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범이론적 행동변화단계 모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범이론적 행동변화단계 모형(TTM)은 제임스 O. 프로차스카와 동료들이 개발한 심리 모델로, 정신 요법의 다양한 이론을 분석하여 "범이론적"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 모델은 행동 변화의 시간적 차원을 나타내는 변화 단계, 개인이 단계를 거치기 위해 사용하는 활동인 변화 과정, 변화에 대한 개인의 장단점 평가인 의사 결정 균형, 그리고 위험 상황에서 건강에 해로운 습관으로 재발하지 않고 대처할 수 있는 자신감인 자기 효능감의 네 가지 핵심 요소로 구성된다. 변화 단계는 미숙고, 숙고, 준비, 실행, 유지, 종결, 재발의 단계를 거치며, 변화 과정은 인지적, 정서적, 평가적 과정을 포함한 10가지 활동으로 구성된다. TTM은 건강 증진, 금연, 신체 활동, 여행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었지만, 단계 구분, 중재 효과, 연구 설계 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건강 증진 - 세계 정신건강의 날
    세계 정신건강의 날은 정신 건강 문제에 대한 인식 제고와 사회적 편견 해소를 위해 1992년 제정된 국제 기념일로, 세계 보건 기구의 지원 아래 매년 특정 주제로 기념되며, 대한민국에서도 정부와 시민 단체가 정신 건강의 중요성을 알리고 사회적 공감대 형성을 위해 노력한다.
  • 건강 증진 - 음식 피라미드
    음식 피라미드는 건강한 식단을 위한 시각적 가이드로 시작되어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지만, 섭취량의 모호성, 지방 섭취에 대한 오해, 맞춤형 가이드라인 필요성, 식품 로비 영향력 등의 비판도 있다.
  • 행동 - 인간 행동
    인간 행동은 유전적, 환경적 요인과 사회적, 문화적 요인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되며, 연령, 문화, 환경, 생리학적 요인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 행동 - 자해
    자해는 자살 의도 없이 스스로에게 상처를 입히는 행위로, 정신적 고통 완화나 도움 요청의 수단이 될 수 있으며, 다양한 정신 질환과 관련이 있고, 정신사회적 치료법으로 치료하며,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어 예방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단계 이론 - 장 피아제
    장 피아제는 아동의 인지 발달을 네 단계로 나누고 '스키마', '동화', '조절' 개념을 통해 인지 발달 과정을 분석한 스위스의 심리학자이자 인식론자로서, 발달심리학, 교육학,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단계 이론 - 꿈의 해석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꿈의 해석》은 꿈을 억압된 욕망의 충족 시도로 보고 꿈의 내용이 왜곡되어 나타난다고 주장하며 인간의 무의식을 탐구하는 정신분석학의 핵심 이론을 담은 저서이다.
범이론적 행동변화단계 모형
개요
변화 단계 모형
변화 단계 모형
종류심리 치료 모델, 건강 행동 모델
개발자제임스 O. 프로차스카(James O. Prochaska), 카를로 디클레멘테(Carlo DiClemente)
개발 연도1977년
관련 이론자기 효능감(self-efficacy), 의사 결정 균형(decisional balance), 변화 과정(processes of change)
단계
1단계계획 전 단계 (Precontemplation)
2단계계획 단계 (Contemplation)
3단계준비 단계 (Preparation)
4단계행동 단계 (Action)
5단계유지 단계 (Maintenance)
6단계종료 단계 (Termination)
활용 분야
적용중독 치료
체중 감량
운동 습관
건강 검진
목표개인의 행동 변화 촉진
효과행동 변화 가능성 증가, 개인 맞춤형 개입 가능
강점 및 한계
강점개인 중심적 접근
다양한 행동 변화에 적용 가능
변화 단계를 고려한 맞춤형 개입
한계단계 구분의 명확성 논란
선형적 진행에 대한 비판
문화적 차이에 따른 적용 한계
추가 정보
다른 이름Transtheoretical Model (TTM)
Stages of Change Model
참고 문헌
주요 저서Changing for Good (Prochaska, Norcross, & DiClemente, 1994)
Changing to Thrive (Prochaska & Prochaska, 2016)

2. 역사 및 핵심 구성 요소

제임스 O. 프로차스카(로드아일랜드 대학교)와 카를로 디 클레멘테 및 동료들은 1977년부터 범이론적 모델을 개발했다.[1] 이 모델은 정신 요법에 대한 다양한 이론의 분석과 사용을 기반으로 하며, 따라서 "범이론적"이라는 이름이 붙었다.[1] 프로차스카와 동료들은 동료 심사를 거친 저널과 책에 발표한 연구를 바탕으로 모델을 다듬었다.[10]

범이론적 모델의 핵심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 '''변화 단계''' : 행동 변화의 시간적 차원을 나타낸다.
  • *
    변화 단계

단계전 숙고숙고준비실행유지재발
표준 기간6개월 이상향후 6개월 이내향후 1개월 이내현재최소 6개월언제든지



'''전 숙고''' 단계의 사람들은 변화의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하며,[5][16][17][18][19][20] 변화의 장점을 과소평가하고 단점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숙고''' 단계에서는 변화의 장단점을 인식하지만 양가성으로 인해 행동을 미룰 수 있다. '''준비''' 단계에서는 행동 변화를 위한 작은 단계를 밟으며, '''실행''' 단계에서는 행동 변화를 지속하기 위해 노력한다. '''유지''' 단계에서는 재발 방지가 중요하며, 특히 스트레스 상황에서 유혹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21][22][23][24] 중독성이 강한 행동의 경우 재발 위험이 높으므로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 '''변화 과정''' : 사람들이 단계를 거쳐 나아가기 위해 사용하는 활동이다.

변화 과정


초기 단계를 거치기 위해 사람들은 인지적, 정서적, 평가적 과정을 적용한다. 사람들이 행동(Action)과 유지(Maintenance) 단계로 나아갈수록 헌신, 반대 조건화, 보상, 환경 통제 및 지지에 더 많이 의존한다.[25]

변화의 10가지 ''변화 과정''은 다음과 같다:[1]

# 의식 고취 (사실 파악)

# 극적 구호 (감정에 주의)

# 자기 재평가 (새로운 자아상 만들기)

# 환경 재평가 (타인에게 미치는 영향 인지)

# 사회적 해방 (공공의 지지 인지)

# 자기 해방 (약속)

# 도움 관계 (지지 얻기)

# 반대 조건화 (대체물 사용)

# 강화 관리 (보상 사용)

# 자극 통제 (환경 관리)

  • '''의사 결정 균형''' : 변화에 대한 개인의 상대적인 장단점 평가이다.[16]

올바른 의사 결정을 위해서는 행동의 결과와 관련된 잠재적 이점(장점)과 비용(단점)을 고려해야 한다.

  • '''자기 효능감''' : 위험 상황에서 건강에 해로운 습관으로 재발하지 않고 대처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다.[16]

2. 1. 변화 단계

범이론적 모델에서 변화는 "일련의 단계를 거치는 과정"이다.[16] 행동 변화의 시간적 차원을 나타내는 변화 단계는 다음과 같다:

  • 미숙고(준비 전 단계, "준비 안 됨"): 가까운 미래에 행동을 취할 의사가 없으며, 자신의 행동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16]
  • 숙고(준비 단계, "준비 중"): 자신의 행동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기 시작하고, 계속되는 행동의 장단점을 살펴보기 시작한다.[16]
  • 준비(준비 완료 단계, "준비됨"): 당장 행동을 취할 의사가 있으며, 행동 변화를 향해 작은 단계들을 밟기 시작할 수 있다.[11]
  • 행동: 문제 행동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건강한 행동을 습득하는 데 있어 구체적이고 명백한 수정사항을 만들었다.
  • 유지: 최소 6개월 동안 행동을 유지할 수 있었으며,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종결: 유혹이 전혀 없으며, 옛날의 건강하지 못한 습관으로 돌아가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한다.[12]
  • 재발 (재순환): 행동 또는 유지 단계에서 이전 단계로 돌아가는 것이다.[16][13]


변화 단계의 정량적 정의는 이 모델의 가장 잘 알려진 특징이지만, 금연 분야에서 가장 비판받는 특징 중 하나이기도 하다. 이러한 정량적 정의는 행동 변화의 본질을 반영하지 않으며, 더 간단한 질문보다 더 나은 예측력을 가지지 않고, 분류 신뢰성과 관련하여 문제가 있다고 한다.[14]

에버렛 로저스는 변화 단계가 혁신 채택 과정 이론에서 혁신의 확산 단계와 유사하다고 제안했다.[15]

단계전 숙고숙고준비실행유지재발
표준 기간6개월 이상향후 6개월 이내향후 1개월 이내현재최소 6개월언제든지



'''전 숙고''' 단계의 사람들은 변화의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으며,[5][16][17][18][19][20] 변화의 장점을 과소평가하고 단점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숙고''' 단계에서는 변화의 장단점을 인식하지만 양가성으로 인해 행동을 미룰 수 있다. '''준비''' 단계에서는 행동 변화를 위한 작은 단계를 밟으며, '''실행''' 단계에서는 행동 변화를 지속하기 위해 노력한다. '''유지''' 단계에서는 재발 방지가 중요하며, 특히 스트레스 상황에서 유혹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21][22][23][24] 중독성이 강한 행동의 경우 재발 위험이 높으므로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2. 2. 변화 과정



변화의 10가지 과정은 "사람들이 단계를 거쳐 나아가기 위해 사용하는 명백하고 비명백한 활동"이다.[16]

초기 단계를 거치기 위해 사람들은 인지적, 정서적, 평가적 과정을 적용한다. 사람들이 행동(Action)과 유지(Maintenance) 단계로 나아갈수록 헌신, 반대 조건화, 보상, 환경 통제 및 지지에 더 많이 의존한다.[25]

프로차스카(Prochaska)와 동료들은 범이론적 모형과 관련된 연구를 통해 행동 변화를 위한 중재가 "단계에 맞춰진" 경우, 즉 "각 개인의 변화 단계에 맞춰진" 경우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한다.[16][26]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변화의 장점("찬성")이 단점("반대")보다 더 크다는 인식이 커지고 있어야 하며(의사 결정 균형), 예전의 건강하지 못한 행동으로 되돌아가도록 유혹하는 상황에서도 변화를 만들고 유지할 수 있다는 자신감(자기 효능감)이 필요하다. 또한, 변화를 만들고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전략(변화 과정)이 필요하다.[1]

10가지 ''변화 과정''은 다음과 같다:[1]

# 의식 고취 (사실 파악) — 건강한 행동에 대한 정보, 교육 및 개인적 피드백을 통해 인식을 높이는 것.

# 극적 구호 (감정에 주의) — 건강하지 못한 행동으로 인해 두려움, 불안 또는 걱정을 느끼거나, 사람들이 건강한 행동으로 변화하는 것을 들었을 때 영감과 희망을 느끼는 것.

# 자기 재평가 (새로운 자아상 만들기) — 건강한 행동이 자신이 되고 싶어하는 모습의 중요한 부분임을 깨닫는 것.

# 환경 재평가 (타인에게 미치는 영향 인지) — 자신의 건강하지 못한 행동이 타인에게 미치는 영향과 변화를 통해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깨닫는 것.

# 사회적 해방 (공공의 지지 인지) — 사회가 건강한 행동을 지지한다는 것을 깨닫는 것.

# 자기 해방 (약속) — 변화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을 믿고 그 믿음에 따라 행동하겠다는 약속을 하고 재 다짐하는 것.

# 도움 관계 (지지 얻기) — 변화를 지지해 줄 사람들을 찾는 것.

# 반대 조건화 (대체물 사용) — 건강하지 못한 방식 대신 건강한 방식으로 행동하고 생각하는 것.

# 강화 관리 (보상 사용) — 긍정적인 행동에서 오는 보상을 늘리고 부정적인 행동에서 오는 보상을 줄이는 것.

# 자극 통제 (환경 관리) — 건강한 행동을 장려하는 알림 및 단서를 사용하고, 그렇지 않은 장소를 피하는 것.

보건 연구자들은 프로차스카(Prochaska)와 디클레멘테(DiClemente)의 10가지 원래의 변화 과정 외에 21가지 과정을 추가하여 확장했다.[27] Bartholomew 외(2006)는 ''건강 증진 프로그램 계획''의 첫 번째 판에서 여러 연구에서 확인한 과정을 요약했지만,[27] 이후 목록이 기술과 과정을 혼합했기 때문에 삭제되었다.[27]

이러한 과정과 전략의 대부분은 스트레스 관리, 운동, 건강한 식습관, 금연 및 기타 중독 행동과 같은 건강 중재와 관련이 있지만,[27] 일부는 여행 중재와 같은 다른 유형의 중재에도 사용된다.[28] 일부 과정은 특정 단계에서 권장되는 반면, 다른 과정은 하나 이상의 단계에서 사용될 수 있다.[1]

2. 3. 의사 결정 균형

이 핵심 구성 요소는 "변화에 대한 개인의 상대적인 장단점 평가를 반영"한다.[16][29] 의사 결정은 Janis와 Mann에 의해 비교적 잠재적 이득과 손실의 "의사결정 균형표"로 개념화되었다.[30] 장점과 단점, 즉 의사결정 균형 측정은 범이론적 모델에서 중요한 구성 요소가 되었다. 장점과 단점은 결합되어 비교적 잠재적 이득과 손실의 의사결정 "균형표"를 형성한다. 장단점의 균형은 개인이 속한 변화 단계에 따라 달라진다.[31]

올바른 의사 결정을 위해서는 행동의 결과와 관련된 잠재적 이점(장점)과 비용(단점)을 고려해야 한다. 범이론적 행동변화단계 모형(TTM) 연구는 48가지 행동과 100개 이상의 연구 대상 집단에서 장점, 단점 및 변화 단계 간의 다음과 같은 관계를 발견했다.

  • 변화의 단점은 사전 숙고 단계에서 장점보다 크다.
  • 장점은 중간 단계에서 단점을 능가한다.
  • 장점은 행동 단계에서 단점을 능가한다.[32]


장단점의 평가는 의사결정 균형 형성의 일부이다. 변화 과정에서 개인은 점차적으로 장점을 증가시키고 단점을 감소시켜 목표 행동에 대한 긍정적인 균형을 형성한다. 태도는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행동과 행동 변화를 설명하는 핵심 구성 요소 중 하나이다.[33] 계획된 행동 이론(TPB)[34] 및 자기 규제적 변화의 단계 모델[35]과 같은 다른 행동 모델도 행동의 중요한 결정 요인으로 태도를 강조한다. 개인의 행동 전에 태도의 점진적인 변화는 서로 다른 변화 단계를 거치는 과정을 반영한다.[36]

의사결정 균형과 태도의 사용으로 인해, 여행 행동 연구자들은 범이론적 행동변화단계 모형(TTM)과 계획된 행동 이론(TPB)을 결합하기 시작했다. Forward[37]는 TPB 변수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단계를 더 잘 차별화한다. 특히 모든 TPB 변수(태도, 인지된 행동 통제, 기술적 및 주관적 규범)는 자전거 통근에 대한 변화 단계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관계를 보여준다. 예상대로, 행동을 수행하려는 의도 또는 의지는 단계별로 증가한다.[37] 마찬가지로, Bamberg[35]는 범이론적 모델, 계획된 행동 이론 및 규범 활성화 모델을 포함한 다양한 행동 모델을 사용하여 자기 규제적 행동 변화의 단계 모델(SSBC)을 구축한다. Bamberg는 자신의 모델이 TTM에 제기된 비판에 대한 해결책이라고 주장한다.[35] 여행, 식단 및 환경 연구의 일부 연구자들은 SSBC가 TTM 기반 연구의 미래 경로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실증 연구를 수행했다.[35][38][39]

2. 4. 자기 효능감

이 핵심 구성 요소는 "사람들이 위험도가 높은 상황에서 건강에 해로운 습관이나 위험한 습관으로 재발하지 않고 대처할 수 있다는 상황별 자신감"이다.[16][40] 이 구성 요소는 반두라의 자기 효능감 이론을 기반으로 하며, 과제 수행에 대한 개인의 인지된 능력을 향후 과제 수행의 매개 변수로 개념화한다.[16][41] 반두라는 그의 연구에서 이미 더 높은 수준의 인지된 자기 효능감이 더 큰 행동 변화를 이끌어낸다는 것을 확립했다.[41] 마찬가지로, 아젠(Ajzen)은 자기 효능감과 인지된 행동 통제의 개념 사이의 유사성을 언급한다.[42] 이는 다양한 행동 이론을 결합하는 범이론적 모형의 통합적 성격을 강조한다. 자기 효능감 수준의 변화는 적절한 인센티브와 기술이 있다면 행동의 지속적인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범이론적 모형은 개인의 자기 효능감을 평가하기 위해 전반적인 자신감 점수를 사용한다.[43][44] 상황적 유혹은 사람들이 특정 상황에서 문제 행동을 할 유혹을 얼마나 받는지 평가한다.[43][44]

3. 비판 및 논란

영국 건강 심리학 저널의 한 기사는 범이론적 모형(TTM)이 건강 행동 변화의 지배적인 모델로 주목받고 있지만, 동시에 비판도 받고 있다고 언급하며, 연구 방식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9] 적용 분야에 따라 다양한 비판이 제기되었는데, 2003년 무작위 대조 시험에 대한 체계적 검토에서는 단계 기반 중재가 흡연 행동 변화에 있어 다른 중재나 무중재보다 효과적이지 않다는 결론이 내려졌다.[73] 그러나 이는 모델 자체의 효과보다는 사용 및 구현 방식의 문제로 인한 결과일 수 있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임신 중 금연을 위한 단계 기반 중재는 단계에 맞지 않는 중재보다 효과적이었으며,[74] 정신 질환 치료에서도 금연을 위한 단계 기반 중재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75]

2009년 연구에서는 TTM 기반 금연 중재가 변화 단계에 맞춤화되지 않은 중재보다 효과적이라는 증거를 찾지 못했다.[76] 변화를 원하지 않는 사람들(사전 숙고 단계)은 단계 기반 및 비단계 기반 중재 모두에 반응하지 않는 경향이 있으며, 단계 기반 중재는 숙고 단계 이상을 목표로 할 때 더 효과적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76] 코크란 연합의 2010년 금연 연구 검토에서는 단계 기반 자조 중재나 개인 상담이 다른 대안보다 효과적이거나 덜 효과적이지 않다는 결론을 내렸다.[77] 2014년 코크란 체계적 검토에서는 TTM 변화 단계 사용 연구가 편향 위험과 부정확성으로 인해 확고한 결론을 내리기 어렵다고 결론 내렸다.[52]

주요 비판 중 하나는 단계 간 구분선이 임의적이라는 점이다.[14] West는 단계에 대한 더 일관되고 구별 가능한 정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으며,[14] 단계가 특정 시간 간격에 묶여 있다는 점도 오해의 소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단계 기반 중재의 효과는 행동에 따라 다르다는 점도 지적되었다. 흡연자의 경우, 각 과정의 사용이 먼저 증가했다가 감소하는 모델의 연속적 버전이 제안되었으며,[78] 변화 단계에 대한 언급 없이 과정을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West는 이 모델이 개인이 일관되고 안정적인 계획을 세운다고 가정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고 비판했다.[14] 그러나 TTM을 사용하는 SAMSHA 문서는 모든 고객이 구조화된 변화 계획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라고 언급한다.[79]

임신 예방 및 성병 연구에 대한 2003년 체계적 검토에서는 TTM 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해 강력한 결론을 내릴 수 없다고 결론 내렸다.[80] 이는 모델 사용 및 구현의 일관성 부족 때문이며,[80] 중재가 단계에 더 잘 맞을수록 콘돔 사용을 장려하는 데 더 효과적이었다.[80]

건강 연구 분야에서 2005년 37건의 무작위 대조 시험에 대한 체계적 검토는 단계 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제한적인 증거가 있다고 주장했다.[81] 신체 활동 증진 연구에서는 단계에 맞는 중재가 더 효과적이었으며,[64] 중재 효과는 변화 단계 외에 TTM의 모든 핵심 구성 요소에 대한 맞춤화 정도에 따라 증가했다.[82] 당뇨병 연구에서는 TTM의 이점에 대한 결론을 내리기 어렵지만,[83] 다른 과정을 사용한 연구에서는 운동 의도 단계 전환 예측에 효과적이었다.[83]

TTM은 비만, 심혈관 문제 등 건강에 해로운 식단과 앉아서 생활하는 문제와 관련하여 신체 활동 연구에서 인기를 얻었다.[84] 2011년 코크란 체계적 검토에서는 TTM SOC 방법이 체중 감량에 효과적이라는 증거가 거의 없었다. 2009년 논문에서는 TTM이 신체 활동 장려에 유용하다고 보았지만,[85] 변화 단계 지정 알고리즘과 설문지는 표준화가 부족했다.[14]

여행 중재에 대한 2017년 검토에서도 TTM 사용의 표준화 및 일관성 문제가 제기되었다.[28] 변화 단계와 의사 결정 균형 구성 요소만 포함되는 경우가 많고, 과정을 단계에 맞추지 않거나, 사전 행동 단계와 행동/유지 단계로 참가자를 분류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28] TTM은 연구 설계의 한계, 횡단 연구 위주의 연구,[86] 단계의 상호 배타성 부족,[86] 순차적 단계 이동에 대한 증거 부족[86] 등으로 인해 비판받아 왔다. 금연 연구에서는 전진 단계 이동 확률이 더 컸지만,[87] TTM 사용, 구현 및 연구 설계의 변동성으로 인해 데이터가 모호하다. 구성 요소, 측정값, 종단 데이터 사용에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28]

4. 한국 사회에의 적용 및 의의

5. 결론

참조

[1] 서적 Handbook of psychotherapy integr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 논문 Initial efficacy of MI, TTM tailoring and HRI's with multiple behaviors for employee health promotion 2008-03
[3] 논문 Dietary applications of the stages of change model. 1999-06
[4] 서적 Systems of psychotherapy: dialectical tensions and integration Springer-Verlag 2011
[5] 서적 Changing for good: the revolutionary program that explains the six stages of change and teaches you how to free yourself from bad habits https://archive.org/[...] William Morrow and Company 1994
[6] 서적 Changeology: 5 steps to realizing your goals and resolutions Simon & Schuster 2012
[7] 서적 Changing to thrive: using the stages of change to overcome the top threats to your health and happiness https://archive.org/[...] Hazelden 2016
[8] 뉴스 https://vanderbilthu[...] Harvard Health Publishing 2020-02-21
[9] 논문 Is there utility in the transtheoretical model? 2009-05-01
[10] 서적 Systems of psychotherapy: a transtheoretical analysis Cengage Learning 2014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논문 Time for a change: putting the Transtheoretical (Stages of Change) Model to rest 2005-08
[15] 서적 Diffusion of innovations https://archive.org/[...] Free Press 2003
[16] 논문 The transtheoretical model of health behavior change http://www.uri.edu/r[...] 1997-09
[17] 논문 Stages of change and decisional balance for 12 problem behaviors http://www.uri.edu/r[...] 1994-01
[18] 논문 Measuring processes of change: applications to the cessation of smoking 1988-08
[19] 논문 A transtheoretical approach to changing organizations
[20] 논문 Stages of change in psychotherapy: measurement and sample profiles
[21] 간행물 Self-efficacy and the stages of self-change of smoking. 1985
[22] 논문 Decisional balance measure for assessing and predicting smoking status http://www.uri.edu/r[...] 1985-05
[23] 논문 Assessing outcome in smoking cessation studies 1992-01
[24] 논문 Standardized, individualized, interactive, and personalized self-help programs for smoking cessation 1993-09
[25] 서적 The Transtheoretical Model and Stages of Change Jossey-Bass 2008
[26] 문서
[27] 서적 Planning Health Promotion Programs: An Intervention Mapping Approach Jossey-Bass 2006
[28] 논문 Transtheoretical Model of Change during Travel Behavior Interventions: An Integrative Review
[29] 문서
[30] 서적 Decision making: a psychological analysis of conflict, choice and commitment Free Press 1977
[31] 문서
[32] 논문 Meta-analysis Examination of the sting and weak principals across 48 behaviors
[33] 논문 The degree of intention formation as a moderator of the attitude-behavior relationship
[34] 논문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35] 논문 Changing environmentally harmful behaviors: A stage model of self-regulated behavioral change
[36] 논문 Evidence for discontinuity patterns across the stages of change: a role for attitudinal ambivalence 2003-06
[37] 논문 Exploring people's willingness to bike using a combin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al and the transtheoretical model
[38] 논문 A stage model as an analysis framework for studying voluntary change in food choices: The case of beef consumption reduction in Norway
[39] 논문 Specific barriers and drivers in different stages of decision-making about energy efficiency upgrades in private homes
[40] 문서
[41] 논문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42] 논문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elf-efficacy, locus of control,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43] 논문 Testing 40 predictions from the transtheoretical model 1999-07
[44] 논문 Situational temptation scores and smoking cessation in general care 2009-06
[45] 논문 Predicting termination and continuation status in psychotherapy using the transtheoretical model 1999
[46] 논문 A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a population- and transtheoretical model-based stress-management intervention
[47] 문서
[48] 논문 Efficacy of a transtheoretical model-based expert system for antihypertensive adherence
[49] 논문 Transtheoretical model intervention for adherence to lipid-lowering drugs
[50] 논문 Randomized trial of a computer-tailored intervention for patients with depression
[51] 논문 Transtheoretical model-based multiple behavior intervention for weight management: Effectiveness on a population basis
[52] 논문 Transtheoretical model stages of change for dietary and physical exercise modification in weight loss management for overweight and obese adults 2014-02-05
[53] 논문 Standardized, individualized, interactive, and personalized self-help programs for smoking cessation
[54] 논문 Counselor and stimulus control enhancements of a stage-matched expert system intervention for smokers in a managed care setting
[55] 논문 Evaluating a population-based recruitment approach and a stage-based expert system intervention for smoking cessation
[56] 논문 Distribution of smokers by stage in three representative samples 1995-07
[57] 논문 Demographic variables, smoking variables, and outcome across five studies
[58] 웹사이트 Standardized, individualized, interactive, and personalized self-help programs for smoking cessation. http://www.uri.edu/r[...] 2009-03-18
[59] 논문 'Walk in to work out':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of a self help intervention to promote active commuting
[60] 논문 Cycle commuting and perceptions of barriers: stages of change, gender and occupation https://www.pure.ed.[...]
[61] 논문 Employee attitudes towards active commuting
[62] 간행물 Promoting sustainable transportation across campus communities using the transtheoretical model of change https://theieca.org/[...]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mmunication Association 2015
[63] 논문 Active commuting by bicycle: Results of an educational intervention study
[64] 논문 Increased physical activity in abdominally obese women through support for changed commuting habits: a randomized clinical trial 2009-06
[65] 논문 Promoting walking to school: Results of a quasi-experimental trial
[66] 논문 Bicycling to university: Evaluation of a bicycle-sharing program in spain
[67] 논문 Promoting active transport in a workplace setting: Evaluation of a pilot study in Australia
[68] 논문 Travel behaviour change impacts of a major ride to work day event
[69] 논문 Contemplating cycling to work: Attitudes and perceptions in different stages of change
[70] 논문 Propensity for Voluntary Travel Behavior Changes: An Experimental Analysis
[71] 논문 Successfully changing individual travel behavior
[72] 논문 The effectiveness of community-based cycling promotion: Findings from the cycling connecting communities project in Sydney, Australia
[73] 논문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stage based interventions to promote smoking cessation 2003-05
[74] 논문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smoking cessation for pregnant women to test the effect of a transtheoretical model-based intervention on movement in stage and interaction with baseline stage 2006-05
[75] 논문 Treatment for cigarette smoking among depressed mental health outpatients: a randomized clinical trial 2006-10
[76] 논문 The effect of transtheoretical model based interventions on smoking cessation 2009-02
[77] 논문 Stage-based interventions for smoking cessation
[78] 논문 Recovering unimodal latent patterns of change by unfolding analysis: application to smoking cessation 1999-06
[79] 서적 Enhancing motivation for change in substance abuse treatment https://www.ncbi.nlm[...] U.S. Dep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Substance Abuse and Mental Health Services Administration 2019
[80] 논문 Applying the transtheoretical model to pregnancy and STD preven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2003-06
[81] 논문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health behavior interventions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2005-06
[82] 논문 Moving beyond the transtheoretical model 2006-06
[83] 논문 Application of the Transtheoretical model to physical activity in olde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and/or cardiovascular disease
[84] 논문 Applying the transtheoretical model to exercise: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review of the literature
[85] 논문 Physical activity and food environments: solutions to the obesity epidemic
[86] 논문 Stages of change: a critique 2002-04
[87] 논문 Latent transition analysis to the stages of change for smoking cessation
[88] 웹사이트 Stages and processes of self-change of smoking: toward an integrative model of change. http://www.uri.edu/r[...]
[89] 웹사이트 In search of how people change. Applications to addictive behaviors. http://www.uri.edu/r[...]
[90] 서적 Handbook of psychotherapy integratio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91] 저널 Initial efficacy of MI, TTM tailoring and HRI's with multiple behaviors for employee health promotion 2008-03
[92] 저널 Dietary applications of the stages of change model. 1999-06
[93] 웹사이트 About us. Transtheoretical model.
[94] 서적 Systems of psychotherapy: dialectical tensions and integration Springer-Verlag 2011
[95] 서적 Changing for good: the revolutionary program that explains the six stages of change and teaches you how to free yourself from bad habits https://archive.org/[...] William Morrow and Company 1994
[96] 서적 Changeology: 5 steps to realizing your goals and resolutions Simon & Schuster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