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좌평은 백제의 관직으로, 6세기경에 좌평제의 틀이 갖춰진 것으로 여겨진다. 좌평은 오늘날의 장관에 해당하는 관직으로, 내신좌평이 좌평의 장이었다. 이후 전지왕 때 상좌평이 설치되어 군사 통수권과 국내 행정권을 총괄하며 재상, 즉 수상의 역할을 했다. 좌평에는 상좌평, 내신좌평, 내두좌평, 내법좌평, 위사좌평, 조정좌평, 병관좌평 등이 있었다. 『일본서기』에는 상좌평 외에 대좌평, 중좌평, 하좌평이 등장하며, 이들을 통칭하여 삼좌평이라고 불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이왕 - 풍납토성
풍납토성은 서울 송파구에 위치한 백제 초기 왕성으로 추정되는 한반도 최대 규모의 토성으로, 사적 제11호로 지정되어 백제 시대 유물과 삼한 시대 유물이 출토되었으며 복원 사업이 진행 중이다. - 고이왕 - 기리영 전투
기리영 전투는 246년에서 247년 사이에 위나라가 진한을 지배하려는 과정에서 발생했으며, 대방군 태수 궁준이 사망하고 전투의 주체에 대한 다양한 학설이 존재한다. - 백제의 좌평 - 백가 (귀족)
백가는 백제 시대 웅진 토착 호족 출신 귀족으로, 위사좌평에 임명되어 숙위병을 관장하다 가림성 부임 문제로 동성왕을 시해하고 반란을 일으켰으나 무령왕에 의해 진압 및 처형되었다. - 백제의 좌평 - 상좌평
상좌평은 백제 시대에 존재했던 관직으로, 군사와 정사를 담당했으며 부여신, 해수, 사택기루 등이 역임했다. - 한국사 - 김조국
김조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2019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겸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임명되었다. - 한국사 - 토기
토기는 점토를 구워 만든 그릇으로, 일본에서는 구움 정도에 따라 도자기, 자기와 구분되며 인류 최초의 화학적 변화 응용 사례로 식생활과 문화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왔고, 다원설이 유력한 발상지와 일본 열도 1만 6500년 전 토기 발견이 특징이며, 일본어 관점에서 정의, 역사, 제작 과정, 용도, 세계 각지 토기 문화를 설명한다.
좌평 | |
---|---|
기본 정보 | |
한글 | 좌평 |
한자 | 佐平 |
로마자 표기 | Jwapyeong |
가나 | チュヮピョン |
히라가나 | さへい |
매큔-라이샤워 표기 | Chwap'yŏng |
2. 백제의 좌평 제도
백제의 제8대 고이왕 27년(260년)에 육좌평을 비롯한 16관등제가 정비되었다고 전해지나, 확실하지는 않다. 이후 근초고왕 때 관제가 완성된 것으로 보이며, 좌평제의 틀이 갖춰진 것은 6세기경으로 여겨진다.[1]
좌평은 오늘날의 장관에 해당한다. 전지왕 4년(407년)에는 육좌평 위에 상좌평을 두어 수상의 역할을 맡겼다. 상좌평은 군사 통수권과 국내 행정권을 총괄하였다.
일본서기에는 상좌평[2] 외에 대좌평[3], 중좌평[2], 하좌평[2]도 나타나며, 이들을 통칭하여 "삼좌평"이라 하였다.[2]
2. 1. 좌평의 종류
백제의 제8대 고이왕 27년(260년)에 1품관인 육좌평과 그 아래 15계의 관등, 총 16계로 구성된 관제가 정비되었다고 전해지지만, 확실성은 없다.[1] 이후 근초고왕 때 대략 완성된 것으로 보이지만, 좌평제의 틀이 갖춰진 것은 6세기경으로 여겨진다.[1] 좌평은 오늘날의 장관에 해당하는 관직이다.육좌평에는 내신좌평, 내두좌평, 내법좌평, 위사좌평, 조정좌평, 병관좌평이 있었다.
- '''내신좌평'''(内臣佐平): 왕명의 출납을 담당
- '''내두좌평'''(内頭佐平): 재정 업무 담당
- '''내법좌평'''(内法佐平): 의례 관련 업무 담당
- '''위사좌평'''(衛士佐平): 왕의 호위와 궁궐 수비 담당
- '''조정좌평'''(朝廷佐平): 형벌과 감옥(사법) 사무 담당
- '''병관좌평'''(兵官佐平): 지방 군사 및 대외 군사 업무 담당
이는 중국의 육전 조직을 모방한 것으로, 후세의 육조와 비슷했다.
2. 1. 1. 상좌평
백제 전지왕 4년(407년)에 육좌평 위에 설치된 관등이다.[1] 좌평의 수장으로, 수상에 해당한다.[1] 군사 통수권과 국내 행정권을 총괄하였다.[1]2. 1. 2. 내신좌평
内臣佐平중국어은 왕명의 출납(배명·복명)을 관장하였다.[1]2. 1. 3. 내두좌평
내두좌평(内頭佐平)은 창고(재정) 업무를 관장하였다.[1] 이는 중국의 육전 조직을 모방한 것으로, 후세의 육조와 비슷했다.2. 1. 4. 내법좌평
국가 의례에 관한 일을 관장하였다.[1]2. 1. 5. 위사좌평
백제 고이왕 27년(260년)에 설치된 16관등 중 하나로, 왕의 호위와 궁궐 수비를 담당하였다.[1]2. 1. 6. 조정좌평
'''조정좌평'''(朝廷佐平)은 형벌과 감옥(사법) 사무를 관장하였다.[1] 이는 후세의 육조 중 형조와 비슷한 역할을 담당했다고 볼 수 있다.2. 1. 7. 병관좌평
병관좌평(兵官佐平)은 지방 군사 및 대외 군사 업무를 관장하였다.[1]2. 1. 8. 삼좌평 (일본서기 기록)
일본서기에는 상좌평[2]뿐만 아니라, 중좌평[2]·하좌평[2]도 보이며, 상·중·하의 좌평을 통칭하여 "삼좌평"이라고 했다[2].3. 중국과의 관계
4. 역사적 변천
백제의 좌평 제도는 고이왕 때 처음 등장하여 근초고왕 때 대략적인 틀을 갖추고, 전지왕 때 상좌평이 추가되면서 변화를 겪었다. 좌평은 오늘날의 장관에 해당하는 직책이었으며, 그중 내신좌평이 좌평의 우두머리 역할을 했다.
전지왕 4년(407년)에는 육좌평 위에 상좌평이 설치되었는데, 이는 군사 통수권과 국내 행정권을 모두 총괄하는 자리로, 재상 또는 수상에 해당했다.[1]
육좌평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좌평 | 역할 |
---|---|
내신좌평(内臣佐平) | 왕명의 전달과 보고[1] |
내두좌평(内頭佐平) | 재정[1] |
내법좌평(内法佐平) | 의례[1] |
위사좌평(衛士佐平) | 왕 호위(근위병)[1] |
조정좌평(朝廷佐平) | 형벌과 감옥(사법)[1] |
병관좌평(兵官佐平) | 지방 군사(대외 군사)[1] |
이는 중국의 육전 조직을 본뜬 것으로, 후세의 육조와 유사했다.
『일본서기』에는 상좌평[2] 외에도 대좌평[3], 중좌평[2], 하좌평[2]이 등장하며, 이들을 통틀어 "삼좌평"이라고 불렀다.[2]
4. 1. 고이왕 대
백제 제8대 고이왕 27년(260년)에 육좌평(六佐平)과 그 아래 15개 관등, 총 16개 관등으로 구성된 관제가 정비되었다고 전해지지만[1], 확실성은 낮다. 이후 근초고왕 때 대략 완성된 것으로 보이지만, 좌평제의 틀이 갖춰진 것은 6세기경으로 여겨진다.[1]4. 2. 근초고왕 대
근초고왕 때 좌평 제도가 대략 완성된 것으로 보이지만, 확실히 틀이 갖춰진 것은 6세기경으로 여겨진다.[1] 좌평은 오늘날의 장관에 해당하는 관직이며, 내신좌평이 좌평의 장에 해당했다. 이후 전지왕 4년(407년)에는 육좌평 위에 상좌평을 두었다. 상좌평은 군사 통수권과 국내 행정권을 총괄하는 재상, 즉 수상의 자리에 해당했다.[1]4. 3. 전지왕 대
전지왕 4년(407년)에 육좌평 위에 상좌평의 관등을 두었다.[1] 상좌평은 군사 통수권과 국내 행정권을 총괄하는 재상, 즉 수상의 자리에 해당했다.[1]참조
[1]
서적
1983
[2]
서적
日本書紀
[3]
서적
日本書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