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웅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웅진은 475년 고구려의 공격으로 수도가 함락된 백제가 공주 지역으로 천도하여 538년 수도를 사비(부여)로 옮길 때까지 존속했던 시기를 의미한다. 웅진 시대는 백제의 정치적 안정을 되찾고 국력을 회복하는 시기였으며, 무령왕 시기에는 중국 남조, 일본과 활발한 외교 관계를 맺었다. 웅진은 백제 멸망 이후에도 웅진단, 무령왕릉 등 문화유산과 곰나루 전설을 통해 그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주시의 역사 - 우금치 전투
    우금치 전투는 1894년 동학 농민 운동 당시 농민군이 공주 점령을 시도했으나 관군과 일본군에게 패배하여 동학 농민 운동의 종결을 가져온 전투이다.
  • 공주시의 역사 - 망이·망소이의 난
    망이·망소이의 난은 1176년 고려 명종 때 명학소에서 망이와 망소이가 일으킨 민중 봉기로, 특수 행정 구역 차별과 경제적 불만에 대한 반발로 공주를 함락시켰으나, 관군에 의해 진압되었고, 이 사건을 계기로 고려는 특수 행정 구역을 폐지하기 시작했다.
  • 금강의 나루 - 강경읍
    강경읍은 충청남도 논산시 서부에 위치하며 금강 수운 교통의 요지로 발전하여 번성했으나 일제강점기 이후 쇠퇴했고, 현재는 논산시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하며 강경젓갈로 유명하다.
  • 금강의 나루 - 규암면
    규암면은 충청남도 부여군에 위치하며 백마강변의 교통 요지로서, 조선 후기에는 천을면으로 불렸고 현재는 19개의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인삼공사 고려인삼창, 백제문화단지, 자온대, 수북정 등의 주요 시설과 문화유산이 있다.
  • 백제 - 백제문화단지
    백제문화단지는 충청남도 부여군에 백제의 역사와 문화를 재현한 테마파크로 사비궁, 능사, 위례성 등 주요 건축물과 고분공원 등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체험과 행사를 제공하지만, 일부 복원 과정에서 고증 논란이 있다.
  • 백제 - 청주백제유물전시관
    청주백제유물전시관은 2001년 11월 29일에 개관하여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관람이 가능한 전시시설이며, 매주 월요일과 명절, 공휴일 다음 날은 휴관한다.
웅진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유형옛 도시
위치한반도
현재 위치대한민국 충청남도 공주시
별칭고마나루 (곰나루)
관련사비
역사
시기백제 시대
중요 사건475년: 고구려에 의해 한성 함락 후 수도 이전
538년: 사비로 수도 이전

2. 웅진 천도

475년 고구려장수왕이 이끄는 군대의 공격을 받아 백제의 수도인 위례성이 함락되자, 백제의 새로운 왕인 문주왕은 웅진으로 수도를 옮겼다.[1]삼국사기(三國史記)》 〈백제본기〉 문주왕즉위년조에는 "겨울 10월, 웅진(熊津)으로 도읍을 옮겼다."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삼국유사(三國遺事)》 〈왕력〉 문주왕조에는 "웅천(熊川)으로 도읍을 옮겼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무령왕 재위 기간 동안 백제는 정치적 안정을 되찾았으며, 중국의 양나라 및 고분 시대의 일본과 외교 관계를 맺었다. 백제는 중국 문화를 들여와 신라, 가야, 일본에 전파했다.

웅진은 성왕에 의해 538년에 수도가 옮겨질 때까지 그 지위를 유지했다. 웅진 시대는 국력 회복과 부흥을 위한 안정의 시기로 여겨진다.

2. 1. 웅진 천도의 배경

고구려장수왕이 이끄는 군대의 공격을 받아 백제의 첫 번째 수도인 위례성이 함락되자, 475년에 백제의 새로운 왕인 문주왕은 수도를 웅진으로 옮겼다.[1]

2. 2. 웅진 천도의 과정

475년, 고구려 장수왕이 이끄는 군대의 공격으로 백제의 첫 수도인 위례성이 함락되었다. 이에 문주왕은 웅진으로 수도를 옮겼다.[1]

3. 웅진 시대의 백제

475년, 고구려 장수왕이 이끄는 군대의 공격으로 백제의 첫 수도 위례성이 함락되었다. 문주왕은 수도를 웅진으로 옮겼다.[1]

무령왕 재위 기간 백제는 정치적 안정을 되찾고, 중국 양나라 및 고분 시대 일본과 외교 관계를 맺었다. 백제는 중국 문화를 들여와 신라, 가야, 일본에 전파했다.

성왕이 538년 수도를 옮길 때까지 웅진은 그 지위를 유지했다. 웅진 시대는 국력 회복과 부흥을 위한 안정의 시기로 여겨진다.

3. 1. 정치적 안정과 국력 회복

475년, 고구려 장수왕이 이끄는 군대의 공격으로 백제의 첫 수도 위례성이 함락되었다. 문주왕은 수도를 웅진으로 옮겼다.[1]

무령왕 재위 기간 백제는 정치적 안정을 되찾고, 중국 양나라 및 고분 시대 일본과 외교 관계를 맺었다. 백제는 중국 문화를 들여와 신라, 가야, 일본에 전파했다.

성왕이 538년 수도를 옮길 때까지 웅진은 그 지위를 유지했다. 웅진 시대는 국력 회복과 부흥을 위한 안정의 시기로 여겨진다.

3. 2. 대외 관계

무령왕 재위 시 백제는 정치적 안정을 되찾고, 중국 양나라, 고분 시대 일본과 외교 관계를 맺었다. 백제는 중국 문화를 들여와 신라, 가야, 일본에 전파했다.[1]

4. 웅진의 문화 유산

백제가 웅진에 도읍했을 당시 중국 남조와의 교류를 통해 벽돌무덤 양식을 수용한 것으로 보이는 무령왕릉공주 송산리 고분군에 남아 있다. 무령왕릉과 송산리 6호 무덤은 독특한 양식을 하고 있다.[2]

백제 시대부터 금강의 수신(水神)에게 제사를 올리던 곳으로 웅진단(熊津壇)은 충청남도 공주시 웅진동 고마나루 기슭 솔밭에 세워져 있다. 현재 이곳에는 ‘웅진수신지처(熊津水神之處)’라고 새긴 표석과 함께 작은 단이 조성되어 있으며, 1998년 계룡산 산신제 복원과 함께 이곳의 수신제(水神祭)도 복원되었다.[2]

고마나루의 수신제 터는 ‘웅진단(熊津壇)’, ‘웅진사(熊津祠)’, ‘용당(龍堂)’ 등으로 불렸는데,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고마나루 남쪽 언덕에 사당이 있었다고 전하면서 신라 때는 서독(西瀆), 조선 때는 남독(南瀆)으로 중사(中祀)에 포함되어 봄과 가을에 제사에 쓰는 향과 축문인 향축(香祝)을 내려 제사를 지내게 했다는 기록이 있다.[2]

삼국사기』 제사조에는 웅천제(熊川祭)는 신라의 4독 가운데 서독으로서 중사에 편성되어 있었고, 고려를 거쳐 조선 시대에도 웅진사는 중사 13곳 가운데 하나였다고 전한다. 웅진단(사)에서의 제향은 한말 이후 폐지됐으나 일제강점기에 들어서까지 정월대보름날에 민간에서 당굿 형태로 남았고, 광복 이후에도 기우제를 지내는 장소로 이용됐다.[2]

웅진사의 터는 명확하지 않고, 1970년대에 웅진동 곰내골에서 곰 신상이 발견되어 웅진단을 새로 짓고 신상이 발견된 이곳에 고마나루 전설비와 곰 상을 모시고 있다. 고마나루 일대는 2006년 12월 4일에 ‘명승 제21호’로 지정되었다.[2]

백제시대, 공주시의 이름은 웅진(熊津)이고 한글로 쓰면 곰나루 혹은 '고마나루'이다. 이와 관련하여 전해오는 이야기가 있다.[3]

4. 1. 백제 고분과 제단터

무령왕릉백제가 웅진에 도읍했을 당시, 중국 남조와의 교류를 통해 벽돌무덤 양식을 수용한 것으로 보여진다. 공주 송산리 고분군에 남아 있는 무령왕릉과 송산리 6호 무덤은 독특한 양식을 하고 있다.

백제 시대부터 금강의 수신(水神)에게 제사를 올리던 제장(祭場)으로 웅진단(熊津壇)은 충청남도 공주시 웅진동 고마나루 기슭 솔밭에 세워져 있다. 현재 이곳에는 ‘웅진수신지처(熊津水神之處)’라고 새긴 표석과 함께 작은 단이 조성되어 있는데, 1998년계룡산 산신제 복원과 함께 이곳의 수신제(水神祭)도 복원되었다.

고마나루의 수신제 터는 ‘웅진단(熊津壇)’, ‘웅진사(熊津祠)’, ‘용당(龍堂)’ 등으로 불렸는데,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고마나루 남쪽 언덕에 사당이 있었다고 전하면서 신라 때는 서독(西瀆), 조선 때는 남독(南瀆)으로 중사(中祀)에 포함되어 있어 봄과 가을에 제사에 쓰는 향과 축문인 향축(香祝)을 내려 제사를 지내게 했다는 기록이 나온다.

삼국사기』 제사조에는 웅천제(熊川祭)는 신라의 4독 가운데 서독으로서 중사에 편성되어 있었고, 고려를 거쳐 조선 시대에도 웅진사는 대·중·소로 나누었던 중사 13곳 가운데 하나였다고 전한다. 웅진단(사)에서의 제향은 한말 이후 폐지됐으나 일제강점기에 들어서까지 정월대보름날에 민간에서 당굿 형태로 남았고, 광복 이후에도 기우제를 지내는 장소로 이용됐다.

하지만 웅진사의 터는 명확하지 않고, 곰 신상이 1970년대에 웅진동 곰내골에서 발견되어 웅진단을 새로 짓고 신상이 발견된 이곳에 고마나루 전설비와 곰 상을 모시고 있다. 고마나루 일대는 2006년 12월 4일에 ‘명승 제21호’로 지정되었다.[2]

4. 2. 웅진(곰나루) 전설

백제시대, 공주시의 이름은 웅진(熊津)이고 한글로 쓰면 곰나루 혹은 '고마나루'이다. 이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해온다.[3]

아득한 옛날 한 나무꾼이 강을 건너 연미산으로 나무를 하러 갔다. 그때, 큰 암곰 한 마리가 나타나서 나무꾼을 업고 자기가 사는 굴속으로 들어갔다. 은 좋은 음식을 나무꾼에게 많이 가져다주며 나무꾼을 보살폈다. 은 사냥을 나갈 때는 꼭 굴 입구를 큰 바위로 막아놓아 나무꾼이 도망가지 못하도록 하였다. 세월이 지나 몇 해를 이렇게 살게 되자 곰과 나무꾼 사이에는 자식 둘이 생겼다. 어느 날, 곰이 안심하여 사냥을 나갈 때 굴 입구를 돌로 막지 않았다.

이를 본 나무꾼은 굴을 나와 강으로 뛰어들어 헤엄쳤다. 사냥을 나갔던 이 돌아왔을 때 나무꾼은 벌써 건너편에 도착해 있었다. 다급한 은 두 자식을 나무꾼에게 보여주며 돌아올 것을 애원했으나 나무꾼은 냉정하게 뒤돌아섰다. 이에 상심한 은 두 자식과 함께 강물에 뛰어들어 죽고 말았다. 그 이후로 배가 지날 때마다 풍랑이 일고 변고가 생겨 곰사당을 짓고 곰의 영혼을 위로했다고 한다.[3]

공주시에는 현재 공산성이라는 산성이 있는데 원래는 곰나루 지역에 축성된 산성이라 '산성'으로 불리다가 한자로 옮겨 적으면서 소리 나는 대로 '공산성(公山城)'이 되었다는 얘기가 전해오고 공주 역시, '곰주'로 불리던 이름이 '공주(公州)'라는 한자로 표기되었다는 얘기이다. 이처럼 공주시에 얽혀있는 전설은 단군신화의 예처럼 대한민국에서 과 연관되는 대표적인 지역 중 하나로 꼽는다.[4]

참조

[1] 서적 Korea Now https://books.google[...] Korea Herald 2003-07-01
[2] 서적 한국민속신앙사전 국립민속박물관 2009-11-12
[3] 뉴스 둑길 따라 그리움 흐르고 곳곳 곰 전설 자취 http://foodntrip.han[...] 한겨레신문 2009-09-10
[4] 뉴스 부여와 곰고을의 사람들 http://www.pressian.[...] 프레시안 2008-1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