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범패는 불교 의식에 사용되는 한국 전통 성악으로, 안채비소리, 바깥채비소리, 화청 등으로 나뉜다. 안채비소리는 사찰 안에서 한문 경전을 낭송하는 것이고, 바깥채비소리는 홋소리, 짓소리로 불리며 특정한 한시를 낭송한다. 화청은 한국어로 된 세속적인 불교 의례 염불이다. 범패는 상주권공재, 시왕각배재, 생전예수재, 수륙재, 영산재 등 다양한 종류의 재(齋)에 사용되며, 나비춤, 바라춤, 법고춤과 같은 불교 무용인 작법(作法)과 함께 의식을 거행한다. 범패는 삼국 시대부터 발전하여 조선 시대와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변화를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교 음악 - 오명 (불교)
오명은 불교에서 보살이 배워야 할 다섯 가지 학문을 의미하며, 언어, 논리학, 불교 철학, 의학, 예술 등을 포함한다. - 불교 음악 - 밍군 종
밍군 종은 1808년 미얀마 밍군에서 제작된 무게 90.7톤의 거대한 종으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크며 버마어 글자가 새겨져 있고, 1839년 지진으로 손상되었지만 복원되어 문화유산이자 관광 명소로 보존되고 있다. - 한국의 음악 - 악학궤범
《악학궤범》은 성종 때 편찬된 조선 전기 음악 이론과 실제 연주 지침을 담은 종합적인 음악서로, 음악 이론, 의례, 정재, 악기, 복식 등을 상세히 다루어 조선 전기 음악 문화의 정수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이다. - 한국의 음악 - 한국음악
한국음악은 한국음악사학, 음악 분류, 전통 음악, 현대 음악, 음악사, 전통 악기, 현대음악 등으로 구성되며, 한국음악사학은 연구와 발전을 다루고, 음악 분류는 유래, 목적, 형태에 따라 이루어지며, 음악사는 시대별 특징을 보여주고, 전통 악기는 국악의 중요한 부분이며, 한국현대음악은 서양음악의 영향을 받아 창작된다.
범패 | |
---|---|
범패 | |
![]() | |
일반 정보 | |
종류 | 불교 음악 |
기원 | 인도 |
전래 시기 | 삼국 시대 |
분류 | 성악곡 |
다른 이름 | 어산(魚山) 범음(梵音) 인성(引聲) |
내용 | |
정의 | 불교 의식에 사용되는 의식 음악 |
특징 | 장엄하고 숭고한 분위기 연출 불교 교리 내용 담고 있음 한국 불교 음악의 정수 |
종류 | |
홋소리 | 안채비 겉채비 |
짓소리 | 영산회상 천수바라 사다라니 화엄경 |
화청 | 거령산 보허사 정읍사 |
중요 무형 문화재 | |
지정 번호 | 제50호 |
지정 명칭 | 범패 |
지정일 | 1973년 12월 24일 |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 |
등재 연도 | 2009년 |
등재 명칭 | 영산재 |
참고 | 영산재는 범패를 포함하는 의식임 |
2. 범패의 종류
범패에는 안채비소리, 홋소리, 짓소리, 화청 등이 있다.[1]
- 안채비소리: 절 안에서 불리는 염불로, 음악적으로 단순하며 주로 한문 경전을 읽는다.
- 바깥채비소리: 절 밖에서 불리는 염불로 홋소리와 짓소리가 있다. 전문 승려가 의례 행사에서 높은 음조로 부른다.
- 화청: 일반 대중을 위해 쉬운 한국어로 된 불교 의례 염불이다.
2. 1. 안채비소리
범패에는 안채비들이 부르는 안채비소리와 겉채비들이 부르는 홋소리·짓소리·화청 등이 있다.[1] 안채비소리는 재를 올리는 절 안의 유식한 병법(秉法) 또는 법주(法主)가 요령(搖鈴)을 흔들며 낭송하는 소리이다.[1] 사설은 주로 한문인 산문으로 되어 있고, 내용은 재주(齋主)를 축원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1] 그 예로 유치(由致)나 청사(請詞) 등을 들 수 있다.[1] 안채비소리의 음악적 스타일은 서양 오페라의 레치타티보처럼 촘촘히 읽어 나가는 것이다.[1]안채비 소리는 "실내 염불"로, 음악적으로 단순하며, 주로 한문으로 된 경전을 승려가 사찰 안에서 부르는 염불이다.[1]
2. 2. 바깥채비소리
바깥채비소리는 '실외 염불'로, 특정한 한시를 낭송하는 것이다. '홋소리'(단염) 또는 '짓소리'(긴 염불)로 불리며, 훈련된 전문 승려가 특별한 의례 행사에서 특징적인 높은 음조로 부른다. 범패라는 용어는 때때로 이러한 종류의 염불, 즉 한국 불교 의례 염불 중 가장 오래된 것을 구체적으로 지칭하기도 한다.2. 2. 1. 홋소리
범패에는 안채비들이 부르는 안채비소리와 겉채비들이 부르는 홋소리·짓소리·화청 등이 있다. 홋소리는 짓소리를 다 배운 범패승이 배우는 것으로, 대개 한문으로 된 산문 또는 범어(梵語)를 그 사설로 가지고 있으며, 짧은 연주 시간을 가지고 있다. 홋소리는 주로 3음을 사용하며, 홋소리 중의 허덜품은 전주로 쓰인다.2. 2. 2. 짓소리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함께 문서 제목, 섹션 제목, 요약을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 형식으로 작성해드리겠습니다.)2. 3. 화청·회심곡
범패에는 안채비들이 부르는 안채비소리와 겉채비들이 부르는 홋소리·짓소리·화청 등이 있다. 화청은 포교를 위한 한 방편으로서,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음악에 불교를 믿고 따르게 하는 내용을 담아 부르는 노래이다. 음악적으로는 경기 민요, 특히 창부타령과 같은 민요와 관련이 깊다. 범패가 한문이나 범어로 가사를 쓰는 반면, 화청이나 회심곡은 한자와 우리말을 섞어 쓴다.[1] 화청은 쉬운 한국어로 된 세속적인 불교 의례 염불이다.[1]3. 재의 종류
범패는 주로 다음 다섯 가지 재(齋)에 사용된다.[1]
4. 작법(불교무용)
작법은 영산재의 식당작법(食堂作法)에 대부분 포함되어 있으며, 그 밖의 재(齋)에도 요잡(繞匣)이라 하여 곡목 사이에 빈번히 사용된다. 작법에는 나비춤, 바라춤, 법고춤의 세 가지가 있다.
4. 1. 나비춤
나비 같은 작복(作服)을 입고 고깔을 쓰고 손에는 모란꽃을 쥐고 춘다. 나비춤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종류 |
---|
도량게작법(度量偈作法) |
다게작법(茶偈作法) |
사방요신(四方搖身) |
정례작법(頂禮作法) |
향화게작법(香花偈作法) |
운심게작법(運心偈作法) |
지옥고작법(地獄苦作法) |
자귀의불작법(自歸依佛作法) |
만다라작법(慢多羅作法) |
기경작법(起經作法) |
삼귀의작법(三歸依作法) |
모란찬작법(牧丹讚作法) |
구원겁중작법(久遠劫中作法) |
오공양작법(五供養作法) |
타주(打柱) |
4. 2. 바라춤
바라춤은 양손에 큰 바라를 들고 추는 춤이다. 바라춤의 종류에는 천수(千手)바라, 명발, 사다라니바라, 관욕게(觀浴偈)바라, 막바라(보통바라), 내림게(來臨偈)바라 등 6가지가 있다. 바라춤은 영산재 즉 식당작법(食堂作法) 속에 대부분 포함되어 있으나, 기타의 재에도 요잡(繞匣)이라 하여 곡목과 곡목 사이에 빈번히 사용된다. 작법의 종류에는 나비춤, 바라춤, 법고춤의 세 가지가 있다.4. 3. 법고춤
법고춤은 양손에 방망이를 쥐고 법고를 치면서 추는 불교 무용이다. 법고춤에는 법고와 홍구춤 두 가지가 있다.[1] 법고춤은 영산재의 식당작법(食堂作法)에 대부분 포함되어 있으며, 기타 재(齋)에도 요잡(繞匣)이라 하여 곡목 사이에 자주 사용된다.[1]5. 역사
범패는 삼국 시대부터 발전했는데, 당시 한국 불교는 한국의 지배적인 종교로서 공식적인 후원을 받았다. 조선 시대에는 한국 유교가 숭상되었고, 일제강점기에는 한국의 전통 불교 문화가 억압되면서 쇠퇴했다.[4]
참조
[1]
뉴스
Beompae: solemn chant for Buddhist ritual
https://www.koreatim[...]
Korea Times
2010-07-15
[2]
웹사이트
Korean Traditional & Folk Music Knowledge Site - Jeollabuk-do
http://www.koreamusi[...]
[3]
서적
Pŏmp'ae, Korean Ritual Music: Buddhis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2-01
[4]
서적
Traditional Music: Sounds in Harmony with Nature
https://books.google[...]
The Korea Foundation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