All Quiet on the Western Front https://www.comics.o[...]
[21] 웹사이트 All Quiet on the Western Front https://www.recorded[...] Recorded Books
[22] 웹사이트 All Quiet on the Western Front – Audiobook Reviews In All Genres http://audiobookjung[...] 2015-10-24
[23] 웹사이트 All Quiet on the Western Front - Complete Audiobook https://www.youtube.[...] 2024-01-01
[24] 웹사이트 BBC Radio 3 – Drama on 3, All Quiet on the Western Front http://www.bbc.co.uk[...] Bbc.co.uk 2008-11-09
[25] 문서 『――'''異常'''なし』は誤記。
[26] 웹사이트 特別展「Novelists and Newspapers: The Golden Age 1900-1939―新聞の中の文学:黄金時代1900-1939」 https://www.u-tokyo.[...] 東京大学
[27] 문서 그러므로 현대 독일어의 일반적인 표기와 다르다. 또한 1930년 영화판에서는 이름이 영어식 발음이며, 1979년 리메이크에서는 독일어 음운에 충실하면서 현대식 표기가 채택되었기 때문에, 언뜻 보기에는 어색함을 느낀다. 특히 '''미유츠렐'''→'''뮐러'''와 '''웨스트후우스'''→'''베스타스'''가 두드러진 예이다. 또한 영화판 리메이크에서는 미유츠렐에게는 '''프리드리히''', 레엘에는 '''피터'''라는 이름이 주어져 있다.
[28] 문서 입대 당시 나이가 18세였으며, 시간 순서가 뒤바뀐 서두 부분에서는 19세, 전사 당시에는 20세였다.
[29] 트윗 Im Westen nichts Neues, nach dem Roman von Erich Maria Remarque, ist ab 29. September in ausgewählten Kinos und ab 28. Oktober auf Netflix! https://twitter.com/[...] 2022-08-23
[30] 뉴스 In a German 'All Quiet on the Western Front,' History Has a Starring Role https://www.nytimes.[...] 2022-10-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