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바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바강은 인도유럽조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거쳐 다뉴브강으로 흘러드는 총 길이 990km의 강이다. 다뉴브강의 세 번째로 긴 지류이자 유량 면에서 가장 큰 지류이며, 발칸 반도와 중앙 유럽의 경계를 이루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젤렌치 웅덩이에서 발원하여 류블랴나, 자그레브, 베오그라드 등 주요 도시를 지나며, 유역에는 8백만 명 이상이 거주한다. 수력 발전, 관개, 산업 용수 등으로 활용되지만, 도시 활동, 농업, 산업으로 인한 수질 오염 문제가 있다. 역사적으로 발칸 반도의 경계 역할을 했으며, 다양한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활동이 이루어지는 곳이기도 하다.

2. 어원

사바강(Sava)의 이름은 인도유럽조어 '*sewh₁-'('누르다, 밀어내다; 액체, 물을 섭취하다', 여기서 영어 단어 'sup'가 파생됨)와 어미 '*eh₂'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지며, 문자 그대로 '땅에 물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4] 고대 그리스인들은 이 강을 사오스(Saos, Σάος|사오스grc)라고 불렀다.[5][6]

3. 지리

사바강 지도


리티야의 사바강


사바강은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세르비아를 거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경을 따라 흐르는 중앙-남동유럽의 강이다. 총 길이는 990km로, 다뉴브강의 우안 지류이며, 유량 면에서 가장 큰 지류이다.[16] 흑해 유역에 속하며, 다뉴브강의 세 번째로 긴 지류이자 유량 면에서 가장 큰 지류이다.[16] 이 강은 때때로 발칸 반도의 북쪽 경계[16] 및 중앙 유럽의 남쪽 경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16] 1991년 유고슬라비아의 해체 이전에는 사바강이 한 국가 내에 완전히 위치한 가장 긴 강이었다.[16]

1996년 브르치코와 군자 사이의 브르치코 다리. 전쟁으로 인한 피해는 2000년에 복구되었다.


사바강의 주요 수원지는 슬로베니아 북서부 알프스 산맥에 있는 크란스카고라 인근의 Sava Dolinka|사바 돌린카sl 과 Bohinjsko jezero|보힌 호수sl에서 흘러나오는 Sava Bohinjka|사바 보힌카sl이다. 두 지류는 Radovljica|라도블리차sl에서 합류한다.[3]

중하류의 사행하는 사바강 연안에는 범람원이 발달해 있으며, 하안림, 습지, 초지, 갈대밭, 초승달 호수가 많다. 강과 그 연안에는 Ranunculus linguala, Hottonia palustris|물제비꽃영어, Urtica kioviensissv, 갈대, 버드나무, 포플러, 참나무 등의 식물과 황새, 넓적부리, 흰뺨오리 등의 조류, 도나우강 연어, 잉어, Umbra krameri영어, Gymnocephalus schraetser영어, Zingel streber영어 등의 어류, 유럽수달, 유럽비버 등의 포유류, 불도롱뇽, Agile frog|민첩한 개구리영어, 유럽늪거북, Spongilla lacustris|누마카이멘영어, 빈모강의 ''Rynchelmnis limnosela'', Danube crested newt|다뉴브 크레스티드 뉴트영어 등이 서식한다.

주요 지류로는 류블랴나에서 합류하는 류블랴니차강, Savinja|사비냐강영어, 크르카강, Sutla|수틀라강영어, 쿠파강, 우나강, 브르바스강, 보스나강, 드리나강 등이 있다.

3. 1. 수원지 및 상류

사바 돌린카는 슬로베니아 고르네 카르니올라 지역의 포드코렌 서쪽에 있는 젤렌치 웅덩이에서 발원한다.[1] 사바 보힌카는 보힌 호수에서 흘러나온다.[2] 두 지류는 라도블리차에서 합류하여 사바강 본류를 형성한다.[3]

3. 2. 중류 및 하류

사바강은 류블랴나 분지를 지나 슬로베니아의 수도 류블랴나를 통과한다. 류블랴나를 지나는 지점에는 타첸 급류 코스에 인접한 강에 저수지가 있다.[13] 그곳에서 강은 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돌스코를 통해 류블랴나 분지를 벗어난다.[14] 강은 사바 언덕을 지나며 광산 및 산업 도시인 리티야, 광산 도시인 자고르예 오브 사비, 트르보블레, 흐라스트니크가 있는 중앙 사바 계곡을 지나 남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라데체, 세브니차, 크르슈코 마을이 있는 하부 사바 계곡을 통과한다. 사바 언덕을 지나는 강은 전통적인 지역인 하부 카르니올라와 슈타이에르스카의 경계를 형성한다.[15]

크로아티아를 지나면서 자그레브, 시사크, 슬라본스키브로드 등 주요 도시를 지난다. 슬라본스키 브로드에서 바라본 사바강의 배경에 있는 다리는 이 도시를 보산스키 브로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강 섬을 통해 연결한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의 국경을 따라 흐르다가 세르비아로 진입하여 베오그라드에서 다뉴브강과 합류한다. 사바강은 베오그라드의 시르미아 최동단에 있는 그레이트 워 아일랜드에서 도나우강의 오른쪽 지류로 합류한다.

사바 강은 다음 도시들을 흐른다.


3. 3. 유역 및 지형

사바강 유역은 총 면적이 97713.2km2이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슬로베니아의 일부를 포함한다. 유역의 아주 작은 부분은 알바니아에 속한다.[16] 유역의 상류는 알프스산맥디나르알프스산맥이 지배하는 험준한 지형이다. 하류는 판노니아 평원이 지배하는 평탄한 지형이다. 유역의 평균 고도는 해발 545m이다.[16]

사바강의 흐름은 여러 다양한 지질 단위와 지형 지역을 통과한다. 강 상류 지역과 카라반케 산맥 지역의 수원지는 남알프스에 있으며, 사바 단층을 따라 흐르는데, 이는 페리아드리아 해안과 평행하게 뻗어 있다. 류블랴나 분지는 남알프스와 디나르 알프스 산맥의 경계를 나타낸다. 사바 돌린카와 사바 보히니카 계곡은 빙하 계곡이다. 후기 플라이스토세에 보히니 빙하는 현재 슬로베니아 영토에서 가장 큰 빙하였으며, 두께가 900m에 달했다. 류블랴나 분지 동남쪽과 동쪽에 있는 사바 습곡은 디나르 알프스 산맥의 일부로 여겨지며, 류블랴나 분지와 크르슈코 분지를 분리하고, 사바 언덕을 형성한다.

사바강의 판노니아 분지 하류는 크르슈코 분지에서 처음 도달하는 곳이다. 판노니아 분지는 후기 고생대 바리스칸 조산 운동 동안 형성된 지각 구조의 미오세적 얇아짐과 침강을 통해 형성되었다. 고생대 및 중생대 구조는 파푸크 산과 기타 슬라보니아 산에서 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또한 17-12 마이 (백만 년 전)에 분지에 화산암층 사슬을 형성하고, 5 마이까지 관찰된 침강이 강화되었으며, 약 7.5 마이에 홍수 현무암을 형성하게 했다. 궁극적으로 최대 3000m의 퇴적물이 분지에 퇴적되었고, 판노니아 해는 결국 철문 협곡을 통해 배수되었다. 남부 판노니아 분지에서 신생대에서 제4기까지의 퇴적물 깊이는 일반적으로 낮아 평균 500m에서 1500m이지만, 섭입으로 형성된 함몰 지역의 중앙 부분은 예외이다. 현재의 사바강 계곡에서 섭입대가 형성되었으며, 슬라보니아-시르미아 함몰 지역에는 약 4000m 깊이의 퇴적물이, 사바 함몰 지역에는 5500m 깊이의 퇴적물이 퇴적되었다.

이러한 과정의 결과로 사바강 계곡과 쿠파강 계곡에 넓은 평야가 형성되었다. 평야는 호르스트와 그라벤 구조로 분산되어 있으며, 이는 섬으로 판노니아 해 표면을 파괴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들은 드라바강과 사바강 유역 사이의 분수령이 되었으며, 이반슈치차–칼니크–빌로고라–파푸크 산맥을 따라 뻗어 있다. 파푸크 산은 포제가 계곡 동쪽 가장자리에 있는 크르디야와 딜 산에 의해 측면을 이루고 있다. 빌로고라, 파푸크, 크르디야 산은 대부분 3억~3억 5천만 년 된 고생대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딜 산은 훨씬 더 최근의 신생대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천만~1천 8백만 년 된 암석이다. 이 산맥의 동쪽으로 더 멀리 가면, 분수령은 자코보빈코브치부코바르 고원을 통과한다. 딜에서 동쪽으로 뻗어 부카 강과 보스 강 사이의 분수령을 나타내는 황토 고원은 일로크 남쪽의 프루슈카 고라로 점차 상승한다.

중하류부의 사행하는 사바강 연안에는 범람원이 발달해 있으며, 강을 따라 하안림, 습지, 초지, 갈대밭과 초승달 호수가 많다.

국가사바강 유역 면적유역 내 자국 영토 비율사바강 유역 점유율
슬로베니아align=right|52.8%12.01%
크로아티아align=right|45.2%25.97%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align=right|75.8%39.25%
세르비아align=right|17.4%15.50%
몬테네그로align=right|49.6%7.09%
알바니아align=right|0.59%0.18%
출처: 국제 사바강 유역 위원회


3. 4. 주요 지류

(1km2)길이
(1km)합류 지점오른쪽 강둑국가지역/군지류지류지역/군국가슬로베니아중부 슬로베니아1860.0| |41.0| |류블랴니차강중부 슬로베니아슬로베니아사비냐사비냐강1849.0| |93.9| |사비냐하부 사바2247.0| |94.6| |크르카강하부 사바크로아티아자그레브수틀라강584.3| |88.6| |rowspan=2|크라피나강1237.0| |66.9| |자그레브크로아티아시사크모슬라비나10225.6| |297.4| |쿠파강시사크모슬라비나론야강4259.0| |49.1| |rowspan=2|일로바-트레베즈강1796.0| |104.6| |rowspan=2|9828.9| |214.6| |우나강국경 강 (합류 지점)브로드포사비나6273.8| |249.7| |르바스강스릅스카 공화국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오를랴바강1618.0| |87.6| |rowspan=4|1504.0| |80.7| |우크리나강10809.8| |281.6| |보스나강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부코바르-시르미아904.0| |99.4| |틴야강브르치코 구세르비아보이보디나20319.9| |346.0| |드리나강합류 지점의 국경 강보스강2943.1| |186.0| |보이보디나세르비아중부 세르비아3638.4| |86.6| |콜루바라강중부 세르비아참고: 사바강과 합류하는 위치의 국가/지역/군 (지류 강둑 기준), 900km2 이상 유역 면적 강 포함, 수틀라강 추가[7]



사바강 상류 유역의 주요 지류는 비교적 경사가 급하고, 유속이 빠르며, 급류가 나타나는 특징을 보인다. 왼쪽 지류에는 코크라강, 카므니크 비스트리차, 사비냐강이 있고, 오른쪽 지류에는 소라강, 류블랴니차강, 크르카강(사바)이 있다. 하류로 갈수록 사바강으로 더 큰 강들이 흘러 유역의 오른쪽 강둑이 점차 커진다. 이 하류 부분의 오른쪽 지류는 빠르게 흐르는 물줄기로 시작하여 파노니아 평원에 들어서면서 속도가 느려진다. 여기에는 쿠파강, 우나강, 르바스강, 우크리나강, 보스나강, 브르카강, 틴야강, 드리나강, 콜루바라강이 포함된다. 하류 부분의 왼쪽 지류는 평원을 배수하여 경사가 완만하고, 유속이 느리며, 구불구불하게 흐르는 특징을 보인다. 여기에는 수틀라강, 크라피나강, 론야강, 일로바강, 오를랴바강, 보스강이 포함된다.[7]

346km 길이의 드리나강은 사바강의 가장 큰 지류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세르비아 국경을 따라 흐른다. 이 강은 셰체판 폴레 근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몬테네그로 국경에서 타라강과 피바강의 발원지로 형성된다. 이 강은 20319.9km2 면적의 유역을 가지고 있으며, 알바니아 남쪽까지 4개 국가에 걸쳐 뻗어 있다. 보스나강쿠파강 유역은 사바강 지류 중 두 번째와 세 번째로 큰 유역으로, 각각 10000km2를 초과한다.[7]

3. 5. 주요 도시

사바 강은 다음 도시들을 지난다.

국가주요 도시
슬로베니아크란, 류블랴나, 자고리예오프사비, 트르보블레, 흐라스트니크, 라데체, 세브니차, 크르슈코, 브레지체
크로아티아자그레브, 시사크, 슬라본스키브로드, 주파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스르바츠(세르비아어: Србац, Srbaṫs), 보산스키브로드, 브르치코
세르비아스렘스카미트로비차, 샤바츠, 베오그라드


4. 역사

사바강은 역사적으로 발칸 반도의 여러 국가와 민족 간의 경계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1991년 유고슬라비아의 해체 이전에는 사바강이 한 국가 내에 완전히 위치한 가장 긴 강이었다.[1]

"사바"라는 이름은 슬라브족 사이에서 널리 쓰였지만, 그 기원은 슬라브어 이전의 켈트어와 라틴어에 있다.[15] 스트라보는 《지리학》에서 이 강을 "사우스"라고 언급했고, 로마인들은 "사부스"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청동기 시대 후기부터 이 지역에서는 다양한 강 신을 숭배했으며, 사바강을 따라 첫 정착지가 세워졌다. 타우리시치 부족은 그들의 강 여신 아드술라타를 "사부스"와 연관시켰다. 사부스 강신에게 헌정된 제단과 비문이 강을 따라 여러 곳에서 발견되었다.

낭만주의 시인 프란체 프레셰렌은 1835년에 슬로베니아인의 국가 서사시인 《사비치카의 세례》를 썼는데, 이 시는 사바강의 발원지를 언급하며 슬로베니아 국장 디자인에 영감을 주었다.

슬로베니아 국장


그러나 국장의 하단에 있는 두 개의 물결선은 사비치카나 사바강이 아니라 슬로베니아의 강과 아드리아해를 나타낸다.

사바강은 이전 슬라보니아 왕국의 국장에도 상징적으로 나타난다.

슬라보니아 왕국 국장


1496년 보헤미아와 헝가리의 블라디슬라우스 2세가 승인한 이 디자인은 왕국의 경계를 나타내는 사바강과 드라바강을 상징한다. 이 디자인은 슬라보니아 지역의 여러 현재 크로아티아의 주 문장에 영감을 주었으며, 크로아티아의 국장의 일부를 형성한다. 1835년 안툰 미하노비치가 크로아티아의 국가 상징으로 쓴 시 《호르바츠카 도모비나》도 사바강을 언급하며, 이 시의 가사는 나중에 크로아티아 국가가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사바강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세르비아 왕국의 국경이었다. 세르비아의 수도인 베오그라드는 사바강을 사이에 두고 오스트리아-헝가리와 직접 대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이 사바강을 도하하여 베오그라드로 침공하는 것이 이 방면 전선의 하이라이트가 되었다.

5. 생태

사바강 유역은 생물 다양성이 매우 풍부하여 대규모 충적 습지와 저지대 숲을 포함하고 있다. 중하류부의 사행하는 사바강 연안에는 범람원이 발달해 있으며, 강을 따라 하안림, 습지, 초지, 갈대밭과 초승달 호수가 많다. 강 및 그 연안에는 Ranunculus lingua|label='Ranunculus lingua'영어, Hottonia palustris|물제비꽃영어, Urtica kioviensis|label='Urtica kioviensis'sv, 갈대, 버드나무, 포플러, 참나무 등의 식물이 자생하며, 황새, 넓적부리],

6. 경제

사바강은 수력 발전, 관개, 산업 용수, 식수 공급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9][10][11][12][13] 슬로베니아에서는 사바강을 따라 여러 수력 발전소가 건설되어 있다.[9] 크로아티아와 세르비아도 사바강 유역에 수력 발전소 건설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9]

현재 사바강에는 6개의 수력 발전소가 건설되어 있다. 류블랴나 상류에는 모스테, 마브치체, 메드보데 발전소가 있으며, 수도 하류에는 브르호보, 보스탄, 블란카 발전소가 있다.[9] 크르슈코 근처에 한 개의 발전소가 건설 중이며, 크르슈코 수력 발전소와 류블랴나 하류의 사바강에 계획된 두 개의 발전소(브레지체 및 모크리체)는 2018년까지 완공될 예정이었다.[9] 류블랴나 하류의 발전소는 브르호보를 제외하고 2002년부터 슬로베니아 하부 사바 계곡의 5개 발전소 체인으로 개발되었다.[9] 이 발전소들은 연간 2,000 기가와트시의 생산 능력과 570 메가와트의 설치 용량을 갖게 될 것이다. 5개의 발전소 완공에는 7억유로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9] 또한, 중부 사바 계곡에 10개의 새로운 발전소(HE Suhadol, HE Trbovlje, HE Renke, HE Ponovice, HE Kresnice, HE Jevnica, HE Zalog, HE Šentjakob, HE Ježica, HE Tacen) 건설이 계획되어 있다.[9] 크로아티아는 자그레브 지역의 사바강에 4개의 수력 발전소( Podsused, 프레츠코, 자그레브, Drenje) 건설을 계획하고 있으며, 2021년까지 8억유로의 비용으로 완공될 예정이었다. 4개의 발전소는 122 메가와트의 설치 용량과 610 기가와트시의 연간 생산 능력을 갖게 될 것이다.[9]

수력 발전소위치설치 용량연간 생산 능력
모스테모스테, 슬로베니아21 MW56 GWh
마브치체마브치체, 슬로베니아38 MW62 GWh
메드보데메드보데, 슬로베니아25 MW72 GWh
브르호보브르호보, 슬로베니아34.2 MW116 GWh
보스탄보스탄, 슬로베니아36 MW115 GWh
블란카블란카, 슬로베니아42 MW144 GWh
출처: Savske Elektrarne Ljubljana,[9] Hidroelektrarne na spodnji Savi.[9]



사바강은 세르비아 베오그라드에서 도나우강과 합류하는 지점과 크로아티아 시사크의 갈도보 다리 사이 구간에서 대형 선박의 항해가 가능하다.[9] 이 합류점은 유럽 경제 위원회의 국제 중요 내륙 수로에 관한 유럽 협약(AGN)을 준수하여 등급 IV 국제 수로로 지정된 강 유역의 최서단 지점이다.[9] 이는 시사크와 베오그라드 사이 강 유역이 최대 길이 80~85m, 최대 폭 9.5m, 최대 흘수 2.5m, 최대 톤수 1500t의 선박에 대해 항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9] 사바강은 시사크 하류에서 라인강을 거쳐 르아브르까지 뻗어 있는 E 80 수로에서 분기되는 유럽 수로 E 80-12로 지정되어 있다.[9] 사바강의 가장 큰 항구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브르치코와 사마츠,[9] 크로아티아의 시사크와 슬라본스키 브로드,[9] 세르비아의 샤바츠와 스렘스카 미트로비차이다.[9]

사바강 계곡은 도로 및 철도 교통의 통로이기도 하다. 이 강 계곡 경로는 범유럽 수송 회랑 X의 일부이며, 류블랴나(V), 자그레브(Vb, Xa), 슬라본스키 사마크(Vc), 베오그라드(Xb) 지역에서 범유럽 수송 회랑 V, Vb, Vc, Xa 및 Xb와 교차한다.[9] 이 지역에서 범유럽 수송 회랑 X를 형성하는 고속도로, 즉 슬로베니아 A2, 크로아티아 A3, 세르비아 A1 고속도로는 유럽 고속도로 E70 보르도토리노–류블랴나–자그레브–베오그라드–부쿠레슈티의 일부이며,[9] 유럽 고속도로 E61 필라흐–류블랴나–트리에스테리예카의 일부이다.[9]

사바강은 쿠파강이 합류하는 시사크까지 배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7. 환경 문제

사바강 유역은 도시 인구 활동, 농업, 산업 등으로 인해 수질 오염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1] 특히, 하수 처리 시설 부족, 가축 분뇨, 중금속 오염 등이 주요 문제로 지적된다.[1] 국제 사바강 유역 위원회(ISRBC)는 사바강 유역의 지속 가능한 관리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1]

사바강 유역의 환경 문제는 주로 도시 인구 활동으로 인해 발생한다.[2] 10,000 인구 등가(PE) 이상의 오염을 발생시키는 거의 모든 인구 밀집 지역이 하수 처리 시설을 갖추고 있지만, 그 중 4분의 1 미만이 적절하다.[3] 2,000 PE 이상을 발생시키는 사바강 유역 정착지의 86%에서 나오는 폐수는 처리되지 않고 있다.[3] 오염 수준은 강을 따라 다르며, 폐수 처리 측면에서 가장 좋은 조건은 슬로베니아에서 발견되지만, 기존 시설은 부적절하다.[3]

세르비아에서는 인구 밀집 지역의 68%가 하수 처리 시설을 전혀 갖추고 있지 않다.[3] 2,000 PE를 초과하는 인구 밀집 지역은 사바강 유역 표면수로 11,112톤의 질소와 2,642톤의 을 직접 배출한다.[4]

농업은 특히 가축 분뇨 생산을 통해 사바강 유역 표면수 오염의 또 다른 중요한 원인이다.[4] 분뇨 생산으로 인해 발생하는 영양소 오염 수준은 연간 32,394톤의 질소와 3,784톤의 인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4] 그 결과, 사바강은 영양소 오염의 영향을 받는 지역에서 미생물학적으로 오염된다. 그러한 강 부분 중 하나는 샤바츠와 베오그라드 사이의 하류 부분으로, 허용 가능한 담수 박테리아 수가 초과된다.[5]

산업 오염 수준은 유역 전체에서 크게 다르다. 2007년에는 슬로베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및 세르비아에서 상당한 산업 오염원이 확인되었다.[6] 2003년 자그레브에서 사바강에서 측정된 , 카드뮴비소 수준은 허용 농도를 초과하지 않았지만, 수은의 측정 수준은 216개 샘플 중 4개에서 허용 수준을 초과했다.[7] 베오그라드 근처 사바강의 퇴적물에서 측정된 중금속 수준, 특히 아연, 구리, 납 및 카드뮴은 위험이 거의 또는 전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사바강의 기존 박테리아 오염을 줄이기 위해서는 베오그라드와 같은 도시 근처의 분변 배출을 통제해야 한다는 결론이 나왔다.[5]

2007년 사바강 유역 표면수의 심각한 산업 오염으로 인한 유해 물질 부하[6] (단위: 톤)
국가비소카드뮴크롬구리수은니켈아연페놀
슬로베니아1150.03831420.51582757,656104
크로아티아N/AN/AN/AN/A0.020.040.02N/AN/A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N/AN/A1380983N/A2113,6291656N/A
세르비아2,010N/AN/AN/AN/AN/A12232,038
몬테네그로N/AN/AN/AN/AN/AN/A2461N/A
N/A - 데이터 없음


8. 문화

낭만주의 시인 프란체 프레셰렌은 1835년에 슬로베니아인의 국가 서사시인 《사비치카의 세례》(Krst pri Savicisl)를 썼다.[4] 이 시는 제목에서 사바강의 발원지를 언급하며, 1991년 슬로베니아의 국장 디자인에 영감을 주었다.

그러나 국장의 하단에 있는 두 개의 물결선은 사비치카나 사바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슬로베니아의 강과 아드리아해를 공식적으로 나타낸다.[4]

사바강은 또한 이전 슬라보니아 왕국의 국장에서도 상징적으로 나타난다.

1496년 보헤미아와 헝가리의 블라디슬라우스 2세가 승인한 이 디자인은 왕국의 경계를 나타내는 사바강과 드라바강을 상징하는 두 개의 문장대를 포함한다. 이 디자인은 슬라보니아 지역의 여러 현재 크로아티아의 주의 문장에 영감을 주었으며, 크로아티아의 국장의 일부를 형성한다.[4] 1835년 안툰 미하노비치가 크로아티아의 국가 상징으로 쓴 시 《호르바츠카 도모비나》도 사바강을 언급한다. 이 시의 개사된 가사는 나중에 크로아티아 국가가 되었다.[4]

9.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슬로베니아 류블랴나에 있는 타첸 급류 코스


사바 강둑과 인접한 자갈 채석장 및 인공 호수에는 여러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시설이 있다. 류블랴나 교외의 타첸에 있는 사바 강 우안에 있는 타첸 급류 코스는 1948년에 영구적인 카약 코스로 건설되었다.[1] 거의 매년 주요 국제 대회를 개최하며, 1955년, 1991년[2] 및 2010년 ICF 카누 슬라롬 세계 선수권 대회가 이곳에서 개최되었다.[3] 자그레브에서는 강을 따라 있는 야룬 호수 단지가 수영, 수상 스포츠 및 사이클링을 위한 다양한 시설을 제공한다.[4] 베오그라드의 아다 치간리야 섬은 도시의 주요 레크리에이션 구역으로, 여름철에는 하루에 10만 명에 달하는 방문객을 모은다.[5][6]

사바 강은 여러 레가타가 열리는 곳이다. 여기에는 자그레브와 브르치코 사이에서 열리는 국제 사바 투어 조정 레가타[7]와 베오그라드 레가타(요트 레가타)가 포함된다.[8]

이 강은 또한 세르비아의 야라크 마을과 샤바츠 시 사이의 18.8km 코스에서 진행되는 샤바츠 수영 마라톤—오픈 워터 수영 대회가 열리는 곳이기도 하다. 이 대회는 1970년부터 매년 개최되었으며, 1984년부터 2012년까지 FINA 국제 일정에 포함되었다.[9]

사바 강 유역을 따라 레크리에이션 및 스포츠 낚시가 인기 있는 활동이다.[10] 슬로베니아 호테메즈 근처에는 700m 길이의 스포츠 낚시 경기장이 있다.[11]

참조

[1] 웹사이트 Sava http://www.dictionar[...]
[2] 웹사이트 Slovenski pravopis 2001: Sava http://bos.zrc-sazu.[...]
[3] 웹사이트 Sava http://hjp.znanje.hr[...]
[4] 간행물 Stara Europa u Hrvatskoj: ime rijeke Save http://hrcak.srce.hr[...] 2007-03-28
[5] 웹사이트 Suda, sigma, 94 - EN https://www.cs.uky.e[...]
[6] 웹사이트 Suda, 1501 - GR http://www.poesialat[...]
[7] 웹사이트 Sliv Save http://www.voda.hr/H[...] 2014-02-15
[8] 문서 Google Earth
[9] 웹사이트 Republički hidrometeorološki zavod https://www.hidmet.g[...]
[10] 웹사이트 The Study of Water for Pollution Reduction on the Sava River Basin in the Republic of Croatia https://openjicarepo[...]
[11] 웹사이트 Promjene protočnog režima Save kod Zagreba https://um.nsk.hr/um[...]
[12] 웹사이트 International Sava River Basin Commission https://www.savacomm[...]
[13] 웹사이트 "Република Србија РЕПУБЛИЧКИ ХИДРОМЕТЕОРОЛОШКИ ЗАВОД ХИДРОЛОШКИ ГОДИШЊАК 1. ПОВРШИНСКЕ ВОДЕ 2022." https://www.hidmet.g[...] 2023-11-14
[14] 문서 Orient-Express Britannica
[15] 서적 Geographica Harvard University Press 1917–1932
[16] 웹사이트 Lonjsko Polje Nature Park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0-02-11
[17] 웹사이트 Bardaca Wetland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07-02-02
[18] 웹사이트 Zasavica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08-03-13
[19] 웹사이트 Obedska Bara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1977-03-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