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간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주요 보간법
- 3. 함수 근사
- 4. 가우시안 프로세스
- 5. 고차원 보간
- 6. 디지털 신호 처리에서의 보간
- 참조
1. 개요
보간법은 주어진 데이터 점들을 기반으로 함수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주요 보간법으로는 파데 근사, 푸리에 급수, 스플라인 보간, 다항식 보간, 에르미트 보간 등이 있으며, 데이터의 특성, 정확도, 계산 비용 등에 따라 적합한 방법을 선택한다. 다항식 보간법은 뉴턴 보간법, 라그랑주 보간법, 가우스 보간법 등으로 세분화되며, 스플라인 보간법은 룽게 현상을 피하고 매끄러운 결과를 얻는 데 유리하다. 이 외에도 유리 함수 보간법, 중심 형식 보간법, 삼각 함수 보간법, 최근접 이웃 보간법, 선형 보간법, 2차 보간법, 3차 보간법, 란초스 보간, 크리깅 등이 있다. 보간법은 함수 근사, 고차원 보간, 디지털 신호 처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간법 - 선형 보간법
선형 보간법은 두 점 사이의 값을 직선으로 추정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비선형 데이터에는 정확도가 낮아 다른 방법으로 대체될 수 있다. - 보간법 - 보외법
보외법은 수치 데이터가 없는 범위의 값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외삽 방법이 존재하며 데이터 생성 프로세스에 대한 사전 지식에 따라 적용 방법을 선택한다. - 비디오 - 폐쇄회로 텔레비전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은 영상을 촬영하여 특정 장소로 전송하는 감시 시스템으로, 기술 발전에 따라 범죄 예방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지만 개인정보보호 침해 문제와 함께 국가별 법률 및 안면 인식 기술과 결합된 감시 시스템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 - 비디오 - 화상 회의
화상 회의는 영상 및 음성 실시간 송수신 기술로 원격지 다자간 회의를 가능하게 하며, 아날로그 CCTV에서 ISDN, IP 기반 디지털 시스템, 웹 회의로 발전해왔고, 코덱 기술과 다지점 회의 기술을 활용하여 의료, 비즈니스 등 사회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지만, 시선 접촉 어려움이나 심리적 부담 등의 문제점도 존재하며 ITU H.320, H.323, H.324 등의 표준 규격을 따른다.
| 보간법 | |
|---|---|
| 지도 정보 | |
| 개요 | |
| 정의 | 새로운 데이터 지점을 이미 알려진 데이터 지점 범위 내에서 구성하는 방법 |
| 사용 분야 | 수치 해석 과학 공학 통계 |
| 역사 | |
| 사용 시기 | 고대로부터 사용됨 |
| 초기 응용 | 천문학에서 별의 위치를 추정 |
| 주요 방법 | |
| 선형 보간법 | 두 점 사이를 직선으로 연결 |
| 다항 보간법 | 다항식을 사용하여 점을 연결 |
| 스플라인 보간법 | 부드러운 곡선을 사용하여 점을 연결 |
| 최근접 이웃 보간법 | 가장 가까운 데이터 지점의 값을 사용 |
| 삼각 보간법 | 삼각형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보간 (2차원) |
| 응용 예시 | |
| 이미지 확대 | 픽셀 간의 빈 공간을 보간하여 이미지 해상도 증가 |
| 데이터 분석 | 누락된 데이터 값을 추정 |
| 컴퓨터 그래픽스 | 모션 블러나 다른 시각 효과 생성 |
| 보간법의 장점 | |
| 복잡한 계산 감소 | 복잡한 함수의 중간 값을 빠르게 추정 가능 |
| 유연한 적용 |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 |
| 보간법의 단점 | |
| 정확도 한계 | 실제 데이터와 차이 발생 가능 |
| 오차 발생 가능성 | 보간법 선택에 따라 결과 달라짐 |
| 추가 정보 | |
| 관련 개념 | 외삽법 |
| 참고 자료 | MathWorld의 보간법 Encyclopedia of Mathematics의 보간법 |
| 일본어 설명 (内挿) | |
| 정의 | 이미 알려진 값 사이의 값을 추정하는 방법 |
| 사용 분야 | 수학 통계 컴퓨터 과학 공학 |
| 방법 | 선형 내삽 다항 내삽 스플라인 내삽 |
| 응용 | 데이터 분석 이미지 처리 수치 계산 공학 시뮬레이션 |
2. 주요 보간법
보간법은 주어진 데이터 점들을 이용하여 알려지지 않은 점의 함숫값을 추정하는 방법이다. 다양한 보간법이 존재하며, 각각 장단점과 적용 분야가 다르다.
다음은 알 수 없는 함수 f(x)의 몇 가지 값이다.
| x | f(x) |
|---|---|
| 0 | 0 |
| 1 | 0.8415 |
| 2 | 0.9093 |
| 3 | 0.1411 |
| 4 | -0.7568 |
| 5 | -0.9589 |
| 6 | -0.2794 |
보간법을 선택할 때는 정확도, 계산 비용, 필요한 데이터 점의 개수, 결과로 나타나는 보간 함수의 매끄러움 등을 고려해야 한다.
주요 보간법은 다음과 같다.
- 최근접 이웃 보간법: 가장 가까운 데이터 값을 할당하는 가장 단순한 방법이다. 다변량 보간법에서 속도와 단순성 때문에 유리할 수 있다.
- 선형 보간: 두 점을 직선으로 연결하여 값을 추정한다. 빠르고 쉽지만 정확도가 낮고, 각 데이터 점에서 미분 가능하지 않다.
- 다항식 보간법: 모든 데이터 점을 통과하는 다항식을 사용한다. 선형 보간보다 정확하지만, 계산 비용이 높고 끝점에서 룽게 현상과 같은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뉴턴 보간법, 라그랑주 보간법, 가우스 보간법 등이 있다.
- 스플라인 보간법: 각 구간에서 저차 다항식을 사용하고 부드럽게 연결한다. 정확도와 매끄러움 사이의 균형을 제공하며, 자연 입방 스플라인이 대표적이다.
- 유리 함수 보간: 파데 근사를 사용하여 유리 함수로 보간한다.
- 삼각 보간: 푸리에 급수를 이용하여 삼각 다항식으로 보간한다. 주기 함수에 유용하다.
- 에르미트 보간: 데이터 점의 함숫값뿐만 아니라 미분값도 고려하여 보간한다.
- 중심 형식 보간법: 다항식이나 유리 함수 보간 시 중심 형식을 이용한다.
- 크리깅: 공간적인 내삽을 수행하는 지리 통계학 기법이다.
- 모방 보간법: 필드의 유형에 따라 필드의 적분값을 구하는 보간법으로, 벡터 미적분 항등식을 만족하는 특징이 있다.
2. 1. 다항식 보간법
다항식 보간법은 선형 보간법을 일반화한 것이다. 선형 보간법에서는 선형 함수를 사용하지만, 다항식 보간법에서는 더 높은 차수의 다항식을 사용한다.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함수 f(x)의 값을 알고 있다고 가정하자.
| x | f(x) |
|---|---|
| 0 | 0 |
| 1 | 0.8415 |
| 2 | 0.9093 |
| 3 | 0.1411 |
| 4 | -0.7568 |
| 5 | -0.9589 |
| 6 | -0.2794 |
이 경우, 6차 다항식을 사용하여 모든 7개의 점을 지나는 함수를 찾을 수 있다.
:f(x) = -0.0001521x6 - 0.003130x5 + 0.07321x4 - 0.3577x3 + 0.2255x2 + 0.9038x
이 식에 x = 2.5를 대입하면 f(2.5) ≈ 0.59678을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n개의 데이터 점이 주어지면, 최대 n-1차의 다항식을 사용하여 모든 점을 지나는 함수를 정확하게 찾을 수 있다. 보간 오차는 데이터 점 사이 거리의 n제곱에 비례하며, 보간 함수는 다항식이므로 무한히 미분 가능하다.
하지만 다항식 보간법은 몇 가지 단점이 있다. 우선, 선형 보간법에 비해 계산 비용이 많이 든다. 또한, 특히 끝점에서 진동하는 인공물(룽게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다항식 보간법은 선형 보간법과 달리 표본 범위 바깥의 국소 최대값과 최소값을 추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위에서 구한 보간 함수는 x ≈ 1.566에서 국소 최대값(≈ 1.003)을, x ≈ 4.708에서 국소 최소값(≈ -1.003)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극값은 함수의 실제 범위를 벗어날 수 있다.
뉴턴 보간법, 라그랑주 보간법, 가우스 보간법은 다항식 보간법의 종류이다.[12][13]
2. 1. 1. 뉴턴 보간법
차분을 이용하는 보간 공식의 일종인 뉴턴의 보간 공식을 사용하는 보간법이다.2. 1. 2. 라그랑주 보간법
라그랑주의 보간 공식을 사용하는 보간법이다.2. 1. 3. 가우스 보간법
가우스 보간법은 가우스의 보간식을 사용하는 보간법이다.2. 2. 스플라인 보간법
스플라인 보간법은 각 구간에서 저차 다항식을 사용하고, 다항식 조각들이 부드럽게 이어지도록 선택하는 방법이다. 결과 함수를 스플라인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자연 입방 스플라인은 조각별 입방 함수이고 두 번 연속 미분 가능하며, 그 이계도함수는 끝점에서 0이다.다음은 주어진 점들을 보간하는 자연 입방 스플라인의 예시이다.
:
이 경우 ''f''(2.5) = 0.5972를 얻는다.
다항식 보간과 마찬가지로, 스플라인 보간은 선형 보간보다 오차가 작으며, 보간 함수는 다항식 보간에 사용되는 고차 다항식보다 부드럽고 평가하기 쉽다. 그러나 기저 함수의 전역적 특성은 조건수를 악화시킨다.
2. 3. 유리 함수 보간법
파데 근사를 사용하면 유리 함수로 데이터 포인트를 보간할 수 있다.[12][13] 유리 함수 보간법은 지정된 분점에서 함수와 값이 일치하는 유리 함수를 이용한다. 더 일반화된 방법으로, 함수의 값뿐만 아니라 미분값(더 높은 차수의 미분값)도 일치하도록 하는 유리 함수를 사용한 보간법도 생각할 수 있다.2. 4. 에르미트 보간법
에르미트 보간법은 데이터 점의 함숫값뿐만 아니라 미분값도 함께 고려하여 보간하는 방법이다.[12][13] 지정한 분점에서 함수의 값뿐만 아니라 미분값도 일치하도록 하는 다항식을 사용한다. 더 일반화된 것으로, 더 높은 차수의 미분값도 일치하도록 하는 다항식에 의한 보간도 있다.2. 5. 중심 형식 보간법 (Barycentric Interpolation)
다항식이나 유리 함수 등에 의한 함수의 보간을 할 때, 중심 형식이라고 불리는 형식을 이용하여 보간을 하는 방법이다.[12][13]2. 6. 삼각 함수 보간법
푸리에 급수를 이용하면 삼각 다항식으로 데이터 포인트를 보간할 수 있다.[12][13] 이는 삼각 함수를 이용하여 주기 함수를 보간하는 방법으로, 푸리에 급수 보간법이 대표적이다. 푸리에 급수 보간은 지정된 분점에서 함수와 값이 일치하는 유한 푸리에 급수에 의한 보간법으로, 함수가 주기적인 경우 특히 유용하다.2. 7. 최근접 이웃 보간법 (0차 보간)
가장 단순한 보간법은 가장 가까운 데이터 값을 찾아 같은 값을 할당하는 것이다. 간단한 문제에서는 선형 보간(아래 참조)이 거의 동일하게 쉽기 때문에 이 방법이 사용될 가능성은 적지만, 고차원 다변량 보간법에서는 속도와 단순성 때문에 유리한 선택이 될 수 있다.
0차 함수(계단 함수)로 데이터 열을 채우는 것(0차 보간)을 보간이라고 부르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보간의 한 종류이다.
2. 8. 선형 보간법 (1차 보간)
선형 보간(Linear Interpolation, lerp)은 가장 간단한 보간 방법 중 하나다. 주어진 두 점을 직선으로 연결하여 그 사이의 값을 추정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함수 ''f''의 값 ''f''(2) = 0.9093과 ''f''(3) = 0.1411이 주어졌을 때, ''f''(2.5)는 두 값의 중간값인 0.5252로 추정할 수 있다.일반적으로, (''x''''a'', ''y''''a'')와 (''x''''b'', ''y''''b'') 두 점이 주어졌을 때, 선형 보간 함수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이 공식은 와 사이의 기울기가 와 사이의 기울기와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선형 보간은 빠르고 간단하지만,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보간된 함수는 각 데이터 점(''x''''k'')에서 미분 가능하지 않다.
선형 보간의 오차는 다음과 같이 추정할 수 있다. 보간하려는 함수를 ''g''라고 하고, ''x''가 ''x''''a''와 ''x''''b'' 사이에 있으며, ''g''가 두 번 연속 미분 가능하다고 가정하면,
:
즉, 오차는 데이터 점 사이 거리의 제곱에 비례한다. 다항 보간이나 스플라인 보간과 같은 다른 보간 방법들은 오차가 데이터 점 사이 거리의 더 높은 거듭제곱에 비례하며, 더 매끄러운 보간 함수를 제공한다.
2. 9. 2차 보간법 (포물선 보간)
포물선 보간(2차 보간)은 세 점을 이용해 2차 함수로 보간하는 방법이다.2. 10. 3차 보간법 (큐빅 보간)
3차 보간법(큐빅 보간)은 네 점을 이용하여 3차 함수로 보간하는 방법이다. 2차원 신호(이미지 등)에서 사용되는 경우 바이큐빅 보간(쌍삼차 보간)이라고 불린다.[12]2. 10. 1. 큐빅 컨볼루션
큐빅 컨볼루션(Cubic convolution interpolation)은 특정 형태의 3차 함수를 이용한 보간 방법이다. 문자 그대로 3차 콘볼루션이라는 의미이지만, 아래의 보간 함수를 사용하는 3차 보간을 가리키는 경우가 있다. a는 보간 함수의 성질을 제어하기 위한 변수로, -0.5에서 -2 사이의 값이 주로 사용된다.:
2. 11. 란초스 보간 (Lanczos-n 보간)
sinc 함수를 이용한 보간 방법이다.n은 보간 함수의 성질을 제어하기 위한 변수이다. n=2로 한 보간 함수는 Lanczos-2, n=3으로 한 보간 함수는 Lanczos-3이라고 불린다.
:
2. 12. 크리깅 (Kriging)
크리깅은 공간적인 내삽을 수행하는 지리 통계학의 기법이다.[12][13]2. 13. 모방 보간법 (Mimetic Interpolation)
모방 보간법은 필드의 기저 이산화에 따라 다양한 보간 함수가 요구되는 보간법이다. 다른 보간법들이 주로 목표 지점에서 함숫값을 추정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모방 보간법은 필드의 유형(스칼라, 벡터, 유사 벡터, 유사 스칼라)에 따라 목표 선, 면, 또는 부피에서 필드의 적분값을 구한다.모방 보간법의 중요한 특징은 스토크스 정리와 발산 정리를 포함하는 벡터 미적분 항등식을 만족시킨다는 것이다.[4] 이로 인해, 모방 보간법은 선 적분, 면 적분, 부피 적분을 보존하는 특성을 가진다.[5] 예를 들어, 선 적분은 적분 경로 양 끝 점에서의 전위차를 계산하는데 사용되기 때문에 모방 보간법이 선 적분을 보존하는 특성을 가지는 것은 전기장을 보간할 때 매우 유용하다. 모방 보간법은 적분 경로의 길이에 관계없이 전기장의 선 적분을 추정하는 오차가 적분 경로의 끝점에서 전위를 보간하여 얻은 오차와 동일하도록 보장한다.
선형 보간, 이차 보간, 삼차 보간도 필드 값(필드의 적분이 아님)이 보존되더라도 모방 보간으로 간주된다. 선형 보간 외에도, 면적 가중 보간은 개발된 최초의 모방 보간법 중 하나로 간주될 수 있다.[6]
3. 함수 근사
보간법은 주어진 함수를 근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어떤 함수 와 그 구간 안의 점들 이 주어졌을 때, ()를 만족하는 함수 를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함수 는 이 점들에서 를 보간하여 근사한다.
일반적으로 보간 함수가 항상 좋은 근사를 제공하는 것은 아니지만, 좋은 근사인지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은 존재한다. 예를 들어, 함수 가 닫힌 구간 에서 4차 연속 미분 가능하다면 (즉, ), 3차 스플라인 보간의 오차는 다음과 같은 경계를 가진다.
:
여기서 는 인접한 점들 사이의 간격 중 가장 큰 값이고, 는 상수, 는 의 4차 도함수의 절댓값의 최댓값이다. 즉, 함수 의 4차 도함수의 절댓값의 최댓값과 인접한 점들 사이의 간격의 최댓값이 작을수록 3차 스플라인 보간으로 만들어진 함수 가 함수 에 대해 더 정확한 근사를 제공한다는 의미이다.[7]
다음은 알 수 없는 함수 의 몇몇 값을 나타낸 표이다.
| 0 | 0 |
| 1 | 0.8415 |
| 2 | 0.9093 |
| 3 | 0.1411 |
| 4 | -0.7568 |
| 5 | -0.9589 |
| 6 | -0.2794 |
보간법을 이용하면 와 같이 주어진 점들 사이의 값에 대한 함수 값을 추정할 수 있다.
보간법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며, 각 방법은 정확도, 계산 비용, 필요한 데이터 점의 수, 결과로 나오는 보간 함수의 매끄러움 등의 특성이 다르다.
가장 간단한 보간법 중 하나는 선형 보간이다. 예를 들어, 위 표에서 를 추정해보자. 2.5는 2와 3의 중간이므로, 과 의 중간값인 0.5252로 추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일반적으로, 선형 보간은 두 점 (''x''''a'',''y''''a'')와 (''x''''b'',''y''''b'')가 주어졌을 때, 다음과 같은 보간 함수를 사용한다.
:
선형 보간은 빠르고 쉽지만,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보간 함수가 각 데이터 점 ''x''''k''에서 미분 가능하지 않다.
선형 보간의 오차는 다음과 같이 추정할 수 있다. 보간하려는 함수를 ''g''라고 하고, ''x''가 ''x''''a''와 ''x''''b'' 사이에 있으며, ''g''가 두 번 연속 미분 가능하다고 가정하면,
:
즉, 오차는 데이터 점 사이의 거리의 제곱에 비례한다.
다항 보간법은 선형 보간법을 일반화한 것이다. 선형 보간 함수가 선형 함수인 반면, 다항 보간법에서는 더 높은 차수의 다항식을 사용한다.
위의 예시에서, 다음과 같은 6차 다항식은 주어진 모든 7개의 점을 통과한다.
:
이 식에 를 대입하면, 을 얻는다.
일반적으로, 개의 데이터 점이 있다면, 최대 차의 다항식 중 모든 점을 지나는 다항식은 유일하게 존재한다. 다항 보간의 오차는 데이터 점 사이의 거리의 제곱에 비례하며, 보간 함수는 다항식이므로 무한히 미분 가능하다. 따라서 다항 보간법은 선형 보간법의 많은 단점을 해결한다.
그러나 다항 보간법에도 몇 가지 단점이 있다. 우선, 보간 다항식을 계산하는 것은 선형 보간에 비해 계산 비용이 많이 든다. 또한, 특히 양 끝점에서 진동하는 현상(룽게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다항 보간법은 선형 보간과 달리 표본 범위 바깥에 있는 국소 최댓값과 최솟값을 추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위에서 구한 보간 함수는 에서 국소 최댓값()을, 에서 국소 최솟값()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최댓값과 최솟값은 함수의 이론적 범위를 벗어날 수 있다.
스플라인 보간은 각 구간에서 낮은 차수의 다항식을 사용하고, 이 다항식 조각들을 부드럽게 연결하는 방법이다. 이렇게 얻어진 함수를 스플라인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자연 입방 스플라인은 각 구간에서 3차 다항식을 사용하며, 두 번 연속 미분 가능하다. 또한, 양 끝점에서 2계 도함수가 0이다. 위 표의 점들을 보간하는 자연 입방 스플라인은 다음과 같다.
:
이 경우, 를 얻는다.
스플라인 보간은 선형 보간보다 오차가 작고, 다항식 보간에 사용되는 고차 다항식보다 부드럽고 평가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4. 가우시안 프로세스
가우시안 프로세스는 강력한 비선형 보간 도구이다. 널리 사용되고 있는 수많은 보간 도구들은 대부분 가우시안 프로세스와 거의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가우시안 프로세스는 주어진 데이터 포인트를 정확히 통과하는 보간 함수 뿐만 아니라 보간한 함숫값의 신뢰 구간까지 제공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가우시안 프로세스는 가우시안 프로세스 회귀라는 이름으로 회귀 분석에도 빈번하게 사용된다. 지리 통계학에서는 가우시안 프로세스 회귀가 크리깅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다음 표는 알 수 없는 함수 f(x)|에프 엑스영어의 몇몇 값을 보여준다.
| x|엑스영어 | f(x)|에프 엑스영어 |
|---|---|
| 0 | 0 |
| 1 | 0.8415 |
| 2 | 0.9093 |
| 3 | 0.1411 |
| 4 | -0.7568 |
| 5 | -0.9589 |
| 6 | -0.2794 |
보간법은 x|엑스영어 = 2.5 와 같은 중간 점에서 함수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가우시안 과정은 주어진 데이터 점을 정확히 통과하는 보간 함수를 적합하는 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회귀 분석에도 사용될 수 있다. 즉, 잡음이 있는 데이터를 통해 곡선을 적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지리통계학 분야에서는 가우시안 과정 회귀를 크리깅이라고도 한다.
5. 고차원 보간
다변수 보간법은 둘 이상의 변수를 가지는 함수를 보간하는 방법이다. 여기에는 2차원에서 사용되는 쌍선형 보간법, 쌍삼차 보간법과 3차원에서 사용되는 삼선형 보간법이 포함된다. 이러한 방법들은 격자 데이터 또는 산포 데이터에 적용될 수 있다. 모방 보간법은 3보다 큰 n차원 공간으로 일반화된다.[8][9]


6. 디지털 신호 처리에서의 보간
디지털 신호 처리 분야에서 보간법은 샘플링된 디지털 신호(예: 샘플링된 오디오 신호)의 샘플링 속도를 높이는 과정(업샘플링)을 말한다. 이 과정에서는 다양한 디지털 필터링 기법(예: 주파수 제한 임펄스 신호와의 합성곱)을 사용한다. 이 응용에서는 원래 신호의 고조파 성분을 보존하면서, 원래 신호의 나이퀴스트 한계(원래 신호 샘플링 주파수의 절반, 즉 )를 넘는 고조파 왜곡을 생성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10]
참조
[1]
백과사전
Interpolation
[2]
서적
Interpolation
https://www.worldcat[...]
2006
[3]
서적
Numerical Analysis
https://archive.org/[...]
Springer
[4]
학술지
Mimetic Interpolation of Vector Fields on Arakawa C/D Grids
https://journals.ame[...]
2022-06-07
[5]
서적
Geometric Computational Electrodynamics with Variational Integrators and Discrete Differential Forms
http://link.springer[...]
Springer New York
2022-06-15
[6]
학술지
First- and Second-Order Conservative Remapping Schemes for Grids in Spherical Coordinates
[7]
학술지
Optimal Error Bounds for Cubic Spline Interpolation
1976
[8]
서적
Geometric Integration Theory
Dover Books on Mathematics
[9]
학술지
Conservative interpolation of edge and face data on n dimensional structured grids using differential forms
[10]
서적
Multirate Digital Signal Processing
Prentice-Hall
1983
[11]
서적
Interpolation of Operators
Academic Press
[12]
학술지
Barycentric Lagrange Interpolation
https://people.maths[...]
[13]
학술지
Some New Aspects of Rational Interpol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