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오그라드 조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오그라드 조약은 1739년 오스트리아-러시아-투르크 전쟁의 종전을 위해 체결된 조약이다. 이 조약으로 오스트리아는 베오그라드를 포함한 세르비아, 바나트 남부, 보스니아 북부를 오스만 제국에 할양하고, 사바강과 도나우강을 국경선으로 설정했다. 오스트리아는 그로츠카 전투 패배 후 전쟁에서 철수했고, 러시아는 프랑스의 중재로 평화 회담을 수락하여 니시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으로 러시아는 아조프 항 건설을 허가받아 흑해 진출의 기반을 마련했다. 베오그라드 조약은 세르비아 왕국을 멸망시켰으며, 합스부르크 황제는 장군들을 투옥하고, 오스만 제국에서는 주전파가 교체되는 등 국제 정세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39년 조약 - 니시 조약
니시 조약은 1696년 오스만 제국이 러시아의 콘스탄티노플 진격을 막은 후 체결된 강화 조약으로, 러시아는 아조프에 항구를 건설할 수 있었으나 요새화는 금지되었고 흑해 함대 창설 및 크림 반도와 몰다비아에 대한 영유권 주장을 포기해야 했다. -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조약 - 카를로비츠 조약
카를로비츠 조약은 1699년 오스만 제국과 신성 동맹 간의 대튀르크 전쟁을 종식시키며 오스만 제국이 유럽에서 상당한 영토를 상실하고 합스부르크 왕가가 헝가리, 크로아티아, 슬라보니아 대부분을 획득하는 결과를 가져온 평화 조약으로, 오스만 제국의 쇠퇴와 합스부르크 왕가의 부상을 상징한다. -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조약 - 테셴 조약
테셴 조약은 1779년 테셴에서 바이에른 계승 전쟁을 종결짓고 바이에른 선제후국 계승, 오스트리아의 바이에른 영토 획득, 프로이센의 변경백령 합병 인정, 작센 선제후국에 대한 자금 원조 등을 규정했다. - 오스만 제국의 조약 - 카를로비츠 조약
카를로비츠 조약은 1699년 오스만 제국과 신성 동맹 간의 대튀르크 전쟁을 종식시키며 오스만 제국이 유럽에서 상당한 영토를 상실하고 합스부르크 왕가가 헝가리, 크로아티아, 슬라보니아 대부분을 획득하는 결과를 가져온 평화 조약으로, 오스만 제국의 쇠퇴와 합스부르크 왕가의 부상을 상징한다. - 오스만 제국의 조약 - 런던 조약 (1913년)
런던 조약 (1913년)은 제1차 발칸 전쟁 종전 후 알바니아의 독립을 인정하고 오스만 제국이 발칸 동맹에 영토를 할양하는 내용을 담았지만, 알바니아 국경선 및 영토 분배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여 제2차 발칸 전쟁을 촉발했다.
베오그라드 조약 | |
---|---|
조약 정보 | |
![]() | |
명칭 | 베오그라드 조약 |
다른 명칭 | 베오그라드 평화 |
서명일 | 1739년 9월 18일 |
서명 장소 | 베오그라드, 합스부르크 왕국 세르비아 (현재의 세르비아) |
관련 조약 | 니슈 조약 (1739년) |
교전국 | |
당사국 | 합스부르크 군주국 오스만 제국 |
배경 | |
관련 전쟁 | 오스트리아-러시아-튀르크 전쟁 (1735년-1739년) |
결과 | |
영토 변화 | 합스부르크 왕국 세르비아, 올테니아, 바나트의 일부를 오스만 제국에 양도 |
외부 링크 | |
공식 홈페이지 | 베오그라드 조약 위키백과 (영문) |
2. 배경
1736년 러시아 제국은 오스만 제국이 쇠퇴하고 있다고 보고 침공을 시작했고, 이듬해 합스부르크 제국도 참전했다.[4] 1738년 5월, 프랑스의 루이 소뵈르 빌뇌브 후작은 러시아 안드레이 오스테르만의 요청으로 중재에 나섰지만, 러시아가 요구 조건을 올리면서 오스만 제국에 거부당했다.[4] 양측 모두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지 못한 가운데, 프랑스 앙드레 에르퀼 드 플뢰리 추기경은 빌뇌브에게 다시 강화 조약 중재를 명령했다.[4]
강화 협상 직전, 오스트리아는 세르비아에서, 러시아는 왈라키아에서 점령지를 확대했지만, 오스만 제국은 베오그라드를 포위하고 있었다. 오스트리아의 게오르크 올리비에 폰 발리스 원수와 빌헬름 라인하르트 폰 나이페르크 장군은 베오그라드 방어가 불가능하다고 판단, 전쟁이 길어지면 불리해질 것이라 보고 서둘러 협상에 응했다.[4]
2. 1. 오스트리아-러시아-튀르크 전쟁 (1735-1739)


이 조약은 5년간의 오스트리아-러시아-투르크 전쟁 (1735-1739)의 적대 행위를 종식시켰으며, 이 전쟁에서 합스부르크는 러시아 제국과 함께 오스만 제국에 맞서 싸웠다.[1] 1736년, 오스만 제국이 쇠퇴하고 있다고 판단한 러시아 제국은 침공을 시작했고, 이듬해에는 합스부르크 제국도 참전했다.[4]
강화 협상 전 달에는 오스트리아가 세르비아에서, 러시아가 왈라키아에서 점령지를 확대하는 데 성공했지만, 오스만 제국은 베오그라드를 포위하고 있었다.[4] 오스트리아의 게오르크 올리비에 폰 발리스 원수와 그 후임인 빌헬름 라인하르트 폰 나이페르크 장군은 베오그라드의 방어가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다.[4] 나이페르크는 더 이상 전쟁이 길어지면 더욱 불리해질 것이라고 판단하여 서둘러 협상에 응했다.[4]
오스트리아는 1739년 8월 그로츠카에서 투르크에게 패배했고, 9월 1일 백작 빌헬름 라인하르트 폰 나이페르크와 대재상이 서명한 오스만 제국과의 예비 조약을 체결했다.[1] 그 후 9월 18일 베오그라드에 있는 대재상의 야영지에서 최종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다.[1]
2. 2. 프랑스의 중재와 강화 협상
합스부르크 왕가가 1739년 8월 그로츠카 전투 이후 전쟁에서 철수하기로 결정하면서, 러시아 역시 프랑스의 중재로 평화 회담을 수락할 수밖에 없었다.[3]프랑스의 루이 소뵈르 빌뇌브영어 후작은 1738년 5월, 러시아 안드레이 오스테르만의 요청으로 중재에 나섰지만, 러시아가 요구 조건을 올리면서 오스만 제국에 거부당했다.[4] 양측 모두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지 못하는 가운데, 프랑스 앙드레 에르퀼 드 플뢰리 추기경은 빌뇌브에게 다시 강화 조약 중재를 명령했다.[4]
강화 협상 전 달에는 오스트리아가 세르비아에서, 러시아가 왈라키아에서 점령지를 확대했지만, 오스만 제국은 베오그라드 점령 (1739년)|label=베오그라드를 포위영어하고 있었다. 오스트리아의 게오르크 올리비에 폰 발리스영어 원수와 그 후임인 빌헬름 라인하르트 폰 나이페르크 장군은 베오그라드 방어가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다.[4] 나이페르크는 전쟁이 길어지면 더욱 불리해질 것이라고 판단하여 서둘러 협상에 응했다.[4]
3. 조약의 주요 내용
- 오스트리아는 베오그라드를 포함한 세르비아 왕국, 바나트 남부, 보스니아 북부를 오스만 제국에 할양했다.[1]
- 오스트리아는 올테니아를 오스만 제국의 속국인 왈라키아에 할양했다.[1]
- 사바강과 도나우강을 오스트리아와 오스만 제국 간의 경계선으로 설정했다.[1]
4. 조약의 체결 과정
1739년 8월 그로츠카 전투에서 오스트리아가 투르크에게 패배한 후, 9월 1일 백작 빌헬름 라인하르트 폰 나이페르크와 오스만 제국의 대재상이 예비 조약을 체결했다.[1] 이후 9월 18일 베오그라드에 있는 대재상의 야영지에서 최종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다.[1]
합스부르크 왕가가 1739년 8월 그로츠카 전투 이후 전쟁에서 철수하기로 결정하면서 러시아 역시 프랑스의 중재를 통해 평화 회담을 수락할 수밖에 없었고, 그 결과 같은 날(9월 18일) 베오그라드에서 별도의 예비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으며,[3] 이후 니시 조약(10월 3일)으로 최종 마무리되어 러시아-투르크 전쟁 (1735-1739년)이 종결되었다.[3]
5. 조약의 영향
오스트리아가 전쟁에서 이탈하면서 러시아는 단독으로 전쟁을 수행하기 어렵다고 판단했고, 스웨덴의 위협도 있어 니슈 조약을 체결했다.[4] 이 조약으로 러시아는 아조프 항 건설 허가를 받아 흑해 진출의 발판을 마련했다.[5]
합스부르크 왕가의 카를 6세는 이 조약에 격노하여 발리스와 나이페르크를 투옥했고, 이들은 마리아 테레지아 통치 시기에 석방되었다.[4] 오스만 제국에서는 주전파였던 대재상 Yeğen Mehmed Pasha|예엔 메흐메트 파샤영어가 실각하고 주화파가 집권하였다.[4]
베오그라드 조약으로 1718년 이후 세르비아 왕국은 사실상 멸망했고, 1787년 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 때까지 부활하지 못했다.[6]
5. 1. 오스트리아
이 조약은 5년간의 오스트리아-러시아-투르크 전쟁 (1735-1739)에서 합스부르크 군주국이 러시아 제국과 함께 오스만 제국에 맞서 싸웠으나, 1739년 8월 그로츠카 전투에서 투르크에게 패배하면서 체결되었다. 9월 1일 백작 빌헬름 라인하르트 폰 나이페르크와 오스만 대재상이 서명한 예비 조약에 이어, 9월 18일 베오그라드에 있는 대재상의 야영지에서 최종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다.
베오그라드 조약으로 합스부르크 군주국은 베오그라드가 있는 세르비아 왕국, 테메슈바르 바나트의 남부, 북부 보스니아를 오스만 제국에 할양했고, 파사로비츠 조약으로 1718년에 얻은 크라이오바 바나트(올테니아)는 왈라키아(오스만 제국 속국)에 할양했으며, 사바 강과 다뉴브 강을 경계선으로 정했다.[1]
이 조약으로 1718년부터 존재했던 세르비아 왕국의 자치는 사실상 종식되었다. 이 영토는 코차 안젤코비치의 도움을 받아 1788년 다음 오스트리아-투르크 전쟁까지 일시적으로 합스부르크 군주국에 다시 포함되기를 기다려야 했다.[6]
합스부르크 왕가의 황제 카를 6세는 격노하여 발리스와 나이페르크를 투옥했고, 두 사람이 석방된 것은 마리아 테레지아의 치세 때였다.[4]
5. 2. 오스만 제국
오스만 제국에서는 주전파였던 대재상 Yeğen Mehmed Pasha|예엔 메흐메트 파샤영어가 실각하고 주화파가 집권하였다.[4]5. 3. 러시아
합스부르크 왕가가 1739년 8월 그로츠카 전투 이후 전쟁에서 철수하기로 결정하면서 러시아 역시 프랑스의 중재를 통해 평화 회담을 수락할 수밖에 없었고, 그 결과 같은 날(9월 18일) 베오그라드에서 별도의 예비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으며, 이후 니시 조약(10월 3일)으로 최종 마무리되어 러시아-투르크 전쟁 (1735-1739년)이 종결되었다.[3] 오스트리아가 전쟁에서 손을 떼면서 러시아는 독자적인 전쟁 수행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했고, 또한 배후의 스웨덴으로부터의 위협도 있어 니시 조약에 서명했다.[4] 이 조약으로 러시아는 아조프 항의 건설을 허가받아 흑해 진출의 첫걸음을 내디뎠다.[5]5. 4. 국제 정세
이 조약은 5년간의 오스트리아-러시아-투르크 전쟁 (1735-1739)의 적대 행위를 종식시켰으며, 이 전쟁에서 합스부르크는 러시아 제국과 함께 오스만 제국에 맞서 싸웠다.[1] 오스트리아는 1739년 8월 그로츠카에서 투르크에게 패배했고, 9월 1일 백작 빌헬름 라인하르트 폰 나이페르크와 대재상이 서명한 오스만 제국과의 예비 조약을 체결했다.[4] 그 후 9월 18일 베오그라드에 있는 대재상의 야영지에서 최종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다.
오스트리아가 전쟁에서 손을 떼면서 러시아는 독자적인 전쟁 수행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했고, 또한 배후의 스웨덴으로부터의 위협도 있어 니슈 조약에 서명했다[4]。이 조약으로 러시아는 아조프 항의 건설을 허가받아 흑해 진출의 첫걸음을 내디뎠다[5]。
합스부르크 왕가의 황제 카를 6세는 격노하여 발리스와 나이페르크를 투옥했고, 두 사람이 석방된 것은 마리아 테레지아의 치세 때였다[4]。오스만 제국에서는 주전파의 대재상 Yeğen Mehmed Pasha|예엔 메흐메트 파샤영어가 주화파로 교체되었고, 플뢰리 추기경도 동맹국 오스만 제국의 약세를 숨기면서 러시아를 다르다넬스 해협과 보스포루스 해협에서 멀어지게 하는 데 성공하여 만족했다.[4]。
이 조약은 또한 라틴어로 작성된 마지막 국제 조약 중 하나로도 주목할 만하다.[2]
6. 평가 및 의의
오스트리아가 전쟁에서 손을 떼면서, 러시아는 단독으로 전쟁을 수행하기 어렵다고 판단했고, 배후의 스웨덴으로부터 위협도 있어 니슈 조약에 서명했다.[4] 이 조약으로 러시아는 아조프 항 건설을 허가받아 흑해 진출의 첫걸음을 내디뎠다.[5]
합스부르크 왕가의 황제 카를 6세는 격노하여 발리스와 나이페르크를 투옥했고, 두 사람이 석방된 것은 마리아 테레지아의 치세 때였다.[4] 오스만 제국에서는 주전파였던 대재상 이예엔 메흐메트 파샤가 주화파로 교체되었다. 플뢰리 추기경도 동맹국 오스만 제국의 약세를 숨기면서 러시아를 다르다넬스 해협과 보스포루스 해협에서 멀어지게 하는 데 성공하여 만족했다.[4]
베오그라드 조약으로 1718년 이후의 세르비아 왕국은 실질적으로 멸망했고, 1787년 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 때까지 부활하지 못했다.[6]
참조
[1]
서적
The Balkans:From Constantinople to Communism
Palgrave Macmillan
2002
[2]
서적
The History of the Negociations for the Peace Concluded at Belgrade September 18, 1739
W. and J. Richardson
1770
[3]
간행물
Treaty of Nis (1739)
ABC-CLIO
2011
[4]
백과사전
Treaty of Belgrade
Salem Press
[5]
간행물
Treaty of Nis (1739)
ABC-CLIO
2011
[6]
서적
The Balkans:From Constantinople to Communism
Palgrave Macmillan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