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라루스어 아랍 문자는 16세기부터 20세기까지 벨라루스어와 폴란드어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된 문자 체계이다. 아랍 문자에 없는 음가를 표기하기 위해 페르시아 문자의 문자나 새롭게 만들어진 문자를 사용했으며, w와 v 소리는 동일한 기호로 표시되었다. 모음과 자음 표기, 그리고 합자 표기 등 키릴 문자, 라틴 문자와의 비교를 통해 벨라루스어 아랍 문자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벨라루스어 - 타라슈케비차 타라슈케비차는 브라니슬라우 타라슈케비치가 제안한 벨라루스어 철자법으로, 1933년 개혁 이후 사용이 중단되었으나 서벨라루스와 해외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되었고,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벨라루스에서 부활하여 나르카마우카와 함께 쓰이며, 러시아어 영향을 배제하고 벨라루스어 고유 특징을 보존하려는 경향을 보이는 철자법이다.
벨라루스어 - 라친카 라친카는 키릴 문자를 라틴 문자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특히 벨라루스어 표기에 사용되며, 발음, 문법 규칙, 표기 언어 선택 등을 고려해야 하고, 벨라루스어 고유성을 지키고 문화 부흥을 위해 출판물 발행 및 온라인에서 활용된다.
타타르족 - 타타르인 타타르인은 8세기 몽골 고원에서 유래한 타타르 연맹에서 비롯되어 킵차크 칸국을 구성한 튀르크계 민족의 후손을 지칭하며, 오늘날에는 타타르어를 사용하는 특정 집단을 가리키지만 과거 러시아 제국에서는 제국 내 튀르크계 민족 전체를 일컫는 용어로도 사용되었다.
아랍 문자 - 자위 문자 자위 문자는 아랍 문자를 기반으로 말레이어를 표기하기 위해 14세기경 만들어져 말레이 세계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브루나이 공식 문자이자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지에서 종교, 문화적으로 사용되는 문자 체계이다.
아랍 문자 - 우르두 문자 우르두 문자는 13세기 이란에서 기원한 페르시아-아랍 문자의 변형으로, 나스타리크 서체로 쓰이는 아브자드 문자이며, 우르두어의 음운 체계를 반영하여 자모가 추가되었고, 38개의 자음과 여러 모음을 표기하며, 유니코드에 포함되어 파키스탄과 여러 국가에서 사용된다.
아랍 문자에는 없는 소리인 ж, ч, п를 표기하기 위해 페르시아 문자인 ژ, چ, پ가 사용되었다. 부드러운 소리인 (дзь) 및 ц를 나타내기 위해 새로 만들어진 문자 가 사용되었다. 이 문자는 16세기부터 20세기까지 벨라루스어와 폴란드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었다.[2] ў 및 в 소리는 모두 동일한 기호 و로 표시되었다.
3. 1. 모음
모음 A와 E (초성 )
모음 I와 Y (초성 )
모음 U와 O (초성 )
모음 없음
자음 겹자음
/a/는 일관적으로 장모음으로 표기되며(즉, 모음 문자) /e/는 일관적으로 단모음으로 표기된다. /o/는 가장 일반적으로 장모음으로 표기된다.[3]
3. 2. 자음
아랍어에는 없는 소리인 ж, ч, п를 표기하기 위해 페르시아 문자인 ژ, چ, پ가 사용되었다.
부드러운 소리인 (дзь) 및 ц를 나타내기 위해 새로 만들어진 문자 가 사용되었다. 이 문자는 16세기부터 20세기까지 벨라루스어와 폴란드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었다.[2]
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롭고 존엄하며 평등하다. 인간은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으며 서로에게 형제애의 정신으로 행동해야 한다.
벨라루스 키릴 문자
Усе людзі нараджаюцца свабоднымі i роўнымі ў сваёй годнасці i правах. Яны надзелены розумам i сумленнем i павінны ставіцца адзін да аднаго ў духу брацтва.
벨라루스 라틴 문자
Usie ludzi naradžajucca svabodnymi i roŭnymi ŭ svajoj hodnasci i pravach. Jany nadzieleny rozumam i sumlenniem i pavinny stavicca adzin da adnaho ŭ duchu bractva.
벨라루스 아랍 문자
اُسَ لُوࢮِ نٰارٰاجٰاژُوࢯّٰا صْوَبَودنِمِ اِ رَووْنِمِ اوُ صْوَيَويْ هَودنٰاصْࢯِ اِ پرٰاوٰاحْ.|우세 루지 나라자주차 스바보드니미 이 로우니미 우 스바요이 호드나스치 이 프라바흐.ar يٰانِ نٰاࢮَلَنِ رَوزُومٰامْ اِ صُومْلَنَّمْ اِ پٰاوِنِّ صْتٰاوِࢯّٰا آࢮِنْ دٰا آدْنٰاهَو اوُ دُوحُو بْرٰاࢯْتْوٰا.|야니 나젤레니 로주맘 이 숨롄넴 이 파빈니 스타비차 아진 다 아드나호 우 두후 브라츠바.ar
참조
[1]
간행물
The Belarusian Arabic alphabet initiative at the FIAS
https://arabica.fias[...] [2]
논문
Revised Proposal to encode Arabic characters used for Bashkir, Belarusian, Crimean Tatar, and Tatar languages
https://unicode.org/[...]
ISO/IEC JTC1/SC2/WG2
2011-05-20
[3]
웹사이트
Антон Антановіч. Беларускія тэксты, пісаныя арабскім пісьмом
https://knihi.com/An[...]
2022-05-27
[4]
웹사이트
Zarma
https://www.omniglo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