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변칙 일치 조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변칙 일치 조건은 양자장론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헤라르뒤스 엇호프트가 제시했다. 이 조건은 연속 대칭의 엇호프트 변칙성이 고에너지와 저에너지 모두에서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야 함을 의미하며, 재규격화군 흐름에 따라 변칙이 바뀌지 않아야 한다. 이는 두 양자장론이 같은 적외 등각 장론으로 흐를 경우 모든 대칭에 대해 변칙이 일치해야 함을 의미한다. 변칙 일치 조건은 엇호프트 변칙이 게이지 대칭으로 승격될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하여 증명할 수 있으며, 이산 대칭에도 적용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자장론 - 페르미-디랙 통계
    페르미-디랙 통계는 파울리 배타 원리를 따르는 페르미 입자의 통계적 분포를 설명하는 양자 통계로, 금속 내 전자 현상 등을 이해하는 데 기여하며 페르미 입자가 특정 에너지 준위를 점유할 확률을 나타낸다.
  • 양자장론 - 양자 색역학
    양자 색역학은 색 전하를 국소 대칭으로 정의한 SU(3) 게이지 군의 비아벨 게이지 이론으로, 쿼크와 글루온을 기본 입자로 하여 쿼크 사이의 강한 상호작용을 매개하며, 점근적 자유성과 색 가둠의 특징을 가지는 이론이다.
변칙 일치 조건
개요
분야양자장론
관련 개념대칭성
자발적 대칭 깨짐
바일 페르미온
대역적 대칭
에너지 스케일
상세 내용
설명대칭성이 양자 효과에 의해 명백히 깨지는 경우, 낮은 에너지에서는 대칭성이 있는 것처럼 보이더라도 높은 에너지에서는 그 대칭성이 유지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역사적 중요성표준 모형의 일관성 및 바일 페르미온의 존재 예측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응용 분야강력
초대칭
끈 이론
관련 학자제라르트 't 호프트
커티스 캘런
데이비드 그로스
로만 자키브

2. 엇호프트 변칙

어떤 양자장론에서 나타나는 대칭성이 고전적으로는 성립하지만, 양자역학적으로는 정확히 성립하지 않는 현상을 '''엇호프트 변칙'''이라고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어떤 대칭성이 양자 이론에서는 전역 대칭성으로서는 정확하지만, 이 대칭성을 게이지 대칭(즉, 게이지 보존과 상호작용하도록 만드는 것)으로 만들려고 할 때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이다.[3]

예를 들어, Nf개의 무질량 페르미온을 가진 양자 색역학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 이론은 SU(Nf)L × SU(Nf)R × U(1)V 라는 맛깔 대칭을 가지는데, 이 대칭에는 엇호프트 변칙이 존재한다.

3. 연속 대칭의 변칙 일치 조건

헤라르뒤스 엇호프트가 제시한 변칙 일치 조건은 연속 대칭의 엇호프트 변칙성이 고에너지(UV) 및 저에너지(IR) 자유도에서 계산되었을 때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2]

서로 다르게 표현되는 두 양자장론이 낮은 에너지 극한에서 서로 같은 등각 장론으로 가는지 확인하려는 경우, 두 양자장론들의 고전적 대칭들의 연속적 변칙이 서로 일치해야 한다는 것이 필요 조건이다.

에너지 눈금 \mu에서 정의된 양자장론 \mathfrak Q(\mu)가 고전적 대칭 G를 가지고, G의 변칙이 \mathcal A(\mathfrak Q(\mu))라고 하자. 어떤 주어진 눈금 \mu_0에 대하여, 변칙이 -\mathcal A(\mathfrak Q(\mu_0))인 자유 바일 페르미온 이론 \mathfrak F를 고른다. 그러면 \mathfrak Q(\mu_0)\mathfrak F를 추가한 이론에서는 G가 변칙적이지 않으므로, G를 결합 상수 1/g^2의 게이지 대칭으로 승격시킬 수 있다. 만약 g가 충분히 작다면, \mathfrak F\mathfrak Q(\mu_0)은 거의 상호작용하지 않게 된다.

g가 충분히 작으면, \mathfrak F를 추가해도 \mathfrak Q의 재규격화군 흐름은 거의 변하지 않는다. (\mathfrak F는 자유 이론이므로 재규격화를 겪지 않는다.) 재규격화군 흐름을 따라 내려가도 이론이 갑자기 일관성을 잃을 수 없고, 이론은 \mu=\mu_0에서 일관적이었으므로, 모든 에너지 눈금 \mu\le \mu_0에서 일관적이어야 한다. 따라서 총 변칙은 모든 눈금에서 0이어야 하며,

:\mathcal A(\mathfrak Q(\mu))=-\mathcal A(\mathfrak F)=\mathcal A(\mathfrak Q(\mu_0))\quad\mu\le\mu_0

이다. 즉, 재규격화군 흐름을 따라 내려가도 변칙은 바뀌지 않는다. 보다 일반적으로, 같은 적외 등각 장론으로 흐르는 두 양자장론은 모든 대칭에 대하여 변칙들이 서로 일치하여야 한다.

3. 1. 예시: 양자 색역학 (QCD)

질량이 없는 Nf개의 쿼크를 가진 양자 색역학(QCD)을 예로 들어 보자. 이 이론은 맛깔 대칭 SU(N_f)_L\times SU(N_f)_R\times U(1)_V를 갖는다.[4] 이 맛깔 대칭에 배경 게이지 장을 도입하면 변칙성이 나타난다. 변칙성을 계산할 때, 먼 저에너지 한계(IR)[2]에서의 자유도 (무질량 페르미온 또는 골드스톤 보존) 또는 먼 고에너지 한계(UV)[2]에서의 자유도 (기본 페르미온) 중 어느 것을 사용하더라도 같은 결과를 얻어야 한다. QCD의 경우, 키랄 대칭성 깨짐이 발생하며, 골드스톤 보존에 대한 베스-주미노-위튼 항이 변칙성을 재현한다.[5]

3. 2. 증명

엇호프트 변칙 일치 조건은 다음 절차에 따라 증명할 수 있다.[1]

1. 이 대칭과 관련된 전류에 결합 상수결합하는 게이지장과 이 게이지장에만 결합 상수결합하는 카이랄 페르미온을 이론에 추가하고, 이상 현상을 상쇄한다. (게이지 대칭이 일관성을 위해 필요에 따라 게이지 이상 현상이 아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2. 추가한 결합 상수가 0으로 가는 극한에서, 원래의 이론과 추가한 페르미온이 다시 나타난다. 후자는 이 극한에서 자유 페르미온이므로 모든 에너지 규모에서 좋은 자유도를 유지한다. 게이지 대칭 이상 현상은 모든 에너지 규모에서 계산할 수 있으며 항상 0이어야 하므로 이론은 일관성이 있다.

3. 이제 추가한 자유 페르미온을 빼서 원래 이론에서 대칭의 이상 현상을 얻을 수 있으며, 그 결과는 에너지 규모와 무관하다.

3. 3. 다른 증명 (변칙 유입 메커니즘)

연속 대칭에 대한 변칙 일치 조건을 증명하기 위해 변칙 유입 메커니즘을 사용할 수 있다.[6] 4차원 시공간을 고려하여 설명한다.

전역 연속 대칭 G에 대해 배경 게이지 장 A를 도입하고 유효 작용 \Gamma[A]를 계산한다. 만약 G에 대한 't 호프트 변칙이 존재한다면, 유효 작용 \Gamma[A]는 배경 게이지 장 A에 대한 G 게이지 변환에 대해 불변하지 않으며, A의 모든 4차원 국소 반대 항을 추가하여 복원할 수 없다. 베스-주미노 일관성 조건에[7] 따르면 5차원 천-사이먼스 작용을 추가하여 게이지 불변성을 확보할 수 있다.

추가적인 차원을 사용하면, 질량이 큰 장을 적분하여 제거하고 질량이 없는 자유도만을 포함하는 저에너지 유효 이론을 사용하여 유효 작용 \Gamma[A]를 정의할 수 있다. 동일한 5차원 천-사이먼스 항을 추가하여 다시 게이지 불변해야 하므로, 't 호프트 변칙은 질량이 큰 자유도를 적분하여 제거해도 변하지 않는다.

4. 이산 대칭의 변칙 일치 조건

이산 대칭의 경우, 이를 게이지 대칭으로 만들기 어렵기 때문에 엇호프트의 유도를 직접 적용할 수 없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이산 대칭(순환군 Z/N 사용)에 대한 변칙들이 변칙 일치 조건을 만족시킨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8][9]

변칙일치 조건비고
G-G-Z/N≡ (mod N)G는 비아벨 연속 대칭
중력-중력-Z/N≡ (mod N/2) (N 짝수), ≡ (mod N) (N 홀수)



이산 변칙을 포함하는 다른 형태의 변칙(U(1)-U(1)-Z/N 등)은 분수 전하를 가진 유질량 상태에 의해 변칙 일치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할 수 있다.[8][9]

5. 역사

헤라르뒤스 엇호프트가 1979년 발표하였다.[10]

참조

[1] 서적 Recent Developments in Gauge Theories Plenum Press
[2] 문서
[3] 논문 Anomalous discrete symmetries in three dimensions and group cohomology
[4] 문서
[5] 논문 The axial anomaly and the bound state spectrum in confining theories http://inspirehep.ne[...]
[6] 논문 Anomalies and fermion zero modes on strings and domain walls.
[7] 논문 Consequences of anomalous ward identities https://cds.cern.ch/[...]
[8] 저널 Discrete Anomaly Matching 1998
[9] 저널 ’T Hooft anomaly matching for discrete symmetries 1998
[10] 서적 Recent Developments in Gauge Theories 198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