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벚나무 (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벚나무(종)은 1830년 필리프 프란츠 폰 지볼트에 의해 처음 명명되었으며, 일본어 '야마자쿠라'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산 벚나무'를 의미한다. 20~25m까지 자라는 낙엽성 나무로, 잎은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며 4~5월에 연분홍색 또는 백색 벚꽃이 핀다. 일본 혼슈, 시코쿠, 큐슈 지역에 분포하며,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대상 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산벚나무는 일본의 문화적 상징으로, 시인들에게 영감을 주고 '하나미'로 알려진 벚꽃 감상 활동의 대상이 되어 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미과 - 사과나무
    사과나무는 동아시아 원산의 장미과 낙엽성 활엽 소교목으로, 전 세계에서 재배되며 흰색 또는 연분홍색 꽃을 피우고 달콤하고 새콤한 맛의 사과 열매를 맺으며 목재로도 활용된다.
  • 장미과 - 능금나무
    능금나무는 한국과 중국 원산의 낙엽 활엽 과수로, 사과와 혼용되었으나 별개 종으로 분류되었으며, 독특한 열매 모양과 신맛, 떫은맛을 가진 열매를 맺고 관상용, 약재, 식용으로 이용되어 왔으나, 서양 사과 도입 후 재배가 감소하여 유전자원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1911년 기재된 식물 - 시포노킬루스속
    시포노킬루스속은 아프리카 대륙 특정 지역에 분포하는 다양한 종을 포함하는 속으로, 시포노킬루스 에티오피쿠스, 시포노킬루스 밤부티오룸, 시포노킬루스 브라키스테몬 등을 포함하여 11개의 종이 속한다.
  • 1911년 기재된 식물 - 대화주란아족
    대화주란아족은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뉴기니 등지에서 주로 발견되는 땅에서 자라는 난초로, Burnettia, Leporella, Lyperanthus, Pyrorchis, Rimacola, Waireia 등의 속을 포함하는 난초과의 한 아족이다.
  • 벚나무 - 센본자쿠라
    센본자쿠라는 일본의 벚꽃 명소 또는 벚꽃 관련 작품의 제목으로,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벚꽃 명소와 축제, 하츠네 미쿠의 노래, 만화 《BLEACH》의 무기, 경주마의 이름 등으로 사용된다.
  • 벚나무 - 양벚나무
    양벚나무는 잎자루에 붉은색 샘이 있고, 흰색 꽃이 피며 식용 열매를 맺는 낙엽활엽수로, 관상수, 목재, 약재 등으로 활용된다.
벚나무 (종)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학명Prunus jamasakura (Makino) Siebold ex Koidz.
문화어벗나무
분류
식물계
미분류 문속씨식물군
미분류 강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목장미군
장미목
장미과
벚나무속
아속벚나무아속
벚나무절
벚나무
상태LC (관심 필요)
상태 기준IUCN3.1
생물학적 분류
Prunus
아속Prunus subg. Cerasus
jamasakura
명명자(Makino) Siebold ex Koidz.
이미지
오부쿠마산 사가의 Cerasus jamasakura 가지
오부쿠마산 사가의 Cerasus jamasakura 가지

2. 분류

이 종은 1830년 필리프 프란츠 폰 지볼트에 의해 처음으로 이명으로 명명되었으며,[3][4] 종소명은 일본어 일반명칭인 야마자쿠라|ヤマザクラ, 山桜일본어,[19] '문자 그대로' "산" 또는 "야생 벚나무"와 관련이 있다.[4] 지볼트는 이 나무가 목판 인쇄에 사용되는 목재, 다양한 공예(''가바자이쿠'')에 사용되는 수피, 식용 과실[3][5] 등으로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다고 언급했지만, 종 설명, 종 진단, 삽화, 모식 표본에 대한 언급은 없었으며,[4] 그의 ''Prunus jamasakura''는 ''nomen nudum''[4] 또는 ''seminudum''이었다.[6]

마키노 도미타로는 1908년 이 분류군을 ''Prunus pseudocerasus'' var. ''jamasakura''로 처음 종 설명했다.[7] 1911년 고이즈미 겐이치에 의해 종의 지위(''Prunus jamasakura'')로 승격되었으며,[8] 1992년 오바 히데아키는 산 벚나무를 벚나무속으로 옮겼다.[6] 오바와 아키야마 시노부는 마키노의 var. ''jamasakura''가 "불필요한 이름"이라고 제안하고 저자 인용 ''Cerasus jamasakura'' (Siebold ex Koidz.) H. Ohba를 제시했다.[4]

2. 1. 변종

이 종은 1830년 필리프 프란츠 폰 지볼트에 의해 처음으로 이명으로 명명되었으며,[3][4] 종소명은 일본어 일반명칭인 야마자쿠라|ヤマザクラ, 山桜일본어,[19] '문자 그대로' "산" 또는 "야생 벚나무"와 관련이 있다.[4]

마키노 도미타로는 1908년 이 분류군을 ''Prunus pseudocerasus'' var. ''jamasakura''로 처음 종 설명했다.[7] 1911년 고이즈미 겐이치에 의해 종의 지위(''Prunus jamasakura'')로 승격되었으며,[8] 1992년 오바 히데아키는 산 벚나무를 벚나무속으로 옮겼다.[6] 오바와 아키야마 시노부는 마키노의 var. ''jamasakura''가 "불필요한 이름"이라고 제안하고 인용 ''Cerasus jamasakura'' (Siebold ex Koidz.) H. Ohba를 제시했다.[4]

두 변종이 인정된다:[2]

  • ''Prunus jamasakura'' var. ''chikusiensis'' (Koidz.) Ohwi[10] (쓰쿠시야마자쿠라|ツクシヤマザクラ일본어[6])
  • ''Prunus jamasakura'' var. ''jamasakura'' (자동명칭)

3. 형태

벚나무는 20m에서 25m 높이까지 자라는 낙엽성 나무이다.[12][13][14] 고이즈미는 "무모의 나무이며, 드물게 털이 난다. 타원형 잎은 갑자기 뾰족해지고, 날카롭게 강모-톱니 모양을 이룬다. 잎자루는 대부분 정단부에 위치하며, 두 개의 선이 있다. 동시 개화는 매우 드물게 준조생이며, 산방화서 또는 속생이다. 무모한 암술대"라고 벚나무를 설명했다.[8][15] 또한 쓰쿠시 품종에 대해서는 "산형화서는 더 짧은 꽃자루, 더 작은 를 가지며, 잎의 톱니는 덜 까끄라기이다"라고 언급했다.[11][16]

반달가슴곰이 벚나무 열매를 먹는 것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곰은 익은 벚나무 열매(개화 후 약 50~66일)를 선호하며, 발아된 씨앗의 비율은 대조군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곰이 확산에 기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17]

3. 1. 잎

벚나무의 잎은 어긋나며 길이 6cm-12cm의 난형 또는 난상(卵狀) 피침형으로, 끝이 길고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잎 양면에 털이 없으나 어릴 때에는 표면에 약간의 털이 있기도 하다. 봄에는 신록빛을 띠지만 여름이 될수록 푸르러지다가 가을에는 붉은색, 노란색, 갈색 등으로 색이 변한다.

3. 2. 꽃

4-5월에 연분홍색 또는 백색의 벚꽃이 피며 지름은 3cm 정도이고, 2-5개가 잎겨드랑이에 달려 산방 또는 총상꽃차례를 이룬다. 꽃자루는 길이 3cm-3.5cm로서 가늘고 털이 없으며 밑부분에 포(苞)가 있다. 꽃잎과 꽃받침 조각은 각각 5개이고 수술은 40개 내외이다. 그리고 꽃은 비교적 빨리 지는 편이다.[8]

3. 3. 수피 및 목재

벚나무는 20m에서 25m 높이까지 자라는 낙엽성 나무이다.[12][13][14] 고이즈미는 벚나무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무모의 나무이며, 드물게 털이 난다. 타원형 잎은 갑자기 뾰족해지고, 날카롭게 강모-톱니 모양을 이룬다. 잎자루는 대부분 정단부에 위치하며, 두 개의 선이 있다. 동시 개화는 매우 드물게 준조생이며, 산방화서 또는 속생이다. 무모한 암술대".[8][15] 그는 쓰쿠시 품종에 대한 설명에서 "산형화서는 더 짧은 꽃자루, 더 작은 를 가지며, 잎의 톱니는 덜 까끄라기이다"라고 언급했다.[11][16]

반달가슴곰이 벚나무 열매를 먹는 것에 대한 연구에서 곰이 익은 벚나무 열매(개화 후 약 50~66일)를 선호하며, 발아된 씨앗의 비율에 있어서 대조군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는 것을 발견했는데, 이는 곰이 확산에 기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17]

4. 분포

고유종[18]은 일본의 낮은 산과 2차림에서 발견되며, 혼슈간토 지방부터 시코쿠, 규슈에 걸쳐 분포한다.[19][14] 쓰쿠시 품종은 쓰시마 섬, 다네가시마, 토카라 열도를 포함한 규슈 주변의 섬에서 발견된다.[2][14]

5. 보존 상태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대상으로 분류되어 있지만, 2021년 평가에서는 서식지의 면적과 질이 감소하고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19]

6. 문화적 의의

산벚나무는 만요슈 시대부터 일본 시인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하나미라고 알려진 감상 활동의 대상이었다.[20][21] 에도 시대의 일기와 연대기에는 만개와 감상회에 대한 기록이 있어, 최근에는 과거 기온을 재구성하는 데 활용되기도 한다.[22]

6. 1. 일본

산벚나무는 역사적인 분류학적 범위가 현재의 분류학적 이해와 분자 계통학에 항상 부합하지는 않더라도, 만요슈 시대부터 일본 시인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오랫동안 ''하나미''라고 알려진 감상 활동의 대상이 되어 왔다.[20][21] 에도 시대의 일기와 연대기에는 만개와 감상회에 대한 기록이 있어, 최근에는 과거 기온을 재구성하는 데 활용되기도 했다.[22]

참조

[1] 논문 Complete chloroplast genome of the wild Japanese Mountain cherry (''Prunus jamasakura'', Rosaceae) 2019-12-13
[2] 간행물 "''Prunus jamasakura'' (Makino) Siebold ex Koidz.." 2024-04-18
[3] 논문 Synopsis Plantarum Oeconomicarum universi regni Japonici https://www.biodiver[...]
[4] 논문 The Lectotypification of ''Prunus jamasakura'' and Allied Native Species of ''Cerasus'' sect. ''Sargentiella'' in Japan (Rosaceae—Prunoideae) National Museum of Nature and Science 2019-11-22
[5] 문서
[6] 논문 Japanese Cherry Trees under the Genus Cerasus (Rosaceae)
[7] 논문 Observations on the Flora of Japan. (Continued from p. 72.) https://www.biodiver[...]
[8] 논문 Notes on Japanese Rosaceae. III. https://www.biodiver[...]
[9] 웹사이트 http://ylist.info/yl[...] 2024-04-19
[10] 논문 https://dl.ndl.go.jp[...] National Museum of Nature and Science
[11] 논문 Contributiones ad Floram Asiae Orientalis https://www.biodiver[...]
[12] 서적 Flora of Japan. Volume IIb: Angiospermae, Dicotyledoneae, Archichlamydeae(b) Kodansha
[13] 서적 Heibonsha
[14] 서적 Flora of Japan (in English). A combined, much revised, and extended translation by the author of his 日本植物誌 FLORA OF JAPAN (1953) and 日本植物誌シダ篇 FLORA OF JAPAN—PTERIDOPHYTA (1957) https://www.biodiver[...] Smithsonian Institution
[15] 문서
[16] 문서
[17] 논문 Fruit phenology of ''Prunus jamasakura'' and the feeding habit of the Asiatic black bear as a seed disperser https://esj-journals[...] 2008-03
[18] 서적 Tokai University Press 2011-03
[19] 간행물 "''Prunus jamasakura'' "
[20] 서적 Hokuryukan
[21] 서적 Iwanami Shoten
[22] 논문 Cherry blossom phenological data since the seventeenth century for Edo (Tokyo), Japan, and their application to estimation of March temperatures
[23] 웹인용 THE FLOWER ASSOCIATION OF JAPAN. http://www.hananokai[...] 2011-0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