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나르 마리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르나르 마리스는 프랑스의 경제학자, 작가, 언론인으로, 2015년 샤를리 에브도 테러 사건의 희생자이다. 툴루즈 정치학 연구소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툴루즈 제1대학교, 파리 8대학교 등에서 교수를 역임했다. 또한, 《샤를리 에브도》의 편집 부국장으로 활동하며, 여러 언론 매체에 기고했다. 그는 케인스주의 경제학을 옹호하며 주류 경제학을 비판했고, 금융거래세 부과 및 시민행동 협회(ATTAC) 활동을 통해 반세계화 운동에 참여했다. 주요 저서로는 《케인즈 또는 시민 경제학자》, 《아, 신이시여, 경제 전쟁은 너무나 아름답다!》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툴루즈 대학교 교수 - 장 조레스
프랑스의 사회주의 정치인이자 역사가, 철학자인 장 조레스는 사회주의로 전향하여 프랑스 사회당의 지도자가 되었고, 드레퓌스 사건 옹호, 반전 운동을 펼치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직전 암살당했다. - 툴루즈 대학교 교수 - 폴 사바티에
폴 사바티에는 니켈 촉매를 이용한 탄소 화합물 수소화 반응 연구와 유기화합물 환원법 개발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하고, 이산화 탄소와 수소로부터 메탄을 생성하는 사바티에 반응을 발견한 프랑스의 화학자이다. - 툴루즈 대학교 동문 - 뱅상 오리올
뱅상 오리올은 프랑스 제4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으로서, 사회주의자 출신으로 국회의원, 재무장관 등을 역임하고 레지스탕스 활동에도 참여했으며, 재임 기간 동안 경제적 어려움과 정치적 불안정, 인도차이나 전쟁 등 여러 문제에 직면하여 프랑스 내 정파 간의 화해와 동맹국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했다. - 툴루즈 대학교 동문 - 정호선 (1943년)
정호선(1943년)은 아나운서 출신으로 동아방송과 동양방송에서 활동했으며, 제15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 프랑스의 암살된 언론인 - 장폴 마라
장폴 마라는 스위스 출신으로 프랑스 혁명 시기에 의사이자 과학자, 저널리스트, 정치가로 활동하며 《인민의 벗》 신문을 통해 급진적인 주장을 펼치고 자코뱅파의 주요 인물로 혁명에 영향을 미쳤으나 지롱드파 지지자에게 암살당했다. - 프랑스의 암살된 언론인 - 샤르브
프랑스 만화가이자 언론인인 샤르브는 샤를리 에브도에서 활동하며 발행인을 맡았고, 무함마드 풍자 만화 게재로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의 표적이 되어 샤를리 에브도 테러 사건으로 사망했으며, 생전 라이시테와 표현의 자유를 옹호했다.
베르나르 마리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 | |
본명 | 베르나르 마리스 |
출생일 | 1946년 9월 23일 |
출생지 | 툴루즈, 프랑스 |
사망일 | 2015년 1월 7일 |
사망지 | 파리, 프랑스 |
국적 | 프랑스 |
직업 | 경제학자, 작가, 언론인 |
활동 기간 | 알 수 없음 |
알려진 이유 | 알 수 없음 |
학력 | |
출신 학교 | 툴루즈 정치 대학 툴루즈 1대학 |
학위 | 박사 |
연구 분야 | |
연구 분야 | 경제학 (케인스 경제학) |
기타 정보 | |
참고 사항 | 경제 저널리스트, 작가 활동 샤를리 에브도 주주 및 경제 칼럼니스트 레지옹 도뇌르 훈장 |
2. 생애
베르나르 마리스는 프랑스의 저명한 경제학자이자 언론인, 작가였다. 그의 아버지는 나치 독일 점령기 프랑스에서 레지스탕스 운동에 참여했으며, 마리스는 이러한 아버지의 영향 속에서 성장했다.[12]
툴루즈 정치학 연구소와 툴루즈 제1대학교(카피톨 대학교)에서 수학하여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이후 모교와 파리 제8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을 양성했다. 또한 아이오와 대학교 초빙 교수, 페루 중앙은행 강사 등 국제적인 활동도 펼쳤다.
언론 분야에서는 《마리안》, 《르 누벨 옵세르바퇴르》, 《르 몽드》 등 다수의 매체에 기고했으며, 특히 풍자 주간지 《샤를리 에브도》의 재창간 멤버로 참여하여 Oncle Bernard|옹클 베르나르fra라는 필명으로 활동하며 편집 부국장을 역임했다.[3][4] 프랑스 인터 라디오와 i-Télé, 프랑스 5 등 방송 매체에서도 경제 해설가 및 칼럼니스트로 활동하며 대중과 소통했다.[16]
사회적으로는 ATTAC의 창립에 기여하고 과학위원회에서 활동하며 반세계화 운동에 참여했으며,[16] 녹색당 소속으로 정치 활동을 하기도 했다.[18] 또한 여러 편의 소설을 출간한 작가이기도 하다.
그는 2015년 1월 7일, 샤를리 엡도 총격 사건 당시 《샤를리 에브도》 편집 회의에 참석했다가 테러리스트의 공격으로 동료들과 함께 사망했다.[6][7][8]
2. 1. 학력 및 교수 경력
피에르 드 페르마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68년 툴루즈 정치학 연구소를 졸업했다.[2][13] 이후 툴루즈 제1대학교(카피톨 대학교)에서 경제학을 공부하여 1975년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박사 논문 주제는 장 뱅상(Jean Vincens) 교수의 지도 아래 작성된 "개인 소득 분배: 균형 성장 틀에서의 이론적 접근(La distribution personnelle des revenus: une approche théorique dans le cadre de la croissance équilibrée프랑스어)"이었다.[12][14]그는 툴루즈 제1대학교(카피톨 대학교)에서 조교수로 경력을 시작했으며, 1980년에는 미국 아이오와 대학교 경영대학의 초빙 교수로 1년간 미시경제학을 가르쳤다. 1984년에는 툴루즈 제1대학교(카피톨 대학교)의 부교수로 승진했다. 이후 1986년과 1988년 두 차례에 걸쳐 페루 중앙은행에서 미시경제학 강사로 활동했다.
1994년 9월, 툴루즈 정치학 연구소에서 일반 경제 과학 분야의 교수 자격 시험인 Agrégation d'Économie Générale|아그레가시옹 데코노미 제네랄프랑스어을 통과하여 정교수(Professeur des Universités) 자격을 얻었다. 1998년부터는 파리 제8대학교 유럽 연구소 교수로 재직했으며, 사망 당시에도 이 직책을 유지하고 있었다.
1995년에는 경제 전문지 《누벨 에코노미스트》(Nouvel Économiste)로부터 '올해 최고의 경제학자'로 선정되었다.[15] 2011년에는 프랑스 중앙은행 이사회 위원으로 임명되기도 했다.[12]
한편, 그의 아버지는 나치 독일 점령기 프랑스에서 레지스탕스 운동에 참여하여 주로 신문을 발행했으며, 마리스는 어릴 적부터 "아버지의 레지스탕스 운동 철학에 단련되었다"고 전해진다.[12]
2. 2. 언론 활동
베르나르 마리스는 경제학자이자 저널리스트로서 다양한 언론 매체에서 활동했다. 기고한 주요 매체로는 《마리안》(Marianne), 《르 누벨 옵세르바퇴르》(Le Nouvel Observateur), 《르 피가로 매거진》(Le Figaro Magazine), 《르 몽드》(Le Monde), 《레제코》(Les Échos), 그리고 특히 진보 성향의 풍자 주간지 《샤를리 에브도》(Charlie Hebdo) 등이 있다.[12]《샤를리 에브도》에는 1992년 재창간 시점부터 참여했으며,[17] Oncle Bernard|옹클 베르나르프랑스어라는 필명을 사용했다. 그는 《샤를리 에브도》의 재창간 멤버 중 한 명으로 11%의 지분을 보유했으며, 2008년까지 편집 부국장을 지냈다.[3][4]
라디오에서는 프랑스 인터(France Inter)에서 매주 토요일 J'ai tout compris à l'économie|경제를 완벽히 이해했다프랑스어라는 제목의 경제 칼럼을 진행했으며,[16] 매주 금요일에는 《레제코》의 경제 전문 기자인 도미니크 쇠(Dominique Seux)와 함께 시사 경제 현안에 대해 토론했다.
텔레비전에서는 i-Télé(현 CNews) 채널의 Y'a pas que le CAC|CAC만 있는 게 아니다프랑스어 프로그램에 칼럼니스트로 출연했다.[16] 이 프로그램에서 그는 신고전파 거시경제학 성향으로 분류되는 경제학 교수 필립 샬맹(Philippe Chalmin)과 함께 2009년 6월까지 경제 뉴스를 해설했다.[16] 또한 프랑스 5(France 5) 채널의 시사 프로그램 《C dans l'air》에도 정기적으로 출연했다.
경제 저널리스트로서 대중의 눈높이에 맞춰 경제를 해설하는 Antimanuel d'Economie|경제 안티 매뉴얼프랑스어, Houellebecq économiste|경제학자 위베르크프랑스어 등의 저서를 출간했다.[12] 1995년 경제 전문지 《누벨 에코노미스트》(Nouvel Économiste)로부터 '올해 최고의 경제학자'로 선정되었다.[15]
2. 3. 사회 참여 및 정치 활동
베르나르 마리스는 ATTAC(Association for the Taxation of Financial Transactions and for Citizens' Action)의 과학위원회에 참여했던 경력 때문에 반세계화 운동가로 자주 소개되었다. 그는 토빈세의 실현을 목표로 하는 ATTAC 설립에 기여했으며, 해당 단체의 학술협의회 부회장을 역임했다. 이 때문에 그는 종종 알테르몽디알리스트(altermondialiste)로 불린다.[16]그는 파리 16구에 거주했으며, 정치적으로는 녹색당 소속으로 활동했다. 2002년 파리 10구 시의회 선거에 녹색당 후보로 출마했으며, 같은 해 프랑스 의회 총선거에도 녹색당 당원으로 출마했다.[18]
또한 2009년에는 전문 언론인 신분증 위원회 선거에서 프랑스 민주노동연맹(CFDT) 후보로 출마하기도 했다.
베르나르 마리스는 프리메이슨 그랑토리앙 드 프랑스(Grand Orient de France) 회원이기도 했으며, 그중에서도 정치적인 성향의 로제 르레(Roger Leray) 로지에 속해 있었다.
2. 4. 작가 활동
베르나르 마리스는 여러 편의 소설을 출판했으며, 그중 『침묵하고 싶은 아이』(L'enfant qui voulait être muetfra)는 2003년 르클레르 서점상을 수상했다.2. 5. 가족
저널리스트이자 전 상위 시청각 위원회 (Conseil supérieur de l'audiovisuel, CSA) 위원이었던 실비 젠보아(Sylvie Genevoix프랑스어)와 결혼했다. 그녀는 모리스 젠보아(Maurice Genevoix프랑스어)의 딸이었으며, 2012년 9월 20일에 사망했다.2. 6. 샤를리 에브도 테러와 사망
마리스는 2015년 1월 7일, 파리에 있는 샤를리 엡도 신문사 사무실을 이슬람 과격파 무장 괴한들이 급습한 샤를리 엡도 총격 사건에서 동료 7명, 경찰관 2명, 그리고 다른 2명과 함께 사망했다.[6][7][8] 1월 15일, 오트가론느주 몽지스카르의 록빌 노트르담 예배당에서 장례식이 거행되었고, 같은 곳에 매장되었다.3. 경제학 연구 및 사상
마리스는 존 메이너드 케인스의 사상에 깊이 공감한 경제학자로, 다수의 대중 경제 서적을 통해 자신의 경제 사상을 알렸다. 그는 예리한 분석으로 실물 경제의 본질과 문제점을 파헤치고, 무상성, 선물 경제, 기본 소득과 같은 대안적 경제 모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19] 또한 경제학이 사회학, 역사학 등 다른 학문 및 문화와 열린 자세로 소통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21], 이러한 활동으로 인해 '시민 반(反)경제학자'로 불리기도 했다.[22] 작가 미셸 우엘베크는 마리스를 "경제적 자유주의에 대한 명석한 분석가"라고 평가했다.[23]
3. 1. 케인스주의 경제학 옹호
마리스는 존 메이너드 케인스를 매우 존경했으며, 케인스를 기리는 책인 Keynes ou l'économiste citoyenfra을 저술했다. 또한 Ah Dieu! Que la guerre économique est jolie!fra (1998), Lettre ouverte aux gourous de l'économie qui nous prennent pour des imbécilesfra (1999), La Bourse ou la viefra (2000) 등 여러 권의 대중적인 경제 서적을 출판하여 잘 알려졌다.그는 예리한 문체를 통해 실물 경제의 본질과 이해관계를 설명하고 부정적인 측면을 드러내는 동시에, 무상성, 선물 경제, 기본 소득[19]과 같은 대안적 개념들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Le Nouvel Économistefra 잡지는 1995년 그에게 "올해의 최고 경제학자"라는 칭호를 수여했다.
또한, Politisfra에 "주 32시간 노동"을 지지하는 기사를 게재했으며[20], 경제학을 사회학, 역사학 등 다른 학문 및 문화와 연결하려는 개방적인 태도를 보였다.[21] 이러한 활동 때문에 그는 종종 '시민 반(反)경제학자'로 불렸다.[22] 작가 미셸 우엘베크는 마리스를 "경제적 자유주의에 대한 명석한 분석가"라고 평가했다.[23]
2015년 12월 31일,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24]
3. 2. 주류 경제학 비판
베르나르 마리스는 존 메이너드 케인스의 경제학을 열렬히 지지했으며, 케인스를 기리는 책인 Keynes ou l'économiste citoyen|시민 경제학자 케인스프랑스어를 저술했다. 그는 또한 Ah Dieu! Que la guerre économique est jolie!|아, 신이시여, 경제 전쟁은 너무나 아름답다!프랑스어, Lettre ouverte aux gourous de l'économie qui nous prennent pour des imbéciles|우리를 바보 취급하는 경제학 구루들에게 보내는 공개 서한프랑스어, La Bourse ou la vie|주식시장 아니면 인생프랑스어 등 다수의 대중 경제 서적을 출판하며 주류 경제학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드러냈다.마리스는 예리한 문체를 통해 경제의 본질과 이해관계를 파헤치고 그 부정적인 측면을 지적하는 데 힘썼다. 동시에 그는 무상성, 선물 경제(기증), 기본 소득[19]과 같은 대안적인 개념들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경제학이 사회학, 역사학 등 다른 학문 및 문화와 적극적으로 소통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개방적인 경제학을 추구했다.[21] 이러한 활동 때문에 그는 '시민 반(反)경제학자'로 불리기도 했다.[22]
그의 비판적 입장은 폴리티스(Politis)에 기고한 "주 32시간 노동" 지지 글에서도 나타난다.[20] 작가 미셸 우엘베크는 마리스를 "경제적 자유주의에 대한 명석한 분석가"라고 평가했다.[23] 이러한 비판적 활동에도 불구하고, 르 누벨 에코노미스트(Le Nouvel Économiste)는 1995년 그를 "올해의 최고 경제학자"로 선정했다.
3. 3. 경제학의 개방성 추구
마리스는 존 메이너드 케인스를 깊이 존경하여 그를 기리는 책 Keynes ou l'économiste citoyen|시민 경제학자 케인스프랑스어를 저술했다. 또한 Ah Dieu! Que la guerre économique est jolie!|아, 신이시여, 경제 전쟁은 너무나 아름답다!프랑스어(1998), Lettre ouverte aux gourous de l'économie qui nous prennent pour des imbéciles|우리를 바보 취급하는 경제학 구루들에게 보내는 공개 서한프랑스어(1999), La Bourse ou la vie|주식시장 아니면 인생프랑스어(2000) 등 여러 권의 대중적인 경제 서적을 출판하며 이름을 알렸다.그는 예리한 비판적 시각으로 경제의 본질과 이해관계를 파헤치고 그 부정적인 측면을 드러내고자 노력했다. 동시에 무상성, 선물 경제, 기본 소득[19]과 같은 대안적 개념들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경제학이 사회학, 역사학 등 다른 학문 및 문화와 적극적으로 소통해야 한다는 '열린 경제학'을 주장했으며[21], 이는 그가 스스로를 '시민 반(反)경제학자'[22]로 규정한 배경이 되었다. 또한 폴리티스(Politis)에 "주 32시간 노동"을 지지하는 글을 기고하기도 했다.[20]
작가 미셸 우엘베크는 마리스를 "경제적 자유주의에 대한 명석한 분석가"라고 평가했다.[23] Le Nouvel Économiste|르 누벨 에코노미스트프랑스어 잡지는 1995년 그에게 "올해의 최고 경제학자"라는 칭호를 수여했다.
3. 4. 프랑스 중앙은행 이사 활동
2011년 12월 21일, 당시 상원 의장이었던 장피에르 벨에 의해 프랑스 중앙은행 이사회 위원으로 임명되었다.[9][10][11][12]4. 저서
베르나르 마리스는 경제학, 사회 비평,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여러 권의 책을 저술했다. 그의 저술 활동은 경제학 분석, 사회 현상에 대한 비판적 성찰, 그리고 소설 창작까지 아우른다.
4. 1. 경제학
베르나르 마리스는 다수의 경제학 관련 저서를 출판했다. 그의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연도 | 원제 | 한국어 제목 | 비고 |
---|---|---|---|
1985 | Éléments de politique économique: l'expérience française de 1945 à 1984fra | 경제 정책의 요소: 1945년부터 1984년까지 프랑스의 경험 | |
1990 | Des économistes au-dessus de tout soupçon ou la grande mascarade des prédictionsfra | 어떤 의혹도 없는 경제학자들, 또는 예측의 큰 희극 | |
1991 | Les Sept Péchés capitaux des universitairesfra | 학자들의 7대 죄악 | |
1993 | Jacques Delors, artiste et martyrfra | 자크 들로르, 예술가이자 순교자 | |
1994 | Parlant pognon mon petitfra | 내 작은 돈 이야기 | |
1998 | Ah Dieu! Que la guerre économique est jolie!fra | 아, 신이시여! 경제 전쟁이 얼마나 아름다운가! | 필립 라바르드와 공저 |
1999 | Keynes ou l'économiste citoyenfra | 존 메이너드 케인스 또는 시민 경제학자 | |
1999 | Lettre ouverte aux gourous de l'économie qui nous prennent pour des imbécilesfra | 우리를 바보로 여기는 경제 구루들에게 보내는 공개 서한 | |
2000 | La Bourse ou la vie – La grande manipulation des petits actionnairesfra | 주식 시장 또는 삶 – 소액 주주들의 대대적인 조작 | 필립 라바르드와 공저 |
2002 | Malheur aux vaincus: Ah, si les riches pouvaient rester entre richesfra | 패배자에게 화가 미친다: 아, 부자들이 부자들끼리 남아 있을 수 있다면 | 필립 라바르드와 공저 |
2003 | Antimanuel d'économie: Tome 1, les fourmisfra | 반경제학 안내서: 제1권, 개미들 | |
2006 | Antimanuel d'économie: Tome 2, les cigalesfra | 반경제학 안내서: 제2권, 매미들 | |
2007 | Gouverner par la peurfra | 공포로 다스리기 | 레일라 다클리, 로제 쉬, 조르주 비가렐로와 공저 |
2008 | Petits principes de langue de bois économiquefra | 경제계의 얼버무리는 답변의 작은 원칙들 | |
2009 | Capitalisme et pulsion de mortfra | 자본주의와 죽음 충동 | 질 도스탈레와 공저. 한국어 번역: 자본주의와 죽음 충동 - 프로이트와 케인즈 (후지와라 쇼텐, 2017)[25] |
2010 | Marx, ô Marx, pourquoi m'as-tu abandonné?fra | 카를 마르크스, 오 마르크스, 왜 나를 버렸는가? | |
2012 | Plaidoyer (impossible) pour les socialistesfra | 사회주의자들을 위한 (불가능한) 변론 |
4. 2. 기타 저서
- ''L'Homme dans la guerre. Maurice Genevoix face à Ernst Jünger'' (전쟁 속의 인간 ― 에른스트 융거에 맞서는 모리스 제네보아), Grasset, 2013
- ''Houellebecq économiste'' (경제학자 우엘베크), 플라마리옹, 2014
- ''Et si on aimait la France'' (프랑스를 좋아해 보자), Grasset, 2015
- ''Souriez, vous êtes Français !'' (웃어요, 당신은 프랑스인이니까!), Grasset, 2016
4. 3. 소설
베르나르 마리스는 여러 편의 소설을 출판했다.연도 | 원제 | 번역 제목 | 출판사 |
---|---|---|---|
1995 | Pertinentes Questions morales et sexuelles dans le Dakota du Nordfra | 노스다코타의 관련 도덕 및 성 문제 | 알뱅 미셸 |
2003 | L'Enfant qui voulait être muetfra | 침묵하고 싶어하는 아이 | 알뱅 미셸 |
2005 | Le Journalfra | 일기 | 알뱅 미셸 |
특히 『L'Enfant qui voulait être muetfra』(침묵하고 싶어하는 아이)는 2003년 르클레르 서점상(Leclerc's booksellers award)을 수상했다.
5. 기타 활동
- 2008년: 리처드 브루이예트(Richard Brouillette)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포위: 신자유주의가 민주주의를 옥죄다''에 출연하였다.
- 2010년: 장뤽 고다르 감독의 영화 ''영화 사회주의''에 출연하였다.
참조
[1]
뉴스
Paris shooting latest: 12 dead at satirical magazine Charlie Hebdo and three gunmen still on the loose
http://metro.co.uk/2[...]
2015-01-07
[2]
서적
Annuaire des diplômés: Édition du cinquantenaire 2007–2009
Association des diplômés de l'Institut d'études politiques de Toulouse
[3]
웹사이트
Small Unconventional Handbook of Anti-Economics
http://www.humanitei[...]
2007-04-13
[4]
뉴스
De la bande de copains à l'entreprise prospère
http://www.lemonde.f[...]
2008-07-29
[5]
블로그
Charlie le Godf en deuil de Bernard Maris
http://blogs.lexpres[...]
Jean-François Koch (L'express)
[6]
뉴스
Les dessinateurs Charb et Cabu seraient morts
http://www.lessentie[...]
L'Essentiel
2015-01-07
[7]
뉴스
LIVE. Massacre in "Charlie Hebdo": 12 dead, including Charb and Cabu
http://www.lepoint.f[...]
[8]
웹사이트
EN DIRECT. Massacre chez "Charlie Hebdo" : 12 morts, dont Charb et Cabu
http://www.lepoint.f[...]
2015-01-07
[9]
웹사이트
Bel nomme l'économiste Bernard Maris conseil Banque de France
http://www.publicsen[...]
Public Sénat
2024-01-18
[10]
뉴스
L'économiste Bernard Maris nommé au conseil général de la Banque de France
http://www.lemonde.f[...]
2011-12-23
[11]
뉴스
Oncle Bernard Maris : de Charlie Hebdo à la Banque de France
http://www.latribune[...]
2011-12-23
[12]
웹사이트
Oncle Bernard - L'anti-leçon d'économie - Bernard Maris
http://anti-lecon.co[...]
[13]
웹사이트
Sciences Politiques Toulouse - Journée hommage à Bernard Maris
http://www.sciencesp[...]
[14]
웹사이트
Des francs-maçons parmi les victimes de la tuerie de Charlie Hebdo
http://www.jlturbet.[...]
(ベルナール・マリスとともにシャルリー・エブド襲撃事件で亡くなったミシェル・ルノーもフリーメイソンの会員で、「ロジェ・ルレ」が追悼の記事を掲載している)
[15]
뉴스
Bernard Maris, un humaniste, un penseur critique de l’économie dominante
https://www.lemonde.[...]
[16]
웹사이트
Bernard Maris, un homme passionné, engagé et libre {{!}} Toulouse
https://defigrandese[...]
[17]
뉴스
De la bande de copains à l'entreprise prospère
https://www.lemonde.[...]
[18]
뉴스
Bernard Maris. Fais sauter la banque !
http://www.liberatio[...]
[19]
웹사이트
L’allocation universelle - Association pour l'Économie Distributive
http://www.economied[...]
[20]
뉴스
La RTT, c’est possible tout de suite !
https://www.politis.[...]
2014-04-03
[21]
뉴스
Bernard Maris. Un humaniste, un penseur critique de l’économie dominante
https://sms.hypothes[...]
[22]
뉴스
Bernard Maris ou l’anti-économiste citoyen
https://comptoir.org[...]
2016-01-11
[23]
뉴스
Charlie Hebdo: Houellebecq suspend la promotion de son livre « Soumission »
https://www.bfmtv.co[...]
[24]
뉴스
Légion d’honneur: les victimes de Charlie et de l’HyperCacher décorées à titre posthume
https://www.mediapar[...]
[25]
웹사이트
藤原書店
http://www.fujiwar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