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라슈케비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라슈케비차는 1918년 브라니슬라우 타라슈케비치가 제안한 벨라루스어 철자법으로, 1933년 개혁 이전까지 널리 사용되었다. 이 철자법은 벨라루스어의 표준화를 시도하며, 러시아어의 영향을 줄이고 벨라루스어 고유의 특징을 살리려는 노력을 반영한다. 1933년 개혁으로 공식 철자법이 변경된 후에도, 타라슈케비차는 서벨라루스, 망명 벨라루스인, 그리고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벨라루스에서 부활하여 사용되었으며, 현재까지도 일부 매체와 벨라루스어 위키백과에서 사용되고 있다. 타라슈케비차는 공식 철자법과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어휘론 등에서 차이를 보이며, 특히 외래어 표기, 자음 동화, 굴절, 그리고 어미 사용 등에서 독자적인 특징을 나타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라루스어 - 벨라루스어 아랍 문자
    벨라루스어 아랍 문자는 16세기부터 20세기까지 벨라루스어와 폴란드어 표기에 사용된 아랍 문자 체계로, 아랍어에 없는 벨라루스어 소리를 위해 페르시아 문자 차용 또는 새로운 글자를 추가하여 키릴 문자, 라틴 문자와 함께 사용되었다.
  • 벨라루스어 - 라친카
    라친카는 키릴 문자를 라틴 문자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특히 벨라루스어 표기에 사용되며, 발음, 문법 규칙, 표기 언어 선택 등을 고려해야 하고, 벨라루스어 고유성을 지키고 문화 부흥을 위해 출판물 발행 및 온라인에서 활용된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전향
    전향은 종교적 개종이나 노선 변경을 의미하며, 근대 이후 정치적 이념 변화를 지칭하는 용어로 확장되어 개인의 신념 변화, 정치적 압력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며, 사회주의·공산주의로부터의 전향, 전향 문학, 냉전 시대 이후의 전향 현상 등을 폭넓게 논의한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포토마스크
    포토마스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쇄 회로 기판 제조 시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전사하는 마스크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융용 실리카 기판과 금속 흡수막을 사용하고 위상 천이 마스크, EUV 마스크 등의 고급 기술이 개발되어 반도체 미세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높은 제작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토론 이름공간 토막글 - 전향
    전향은 종교적 개종이나 노선 변경을 의미하며, 근대 이후 정치적 이념 변화를 지칭하는 용어로 확장되어 개인의 신념 변화, 정치적 압력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며, 사회주의·공산주의로부터의 전향, 전향 문학, 냉전 시대 이후의 전향 현상 등을 폭넓게 논의한다.
  • 토론 이름공간 토막글 - 포토마스크
    포토마스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쇄 회로 기판 제조 시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전사하는 마스크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융용 실리카 기판과 금속 흡수막을 사용하고 위상 천이 마스크, EUV 마스크 등의 고급 기술이 개발되어 반도체 미세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높은 제작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타라슈케비차
기본 정보
타라슈케비차 표기법의 흰색-적색-흰색 깃발
타라슈케비차 표기법의 흰색-적색-흰색 깃발
다른 이름벨라루스어 고전 철자법
벨라루스어 문학 철자법
로마자 표기Taraškievica
언어벨라루스어
사용 지역벨라루스, 해외 벨라루스인
언어 계통인도유럽어족
발트슬라브어족
슬라브어파
동슬라브어군
벨라루스어
문자키릴 문자
공식 지위공식적인 지위는 없음
코드IANA: be-tarask
역사
창시브로니슬라우 타라슈케비치
제정1918년
표준화2005년, 벨라루스어 철자법 규칙 위원회
현재 상태비공식적 사용
특징
주요 특징러시아어 차용어에 대한 탈러시아화
몇몇 고유 어휘와 문법 형태의 사용
정서법적으로 폴란드어와 유사한 표기법 유지
사용
사용자일부 벨라루스인
벨라루스 디아스포라
일부 지식인
사용 목적벨라루스 민족 정체성 강조
벨라루스어의 역사적 연속성 강조
온라인 사용활발한 온라인 커뮤니티 존재
논쟁
논쟁의 핵심벨라루스어의 정체성과 정치적 입장
지지자벨라루스 민족주의자, 반정부 인사
비판론자친정부 인사, 언어학자 (일부)
기타
참고 자료벨라루스어 철자법
벨라루스어

2. 역사

1918년 벨라루스가 독립을 선언하기 전, 벨라루스어 표기를 표준화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여러 언어학자들이 다양한 제안을 내놓았는데, 그중 브라니슬라우 타라슈케비치의 "학교를 위한 벨라루스어 문법"이 가장 널리 받아들여졌다. 타라슈케비치의 문법은 초판은 라틴 문자로, 이후 키릴 문자 판으로 출판되었다. 그의 작업은 벨라루스어의 주요 특징에 대한 결정적인 모델을 제공했으며, 이후 벨라루스어의 모든 제안과 개혁은 그의 규범화에 기초해 왔다.

2. 1. 20세기 초 벨라루스어 철자법 표준화 시도

브라니슬라우 타라슈케비치


1918년, 벨라루스가 독립을 선언하기 전에 벨라루스어 표기를 표준화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여러 주요 언어학자들이 제안을 내놓았다.

  • 브라니슬라우 타라슈케비치의 "학교를 위한 벨라루스어 문법"—초판은 라틴 문자를 사용했고, 곧 키릴 문자 변형이 뒤따랐다.
  • 발랴슬라우 파초프카의 "벨라루스어 문법"
  • 안톤 루츠케비치와 얀 스탄케비치의 "벨라루스어 철자법"
  • 루돌프 아비히트와 얀 스탄케비치의 "짧은 시간에 문법을 배우는 간단한 방법"


결국 타라슈케비치의 제안이 더 선호되는 것으로 여겨졌다. 이는 여러 가지 이유 때문이었다. 타라슈케비치의 철자법은 가장 근거가 탄탄했고, 대부분의 철자 충돌을 다루었으며, 이전의 벨라루스어 철자법을 기반으로 했고, 교육 목적의 연습 문제도 포함되어 있었으며, 당시 벨라루스 정치 지도자들의 후원을 받았다.

타라슈케비치의 작업은 벨라루스어의 주요 특징에 대한 결정적인 모델을 제공했다. 벨라루스어의 모든 후속 제안과 개혁은 그의 규범화에 기초해 왔다.

2. 2. 1933년 벨라루스어 철자법 개혁과 그 배경

1926년 민스크에서 벨라루스어 철자법 개혁에 관한 국제 회의가 열려 여러 철자법 문제가 논의되었다.[16] 1927년에는 벨라루스 학자들과 언어학자들로 구성된 언어학위원회가 결성되어 벨라루스어 문제에 대해 연구했으며, 타라슈케비치에 의한 철자법 규범을 주로 개발했다. 1929년 벨라루스화가 끝나면서 위원회의 활동은 중단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결과는 1930년에 출판되었다.

1930년, 벨라루스어 언어 연구소의 과학자 그룹이 벨라루스어 철자법 개혁에 대한 또 다른 제안을 시작했다. 이 제안의 저자들은 1927~1929년 언어학위원회의 작업 기반이었던 "민족 민주주의" 사상을 거부한다고 선언했다.[16] 그 결과, 이 그룹은 1933년에 벨라루스어의 심각한 개정을 제안했지만, 벨라루스어 차용어에 대한 타라슈케비치의 아이디어를 유지하고 1930년 제안의 결과를 거의 완전히 재현했다.

그러나 이 제안은 벨라루스어가 러시아어에 너무 충성도가 낮다는 이유로 소련 당국에 의해 거부되었다.[26][27] 1933년 5월 5일, BSSR 공산당 중앙위원회는 러시아-벨라루스어 사전 및 벨라루스어의 새로운 철자 규칙 개정을 위한 특별 정치위원회를 구성했다.[28] 위원회는 주로 정치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언어학자는 포함되지 않았다.

1933년 7월 21일, BSSR 공산당 중앙위원회 국의 포고령이 발표되어 벨라루스어 개혁 작업의 종료를 선언했다.[29] 1933년 8월 27일, 제안은 공개 토론 없이 벨라루스 공산당 중앙위원회의 포고령에 의해 승인되었다.

2. 3. 1933년 개혁의 내용과 영향

1933년 벨라루스어 철자법 개혁은 벨라루스어를 러시아어에 가깝게 만들기 위해 1933년 학술 제안의 모든 변경 사항을 채택했다.[27] 이 개혁은 음운론적, 형태론 (언어학)적 변화뿐만 아니라, 러시아어에 직접적인 동등어가 없는 단어를 제외하고 일부 러시아어 단어를 도입하는 벨라루스어 어휘 변화를 가져왔다.[30] 개혁 이후, 완성된 학술 벨라루스어 사전의 원고는 파괴되었다.[31]

이 개혁으로 30개 이상의 러시아어 음운론적 및 형태론적 특징이 벨라루스어에 도입되었다.[32]

2. 4. 1933년 이후의 상황과 타라슈케비차의 부활

1933년 문법 개정의 정당성은 서벨라루스의 특정 정치 단체들과 1944년 이후 벨라루스를 떠난 망명자들 사이에서 채택되지 않았다. 이러한 거부는 러시아화에 반대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33] 얀 스탄케비치는 1936년 출판물을 시작으로 가장 목소리가 높았던 비판자 중 한 명이었다.

그러나 1933년 이후의 모든 공식적인 발전 사항을 거부하면서, 이 공동체는 1933년 이전 문법의 모든 문제를 사실상 해결하지 못한 채[34], 실제로 통일된 문법을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35]

1930년대 이후 타라슈케비차는 주로 해외 벨라루스 디아스포라에 의해 사용되었다. 1941~1944년 독일의 벨라루스 점령 기간 동안 벨라루스 영토에서 1933년 이전 문법이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1980년대 후반 페레스트로이카 시기 동안 벨라루스에서 타라슈케비차 복귀 운동이 시작되었다. 1990년대 초, 타라슈케비차는 벨라루스에서 소위 "나르카마우카", 즉 벨라루스어의 공식 변형과 함께 사용되었다. 1992년 6월 14일에는 고전 철자법을 사용하는 언론인과 출판인 회의가 빌뉴스에서 열렸다.

표준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철자법 개선 위원회(Камісія па ўдасканаленьні правапісу|Kamisija pa wdaskanaleńni pravapisube)가 창설되었다. 위원회는 1991년부터 1992년까지 활동했으며, 1993년에는 철자법 변경에 대한 제안을 발표했다.

2005년, 유라시 부슐라코우, 빈추크 비아초르카, 즈미체르 산코, 즈미체르 사우카로 구성된 실무 그룹은 격렬한 토론과 수년간의 연구 끝에 "벨라루스 고전 철자법"이라고 불리는 타라슈케비차의 코드화를 제안했다. 이 제안은 신문 ''나샤 니바'',[36] 벨라루스 ARCHE 잡지, 라디오 자유 유럽 및 라디오 폴로니아의 벨라루스어판을 포함한 주요 타라슈케비차 사용 매체에서 채택되었다. 또한, 이 철자법은 타라슈케비차 철자법의 벨라루스어 위키백과 (:be-tarask:)에서 사용하기에 선호되었다.

2007년 4월 27일, 인터넷 할당 번호 기관은 타라슈케비차에 변형 하위 태그 "tarask"를 할당했다. 고전 철자법의 벨라루스어 전체 언어 태그는 "be-tarask"이다.[23] 이는 타라슈케비차 철자법의 벨라루스어 위키백과 언어 코드로 채택되었지만, IANA 결정 8년이 지난 2015년 9월에 채택되었다. 이전에는 (2007년 3월 벨라루스어 위키백과의 철자법 버전 분리 이후) "be-x-old" 코드가 사용되었다.

3. 공식 철자법과 타라슈케비차의 차이점

타라슈케비차와 벨라루스어 공식 철자법은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어휘론 등 여러 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타라슈케비차와 공식 철자법 비교
항목공식 철자법타라슈케비차
음운론 및 철자법
형태론
통사론전치사 па(pa): (па + 여격/전치격) 변형 (예: па футболу – па футболе, па вызваленню – па вызваленні)전치사 па(pa): (па + 전치격) 통일 (예: па футболе, па вызваленьні)
어휘론


3. 1. 음운론 및 철자법

타라슈케비차의 음운론 및 철자법은 벨라루스어의 공식 철자법과 몇 가지 차이점을 보인다.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이 표로 정리할 수 있다.

타라슈케비차와 공식 철자법 비교
항목공식 철자법타라슈케비차
알파벳1918년의 변형.2005년 타라슈케비차 정규화 변형에서는 선택적인 글자인 ґ가 도입되어 파열음 를 나타낸다.
자음의 연음 동화 표기정자법상의 규범이며 철자에 반영되지 않음.
예시: снег, з’ява, дзве
연자 부호 ь를 사용하여 표기.
예시: сьнег, зьява, дзьве
철자법의 음성 원리강세를 받지 않는 모음에 제한적으로 적용.
예시: стагоддзе, не толькі, тэатр
자음과 형태소 경계를 포함하여 광범위하게 적용.
예시: стагодзьдзе, ня толькі, тэатар
외래어 음역음절 [la], [lo], [lu]의 경우 대부분 경음 [l]로 음역.
예시: план, логіка, Платон, клон[37]
서유럽 기원의 단어에서는 연음 로 음역. 다른 언어 차용 시 원어 소리에 따라 음역.[38][39][40][41]
예시: плян, лёгіка, Плятон, клон
외래어 음역치음 , , , 앞 모음 , 의 경우, 일반적으로 , 는 경음, , 는 연음.[42][44]
예시: дыван, тыгр, сігнал, фізіка, казіно, апельсін
, 는 경음 유지. , 는 단어의 시작 또는 중간에 경음, 그 외에는 연음.[16][43]
예시: дыван, тыгр, сыгнал, фізыка, казіно, апэльсін
외래어 음역자음 , , , , 앞 모음 의 경우, 일반적으로 자음은 연음.[37][45]
예시: абанент, універсітэт, метрапалітэн, дэбет
일반적으로 경자음 사용.[16][46]
예시: абанэнт, унівэрсытэт, мэтрапалітэн, дэбэт
외래어 음역자음 [j]/[й] 와 모음의 조합 시, 추가된 자음 [j] 사용에 여러 제한 및 예외 존재.[47]
예: маёр, Нью-Йорк, езуіт, маянэз, майя
추가된 자음 [j] 일관적으로 사용.
예: маёр, Нью-Ёрк, езуіт, маянэз, мая
그리스어 기원의 단어에서 β 및 θ의 음역β는 또는 로, θ는 [ф] 또는 로 음역(부분적으로 로이힐린식 발음과 에라스무스식 발음 혼용).[48][49]
예시: абат, араб, сімвал, Візантыя; арфаграфія, міф, матэматыка, рытм
β는 로, θ는 로 음역(에라스무스식 발음).[16][40]
예시: абат, араб, сымбаль, Бізантыя; артаграфія, міт, матэматыка, рытм


3. 1. 1. 자음의 '연음' 동화 표기

공식 철자법에서 자음의 '연음' 동화는 정자법상의 규범이며 철자에 반영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снег', 'з’ява', 'дзве'와 같이 표기한다. 타라슈케비차에서는 연자 부호 'ь'를 사용하여 연음을 표기하는데, 'сьнег', 'зьява', 'дзьве'와 같이 쓴다.

3. 1. 2. 철자법의 음성 원리

공식 철자법은 일반적으로 강세를 받지 않는 모음에 제한적으로 적용된다. 예를 들어 'стагоддзе', 'не толькі', 'тэатр'와 같이 쓴다. 타라슈케비차에서는 자음과 형태소 경계를 포함하여 광범위하게 적용된다. 예를 들어 'стагодзьдзе', 'ня толькі', 'тэатар'와 같이 쓴다.

3. 1. 3. 외래어 음역

(빈 문서)

3. 2. 형태론

예시: снег, з’ява, дзве.연자 부호 ь를 사용하여 결정한다.
예시: сьнег, зьява, дзьве.철자법의 음성 원리일반적으로 강세를 받지 않는 모음에 제한적으로 적용된다.
예시: стагоддзе, не толькі, тэатр.자음과 형태소 경계를 포함하여 광범위하게 적용된다.
예시: стагодзьдзе, ня толькі, тэатар.외래어의 음역음절 [la], [lo], [lu]대부분 경음 [l]로 음역한다.
예시: план, логіка, Платон, клон.대부분의 경우 경음(비구개음화) 가 사용되는 영어 외래어를 제외하고, 서유럽 기원의 단어에서는 연음(구개음화) 로 음역한다. 다른 언어에서 차용하는 경우, 단어는 원어의 소리의 경도 또는 연도에 따라 음역된다.
예시: плян, лёгіка, Плятон, клон치음 дbe , тbe , зbe , сbe 앞 모음 еbe , іbe일반적으로 дbe, тbe는 경음으로 유지되고, зbe, сbe는 연음이 된다.
예시: дыван, тыгр, сігнал, фізіка, казіно, апельсін일반적으로 дbe, тbe는 경음으로 유지된다. зbe, сbe는 단어의 시작 또는 중간에 경음으로 유지되고, 그 외의 경우에는 [з], [с]는 연음이 된다.
예시: дыван, тыгр, сыгнал, фізыка, казіно, апэльсін-- 일반적으로, 앞 모음 및 외래어 앞의 경음 [д], тbe는 벨라루스어 철자에 대한 폴란드어의 영향으로 간주되며, 때로는 매우 오래되었다(14세기). 부분적으로 이 현상은 현재 벨라루스어 문학 규범에 남아 있다. 이 현상은 국가 방언 언어에서는 일반적이지 않다.[44]자음 пbe , мbe , бbe , вbe , нbe 앞 모음 еbe일반적으로 자음은 연음이다.
예시: абанент, універсітэт, метрапалітэн, дэбет일반적으로 경자음이 사용된다.
예시: абанэнт, унівэрсытэт, мэтрапалітэн, дэбэт-- 비록 벨라루스 방언에서 일반적으로 경치음이 연음 앞의 연자음 앞에서 연음이 되는 것이 알려져 있지만, 이러한 위치에서 [с], [з], [н]의 발음에 대한 방언 자료는 많지 않으며, 이는 언어 체계와 모순되지 않는 철자 규칙 개발을 복잡하게 만든다.[46]자음 [j]/[й] jbe와 모음의 조합일반적으로 추가된 자음 [j]가 사용되며, 이와 관련된 여러 제한 사항 또는 예외가 존재한다.
예시: маёр, Нью-Йорк, езуіт, маянэз, майя추가된 자음 [j]가 일관적으로 사용된다.
예시: маёр, Нью-Ёрк, езуіт, маянэз, мая그리스어 기원의 단어에서 β 및 θ의 음역부분적으로 비잔틴 그리스 전통에 따라, β는 вbe로, θ는 [ф]로 음역한다(소위 로이힐린식 발음); 라틴어 체계에 따라, β는 бbe로, θ는 тbe로 음역한다(소위 에라스무스식 발음).
예시: абат, араб, сімвал, Візантыя; арфаграфія, міф, матэматыка, рытм라틴어 체계에 따라 일관적으로 음역되며, β는 бbe로, θ는 тbe로 음역한다(소위 에라스무스식 발음).
예시: абат, араб, сымбаль, Бізантыя; артаграфія, міт, матэматыка, рытмcolspan="2" |


3. 2. 1. 러시아어 유래 동사 -ір-/-ыр- 형태소 사용

공식 철자법에서는 러시아어를 통해 차용된 단어에서 '-ір-/-ыр-' 형태소를 유지한다 (예: фарміраваць, санкцыяніраваць, замаскіраваць).[45] 반면 타라슈케비차에서는 '-ір-/-ыр-' 형태소 사용의 적절성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50] 대부분의 차용 동사는 벨라루스어에 전형적이지 않고, 모호성을 피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에 주로 사용되는 '-ір-/-ыр-' 형태소를 사용하지 않는다 (예: фармаваць, санкцыянаваць, замаскаваць; буксаваць – буксіраваць, камандаваць – камандзіраваць, касаваць – касіраваць).

3. 2. 2. 굴절 체계

예: у лясах, у палях복수 명사 형태의 남성 및 중성 명사는 전치격에서 -ах, -ях 어미를 -ох, -ёх으로 변경할 수 있지만 두 가지 변형 모두 허용된다.
여성 명사의 복수 명사 형태의 속격에서는 -ей 어미가 전형적이다.
여성 명사의 복수 명사 형태의 속격에서는 -яў 어미가 전형적이다.
1격 변화 명사 단수 속격에 -а 어미가 널리 사용된다.
1격 변화 명사 단수 속격에 -а 어미의 사용 제한; -у 어미가 대신 사용된다.
예: заводу, інстытуту, сацыялізму복합 미래 형태만 사용한다.
예: буду рабіць, будзем рабіць널리 사용되는 복합 미래 형태와 함께 벨라루스어의 남서부 방언에 전형적인 단순 미래 형태의 사용이 허용된다.[45]
예: буду рабіць – рабіцьму, будзем рабіць – рабіцьмем복수 명사 속격에서 -оў 어미의 사용 확대.
예: словы – слоў → словаў, мовы – моў → моваў3격 변화 명사에 대해 2격 변화 명사의 도구격 어미를 사용하는 것이 허용된다.
예: Беларусьсю – Беларусяй, з маці – з мацерай전치격에서 1격 변화 단수 명사에 -у 어미의 사용이 허용된다.
예: у цені – у ценю, у Фаўстусе – у Фаўстусу



E. Potekhina에 따르면, 명사 굴절 체계의 일반적인 변화는 타라슈케비차에서 가능하며, 이는 문법적 상호 작용을 적극적으로 줄이고 성별 표시에 의한 굴절 유형의 통일 과정의 연속으로 정확하게 정의된다. 이 외에도, 단일 렉셈에 대한 패러다임 변화의 단일 사례가 발생한다. Potekhina는 그 이유가 벨라루스어의 중부 방언에서 러시아어의 영향을 덜 받는 서부 벨라루스어로 문어의 규범을 재지향하는 것이며, 즉 "더 큰 범위의 벨라루스어"라고 지적한다. Potekhina에 따르면, 국경 지역의 언어 접촉 요인은 이 과정에서 고려되지 않는다.[45]

3. 3. 통사론

예: па футболу – па футболе, па вызваленню – па вызваленні통일 (па + 전치격).
예: па футболе, па вызваленьні


3. 4. 어휘론

어휘론의 차이는 특수한 경우에 사용되는 특정 어휘 항목에 대한 평가이며, 일반적으로 이러한 차이는 화자가 사용하기로 선택한 어휘에 따라 달라진다. 철자 선택은 이 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으며, 아래에 표시된 차이점은 선택된 철자와 상관없이 화자에 의해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어휘론 차이
공식 철자법타라슈케비차
차용 어휘 항목S. 스탄케비치의 설명에 따르면, 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러시아어의 영향으로 벨라루스어에 해당 언어에 전형적이지 않은 상당량의 단어가 도입되었으며,[51] 오늘날 공식 철자법에서 사용된다.
예시: асцерагацца → апасацца, гераізм → доблесць, угода → здзелка, цягнік → поезд
E. 포테히나는 벨라루스어에서 러시아어를 배제하려는 노력으로 폴란드어에서 차용이 더 강해지며, 폴란드어 어휘 항목이 아닌 경우도 있다고 언급한다.[45]
예시: пасол → амбасадар, фактар → чыньнік, карта → мапа, вадзіцель → кіроўца
역사적으로 벨라루스 기원의 어휘 항목S. 스탄케비치의 설명에 따르면, 벨라루스어 뿌리를 가지고 있지만 러시아어처럼 구성된 단어가 벨라루스어에 도입되고 있으며, 이 외에도 벨라루스어 단어의 의미가 발음은 같지만 다른 의미를 가진 해당 러시아어 단어의 의미로 변경되고 있다.[51]
예시: скасаваць → адмяніць, скласці → саставіць, рабунак → грабеж, вайсковы → воінскі
E. 포테히나에 따르면, 벨라루스 기원의 일부 항목이 대체되고 있다.[45]
예시: адбывацца → тачыцца, умова → варунак, намаганьні → высілкі, іменна → менавіта[53]


참조

[1] 논문 Feminization of the Belarusian language 2013
[2] 논문 The symbolic and communicative dimensions of the linguistic practices of the Belarusian Poles 2011
[3] 간행물 Belarusian Language: Current State and Perspectives
[4] 웹사이트 Weißrussisch http://wwwg.uni-klu.[...] 2002
[5] 웹사이트 Медиа-Право http://www.medialaw.[...] Решение Высшего Хозяйственного Суда Республики Беларусь 2012-09-21
[6] 웹사이트 Вариативность названий стран в современном белорусском языке http://www.philology[...] Иностранные языки в научном и учебно-методическом аспектах 2008
[7] 서적 Беларуская эміграцыя — абаронца роднае мовы Катэдра Беларускай Філялёгіі Факультэт Прыкладной Лінгвістыкі і Ўсходнеславянскіх Філялёгіяў Варшаўскі Ўніверсітэт 2004
[8] 서적 Інавацыі 90-х гадоў у мове беларускіх недзяржаўных выданняў Беларуская мова: шляхі развіцця, кантакты, перспектывы. Матэрыялы ІІІ Міжнароднага кангрэса беларусістаў «Беларуская культура ў дыялогу цывілізацый». Мн.: Беларускі Кнігазбор 2001
[9] 서적 Беларускі клясычны правапіс. Збор правілаў. Сучасная нармалізацыя Вільня—Менск 2005
[10] 서적 Гісторыя Беларусі Экаперспектыва 2005
[1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linguarium.il[...] Моск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 М. В. Ломоносова. Филологический факультет 2006-08-16
[12] 간행물 Рэформы правапісу не будзе. Вяртання да тарашкевіцы таксама 2007-11
[13] 웹사이트 Новая літаратураная сітуацыя: змена культурнай парадыгмы http://bk.baj.by/lek[...] Лекцыі, Беларускі калегіюм
[14] 서적 Скарыназнаўства, кнігазнаўства, літаратуразнаўства https://web.archive.[...] Матэрыялы ІІІ Міжнар. кангрэса беларусістаў «Беларуская культура ў дыялогу цывілізацый» 2001
[15] 간행물 Международная конференция «Судьбы языков: Вопросы внешней и внутренней истории» 2007
[16] 웹사이트 Зьміцер Саўка. Мазаічная артаграфія // Часопіс "Arche" http://arche.by/by/9[...]
[17] 뉴스 Законопроект о белорусской орфографии сохраняет принцип преемственности с существующими правилами — А.Лукашанец https://archive.toda[...] БЕЛТА 2008-06-28
[18] 뉴스 «Сьнег» не пойдет, но белорусское правописание ждут перемены http://7days.belta.b[...] «7 дней» 2002-04-20
[19] 서적 Беларуская мова. Лінгвістычны кампендыум Мн. 2003
[20] 웹사이트 Тарашкевіца http://arche.bymedia[...] Arche 2000
[21] 웹사이트 Два стандарты беларускай літаратурнай мовы http://mab.org.by/ma[...] Мова і соцыум. (TERRA ALBA. Том III). Магілёў, ГА МТ «Брама» 2004
[22] 문서 Cf. [Клімаў 2004]. For instance see [[Vincuk Viačorka]]'s article in ''Spadčyna'' magazine, 1994.
[23] 웹사이트 IANA registry of language subtags https://www.iana.org[...]
[24] 서적 Praktyčnyja nazirańni nad našaj žyvoj movaj New York 1966
[25] 서적 Гісторыя беларускай літаратурнай мовы Мінск 1968
[26] 웹사이트 Два стандарты беларускай літаратурнай мовы http://mab.org.by/ma[...] Мова і соцыум. (TERRA ALBA. Том III). Магілёў, ГА МТ «Брама» 2004
[27] 웹사이트 Мэханіка зьнявечаньня http://arche.by/by/9[...] Часопіс «Arche» 2009-10-10
[28] 서적 Гісторыя беларускага мовазнаўства, 1918–1941: Хрэстаматыя для студэнтаў філалагічнага факультэта Мінск: БДУ 2005–2008
[29] 서적 Гісторыя беларускага мовазнаўства, 1918–1941: Хрэстаматыя для студэнтаў філалагічнага факультэта Мінск: БДУ 2005–2008
[30] 간행물 «Хто знішчыў беларускую мову?» 2003-11
[31] 웹사이트 128. Як бальшавікі рэфармавалі беларускую мову? http://knihi.com/pyt[...] 100 пытанняў і адказаў з гісторыі Беларусі
[32] 서적 Русыфікацыя беларускае мовы Беларуская эміграцыя – абаронца роднае мовы 2004
[33] 문서 E.g., per ''Jerzy Turonek, Belarusian book under German control (1939–1944) (in edition: Юры Туронак, Беларуская кніга пад нямецкім кантролем, Minsk, 2002)''.
[34] 문서 cf. the materials of Society for the Cleanliness of Belarusian language, [[Prague]], 1930s–1940s
[35] 문서 cf. the discussion between Jan Stankievič and Masiej Siadnioŭ in beg.1950s, the policy of Baćkaŭščyna printing house etc.
[36] 웹사이트 Pravapis.org - Belarusian language - New Orthography Rules (2005) http://www.pravapis.[...]
[37] 웹사이트 Прадмова да спрошчанага правапісу 1933 г. http://andrejczyk.bl[...] 2006-10-03
[38] 간행물 Лексічныя запазычанні ў беларускай мове пачатку XX ст. і асаблівасці іх фармальнай адаптацыі НАН Беларусі. Ін-т мовазнаўства імя Якуба Коласа 2000
[39] 웹사이트 Мазаічная артаграфія. З нагоды прыняцьця Правапіснага закону — 2008 (частка 1) http://arche.by/by/9[...] 2009
[40] 문서 Паводле матэрыялаў з: А. М. Булыка. Даўнія запазычанні беларускай мовы. Мінск, 1972; ён жа. Лексічныя запазычанні ў беларускай мове XVI‑XVIII стст. Мінск, 1980; Гістарычны слоўнік беларускай мовы. Т. 1–24 (А-П). Мінск, 1982–2005; Канкарданс беларускай мовы XIX ст. У 11 т. Мінск, 1992. Захоўваецца ў Аддзеле агульнага й славянскага мовазнаўства Інстытуту мовазнаўства НАНБ. // Юрась Бушлякоў, Вінцук Вячорка, Зьміцер Санько, Зьміцер Саўка. Беларускі клясычны правапіс. Збор правілаў. Сучасная нармалізацыя. Вільня—Менск, 2005
[41] 웹사이트 A. Кiклевiч, A. Пацехiна. БЕЛАРУСКАЯ ЛIТАРАТУРНАЯ НОРМА: ДЫНАМIК I IНАВАЫI (ПА МАТЭРЫЯЛАХ СУЧАСНАГА БЕЛАРУСКАГА ДРУКУ) http://mowaznaustwa.[...]
[42] 간행물 Русыфікацыя беларускае мовы Катэдра Беларускай Філялёгіі Факультэт Прыкладной Лінгвістыкі і Ўсходнеславянскіх Філялёгіяў Варшаўскі Ўнівэрсытэт 2004
[43] 문서 Паводле матэрыялаў з: А. М. Булыка. Даўнія запазычанні беларускай мовы. Мінск, 1972; ён жа. Лексічныя запазычанні ў беларускай мове XVI‑XVIII стст. Мінск, 1980; Гістарычны слоўнік беларускай мовы. Т. 1–24 (А-П). Мінск, 1982–2005; Канкарданс беларускай мовы XIX ст. У 11 т. Мінск, 1992. Захоўваецца ў Аддзеле агульнага й славянскага мовазнаўства Інстытуту мовазнаўства НАНБ. // Юрась Бушлякоў, Вінцук Вячорка, Зьміцер Санько, Зьміцер Саўка. Беларускі клясычны правапіс. Збор правілаў. Сучасная нармалізацыя. Вільня—Менск, 2005.
[44] 문서 Мовазнаўчая праблематыка ў тэрміналогіі... С.134–136.
[45] 간행물 Обучение белорусскому языку в условиях белорусско-белорусского двуязычия (проблемы обучения белорусскому языку как иностранному) Филологический факультет МГУ им. М. В. Ломоносова 2003
[46] 문서 Мовазнаўчая праблематыка ў тэрміналогіі... С.137–139.
[47] 웹사이트 Два стандарты беларускай літаратурнай мовы. — 2004 http://mab.org.by/ma[...]
[48] 문서 Мовазнаўчая праблематыка ў тэрміналогіі... С.132–134.
[49] 서적 Біблія. Факсімільнае ўзнаўленне Бібліі, выдадзенай Францыскам Скарынам у 1517–1519 гадах: у 3 тамах Беларуская Энцыклапедыя 1990
[50] 서적 Беларускі клясычны правапіс. Збор правілаў. Сучасная нармалізацыя. Вільня—Менск, 2005.
[51] 서적 Русіфікацыя беларускае мовы ў БССР і супраціў русіфікацыйнаму працэсу http://old.knihi.com[...] Навука і тэхніка 2014-01-13
[52] 웹사이트 Будучы час (Futur Imperfect) у беларускай мове http://www.pravapis.[...]
[53] 문서 In this case, both lexical items are borrowed from {{langx|de|nämlic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