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성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성왕은 백제의 제24대 왕으로, 개로왕의 동생 곤지의 아들이며, 일본에서 귀국하여 왕위에 올랐다. 그는 웅진으로 천도한 후 혼란을 수습하고 신라와의 동맹을 강화하여 고구려에 대항하는 등 국력 강화에 힘썼다. 그러나 말년에는 사치와 향락에 빠져 백성들을 돌보지 않았으며, 결국 501년에 좌평 백가에게 암살당했다. 그는 백제 왕들 중 처음으로 시호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성왕 - 서동요
    서동요는 백제 무왕의 아명인 서동이 신라 선화공주를 얻기 위해 노래를 지어 퍼뜨린 설화로, 미륵사 창건, 익산 천도 등과 연결되어 다양한 해석과 논란을 낳고 있다.
  • 동성왕 - 공주 송산리 6호분
    공주 송산리 6호분은 1932년에 발견된 백제 시대의 벽돌 무덤으로, 사신도가 그려져 있고 중국 양나라의 영향을 받았으며, 무령왕릉과 유사한 구조로 보아 무령왕과 관련 있는 인물의 묘로 추정된다.
  • 501년 사망 - 소보권
    소보권은 남제의 제6대 황제로서, 즉위 후 폭정을 일삼고 사치스러운 생활로 민심을 잃어 결국 살해당하고 남제를 멸망하게 한 인물이다.
  • 무령왕 - 서동요
    서동요는 백제 무왕의 아명인 서동이 신라 선화공주를 얻기 위해 노래를 지어 퍼뜨린 설화로, 미륵사 창건, 익산 천도 등과 연결되어 다양한 해석과 논란을 낳고 있다.
  • 무령왕 - 무령왕릉
    무령왕릉은 백제 무령왕과 왕비의 무덤으로, 지석을 통해 주인공이 확인되었고 2906점의 유물이 출토되어 백제 장례 문화와 사회상을 보여주며, 남조 양나라의 영향을 받은 굴식 벽돌무덤이자 백제 고유의 건축 기술과 미적 감각이 융합된 건축물이다.
동성왕
기본 정보
한글 이름동성왕
한자 이름東城王
로마자 표기Dongseongwang
다른 한글 이름모대, 마제, 여대
다른 한자 이름牟大, 麻帝, 餘大
다른 로마자 표기Modae, Maje, Yeodae
즉위년도479년
퇴위년도501년
묘호동성(東城)
부여모대(扶餘牟大)
별칭마모(摩牟), 말다(末多), 대(大)
출생일468년경?
출생지왜국?
사망일501년 12월 (33세?) (음력)
사망지웅진성
재위 기간479년 11월 ~ 501년 11월 (음력)
자녀아들, 동성자언?, 동성자막고?
아버지부여곤지
어머니미상
형제자매5남 중 차남? 무령왕
배우자미상 (신라 출신 왕족)
종교토착 신앙
전임자삼근왕
후임자무령왕
호칭어라하
작위제24대 백제 국왕
능묘송산리 6호분 (추정)
왕조
왕조백제
수도웅진
이미지
동성왕릉으로 추정되는 공주 송산리 6호분
동성왕릉으로 추정되는 공주 송산리 6호분(오른쪽)
백제 군주 목록
백제 군주 목록온조 18 BCE–28 CE
다루 28–77
기루 77–128
개루 128–166
초고 166–214
구수 214–234
사반 234
고이 234–286
책계 286–298
분서 298–304
비류 304–344
계 344–346
근초고 346–375
근구수 375–384
침류 384–385
진사 385–392
아신 392–405
전지 405–420
구이신 420–427
비유 427–455
개로 455–475
문주 475–477
삼근 477–479
동성 479–501
무령 501–523
성 523–554
위덕 554–598
혜 598–599
법 599–600
무 600–641
의자 641–660

2. 생애

동성왕의 본명은 모대(牟大) 또는 여대(餘大), 마모(摩牟)이고, 일본일본서기속일본기에는 말다(末多)로 기록되어 있다. 삼국사기삼국유사에 따르면 동성왕은 개로왕의 동생 곤지의 아들이다. 일본서기에도 동성왕은 곤지의 아들이라 기록되어 있다.[14] 어머니의 이름은 전해지지 않는다.

일본에서 머물다가 사촌 삼근왕이 살해되자 백제로 귀국하여 어린 나이에 즉위하였다.[15] 481년(동성왕 3년) 신라, 가야와 연합하여 고구려, 말갈의 연합군을 격퇴하고, 484년(동성왕 6년) 중국 남조(南朝)의 남제에 사신을 보내는 등 외교에도 힘썼다. 488년(동성왕 10년)에는 북위의 기병을 격퇴하였고, 493년(동성왕 15년) 신라 왕녀를 왕비로 맞이하였다. 494년(동성왕 16년)과 495년(동성왕 16년) 고구려의 군대를 신라와 연합하여 격퇴하는 등 신라와의 동맹을 강화하였다. 498년 탐라국(지금의 제주도)을 복속시켰다.[16]

웅진 천도 이후 혼란을 수습하는 데 많은 업적을 남겼지만, 말년에는 향락에 빠져 정치를 소홀히 하였다. 499년(동성왕 21년) 가뭄으로 백성들이 굶주렸으나 창고를 열지 않았고, 500년(동성왕 22년) 봄 임류각(臨流閣)을 짓고 사치스러운 정원을 만들었다. 신하들의 간언을 귀찮게 여겨 궁궐 문을 닫을 정도로 사치와 향락을 일삼았다.[17]

삼국사기삼국유사에 따르면 501년(동성왕 23년) 겨울 음력 11월, 사냥을 나갔다가 위사좌평 백가가 보낸 자객에게 암살당했다.[18] 일본서기는 백제신찬을 인용하여 동성왕이 폭정을 펼쳐 백성들을 학대하였기 때문에 백제 사람들이 그를 제거하고 무령왕을 옹립하였다고 기록하였다.

2. 1. 즉위 과정

삼국사기에는 삼근왕이 사망한 후 왕위에 올랐다고만 기록되어 있으나, 일본서기 웅략천황 23년(479년) 4월 조에는 "백제 문진왕(삼근왕)이 급사하였으므로, 당시 인질로 일본에 머물고 있던 곤지왕의 다섯 아이들 중에서 둘째 아들인 말다왕이 어렸지만 총명하였기에, 천황은 筑紫(쓰쿠시)의 군사 500명을 거느리고 말다왕을 백제로 귀국시켜 왕위에 앉히고 동성왕이라 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15]

공주 탄지리 고분군의 횡혈식석실분을 5세기 말에 동성왕을 호위하여 백제로 건너간 왜인 군사의 무덤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출토품 중에 왜계의 수혜기로 보이는 것이 있다).[4]

2. 2. 내정

웅진 천도 이후 혼란을 수습하고자, 웅진(지금의 충청남도 공주시)의 지방 세력인 연씨(燕氏), 사씨(沙氏) 등을 중앙 귀족으로 중용하여 기존 귀족 세력을 견제했다.[16]

500년(동성왕 22년) 봄에는 웅진성 동쪽에 임류각(臨流閣)을 짓는 등 토목 공사를 벌이기도 했다.[17]

2. 3. 대외 관계

동성왕은 481년(동성왕 3년) 신라가야와 연합하여 고구려말갈의 연합군이 신라의 북쪽 변경을 침공했을 때 이를 격퇴하였다. 484년(동성왕 6년)에는 남제에 사신을 보내 외교 관계를 재개하였고, 488년(동성왕 10년)에는 북위의 침입을 막아냈다.

2. 3. 1. 신라와의 관계

493년(동성왕 15년) 신라 귀족 여성과 결혼하여 나제동맹을 더욱 강화했다.[16] 494년(동성왕 16년)과 495년 두 해에 걸쳐 백제와 신라를 번갈아 침공해오는 고구려의 군대를 신라와 연합해 격퇴하는 등, 신라와의 동맹을 더욱 돈독히 하였다.[16]

2. 3. 2. 탐라와의 관계

498년 탐라국(지금의 제주도)이 공물과 세금을 바치지 않자, 동성왕이 직접 정벌하고자 무진주(武珍州: 지금의 광주)에 이르렀다.[16] 탐라국은 이 소식을 듣고 사신을 보내 사죄하였고, 이후 백제에 복속되었다.

2. 3. 3. 중국과의 관계

484년 남제에 사신을 보내 외교 관계를 재개했다.[15] 남제서에는 동성왕이 요동과 요서(遼西)에 군대를 보내 고구려군을 물리쳤다고 기록되어 있다.

2. 3. 4. 일본과의 관계

동성왕은 삼근왕이 살해된 후 일본에서 백제로 귀국하여 어린 나이에 즉위하였다.[15]일본서기』 웅략천황 23년(479년) 4월 조에는 백제 문근왕(삼근왕)이 갑자기 사망하여, 당시 인질로 일본에 머물고 있던 곤지왕의 다섯 아들 중에서 둘째 아들인 말다왕(동성왕)이 어렸지만 총명하였기에, 천황이 筑紫(쓰쿠시)의 군사 500명을 거느리고 말다왕을 백제로 귀국시켜 왕위에 앉히고 동성왕이라 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동성왕은 즉위 이전 백제를 지원하지 않은 왜에 대해 비우호적인 태도를 취했다. 공주 탄지리 고분군의 횡혈식석실분(굴식돌방무덤)을 5세기 말에 동성왕을 호위하여 백제로 건너간 왜인 군사의 무덤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출토품 중에 왜계의 수혜기로 보이는 것이 있다).[4]

2. 4. 죽음

삼국사기삼국유사에 따르면 501년(동성왕 23년) 겨울 음력 11월, 동성왕은 사냥을 나갔다가 폭설을 만나 근처에서 머무르던 중, 왕의 정책에 반발한 위사좌평 백가가 보낸 자객의 칼에 찔려 혼수상태에 빠졌다. 현장에서 바로 사망하지 않고, 부상을 입은 채 웅진(지금의 공주시)으로 돌아왔지만 이듬해 음력 12월에 사망했다.[18]

일본서기는 백제신찬을 인용하여 "말다왕(동성왕)이 무도하여 폭정을 펼치니, 백성들을 학대하였다. 백제의 국인이 함께 그를 제거하였다. 무령왕을 옹립하니 휘는 사마왕인데, 곤지왕자의 아들이다. 즉, 말다왕(동성왕)은 이모형(이복형)이다."라고 기록했다.

3. 무령왕과의 관계

삼국사기삼국유사의 기록에 따르면 무령왕은 동성왕의 둘째 아들이라고 한다. 그러나 일본측의 저서인 일본서기에 의하면 무령왕은 곤지의 첫째 아들이고 동성왕의 형이라고 한다.

일본서기에 의하면 동성왕은 무령왕의 이복 동생이다. 1971년 공주 송산리 왕릉에서 발견된 지석(誌石)에 의해 무령왕462년에 태어났음이 밝혀지면서 이 가설은 신뢰를 얻었다. 무령왕461년 혹은 462년 출생하였고 523년 사망함이 묘지명에 기록되었다. 한편 동성왕은 465년생인 삼근왕479년에 사망한 이후 즉위 당시 동성왕이 어린 나이였다는 기록이 있어 대략 468년경에 출생했고 501년백가에게 시해되었다.

4. 가계


  • 아버지: 곤지[19]
  • 이복형: 무령왕 - 삼국사기삼국유사에는 무령왕이 동성왕의 둘째 아들이라 기록되었으나, 일본서기에는 무령왕이 곤지의 첫째 아들이자 동성왕의 형이라 기록되어 있다. 무령왕릉 발굴 결과 무령왕이 동성왕보다 나이가 많은 것이 확인되어, 무령왕이 동성왕의 아들이 아니라는 것은 확실하다.[19]
  • 왕비: 신라 이찬 비지의 딸
  • 아들: 동성자언(東城子言)
  • 아들: 동성자막고
  • * 후손: 동성도천(東城道天)
  • 딸: 보과부인 - 신라 법흥왕의 후궁

5. 평가

동성왕은 웅진 시대 초기의 혼란을 수습하고 국가의 기틀을 다진 왕으로 평가받는다. 481년에는 신라, 가야와 연합하여 고구려말갈의 연합군을 격퇴했고, 484년에는 중국 남조(南朝)의 남제에 사신을 보내려 시도했으며, 485년에는 신라에도 사신을 보내는 등 외교에도 힘을 쏟았다.[14] 488년에는 북위의 침입을 막아냈고, 493년 신라 왕녀를 왕비로 맞이하고, 494년495년에는 신라와 연합하여 고구려의 침입을 격퇴하는 등 신라와의 동맹을 강화했다.[16] 498년에는 탐라국(지금의 제주도)을 복속시키기도 했다.[16]

하지만 말년에는 사치와 향락에 빠져 정치를 돌보지 않고 백성들의 삶을 외면하여 비판받기도 한다. 499년 가뭄으로 백성들이 굶주렸지만, 궁궐 창고를 열어 백성을 구제하자는 신하들의 건의를 무시했다.[17] 500년에는 웅진성 동쪽에 임류각(臨流閣)을 짓고 사치스러운 정원을 만드는 등 사치를 일삼았다.[17] 신하들의 간언을 귀찮게 여겨 궁궐 문을 닫아걸 정도였다.[17]

6. 기타

동성왕은 백제 왕 중 처음으로 시호를 받은 왕이다.[8] 동성왕의 왕비 출신에 대해서는 한국과 일본 학계 간 이견이 존재한다. 노중국[9], 김현구[10], 홍성화(건국대)[11][12], 김기섭(공주대)[13]한국 연구자들은 백제 제18대 왕 腆支王왕비팔수부인왜인이었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김현구 등은 근지왕, 동성왕, 무령왕의 왕비도 왜인이었고, 왜왕가가 정책적으로 혼인을 주선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7.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2013년 MBC 드라마 《제왕의 딸 수백향》에서 정찬이 동성왕 역을 맡았다.

참조

[1] 서적 Samguk Yusa: Legends and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of Ancient Korea Silk Pagoda 2006
[2] 서적 南斉書 列伝第三十九 蛮・東南夷
[3] 서적 梁書
[4] 서적 백제의 주민과 이주 여성 한국여성사학회 2017
[5] 서적 삼국사기 백제본기
[6] 서적 삼국사기 신라본기
[7] 서적 中国からみた日本の古代 新しい古代史像を探る ミネルヴァ書房 2003-11
[8] 서적 훈민정음 해례본
[9] 뉴스 5世紀の韓日関係史-『宋書』倭国伝の検討- https://www.jkcf.or.[...] 日韓歴史共同研究 2005
[10] 서적 임나일본부설은 허구인가 Changbi Publishers, Inc. 2010-12-24
[11] 뉴스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https://www.khan.co.[...] 2021-06-28
[12] 뉴스 石上神宮 七支刀에 대한 一考察 https://www.krm.or.k[...] 한일관계사학회 2009
[13] 서적 백제의 주민과 이주 여성 한국여성사학회 2017
[14] 웹인용 백제 동성왕대의 정치변동과 왕권강화의 양상 - 한국학논총 -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KISS https://kiss.kstudy.[...] 2024-11-16
[15] 웹인용 일본서기 권제14 대박뢰유무천황(大泊瀨幼武天皇;오호하츠세와카타케루노스메라미코토) 웅략천황(雄略天皇;유랴쿠텐노) 웅략천황(雄略天皇) 23년 4월 백제의 문근왕이 죽자, 곤지의 아들 말다왕을 보냄 http://contents.nahf[...] 2024-11-16
[16] 웹사이트 삼국사기/108동성왕 http://mamstar.com.n[...]
[17] 웹사이트 한국사 연대기 > 고대 > 동성왕 http://contents.hist[...]
[18] 웹사이트 웅진시대의 공주 http://www.gongju.go[...]
[19] 서적 충청남도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