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자도르곶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자도르곶은 서아프리카 사하라 사막 해안에 위치한 곶으로, 1434년 포르투갈의 항해사 질 이아네스가 이곳의 항해 가능한 항로를 발견하면서 유럽의 아프리카 및 인도 탐험에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거친 해상 환경으로 인해 과거에는 난파 사고가 잦았으며, 20세기 초 페르난두 페소아의 작품을 통해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받기도 했다. 현재는 스페인과 모로코 간의 영유권 분쟁 지역이며, 난민 유입과 관련된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리카의 곶 - 베르데곶
베르데 곶은 아프리카 서쪽 해안에 위치한 곶으로, 카보베르데 제도와 같은 포르투갈어 명칭을 사용해 지명 혼동을 일으킬 수 있다. - 서사하라의 지리 - 사하라 사막
사하라 사막은 아프리카 대륙 북부에 위치한 세계 최대의 열대 사막으로, 11개국에 걸쳐 약 900만 제곱킬로미터에 달하며, 암석 고원과 모래 언덕으로 이루어져 극도로 건조하고 일교차가 큰 기후를 보이며, 석유 등 자원이 매장되어 있고 사막화가 진행 중이다. - 서사하라의 지리 - 겔밈에스스마라 지방
겔밈에스스마라 지방은 모로코의 지방으로, 서사하라의 일부를 포함하며, 수스마사드라 지방, 라유운부두르사키아엘함라 지방, 알제리의 틴두프 주와 경계를 이루고, 겔밈, 탄탄, 에스 스마라, 타타 등의 도시를 포함하며, 드라 강이 흐른다.
보자도르곶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리 정보 | |
좌표 | 북위 26° 08' 서경 14° 30' |
일반 정보 | |
공식 명칭 | 부자도르 곶 |
로마자 표기 | Bojadoreu Ggot |
행정 구역 | |
관할 국가 | 모로코 (실질적 지배) 서사하라 (영유권 주장) |
영유권 주장 | 모로코 사흐라위 아랍 민주 공화국 |
인구 통계 | |
2014년 총인구 | 42,651명 |
2. 역사적 의의
1434년 포르투갈의 항해사 질 이아네스가 보자도르곶 주변의 항해 가능한 항로를 발견한 것은 유럽 탐험가와 무역상들이 아프리카, 그리고 나중에는 인도에 가는 데 있어 획기적인 사건으로 여겨졌다. 이아네스는 항해 왕자 엔히크의 명령에 따라 항해에 성공하기 전까지 여러 번의 실패를 경험했다.
이곳은 1815년 8월에 지브롤터에서 카보베르데 섬으로 항해하던 중 난파된 미국 제임스 라일리 선장과 Commerce호 선원들이 난파된 곳으로 여겨지며, 이 비극은 딘 킹의 저서 ''자하라의 해골''(Skeletons on the Zahara)에 묘사되어 있다.
2. 1. 유럽 탐험의 이정표
1434년 포르투갈의 항해사 질 이아네스가 보자도르곶 주변의 항해 가능한 항로를 발견한 것은 유럽 탐험가와 무역상들이 아프리카, 그리고 나중에는 인도에 가는 데 있어 획기적인 사건으로 여겨졌다. 이아네스는 1433년에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항해 왕자 엔히크의 명령에 따라 다시 시도하여 두 번째 탐험에서 성공했다.거친 바다로 인해 이 곶을 지나가려다 사라진 수많은 유럽 선박들 때문에, 일부 사람들은 바다 괴물의 존재를 암시하기도 했다. 포르투갈에게 곶이 가지는 신화적 중요성은 페르난두 페소아의 20세기 초 작품 "메사젱"(Mensagem)에 잘 나타나 있다. 이 장시에서 페소아는 포르투갈의 탐험이 국가에 가져온 막대한 희생을 묘사했다. 보자도르곶을 돌아가는 것이 국가에 갖는 상징적 중요성을 담아, 페소아는 "보자도르곶 너머로 가고 싶어하는 자는 고통 너머로 가야 한다."("Quem quer passar além do Bojador / Tem que passar além da dor.")라고 썼다. 사람들은 보자도르곶 너머의 바다가 불타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엔히크의 사람들이 그곳을 지나갔다.
곶이 끔찍한 평판을 얻게 된 이유는 지도를 보면 쉽게 알 수 없는데, 지도는 해안선의 약간 튀어나온 부분의 남서쪽 끝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북동쪽으로 10해리 떨어진 곳에 카보 파우소 보자도르가 있다. 그러나 이 지역의 ''항해사 조류도''를 살펴보면, 주요 문제는 보자도르곶을 따라 해안을 따라 항해할 때 발생하는 바람의 변화에 있다는 것이 명확해진다. 이곳에서 모든 계절에 북동풍이 강하게 불기 시작한다. 해안을 따라 반 노트의 해류와 함께, 이러한 조건은 해안 가까이 항해하는 데 익숙하고 앞에 무엇이 있는지 알지 못하는 중세 항해사에게 자연스럽게 경고를 주었을 것이다. 결국 바다로 멀리 항해하면—육지에서 멀리 떨어져—더 유리한 바람을 잡을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곳은 1815년 8월에 지브롤터에서 카보베르데 섬으로 항해하던 중 난파된 미국 제임스 라일리 선장과 Commerce호 선원들이 난파된 곳으로 여겨진다. 이 비극은 딘 킹의 저서 ''자하라의 해골''(Skeletons on the Zahara)에 묘사되어 있다. 킹은 서사하라의 모든 해안 지도는 사하라의 혹독한 환경으로 인해 끊임없이 변화하는 지형 때문에 부정확하다고 보고한다. 또한 보자도르곶 주변의 수심이 속임수처럼 얕고, 물 밑의 모래 색깔이 "무서운 광경"이라고 언급한다. 곶은 Commerce호가 난파되기 전에도 항해사들 사이에서 무서운 평판을 얻고 있었는데, 1790년에서 1806년 사이에 최소 30건의 난파 사고가 있었다.[7]

선원들의 공포는 그들이 본 것에 근거했으며, 당시 선원들이 목격한 현상은 오늘날에도 볼 수 있다. 모든 배는 사고를 피하기 위해 넓은 정박지를 확보한다. 보자도르곶과 그 주변 해안은 수중 암초 형태로 바다로 뻗어 있으며, 보이지 않는 협곡에 부딪힌 후 파도가 부서질 때, 잔잔한 날에도 김처럼 보이는 높은 거품 구름으로 물이 격렬하게 솟아오른다. 곶 앞바다와 해안에서 약 3마일 이내의 바다는 수심이 약 1.83m를 넘지 않는다. 그곳에는 물고기가 풍부하고, 정어리 떼가 큰 물고기가 먹이를 먹는 시간에 수면으로 올라온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면, 바다는 끓는 것처럼 격렬하게 부글거리고, 멀리서 보면 물고기가 꼬리를 톡톡 쳐서 내는 쉬하는 소리가 물이 끓는 듯한 인상을 더한다. 사막에서 불어오는 게으른 바람에 실려 오는 엄청난 열기는 극심한 온도에 대한 인상을 높이며, 사막 먼지는 신비로운 어둠을 만들어낸다. 심지어 철 성분이 많은 바위는 나침반 바늘을 제멋대로 돌게 한다.[8]
2004년에도 영국의 영국 해군 간행물 ''Africa Pilot''은 보자도르곶 주변 해안선의 해상 지도가 "정확하지 않다"고 경고했다.[9]
2. 2. 지리적, 환경적 특징
질 이아네스가 발견한 보자도르곶 주변의 항해 가능한 항로는 유럽 탐험가와 무역상들이 아프리카와 인도로 가는 데 있어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그러나 보자도르곶은 과거 수많은 유럽 선박들이 이곳을 지나가려다 사라지면서 바다 괴물이 존재한다는 암시가 있을 정도로 선원들에게 공포의 대상이었다.곶이 끔찍한 평판을 얻게 된 이유는 지도상으로는 잘 드러나지 않지만, 실제로는 다음과 같은 지리적, 환경적 특징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 해안 지형:
- 카보 파우소 보자도르는 몇 개의 높은 모래 언덕으로 이루어져 있다.
- 곶에서 북쪽으로 최대 5km까지 4.8m 이상의 최소 수심을 가진 암초가 뻗어 있다.
- 곶에서 서쪽으로 약 3.2km 떨어진 곳에 8m 이상의 최소 수심을 가진 암반 지대가 있다.
- 카보 파우소 보자도르와 카보 보자도르 사이의 해안선(남서쪽으로 16km)은 바위로 둘러싸인 모래 해변이며, 내륙으로 약 0.8km 떨어진 곳에 모래 언덕 위에 덤불이 있다.
- 카보 보자도르는 매우 낮은 지점으로, 카보 파우소 보자도르에서 남서쪽으로 15km 떨어져 있으며, 남쪽에는 검은색 바위가 있다.
- 북쪽에서 보면 곶은 바다를 향해 점차 경사지는 붉은 모래 덩어리로 보인다.
- 서쪽에서 보면 곶을 식별하기 어렵지만, 남쪽에서 보면 곶의 끝부분은 잔잔한 날씨에도 파도가 부서지는 얕은 암초로 나타난다.
- 바람과 해류:
- 보자도르곶을 따라 해안을 항해할 때 발생하는 바람의 변화가 주요 문제이다.
- 이곳에서는 모든 계절에 북동풍이 강하게 불며, 해안을 따라 0.5노트의 해류가 발생한다.
- 이러한 조건은 해안 가까이 항해하는 데 익숙한 중세 항해사들에게 경고를 주었을 것이다.
- 결국 바다로 멀리 항해하여 육지에서 멀리 떨어져야 더 유리한 바람을 잡을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 수중 환경:
- 보자도르곶 주변의 수심은 얕고, 물 밑의 모래 색깔은 "무서운 광경"을 연출한다.[7]
- 곶 앞바다와 해안에서 약 4.8km 이내의 바다는 수심이 약 1.8m를 넘지 않는다.
- 수중 암초에 부딪힌 파도가 부서지면서 잔잔한 날에도 높은 거품 구름이 솟아오른다.
- 정어리 떼가 수면으로 올라오면 바다가 끓는 것처럼 격렬하게 부글거린다.
- 기타 환경:
- 사막에서 불어오는 뜨거운 바람은 극심한 온도에 대한 인상을 높인다.
- 사막 먼지는 신비로운 어둠을 만들어낸다.
- 철 성분이 많은 바위는 나침반 바늘을 제멋대로 돌게 한다.[8]
이러한 지리적, 환경적 특징으로 인해 보자도르곶은 선원들에게 공포의 대상이 되었으며, 2004년에도 영국 해군 간행물 ''Africa Pilot''은 보자도르곶 주변 해안선의 해상 지도가 "정확하지 않다"고 경고했다.[9]
3. 생태학적 중요성
스페인의 서아프리카 사막 해안에 대한 관심은 스페인 어부들이 카나리아 제도에서 수행한 어업 활동의 결과였다.
스페인 어부들은 1500년부터 현재까지 사하라 해안에서 모피 무역상, 사냥꾼, 어부, 고래잡이 어부로 활동했으며, 보자도르곶, 다클라, 라스 누아디부에 여러 거점을 두고 있었다.[10] 이들은 아프리카 서해안에서 혹등고래와 고래 새끼를 사냥했으며, 주로 카보베르데와 안노봉, 상투메 프린시페 제도에서는 1940년까지 이 활동이 이어졌다.[11] 이러한 어업 활동은 야생 동물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많은 종, 특히 해양 포유류와 조류의 멸종 또는 멸종 위기를 초래했다.[10][11] 지중해몽크바다표범(''Monachus monachus'')의 이전 서식 범위는 아프리카 북서 대서양 해안과 지중해 및 흑해 해안선을 따라 뻗어 있었으며, 지중해의 모든 섬과 카나리아 제도, 마데이라, 데제르타스 제도, 포르투 산투, 그리고 서쪽으로 아조레스 제도까지의 대서양 섬을 포함했다. 떠돌이 개체는 감비아와 카보베르데 제도에서 남쪽으로, 포르투갈 본토와 대서양 프랑스에서 북쪽으로 발견될 수 있었다.[12]
4. 현대적 상황
보자도르곶은 현재 모로코와 폴리사리오 전선 간의 분쟁 지역이며,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선포와 관련된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또한, 이 지역은 난민 문제와도 관련이 깊다. 알제리의 틴두프 지역에는 보자도르 곶의 이름을 딴 보야도르 다이라 난민 캠프가 있으며, 2015년에는 이주민들의 익사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14][15]
4. 1. 영유권 분쟁
1885년, 스페인은 원래 카프 블랑 인근 북위 20° 51'에서 보자도르 곶 인근 북위 26° 8'까지의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했다. 이 지역은 1887년 카나리아 제도에서 통치되는 보호령이 되었다. 이후 프랑스는 서사하라를 주장하게 된다. 이 경계는 1900년 프랑스-스페인 공동 협약으로 결정되었으며, 스페인령 사하라와 프랑스령 서아프리카 사이의 지역을 분할했다.[13]스페인은 1884년, 보자도르 곶에서 훨씬 남쪽인 카프 블랑에서 북쪽으로 약 200km 지점까지의 해안 지역에 대한 보호령을 주장했다. 1975년, 마드리드 협정 이후 스페인이 철수하면서 모로코는 해당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얻으려 했고, 이는 모로코와 1976년 2월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을 선포한 단체인 폴리사리오 전선 간의 분쟁으로 이어졌다. 2016년 1월, 카나리아 테러 희생자 협회(ACAVITE)는 폴리사리오 전선을 상대로 "반인도적 범죄"를 저지른 혐의로 소송을 제기할 의사를 밝혔다.[14]
알제리의 틴두프 지역에는 사하라위 난민 캠프인 보야도르 다이라가 있으며, 이는 보자도르 곶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015년 12월, 익사한 이주민 11명의 시신이 보자도르 곶에서 147km 떨어진 해상에서 발견되었다. 그 달 초, 스페인 해안 경비대는 그란 카나리아 해안에서 보트를 타고 있던 아프리카 이주민 47명을 구조했다.[15]
4. 2. 난민 문제
스페인은 1884년, 보자도르곶에서 훨씬 남쪽인 카프 블랑에서 북쪽으로 약 200km 지점까지의 해안 지역에 대한 보호령을 주장했다. 1975년 마드리드 협정 이후 스페인이 철수하면서 모로코는 해당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얻으려 했고, 이는 모로코와 1976년 2월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을 선포한 폴리사리오 전선 간의 분쟁으로 이어졌다.[14] 2016년 1월, 카나리아 테러 희생자 협회(ACAVITE)는 폴리사리오 전선을 상대로 "반인도적 범죄"를 저지른 혐의로 소송을 제기할 의사를 밝혔다.[14]알제리 틴두프 지역에는 보자도르곶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사하라위 난민 캠프인 보야도르 다이라가 있다.
2015년 12월, 보자도르곶에서 147km 떨어진 해상에서 익사한 이주민 11명의 시신이 발견되었다. 같은 달 초, 스페인 해안 경비대는 그란 카나리아 해안에서 보트를 타고 있던 아프리카 이주민 47명을 구조했다.[15]
참조
[1]
웹사이트
Western Sahara: Provinces & Urban Communes – Population Statistics, Maps, Charts, Weather and Web Information
http://citypopulatio[...]
[2]
웹사이트
Western Sahara: Provinces & Urban Communes – Population Statistics, Maps, Charts, Weather and Web Information
http://citypopulatio[...]
[3]
Britannica
Cape Bojador, Cape, Africa
https://www.britanni[...]
2016-03-21
[4]
NPR
How Not To Sell A Mercedes In Africa
https://www.npr.org/[...]
2016-03-21
[5]
간행물
Central Atlantic margin basins of North West Africa: geology and hydrocarbon potential (Morocco to Guinea).
2005
[6]
간행물
The Question of Sovereignty in the Western Sahara Conflict.
2008
[7]
서적
Skeletons on the Zahara: A True Story of Survival
Little, Brown, and Company
2004
[8]
서적
Portugal's Golden Years, The Life and Times of Prince Henry "The Navigator"
Dorrance Publishing Co, Inc
[9]
National Geographic
The Cruelest Journey
http://www.nationalg[...]
2016-03-21
[10]
웹사이트
FIS – Noticias en Breve – La flota de arrastre del Golfo de Cádiz vuelve este martes a faenar tras 45 días de parada biológica –
http://fis.com/fis/w[...]
2016-10-24
[11]
문서
Actividad Flota
http://sahara-news.w[...]
[12]
iucn
Monachus monachus (Mediterranean Monk Seal)
https://www.iucnredl[...]
2012-12-30
[13]
웹사이트
International Boundary Study, Algeria-Western Sahara 1968
http://www.law.fsu.e[...]
2012-03-24
[14]
뉴스
Spanish Association to Sue Polisario for 'Crimes Against Humanity'
http://www.moroccowo[...]
2016-03-21
[15]
뉴스
"11 African migrants drown trying to reach Canary Islands by boat"
http://elpais.com/el[...]
2016-03-21
[16]
웹인용
Western Sahara - largest cities (per geographical entity)
http://www.world-gaz[...]
World Gazetteer
2006-08-24
[17]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