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라해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라해면은 한국 바닷가에 흔하게 분포하는 보라색 해면으로, 조간대에서 그늘진 바위 밑이나 바위 옆에 이끼처럼 바위를 덮고 산다. 옅은 보라색 또는 짙은 보라색을 띠며, 몸 표면에는 대공이 열려 있다. 보라해면은 몸의 일부분을 이용해 재생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면동물 - 목욕해면
목욕해면(Spongia officinalis)은 지중해 등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분포하며, 고대부터 목욕 및 청소 용도로 사용되었고 현재는 세척 용도와 오락 목적으로 활용되는 해면 동물이다. - 해면동물 - 다골해면목
다골해면목은 해면동물문의 한 목으로, 깃해면아목, 도둑나팔해면아목, 끈적해면아목, 유령해면아목 등 여러 아목으로 나뉘며, Clathrinidae, Leucaltidae, Leucascidae, Leucettidae, Sycettidae 등의 과를 포함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보라해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Haliclona (Reniera) cinerea |
명명자 | (Grant, 1826) |
이명 | 본문 참조 |
생물 분류 | |
색 | 동물 |
계 | 동물계 |
문 | 해면동물문 |
강 | 보통해면강 |
목 | 단골해면목 |
과 | 고삐해면과 |
속 | 보라해면속 |
종 | 보라해면 (H. cinerea) |
2. 특징
보라해면은 한국 바닷가에 흔하게 분포하는 보라색 해면이다. 바닷물이 들락날락하는 조간대의 그늘진 곳에서 서식하며, 바위를 얇게 덮는 형태로 발견된다. 몸 표면에는 많은 관이 돌출되어 있고, 그 끝에는 대공이 열려있다. 골편은 양끝이 뾰족한 간상체이며, 해면질은 연하고 부드럽다. 몸의 일부를 떼어내어 특정 조건에서 배양하면, 세포들이 결합하고 분화하여 새로운 개체로 재생되는 독특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1]
2. 1. 형태 및 서식 환경
옅은 보라색 또는 짙은 보라색을 띠며, 바닷물이 들락날락하는 조간대에서 그늘진 바위 밑이나 바위 옆에 이끼처럼 바위를 얇게 덮어 싸고 산다.[1] 몸 표면에는 수많은 관이 얕게 또는 높게 돌출되어 있고, 그 끝에 대공이 열려 있다.[1] 대공의 지름은 2-5mm이고 골격을 이루는 골편은 양끝이 뾰족한 간상체로 이루어져 있다.[1] 해면질은 연하고 부드럽다.[1]2. 2. 생물학적 특성
골격은 양끝이 뾰족한 간상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해면질은 연하고 부드럽다.[1] 몸 표면에는 수많은 관이 얕게 또는 높게 돌출되어 있고, 그 끝에 대공이 열려 있다.[1] 대공의 지름은 2mm에서 5mm이다.[1]2. 3. 재생 과정
보라해면은 몸의 일부분을 따서 재생할 수 있다. 먼저 몸의 일부분을 비단으로 거른 후 Ca-Mg (칼슘-마그네슘)이 없는 바닷물에 넣고 조직을 으깬다. 그 후 정상적인 바닷물 속에서 배양하면, 세포들이 밑바닥에서 아메바처럼 움직여 서로 결합하여 큰 덩어리가 된다.[1]이후 이 덩어리들 중 원생 세포와 외층 세포가 모여 두 시간 후에는 하나의 공 모양이 된다. 그 후 편모실과 골편, 동정세포, 변형세포가 만들어지고 중앙에는 대공이 만들어진다. 며칠 뒤에는 한 개의 완전한 새 해면이 된다.[1]
3. 이명
학명 | 비고 |
---|---|
Adocia cinerea (Grant, 1826) | 속명 이동 |
Chalina flemingii Bowerbank, 1866 | 이명 및 속명 이동 |
Chalina montagui (Fleming, 1828) | 속명 이동, 이물동명 |
Halichondria cinerea (Grant, 1826) | 속명 이동 |
Halichondria montagui Fleming, 1828 | 속명 이동 및 이명 |
Haliclona (Haliclona) cinerea (Grant, 1826) | 아속명 이동 |
Haliclona cinerea (Grant, 1826) | 아속 할당 |
Haliclona montagui (Fleming, 1828) | |
Haliclona permollis (Bowerbank, 1866) | 이명 |
Isodictya bowerbanki Norman in Bowerbank, 1882 | 속명 이동 및 이명 |
Isodictya cinerea (Grant, 1826) | 속명 이동 |
Isodictya dichotoma Bowerbank, 1866 | 속명 이동 및 이명 |
Isodictya elegans Bowerbank, 1866 | 속명 이동 및 이명 |
Isodictya mammeata Bowerbank, 1866 | 속명 이동 및 이명 |
Isodictya peachii Bowerbank, 1866 | 속명 이동 및 이명 |
Isodictya permollis Bowerbank, 1866 | 속명 이동 및 이명 |
Isodictya ramusculus Bowerbank, 1866 | 속명 이동 및 이명 |
Isodictya simulo Bowerbank, 1866 | 속명 이동 및 이명 |
Isodictya varians Bowerbank, 1866 | 속명 이동 및 이명 |
Philotia varians (Bowerbank, 1866) | 속명 이동 및 이명 |
Reniclona permollis (Bowerbank, 1866) | |
Reniera cinerea (Grant, 1826) | 아속명 할당 및 상태 변경 |
Reniera elegans (Bowerbank, 1866) | |
Reniera peachi (Bowerbank, 1866) | |
Reniera permollis (Bowerbank, 1866) | |
Spongia cinerea Grant, 1826 | 속명 이동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