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봉의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봉의산은 춘천분지 중앙에 위치한 해발고도 301.5m의 잔구로, 춘천의 진산이다. 산 정상에는 봉수대가 있고, 산의 8부 능선에는 봉의산성이 있다. 산의 모습이 봉황이 날개를 펴고 있는 듯하다는 전설에서 유래되었으며, 춘천시 퇴계동과 온의동에서 보면 봉황새가 알을 품고 있는 형상에서 유래되었다는 설도 전해진다. 삼운사, 용봉사 등의 불교 유적이 있으며, 삼운사는 템플스테이로 알려져 있다. 주변에는 한림대학교, 강원도청, 춘천시청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춘천시의 지리 - 남이섬
    남이섬은 청평댐 건설로 생긴 북한강의 내륙 섬으로, 남이 장군의 묘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드라마 겨울연가 성공 후 아시아권 관광객이 급증하여 대표적인 관광 명소가 되었다.
  • 춘천시의 지리 - 소양호
    소양호는 1973년 소양강댐 건설로 형성된 대한민국 최대의 댐 호수로, 춘천시, 양구군, 인제군에 걸쳐 있으며 "내륙의 바다"라고도 불리고, 청평사 등의 명승지와 유람선, 낚시, 빙어 낚시로 유명하지만, 수질 관리, 쓰레기 섬, 가뭄, 녹조 등의 환경 문제와 사고도 발생했다.
  • 강원도의 산 - 치악산
    치악산은 강원도 원주시, 횡성군, 영월군에 걸쳐 있는 해발 1,288m의 비로봉을 주봉으로 하는 산으로, '은혜 갚은 꿩' 설화와 관련된 명칭, 비로봉 정상의 돌탑, 다양한 등산로, 총 길이 139.2km의 둘레길, 그리고 약 20억 년 전에 퇴적된 치악산 편마암 분포가 특징이다.
  • 강원도의 산 - 금강산
    금강산은 한반도에서 아름다운 산으로, 계절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불리며 내금강, 외금강, 해금강으로 나뉘어 독특한 경관을 자랑했으나, 금강산 관광은 중단된 후 재개가 불투명하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산 - 치악산
    치악산은 강원도 원주시, 횡성군, 영월군에 걸쳐 있는 해발 1,288m의 비로봉을 주봉으로 하는 산으로, '은혜 갚은 꿩' 설화와 관련된 명칭, 비로봉 정상의 돌탑, 다양한 등산로, 총 길이 139.2km의 둘레길, 그리고 약 20억 년 전에 퇴적된 치악산 편마암 분포가 특징이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산 - 금강산
    금강산은 한반도에서 아름다운 산으로, 계절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불리며 내금강, 외금강, 해금강으로 나뉘어 독특한 경관을 자랑했으나, 금강산 관광은 중단된 후 재개가 불투명하다.
봉의산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봉의산 자락의 소양정
봉의산 자락의 소양정
다른 이름봉산
위치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소양동
지리
높이301.5
정보

2. 위치

춘천의 진산(鎭山)으로 알려진 봉의산은 춘천 분지 중앙에 우뚝 솟아 있는 잔구(殘丘)이다. 해발고도는 301.5m이다.

봉의산이 자리한 춘천 분지는 타원형 모양을 하고 있으며, 주변은 다음과 같은 산들로 둘러싸여 있다.

방향산 이름해발고도
북쪽오봉산779m
서쪽삼악산654m
동쪽대룡산899.4m
남쪽금병산652.2m



분지 안으로는 북한강소양강이 흐르며, 이 강들을 따라 넓은 충적지가 형성되어 있다. 과거 의암댐 건설로 인해 일부 충적지가 물에 잠기기도 했지만, 소양강 북쪽 기슭의 우두벌이나 의암호에 있는 중도와 같이 넓은 충적지가 여전히 남아 있다.

산 정상에는 봉수대가 위치하고 있으며, 산의 8부 능선쯤에는 가파른 지형을 활용하여 쌓은 봉의산성이 있다. 또한, 산의 북쪽 산마루에는 소양정이 자리하고 있고, 산중턱에서는 석기 시대동굴 유적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3. 지명 유래

산의 모습이 마치 상서로운 봉황(鳳凰)이 날개를 펴고 위의(威儀)[1]를 갖춘 듯한 모습이라는 전설과, 산의 형상이 현재의 춘천시 퇴계동 및 온의동 방면에서 보았을 때 봉황새가 알을 품고 있는 듯한 형상이라는 설에서 유래하였다.

4. 역사

봉의산에는 선사 시대인 석기시대의 동굴유적이 남아 있어 오랜 역사를 짐작하게 한다. 또한 산의 지형을 이용해 축성된 산성인 봉의산성과 북쪽 산마루에 자리한 정자소양정 등 역사적 건축물들이 위치하고 있다.

4. 1. 봉의산성

봉의산의 8부 능선에 위치하며, 가파른 지형을 이용하여 축성한 산성이다.

4. 2. 소양정

봉의산 북쪽 산마루에 있는 정자이다.

4. 3. 석기시대 동굴 유적

산중턱에는 석기시대의 동굴유적이 있다.

5. 불교 유적

봉의산에는 삼운사, 용봉사 등 불교 유적이 자리하고 있다.

5. 1. 삼운사

대한불교천태종 구인사의 말사로, 춘천의 봉의산 아래에 자리하고 있다.[2] 강원지역의 템플스테이로 알려져 있으며[2], 바로 옆에는 한림대학교가 자리잡고 있고 아래로는 강원도청, 춘천시청이 위치한다.[2]

5. 2. 용봉사

신사 마을에 위치했던 절로, 어느 날 풍수지리에 밝은 스님 한 분이 이곳을 지나다가 좋은 터라 여기고 절을 지어 용봉사라 이름지었다고 전해진다.

6. 주변 환경

봉의산 아래에는 삼운사가 자리하고 있다.[2] 바로 옆에는 한림대학교가 있으며, 산 아래쪽으로는 강원도청과 춘천시청이 위치한다. 인근 신북읍 봉의리에는 중앙에 관제 저수지가 있으며, 영동, 사산, 신사 등의 자연마을이 있다. 신사 마을에는 풍수지리 설화와 관련된 용봉사라는 절이 있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참조

[1] 문서 위의(威儀, 산스크리티어로 īryāpatha)는 위엄이 있는 의용(儀容), 엄숙한 몸차림, 예법에 맞는 몸가짐, 모든 행위가 규칙에 맞고 방정하여 숭배할 생각이 일어나게 하는 태도, 웅장하고 장엄한 의식, 불교에서 계율의 다른 말이다. 한자로 해석하는 위의(威儀)는 불교제존(諸尊)의 자세, 의용(儀容). 소위 행왕좌와(行往坐臥)의 상용(像答)을 일컬음. 행은 행보(行步)로 경행(經行)이나 그밖의 보행의 자세이고, 와는 열반불에서 보는 누운 자세.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왕(서있는 자세,sthāha)과 좌 2종의 자세가 있으며 각각에 변화가 있다. 입상(立像)에서는 예배상의 주존(主尊)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직립(直立, samabhanga) 또는 등족립(等足立), 협시상(脇侍像)에 많은 3굴입(三屈立, tribhanga), 명왕(明王)에 있어서의 전우(殿右, ālīdha) · 전좌(展左, pratayālīdha), 힌두교 시바의 무도세(舞蹈努, nātyālīdha) 등이며 또 좌세에서는 결가부좌(結跏趺坐) 이하 여러 좌법이 있다. 특히 이외에 공중을 비행하거나 유영(游泳)하는 공양보살(供養菩薩)과 비천의 자세도 있다. 미술대사전(용어편), 위의(威儀) , 한국사전연구사(1998년 편찬)
[2] 뉴스 바라무·용채보 등 독특한 체험 법보신문 2018-0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