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욕해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목욕해면(Spongia officinalis)은 종 모양이나 덩어리 모양을 이루는 해면 동물로, 흑색 또는 흑갈색을 띠며 해면질 섬유로 골격이 형성되어 있다. 지중해를 비롯한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분포하며, 무성생식과 유성생식을 통해 번식한다. 고대부터 목욕 및 청소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세척 용도와 해면 페인팅 등 오락 목적으로 활용된다. 과도한 채취와 질병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양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해양 유기 오염을 줄이는 지속 가능한 방법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면동물 - 보라해면
보라해면은 한국 바닷가에 흔하게 분포하는 보라색 해면으로, 조간대 바위 밑이나 옆에 서식하며 몸의 일부분으로 재생이 가능하다. - 해면동물 - 다골해면목
다골해면목은 해면동물문의 한 목으로, 깃해면아목, 도둑나팔해면아목, 끈적해면아목, 유령해면아목 등 여러 아목으로 나뉘며, Clathrinidae, Leucaltidae, Leucascidae, Leucettidae, Sycettidae 등의 과를 포함한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목욕해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학명 | Spongia officinalis |
명명자 | Linnaeus, 1759 |
이명 | Euspongia officinalis (Linnaeus, 1759) Spongia adriatica Schmidt, 1862 Spongia (Spongia) officinalis Linnaeus, 1759 Spongia quarnerensis Schmidt, 1862 |
생물학적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해면동물문 |
강 | 보통해면강 |
목 | 망각해면목 |
과 | 목욕해면과 |
속 | 목욕해면속 |
특징 | |
용도 | 목욕용 스펀지 |
서식지 | 지중해 |
생식 | 유성생식, 자웅동체 |
먹이 | 박테리아 |
특징 | 여과 섭식, 오염된 바닷물 정화 |
기타 정보 | |
관련 연구 | http://dx.doi.org/10.1002/(sici)1099-0755(199909/10)9:5<485::aid-aqc362>3.0.co;2-n http://doi.wiley.com/10.1111/j.1439-0485.2009.00299.x http://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043135406003617 |
2. 특징
목욕해면은 다양한 모양을 가지며, 크기는 보통 지름 15cm에서 20cm 정도이다. 표면에는 작은 돌기가 많고, 바깥은 어두운 색을 띠지만 내부는 살색이며 구멍과 홈이 많다.
다른 해면동물과 달리 뼈 조각 같은 골편이 없고, 스폰진(spongin)이라는 단백질 섬유만으로 골격이 이루어져 있다. 이 섬유에는 간혹 작은 모래알 등이 포함되기도 한다.
가공하여 사무용품, 청소용품, 목욕용 수세미 등으로 쓰인다. 세계 각지의 수심 10m에서 30m 사이의 따뜻한 바다에 서식하며, 특히 지중해산이 품질이 가장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1. 해부학적 특징 및 형태
종 모양 또는 덩어리 모양으로 자라며, 지름은 15cm에서 20cm 정도이다. 덩어리지고 구형의 엽 형태로 자라기도 하며, 표면에는 작은 돌기와 미세한 구멍들이 있다.[2] 약간 솟아 있으며 원뿔 모양의 빈 공간인 소구(oscules)가 있다.[2] 바깥색은 옅은 회색에서 검은색[2] 또는 흑갈색을 띠며, 점성이 있는 살 모양이다. 내부는 살색이며 많은 구멍과 홈이 있다.출수공(oscula)은 흩어져 있거나 엽의 끝부분에 위치한다.[3]
일반적인 해면과 달리 골편이 없고, 스폰진(spongin)이라는 단백질로 이루어진 해면질 섬유만으로 골격이 구성되어 있다. 외골격은 1차 섬유와 2차 섬유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섬유들이 함께 소구 구멍을 형성한다.[3] 내골격은 2차 섬유가 만든 조밀하고 불규칙한 다각형 그물망과 여기에서 솟아나는 1차 섬유로 구성된다.[3] 1차 섬유는 직경 50~100 nm이며, 스폰진 외에도 작은 모래 알갱이나 다른 골편 조각 같은 외부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3] 2차 섬유는 직경 20~35 nm이며, 외부 물질 없이 순수한 스폰진으로만 이루어져 있다.[3]
3. 분포 및 서식지
목욕해면은 주로 지중해를 비롯하여 카리브해, 멕시코만, 홍해, 필리핀, 오키나와 등 전 세계의 열대 및 아열대 해저에 널리 분포한다.[15] 특히 지중해에서 생산되는 것이 질이 가장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역 | 세부 국가/해역 |
---|---|
지중해 연안 | 크로아티아, 그리스, 에게해 섬, 터키, 키프로스, 시리아, 이집트, 리비아, 튀니지, 이탈리아, 프랑스, 스페인 |
카리브해 | 플로리다, 바하마, 쿠바 등 |
기타 열대 및 아열대 해역 | 멕시코만, 홍해, 필리핀, 오키나와 |
이들은 주로 수심 1m에서 100m 사이의 얕은 해양 환경에 서식하며,[3][2] 산소가 풍부한 물이 있는 연안대의 바위 표면, 모래 바닥, 수직 벽 등 다양한 해저 환경에서 자란다.[2]
4. 생식
''Spongia officinalis''는 출아 또는 단편생식을 통해 무성생식을 할 수 있다.[8]
유성생식 또한 ''S. officinalis''에서 흔하게 일어난다.[8] 개체는 수컷 또는 암컷으로 성별이 나뉘는 자웅이체이거나, 암수 생식기를 모두 가지는 순차적 자웅동체일 수 있다. 순차적 자웅동체인 경우, 한 번의 생식 기간 동안 암컷과 수컷의 역할을 번갈아 할 수도 있다.[8] 정자는 정자 낭포에서 만들어져 주변 물속으로 자유롭게 산란된다.[8] 이렇게 퍼진 정자를 암컷이 포획하면, 정자는 암컷 해면 안에 있는 난모세포로 이동하여 수정이 이루어진다.[8] 유성 생식은 10월에서 11월 사이에 가장 활발하게 일어난다.[8] ''S. officinalis''는 나이와 생식 능력 사이에 특별한 관계는 없다.[8]
4. 1. 생활 주기
수정 후, ''S. officinalis'' 배아는 암컷 해면의 합포체 조직에서 발달한다.[8] 수정 후 대략 11월경에 세포의 난할이 시작되며, 이는 전할 및 등할이다.[8] 5월경에는 뚜렷한 중심 공동이 없는 포배인 스테레오블라스툴라가 형성된다.[8] 5월부터 7월까지 섬모 세포에 둘러싸인 세포 덩어리인 파렌키물라 유충이 발달한다.[8] 이 유충들은 6월에서 7월 사이에 성체로부터 방출된다.[8] 모든 해면 동물과 마찬가지로, ''S. officinalis'' 유충은 난황 영양형으로, 유충 상태에서는 먹이를 섭취할 수 없고 대신 어미가 제공하는 에너지 비축분에 의존한다.[10] 따라서 유충은 성체 해면으로 성장하는 저서대 표면에 정착하기 전, 짧은 기간 동안만 자유롭게 떠다니는 형태로 존재한다.[10]5. 분류
Spongia officinalis는 1759년 칼 폰 린네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다.[14] "목욕 해면", "피나 달마타", "마타파스"는 일반적으로 이 종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이름이다.[3]
6. 인간과의 관계
목욕해면은 오랜 시간 동안 인간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다. 고대 그리스에서 사용되기 시작하여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갔으며[3], 단순히 몸을 씻는 용도 외에도 로마 군인의 헬멧 완충재, 수술용 해면, 심지어 원시적인 피임 해면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었다.[3] 오늘날에도 목욕이나 청소 용품, 해면 페인팅과 같은 예술 및 오락 활동에 사용된다.[3]
지중해를 중심으로 고대부터 해면 어업이 이루어졌으며, 아리스토텔레스도 이에 대해 기록한 바 있다.[3] 전통적으로는 직접 잠수하여 채취했으나, 이후 잠수복이나 수중 호흡 장치와 같은 기술의 발달로 어업 방식이 변화해왔다.[3]
그러나 과잉 채취로 인해 목욕해면의 개체 수가 감소하면서 해면 양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3][11] 해면 양식은 자원을 보존하는 동시에, 해면의 여과 섭식 능력을 활용하여 해양 환경 정화에도 기여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3][2][11]
6. 1. 이용
목욕해면의 사용은 그리스에서 시작되어 중세 시대에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이후 해면의 사용은 더욱 확산되었으며, 현재 지중해산 목욕해면이 전 세계로 수출되고 있다.[3] ''S. officinalis''는 과거 인간에 의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세척 용도 외에도, 로마 군인 헬멧의 완충재, 수술 중 흡수재, 소화 문제에 도움을 주는 약품, 그리고 원시적인 "피임 해면" 등으로 사용되었다.[3]오늘날에도 해면은 주로 세척 용도로 사용되며, 해면 페인팅과 같은 오락 목적으로도 활용된다.[3] 또한 가공하여 사무용품, 청소용품, 목욕용 수세미 등으로도 쓰인다.
6. 2. 어업 방식
지중해에서의 해면 어업은 고대부터 행해져 왔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기원전 350년경에 이에 대해 기록하기도 했다.[3] 전통적으로 해면 어업은 표본을 채집하기 위해 수중으로 잠수하는 그리스인들에 의해 행해졌다.[3] 이러한 방식은 19세기 말까지 유지되었다.[3] 19세기 말에 새로운 잠수복이 발명되면서 해면 어업이 약간 증가했지만, 잠수복의 안전성이 좋지 않아 해면 어업의 인기는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1910년에서 1930년 사이에 수중 호흡 장치가 개발되었고, 그 이후 이 방식의 해면 어업은 지속적으로 인기를 얻게 되었다.[3]해면은 해변으로 떠밀려온 것을 수집하거나, 배에서 낚아 올리는 방식으로도 채취할 수 있다.[3]
6. 3. 양식
목욕해면(''Spongia officinalis'') 개체 수가 과잉 채취로 인해 감소하면서 해면 양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3][11] 19세기 말, 해면 조각을 나무 상자에 고정하여 적합한 서식지에 두는 방식으로 지중해에서 최초의 해면 양식 시도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시도는 성공적이었지만, 20세기 말까지 해면 양식 활동은 크게 활발하지 않았으며,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수행되고 있다.[3]해면 양식은 ''S. officinalis'' 개체군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줄일 뿐만 아니라, 해면이 여과 섭식 생물로서 물속의 유기 부유 입자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때문에 해양 유기 오염을 줄이는 지속 가능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3][2][11] 이러한 이유로, 해면 양식은 어류 양식과 결합하여 양식장의 유기 오염을 줄이는 방법으로 권장되고 있다.[3][2][12][13]

7. 보존 상태
과도한 채취와 해면 질병으로 인해 지중해산 ''S. officinalis'' 개체군이 감소했다.[3][2][11] 사람들은 고대부터 지중해에서 해면을 채취해왔다.[2] 증가하는 수요는 이러한 해면의 과도한 채취를 초래했다. 1980년대부터 지중해의 ''S. officinalis'' 개체군은 현저하게 감소했다.[2] 이 외에도 병원성 박테리아와 곰팡이에 의해 발생하는 해면 질병이 개체군을 더욱 감소시켰다.[2] 박테리아와 곰팡이는 해면의 조직과 섬유를 파괴하여 해면을 약하게 만든다.[2] 이러한 해면의 재생 능력으로 인해 감염된 조직을 분리하고 회복할 수 있다.[2] 그러나 질병의 영향이 과도한 채취의 영향과 복합적으로 작용할 때, 개체군은 회복에 어려움을 겪고 지역 멸종이 발생했다.[3][2]
참조
[1]
간행물
Systema naturæ per regna tria naturæ,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Tomus II. Editio decima, reformata
L. Salvii
1759
[2]
논문
Sponge-fishing, disease and farming in the Mediterranean Sea
http://dx.doi.org/10[...]
1999
[3]
논문
Mediterranean commercial sponges: over 5000 years of natural history and cultural heritage
2008
[4]
간행물
A guide to the sponges of Eastern North America
University of Miami Press
1953
[5]
서적
Esponjas en manglares del Parque Nacional Morrocoy
https://openlibrary.[...]
Fondo Editorial Acta Científica Venezolana
1985
[6]
간행물
Family Spongiidae Gray, 1867
2002
[7]
간행물
Sponges (Porifera) of the Gulf of Mexico
2009
[8]
논문
Sexual reproduction, larval development and release in Spongia officinalis L. (Porifera, Demospongiae) from the Apulian coast
https://doi.org/10.1[...]
2007-09-01
[9]
서적
Diccionario Monográfico del Reino Animal
Bibliograf
1980
[10]
논문
Some Like It Fat: Comparative Ultrastructure of the Embryo in Two Demosponges of the Genus Mycale (Order Poecilosclerida) from Antarctica and the Caribbean
2015-03-18
[11]
논문
Transplantation of Spongia officinalis L. (Porifera, Demospongiae): a technical approach for restocking this endangered species
http://doi.wiley.com[...]
2010
[12]
논문
Filtering activity of Spongia officinalis var. adriatica (Schmidt) (Porifera, Demospongiae) on bacterioplankton: Implications for bioremediation of polluted seawater
http://www.sciencedi[...]
2006-09-01
[13]
논문
Aquatic zooremediation: deploying animals to remediate contaminated aquatic environments
http://www.sciencedi[...]
2007-02-01
[14]
서적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Vol. 1, pt. 7
https://archive.hshs[...]
Lugduni : Apud J. B. Delamolliere
1789
[15]
웹사이트
モクヨクカイメン
https://kids.gakke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