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가 (귀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가는 백제의 귀족으로, 동성왕 시해 및 반란을 일으킨 인물이다. 486년 위사좌평에 임명되어 숙위병을 관장했으며, 501년 가림성 수비를 거부하다 강제로 부임하게 되자 앙심을 품고 동성왕을 암살했다. 이후 가림성을 근거지로 반란을 일으켰으나 무령왕에 의해 토벌되어 죽임을 당하고 시신은 백강에 버려졌다. 동성왕 시해는 왕권 강화책에 대한 중앙 귀족들의 반발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백씨 (백제) - 백기 (백제)
백기는 백제 무왕 시기에 달솔 관직을 지냈으며, 616년 신라의 아막산성을 공격했으나 승리하지 못했다. - 502년 사망 - 남제 화제
남제 화제는 남제의 마지막 황제로, 명제의 아들이며 동혼후 소보권이 살해된 후 옹립되었으나, 재위 기간 동안 실권은 소영주에게 있었고, 소연에게 선양 후 살해되었다. - 백제의 좌평 - 상좌평
상좌평은 백제 시대에 존재했던 관직으로, 군사와 정사를 담당했으며 부여신, 해수, 사택기루 등이 역임했다. - 백제의 좌평 - 예군
예군은 백제 멸망 전후 당나라에서 활동하며 백제 유민들을 위무하는 데 힘쓴 백제 좌평 출신의 인물로, 시안에서 발견된 묘지명에 '일본'이라는 용어가 등장하여 논쟁이 있다.
백가 (귀족)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백가 |
한자 표기 | 苩加초두머리(艹)에 "흰 백(白)". |
로마자 표기 | Baek Ga |
신분 및 직위 | |
작위 | 백제의 위사좌평 |
재위 기간 | 486년 ~ 502년 |
군주 | 동성왕 |
생애 정보 | |
국적 | 백제 |
성별 | 남성 |
사망 년도 | 502년 |
사망 장소 | 백제 |
가문 정보 | |
왕조 | 백제 |
가문 | 백씨 |
군사 정보 | |
지휘 | 반란군 |
참전 | 백가의 난 |
2. 생애
백가는 웅진의 토착 호족 출신으로, 동성왕 때 위사좌평에 임명되어 왕의 경호를 담당했다. 501년, 동성왕의 명령으로 가림성을 지키게 되었으나, 이를 원하지 않아 앙심을 품고 왕을 시해했다. 이후 가림성을 거점으로 반란을 일으켰지만, 무령왕에게 진압되어 백강에 시체가 던져지는 처형을 당했다.
백가가 동성왕을 살해한 이유는 동성왕의 지배 구조 재편 계획이 중앙 귀족들의 이해관계와 맞지 않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2. 1. 위사좌평 임명과 동성왕 시해
486년(동성왕 8) 2월, 웅진의 토착 호족 출신으로 위사좌평(衛士佐平: 오늘날 경호실장에 해당함)에 임명되어 숙위병(宿衛兵)을 관장하였다.[13] 501년(동성왕 23년) 8월, 동성왕에게 신축한 가림성(지금의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성흥산성)을 지키라는 왕명을 받았으나,[14] 부임하기를 원하지 않아 신병을 핑계로 부임하지 않으려고 하였다.그러나 동성왕이 허락하지 않고 강제로 가림성에 부임시키자, 이를 계기로 동성왕에게 앙심을 품었다. 같은 해 11월 사냥을 하고 나서 눈으로 길이 막혀 마포촌(충남 서천군 한산면의 옛 이름이 마산(馬山) 또는 마읍(馬邑)인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지금의 서천군 한산면으로 추정된다.)에 묵은 동성왕을 자객을 시켜 칼로 찌르게 했고, 동성왕은 결국 12월에 사망했다.[15]
그 후, 부임지인 가림성을 근거지로 하여 반란을 일으켰으나, 새로 즉위한 무령왕이 군대를 거느리고 우두성(지금의 충청남도 청양)에 이르러 한솔(扞率) 해명에게 토벌하게 하자, 저항하지 않고 성을 나와 항복하였지만 죽임을 당했고, 그의 시체는 백강(白江)[16]에 던져졌다.[17]
동성왕의 왕권 강화책으로 인해 새로이 부상한 백(苩)씨 가문이 왕권과 친밀한 관계에 있으면서도 동성왕을 살해한 원인은, 동성왕의 지배구조에 대한 재편성 계획이 중앙 귀족들의 이해 관계와 맞지 않았던 데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2. 2. 백가의 난과 최후
486년(동성왕 8년) 2월, 웅진의 토착 호족 출신으로 위사좌평에 임명되어 숙위병을 관장하였다.[13] 501년(동성왕 23년) 8월, 동성왕에게 신축한 가림성(지금의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성흥산성)을 지키라는 왕명을 받았으나,[14] 부임하기를 원하지 않아 신병을 핑계로 거부하였다.그러나 동성왕이 허락하지 않고 강제로 가림성에 부임시키자, 앙심을 품고 같은 해 11월 사냥을 하고 나서 눈으로 길이 막혀 마포촌(지금의 서천군 한산면으로 추정)에 묵은 동성왕을 자객을 시켜 칼로 찌르게 했고, 동성왕은 결국 12월에 사망했다.[15]
그 후, 백가는 가림성을 근거지로 하여 반란을 일으켰으나, 새로 즉위한 무령왕이 군대를 거느리고 우두성(지금의 충청남도 청양)에 이르러 한솔 해명에게 토벌하게 하자, 저항하지 않고 성을 나와 항복하였지만 죽임을 당했고, 그의 시체는 백강[16]에 던져졌다.[17]
동성왕의 왕권 강화책으로 인해 새로이 부상한 백(苩)씨 가문이 왕권과 친밀한 관계에 있으면서도 동성왕을 살해한 원인은, 동성왕의 지배구조에 대한 재편성 계획이 중앙 귀족들의 이해 관계와 맞지 않았던 데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3. 동성왕 시해 배경
486년(동성왕 8) 2월, 백가는 웅진의 토착 호족으로, 위사좌평(오늘날 경호실장에 해당)에 임명되어 숙위병(왕을 호위하는 병사)을 지휘했다.[13] 501년(동성왕 23년) 8월, 동성왕은 백가에게 신축한 가림성(지금의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성흥산성)을 지키라는 명을 내렸으나,[14] 백가는 부임하기를 원하지 않아 병을 핑계로 거부하려 했다.
하지만 동성왕이 이를 허락하지 않고 강제로 가림성에 부임시키자, 백가는 동성왕에게 앙심을 품게 되었다. 같은 해 11월, 백가는 사냥을 마치고 돌아오던 중 눈 때문에 길이 막혀 마포촌(지금의 서천군 한산면으로 추정)에 묵고 있던 동성왕에게 자객을 보내 칼로 찌르게 했다. 동성왕은 결국 12월에 사망했다.[15]
이후 백가는 부임지인 가림성을 거점으로 반란을 일으켰다. 그러나 새로 즉위한 무령왕이 군대를 이끌고 우두성(지금의 충청남도 청양)에 도착하여 한솔(扞率) 해명에게 토벌을 명하자, 백가는 저항하지 않고 성 밖으로 나와 항복했다. 백가는 결국 죽임을 당했고, 그의 시체는 백강(백강)[16]에 던져졌다.[17]
동성왕의 왕권 강화 정책으로 새롭게 떠오른 백(苩)씨 가문이 왕권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음에도 동성왕을 살해한 이유는, 동성왕의 지배 구조 재편 계획이 중앙 귀족들의 이해관계와 충돌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4. 무령왕의 즉위와 백가 토벌
웅진의 토착 호족으로, 486년(동성왕 8년) 2월, 위사좌평에 임명되어 숙위병[3]을 관장했다[4]. 501년 (동성왕 23년) 8월, 동성왕으로부터 새로 지은 부여 가림성|가림성한국어[5]을 지키라는 왕명을 받았지만[6], 부임을 원치 않아 병을 핑계로 부임하지 않으려 했다.
그러나 동성왕이 이를 허락하지 않고 강제로 가림성에 부임시키자, 이를 계기로 동성왕에게 원한을 품고 같은 해 11월, 사냥을 나가 눈 때문에 길이 막혀 마포촌[7]에 머무는 동성왕을 자객에게 명하여 칼로 찌르게 했고, 동성왕은 결국 12월에 사망했다[8].
그 후, 백가는 부임지인 가림성을 근거지로 삼아 반란을 일으켰지만, 새로 즉위한 무령왕이 군대를 이끌고 우두성[9]에 이르러, 군대장관 해명에게 토벌하게 하자 저항 없이 성을 나와 항복했다. 그러나 백가는 살해당했고, 그의 시체는 백강[10]에 던져졌다[8].
무령왕은 동성왕의 둘째 아들이거나 동성왕의 이복 형이라고 한다. 501년 1월, 위사좌평 백가가 보낸 자객에게 동성왕이 살해당하자 그의 뒤를 이어 즉위했다. 502년 정월, 가림성을 근거지로 삼고 저항하는 백가를 토벌했고, 같은 해 겨울 11월, 고구려의 수곡성을 공격했다[11].
5. 백가가 등장한 작품
참조
[1]
문서
艸部|草冠「艹」에 「白部|白」
[2]
서적
巻185「辺防」1・東夷(上)・百済
通典
[3]
문서
王の禁軍、近衛兵
[4]
서적
巻26「百済本紀」4、東城王8年(486)2月
三国史記
[5]
문서
今の忠清南道扶余郡林川面
[6]
서적
巻26「百済本紀」4、東城王23年(501)8月
三国史記
[7]
문서
忠清南道|忠南舒川郡韓山面の古名が、馬山または馬邑であることで推し量って見る時、今の舒川郡韓山面に推定される
[8]
서적
巻26「百済本紀」4、東城王23年(501)11月
三国史記
[9]
문서
今の忠清南道青陽郡|青陽
[10]
문서
現在の錦江 (韓国)|錦江である
[11]
웹사이트
三国史節要国訳本 - 本紀/壬午年(502年)
http://koreaa2z.com/[...]
社団法人世宗大王記念事業会
2020-01-02
[12]
서적
『통전』 권185, 「변방」1, 동이 상, 백제 참조
[13]
서적
『삼국사기』 권26, 「백제본기」4, 동성왕 8년(486) 2월
[14]
서적
『삼국사기』 권26, 「백제본기」4, 동성왕 23년(501) 8월
[15]
서적
『삼국사기』 권26, 「백제본기」4, 동성왕 23년(501) 11월
[16]
문서
현재의 금강이다
[17]
서적
『삼국사기』 권26, 「백제본기」4, 무령왕 1년(즉위년)(501) 1월
[18]
서적
『삼국사절요』 권6, 임오년(502) 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