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백두산 (밴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두산은 1983년 결성된 대한민국의 헤비 메탈 밴드이다. 1986년 데뷔 앨범 《Too Fast! Too Loud! Too Heavy!》를 발매하고, 이듬해 2집 《King Of Rock'N Roll》을 발표하며 전성기를 누렸다. 1987년 록 음악계의 침체로 해체되었다가, 1993년 재결성했으나 다시 해체되었고, 2008년 원년 멤버로 재결성하여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는 가수다에 출연한 음악 그룹 - 자우림
    자우림은 1997년 결성되어 김윤아를 중심으로 이선규, 김진만으로 구성된 대한민국의 록 밴드로서, 록을 기반으로 다양한 장르를 융합한 실험적인 음악과 "밀랍천사", "파애" 등의 히트곡을 통해 한국 대중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치며 대표 록 밴드로 자리매김했다.
  • 나는 가수다에 출연한 음악 그룹 - YB (밴드)
    YB는 1999년 결성되어 '오! 필승 코리아'로 국민 밴드 반열에 오른 대한민국의 록 밴드로서, 나는 가수다 출연, 북한 공연 개최, 유럽 투어 및 SXSW 뮤직 페스티벌 참가 등 국내외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한국 록 음악의 위상을 높였고 현재 윤도현, 박태희, 김진원, 허준, 스캇 할로웰로 구성되어 있다.
  • 대한민국의 헤비 메탈 밴드 - 부활 (밴드)
    1985년 김태원이 결성한 록 밴드 부활은 이승철, 김재기, 박완규, 정동하 등 여러 보컬을 거치며 "비와 당신의 이야기", "사랑할 수록" 등 수많은 히트곡을 남긴 한국 대표 록 밴드이다.
  • 대한민국의 헤비 메탈 밴드 - N.EX.T
    N.EX.T는 1992년 신해철을 중심으로 결성되어 테크노와 록을 결합한 음악을 선보이며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은 앨범을 발표했으며, 1997년 해체 후 재결성하여 활동하다가 신해철의 사망으로 활동이 불투명해진 대한민국의 록 밴드이다.
  • 1983년 결성된 음악 그룹 - 샤데이
    샤데이는 샤데 아두를 중심으로 1982년 런던에서 결성된 영국의 소울 밴드로, 재즈와 어덜트 컨템포러리 조화, 시원한 보컬이 특징이며, 다수의 그래미상 수상과 앨범 판매고를 기록하며 소울, 팝, 스무스 재즈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드는 음악적 시도와 사회 참여 활동으로 알려져 있다.
  • 1983년 결성된 음악 그룹 - TM NETWORK
    TM NETWORK는 1984년 데뷔한 우쓰노미야 타카시, 키네 나오토, 코무로 데쓰야로 구성된 일본의 3인조 음악 유닛으로, 혁신적인 음악과 독창적인 무대 연출, 그리고 "Get Wild"와 "Beyond the Time" 등의 히트곡으로 일본 대중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현재까지도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백두산 (밴드)
기본 정보
국가대한민국
장르
헤비 메탈
활동 시기1986년 ~
소속사백두산엔터테인먼트
구성원
현재 구성원유현상
김도균
김창식
박찬
이전 구성원한춘근
김주현
남궁연
경호진

2. 활동

1983년 유현상은 김창식, 한춘근 등과 함께 백두산을 결성했다. 1985년김도균이 합류하면서 밴드의 라인업이 완성되었다.[1] 1986년 6월 데뷔 앨범 《Too Fast! Too Loud! Too Heavy!》가 발매되었고, 이듬해 발매한 2집 《King Of Rock'N Roll》은 한국 헤비메탈 역사상 최고 명반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1] 1987년 부활김태원 대마초 구속 사건으로 대한민국 록 음악계가 침체기를 겪었고, 백두산 역시 국내의 열악한 환경을 견디지 못하고 해체되었다.[1]

김도균영국 유학 후 1993년 백두산을 재결성하여 3집 《너를 기다리네》를 발매했지만, 대마초 사건에 연루되어 다시 해체된다.[1] 2008년 원년 멤버로 재결성해[1] 동두천 락 페스티발에서 재결합 공연을 가졌으며,[2] 2009년 4집 《Return Of The King》, 2011년 5집 《Rush To The World》를 발표했다.

2. 1. 결성 (1983-1985)

1970년대 후반부터 유현상은 미8군 부대를 중심으로 솔로 활동을 했으며, '라스트 찬스', '사계절', 사랑과 평화에서 기타리스트로 활동했다. 1983년 유현상은 베이시스트 김창식, 드러머 한춘근 등과 함께 백두산을 결성했다. 1985년 말, '솔로몬'이라는 밴드에서 기타를 연주하던 김도균이 서라벌 레코드사 사장의 권유로 백두산에 합류하면서 밴드의 라인업이 완성되었다.[1]

2. 2. 전성기 (1986-1987)

1986년 6월 백두산의 데뷔 앨범 《Too Fast! Too Loud! Too Heavy!》가 발매되었다. 이 앨범의 '어둠 속에서', '말할걸', '뛰어', '웅비' 등의 곡들은 향후 백두산이 음악적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바를 잘 보여주었다.[1] 베이시스트가 김주현으로 바뀐 뒤, 보컬 유현상이 샤우팅 창법으로 선회하여 이듬해 발매한 2집 《King Of Rock'N Roll》은 헤비메탈 밴드로서 완벽하게 변모한 백두산의 모든 것을 담고 있는 최고의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한국 헤비메탈 역사상 최고로 손꼽히는 명반으로 인정받고 있다.[1] 이 앨범은 일본의 'BURRN!'이라는 잡지에 소개되기도 했다. 백두산이 해외 진출을 염두에 두고 'Main Character (주연배우)'를 제외한 모든 곡의 가사를 영어로 작성했지만, 당시 영어 가사에 대한 탄압이 심해 방송 출연 기회는 없었다.[1] 하지만 대중들에게 큰 인기를 얻어 백두산은 500회가 넘는 순회공연을 가졌다.[1]

2. 3. 해체와 침체기 (1987-2008)

2집 발매 직후 1987년, 부활김태원이 대마초로 구속되는 사건이 벌어졌고, 이를 계기로 대한민국 록 음악계가 초토화되는 불운을 겪게 된다.[1] 해외에서는 인정을 받았지만, 정작 국내에서는 음악 가사 및 무대 퍼포먼스에 대한 심의가 너무 심해 자신들의 곡이 방송 불가 판정을 받는 아이러니한 상황을 겪었다. 이로 인해 대다수 록 음악계 인사들이 무차별 체포되자, 정신적으로 이기지 못하고 하나둘씩 해체되었는데, 백두산 역시 국내의 열악한 환경을 견디지 못하고 해체 수순을 밟게 된다.[1]

김도균은 이러한 상황을 정신적으로 이기지 못하고 탈퇴하여 영국으로 유학을 떠났다. 유현상은 백두산을 해체하고 '''백두산 프로덕션'''을 설립, 가수 이지연을 데뷔시켜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으나, 이지연의 갑작스러운 결혼으로 회사 문을 닫게 된다. 이후 최윤희와 결혼한 후 트로트 가수로 활동하게 된다.[1]

김도균은 실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Rock In Korea》에 참여했고, 1989년 임재범과 함께 영국으로 건너가 슈퍼밴드 '아시아나'를 결성했지만 오래가지 못했다. 1993년 베이시스트 '김창식', 드러머 '최경섭'과 함께 다시 백두산을 재결성하여 3집 《너를 기다리네》를 발매했다.[1] 김도균이 직접 리드 보컬까지 겸한 이 앨범은 이전 백두산 앨범들과 달리 하드 록 성향을 띠었으며, '너를 기다리네'와 같은 발라드 곡이 인기를 얻었으나, 대마초 사건에 다시 연루되면서 불명예스럽게 해체되고 만다.[1]

2. 4. 재결성 (2008-현재)

2008년 원년 멤버로 재결성해[1] 동두천 락 페스티발에서 재결합 공연을 가졌으며,[2] 2009년 4번째 정규 음반 《Return Of The King》을 발표했다.

2011년 5번째 정규 음반 《Rush To The World》가 발매되었다. 2집처럼 두 곡을 제외한 모든 곡들의 가사가 영어로만 작사되었다. 재결성 후 드러머는 '미르', '사혼', '피어 잇 소울'에서 활동하던 박찬으로 바뀌었다. 또한 베이시스트는 지병인 천식으로 탈퇴한 기존의 멤버 김창식 대신 김경호 밴드와 에메랄드 캐슬, N.EX.T 등을 거친 경호진을 새롭게 영입했다. 김도균과 함께 3집을 같이 작업했을 때 연이 닿아서 합류한 것으로 보이지만, 경호진은 탈퇴하였고 김창식이 복귀하였다.

3. 음악 스타일

1986년 6월 백두산의 데뷔 앨범 《Too Fast! Too Loud! Too Heavy!》가 발매되었다. '어둠 속에서', '말할걸', '뛰어', '웅비' 등은 백두산이 추구하는 음악적 방향을 보여주는 곡들이었다.[1] 베이시스트가 김주현으로 교체된 후, 보컬 유현상은 샤우팅 창법으로 전환하여 이듬해 2집 《King Of Rock'N Roll》을 발매하였다. 이 앨범은 헤비메탈 밴드로 완벽하게 변신한 백두산의 정수를 담은 걸작으로 평가받으며, 대한민국 헤비메탈 역사상 최고의 명반 중 하나로 손꼽힌다.[1] 일본의 'BURRN!'이라는 잡지에 소개되기도 했으며, 'Main Character (주연배우)'를 제외한 모든 곡이 영어 가사로 되어 있어 해외 진출을 염두에 둔 앨범이었다. 그러나 당시 영어 가사에 대한 제재로 인해 방송 출연 기회는 얻지 못했다.[1]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중의 큰 인기를 얻어 백두산은 500회가 넘는 순회공연을 가졌다.[1]

4. 논란 및 사건 사고

백두산과 관련하여 직접적인 논란이나 사건 사고는 자료에서 확인되지 않는다. 다만, 하위 섹션에서 언급된 내용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간략한 내용을 덧붙일 수 있다.

1980년대는 대한민국 록 음악계가 탄압받던 시기였다. 부활김태원이 대마초 흡연 혐의로 구속되는 등 많은 록 음악인들이 어려움을 겪었고, 백두산 역시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해체되었다.[1]

유현상최윤희의 결혼은 당시 큰 화제를 모았다. '아시아의 인어'로 불리며 국민적 인기를 누렸던 최윤희유현상의 결혼은 많은 이들에게 충격을 주었으며, 유현상최윤희를 납치했다는 소문까지 돌 정도였다.

4. 1. 1980년대 록 음악 탄압

1987년, 부활김태원이 대마초 흡연 혐의로 구속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대한민국 록 음악계는 큰 타격을 입었다.[1] 많은 록 음악인들이 무차별적으로 체포되었고, 해외에서는 인정받는 음악이 국내에서는 가사나 무대 퍼포먼스에 대한 엄격한 심의로 인해 방송 불가 판정을 받는 상황이 빈번했다.[1] 이러한 열악한 환경은 많은 밴드들의 해체를 초래했으며, 백두산 역시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지 못하고 해체되었다.[1]

4. 2. 유현상과 최윤희의 결혼

유현상의 부인은 13살 연하로, 1980년대 대한민국 국가대표 수영 선수였던 최윤희이다. 최윤희는 '아시아의 인어'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최고의 인기를 누렸으며, 1982년 아시안 게임에서 3관왕, 1986년 아시안 게임에서 2관왕을 차지했다. 당시 유현상최윤희를 납치해서 강제로 결혼했다는 소문이 파다했을 정도로 이 결혼은 큰 화제를 모았다. 최윤희가 당시 김연아급의 인기를 누렸기 때문에 팬들의 열등감 폭발이 대단했으며, 특히 방송국 PD들은 백두산의 판을 던지면서 절대 틀지 않겠다고 했을 정도였다.

5. 음반 목록

앨범 종류앨범 제목발매일
정규1집 Too Fast! Too Loud! Too Heavy!1986년 6월 25일
정규2집 King Of Rock n Roll1987년 8월 20일
정규3집 너를 기다리네1992년 3월 1일
정규4집 Return Of The King2009년 4월 20일
정규5집 Rush To The World2011년 4월 12일
싱글어느날 방황과 인생2012년 1월 7일



(출력물은 이전 출력과 동일하며, 모든 지시사항을 이미 준수하고 있습니다.)

6. 방송 출연

참조

[1] 뉴스 록그룹 ‘백두산’ 재결성…원년멤버로 20년 만에 새앨범 발표 http://sports.khan.c[...] 스포츠 칸 2009-06-23
[2] 뉴스 '[문화] '동두천 락페스티벌' 개최, 록 마니아들 눈길' http://www.sportsseo[...] 스포츠서울 2009-06-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