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잔구는 주변 지형보다 높이 솟아 있는 고립된 언덕 또는 산을 의미하며, 다양한 기후대에서 발견된다. 독일어 '인젤베르크'에서 유래된 용어로, 지질학적 특징과 형성 과정에 따라 여러 명칭으로 불린다. 잔구는 침식에 강한 암석이 남아 형성되며, 화강암, 편마암, 반려암 등으로 구성된다.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등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생물 다양성의 피난처 역할을 하기도 한다. 울룰루, 데빌스 타워, 모나드녹 산 등이 주요 잔구에 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침식지형 - 해변
해변은 파도와 해류가 퇴적시킨 부유물, 연안 암석 침식물, 산호초 잔해 등으로 형성된 지형으로, 계절과 파도에 따라 모양이 변하며 다양한 색을 띠고 독특한 생태계를 유지하며 인간 활동에 의한 침식과 오염 문제가 논의된다. - 침식지형 - 골짜기
골짜기는 침식, 빙하 작용, 지각 변동 등으로 형성되는 지형으로, V자형, U자형, 열곡 등 다양한 형태를 보이며 인류 문명 발상지, 농업 발달, 관광 등 인간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 지질학 용어 - 단층
단층은 지각 변동으로 암석이 끊어져 어긋난 구조로, 전단력에 의해 형성되며, 지진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고 다양한 자연재해와 사회적 문제를 유발하며, ESR, OSL 연대측정법 등으로 연구된다. - 지질학 용어 - 조산 운동
조산 운동은 지각 변동으로 산맥이 형성되는 과정을 의미하며, 판 구조론에 기반하여 섭입, 대륙 충돌 등의 요인으로 발생하고, 윌슨 순환을 통해 해양 분지의 열림과 닫힘, 산맥 형성, 침식 과정을 거쳐 전 세계 지질 구조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잔구 | |
---|---|
지리 정보 | |
개요 | |
정의 | 평탄한 지형 위에 고립되어 솟아오른 가파른 암석 언덕 |
특징 | 주변보다 뚜렷하게 솟아 있으며, 고립된 형태로 존재 |
형성 과정 | 차별 침식: 주변 암석보다 침식에 강한 암석이 남아 형성 지각 융기: 지각 변동으로 인해 주변 지형이 낮아지면서 형성 |
지질학적 특징 | |
구성 암석 | 화강암 (주로 인젤베르크에서 발견되는 암석) |
침식 저항력 | 주변 암석에 비해 침식에 강한 암석으로 구성 |
형태 | 가파른 경사면과 둥근 정상 |
분포 지역 | |
주요 지역 |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호주 유럽 일부 지역 북미 일부 지역 인도 |
잔구(残丘)와의 관계 | |
잔구와의 유사점 | 침식에 의해 형성되는 지형 주변 지형보다 높게 솟아오른 형태 |
잔구와의 차이점 | 인젤베르크: 고립된 형태, 가파른 경사면, 둥근 정상 잔구: 주변 지형과 연결된 형태, 완만한 경사 |
문화적 의미 | |
신화 및 전설 | 일부 문화권에서는 신성한 장소로 여겨짐 |
관련 용어 | |
독일어 | 인젤베르크 (Inselberg) |
영어 | 모나드녹 (Monadnock) |
2. 명칭
잔구는 지역 및 언어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모나드녹과 인젤베르크는 뜻이 완전히 같지 않을 수도 있지만,[4] 일부 학자들은 두 용어가 완전히 같다고 주장하기도 한다.[5]
아프리카 남부와 중부에서는 이와 비슷한 형태의 화강암 언덕을 코피에(koppies)라고 부른다.[36]
2. 1. 인젤베르크 (Inselberg)
Inselberg|인젤베르크de는 독일어에서 온 차용어로, '섬 산'이라는 뜻이다. 이 용어는 1900년 지질학자 빌헬름 본하르트(1864~1946)가 동아프리카에서 발견되는 이러한 지형을 설명하기 위해 만들었다.[3] 당시에는 이 용어가 건조한 지형의 특징에만 적용되었으나, 이후 더 넓은 지리적 범위와 다양한 암석 지형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면서, 이 용어의 정확한 정의에 대한 혼란이 야기되었다.1973년 연구에 따르면 이 용어는 사바나 기후에서 40%, 건조 또는 반건조 기후에서 32%, 습윤 아열대 및 극지방에서 12%, 습윤 열대 및 지중해 기후에서 각각 6% 사용되었다. 1972년 논문에서는 인젤베르크를 "비교적 완만하게 경사진 지면 위로 상대적으로 급격하게 솟아오른 급경사의 고립된 언덕"으로 정의했다. 이 정의에는 뷰트(butte)(주로 건조 지역에서 발견되는 직선형 측면을 가진 원추형 언덕), 레골리스(regolith)로 덮인 오목-볼록 언덕, 레골리스 경사면 위의 암석 능선, 거의 수직인 측면을 가진 암석 돔, 큰 바위로 이루어져 있지만 단단한 암석 코어를 가진 토르(코피, koppies)와 같은 지형이 포함된다. 따라서 모나드녹(monadnock)과 인젤베르크라는 용어는 완벽하게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4] 하지만 일부 저자들은 이 용어들이 완전히 동의어라고 명시적으로 주장하기도 했다.[5]
세계적으로는 인젤베르크(inselberg|인젤베르크de)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이는 "섬 모양의 산(섬과 같은 형태를 한 산)"을 의미하며, 아프리카 남부에서 유사한 지형을 다수 발견한 것을 바탕으로 빌헬름 본하르트가 1900년에 제창하였다.[34] 다만, 인젤베르크는 건조대에서 현저한 지형을 가리켜 명명된 것이며, 모나드녹과는 정의가 약간 다르다. 1972년에는 "완만한 경사를 가진 주변 지형에서 솟아오른, 급한 경사를 가진 언덕"으로 정의되었으며, 뷰트를 포함한다.[35]
2. 2. 모나드녹 (Monadnock)
모나드녹(Monadnock)은 주변 지역보다 높이 솟아 있는 외딴 산이나 고립된 언덕을 가리키는 아베나키어(Abenaki language)에서 유래한 용어로, 일반적으로 침식을 견뎌낸 산을 의미한다. 지질학자들은 뉴햄프셔주 남서부의 모나드녹 산(Mount Monadnock)에서 이 이름을 따왔다.[6] menonadenakabe('매끄러운 산') 또는 menadenaabe('고립된 산')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7] 이러한 맥락에서 '모나드녹'은 비교적 평평하거나 낮은 지형에서 솟아오른 산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모나드녹 산은 주변 지형보다 610m 높이 솟아 있으며, 965m의 높이로, 약 48km 이내의 어떤 산봉우리보다 거의 300m 더 높다.[8]북미에서 사용되는 "모나드노크(monadnock)"는 뉴햄프셔주 남부의 모나드녹 산에서 유래하여 지질학자들이 사용하기 시작한 용어이다.[32] 모나드녹 산 자체는 아베나키족의 언어로 '평평한 산'(menonadenak) 또는 '고립된 산'(menadena)을 의미한다.[33]
2. 3. 코피에 (Kopje)
남아프리카와 중앙아프리카에서는 이와 비슷한 형태의 화강암 언덕을 코피에(kopjenl)라고 부른다. 이는 원래 아프리칸스어의 "koppie"에서 유래했다.[36]2. 4. 기타 명칭
일본에서는 잔구를 '견뢰잔구(堅牢残丘)' 또는 '원격잔구(遠隔残丘)'라고 부르기도 한다. 견뢰잔구는 침식에 강한 암석이 남아 형성된 잔구를, 원격잔구는 분수계에 위치하여 침식을 덜 받아 형성된 잔구를 의미한다.3. 지질학적 특징
지층을 구성하는 암석의 종류에 따라 지역적인 차이가 있으며, 주변 지형을 구성하는 석회암 등과 같이 연하고 침식되기 쉬운 암석과 달리, 화강암처럼 침식되기 어려운 암석이 남아 작은 언덕을 이룬 지형을 견뢰잔구(堅牢残丘)라고 한다.
분수계에 있는 지점은 하천이나 빙하의 침식 작용을 받기 어렵기 때문에, 세월이 흘러 주변의 침식이 진행되어도 높은 채로 남게 되는데, 이렇게 형성된 잔구를 원격잔구(遠隔残丘)라고 한다.[26]
3. 1. 형성과정
잔구는 주변 지역보다 침식에 강한 암석으로 구성되어 오랜 시간 동안 침식 작용을 견뎌내면서 형성된다. 주변의 연약한 암석은 침식되어 평원을 이루는 반면, 단단한 암석은 상대적으로 덜 침식되어 고립된 언덕이나 산으로 남게 된다.[26] 이러한 암석의 강도는 절리(암석 내 틈)의 밀도와 관련이 깊다.[26]일부 잔구는 화산 활동이나 운석 충돌과 같은 과정을 통해 형성되기도 한다.[26]
빙하 작용에 의해 잔구가 재형성될 수도 있는데, 스웨덴 북부에서는 이러한 유형의 잔구를 'flyggbergs'라고 부른다.[28][29]
지층을 구성하는 암석의 종류에 따라 지역적인 차이가 있으며, 주변 지형을 구성하는 석회암 등의 연하고 침식되기 쉬운 암석과 달리, 화강암 등 침식되기 어려운 암석이 남아 작은 언덕을 이룬 지형을 견뢰잔구(堅牢残丘)라고 한다. 분수계에 있는 지점은 하천이나 빙하의 침식 작용을 받기 어렵기 때문에, 세월이 흘러 주변의 침식이 진행되어도 높은 채로 남게 되는데, 이렇게 형성된 잔구를 원격잔구(遠隔残丘)라고 한다.
1974년 지형학자 마이클 토마스는 잔구의 기원에 대한 이해를 요약하며 "잔구의 형성에 대한 가설들은 7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제기되고, 반박되고, 다시 제기되었다"고 기술했다.[25]
3. 2. 지리적 분포
잔구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기후대에서 발견된다. 특히 오랜 시간 동안 침식을 받아 형성된 평탄한 지형인 순상지에서 흔히 볼 수 있다.[9]단애산(inselberg) 지대 또는 단애산 평원은 탄자니아[13], 모로코의 안티 아틀라스 산맥[14], 브라질 북동부[15], 나미비아[16], 앙골라 내륙[17], 핀란드 라플란드[18][19] 북부 및 스웨덴[20] 등지에 분포한다.
3. 3. 구성 암석
잔구를 구성하는 암석 유형에는 화강암, 편마암, 반려암이 있다.[23] Cliff Ollier영어는 우간다에서 잔구가 일반적으로 화강암으로, 때때로 편마암으로 구성되며, 각섬암이나 화산암으로 구성되는 경우는 없다고 언급했다.[23] 올리어에 따르면 돌출된 사암 언덕은 "진정한 단애산"이라기보다는 능선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23] 스웨덴 북부의 둔드레트는 반려암으로 만들어졌다.[24] 지층을 구성하는 암석의 종류에 따라 지역적인 차이가 있으며, 주변 지형을 구성하는 석회암 등의 연하고 침식되기 쉬운 암석과 달리, 화강암 등 침식되기 어려운 암석이 남아 작은 언덕을 이룬 지형이다. 이렇게 형성된 잔구를 견뢰잔구(堅牢残丘)라고 한다.4. 생태
동아프리카의 잔구는 탄자니아 세렝게티와 케냐 마사이 마라에서 생물 다양성의 중요한 피난처 역할을 한다. 넓은 지역에서 토양이 너무 얇거나 단단하여 나무가 자라지 못하는 곳에서, 잔구에 모인 토양은 나무가 무성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반면, 주변 땅에는 짧은 풀만 자란다. 암석 표면의 함몰부는 빗물을 모아 저장한다. 사자, 나무늘보를 비롯한 많은 동물과 풍부한 조류, 파충류가 잔구를 서식지로 이용한다.
5. 주요 잔구
- 울룰루(Uluru) (863m)[6][7][8], 카타추타(Kata Tjuta) (오스트레일리아)
- 하치만타이산(早池峰山) (일본 이와테현)
- 쓰쿠바산(筑波山) (일본 이바라키현)
- 산기후지(讃岐富士) (일본 가가와현)
- 슈피츠코페(Spitzkoppe) (나미비아)
- 물란제 산(Mount Mulanje) (말라위)
- 레당 산(Mount Ledang) (말레이시아)
- 마다이 산(Mount Madai) (말레이시아)
- 데빌스 타워(Devils Tower) (미국 와이오밍주)
- 모나드녹 산(Mount Monadnock) (미국 뉴햄프셔주)
- 베르날 암석(Peña de Bernal) (멕시코)


참조
[1]
백과사전
inselberg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2009-11-29
[2]
서적
Webster's New Explorer Dictionary of Word Origins
Federal Street Press
[3]
서적
Holmes Principles of Physical Geology
Nelson
1978
[4]
서적
Rocks and Landforms
https://archive.org/[...]
Routledge
1988
[5]
논문
Canons of landscape evolution
1953
[6]
서적
Written in Stone: A Geologic History of the Northeastern United States
Globe Pequot
[7]
웹사이트
Vermont Soils with Names of American Indian Origin
http://www.vt.nrcs.u[...]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2008-01-06
[8]
서적
Monadnock Guide 4th edition
Society for the Protection of New Hampshire Forests
[9]
논문
The inselberg landscape in Finnish Lapland: a morphological study based on the LiDAR data interpretation
2018
[10]
웹사이트
Summary: Inselbergs/Hills/Knobs
http://www.tec.army.[...]
Knowledge Sciences, Inc.
2008-01-06
[11]
서적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Prentice Hall
[12]
서적
Landscapes and Landforms of Colombia
Springer
2016
[13]
논문
Erosion and Sedimentation by Water: Problems and prospects
Ambio
[14]
논문
Planation surfaces as a record of mantle dynamics: The case example of Africa
https://hal-insu.arc[...]
2017
[15]
논문
Geomorfologia do Campo de Inselbergues de Quixadá, nordeste do Brasil
2015
[16]
웹사이트
Production of an agro-ecological zones map of Namibia (first approximation)
http://www.nbri.org.[...]
[17]
웹사이트
Development of a soil and terrain map/database for Angola
https://library.wur.[...]
2016-07-11
[18]
논문
Problems concerning the origin of inselbergs in Finnish Lapland
https://fennia.journ[...]
1985-02-01
[19]
논문
Multi-phase development of a glaciated inselberg landscape
2009
[20]
논문
Gross morphology of Fennoskandia: Six complementary ways of explanation
[21]
논문
Deep weathering, neotectonics and strandflat formation in Nordland, northern Norway
https://www.geologi.[...]
2013
[22]
서적
Slopes
Oliver & Boyd
[23]
논문
The Inselbergs of Uganda
[24]
논문
Pre-glacial landforms on a glaciated shield: The inselberg plains of northern Sweden
2012
[25]
서적
Tropical Geomorphology
The Macmillan Press Ltd.
[26]
백과사전
A Dictionary of Ecology
Encyclopedia.com
2009-11-28
[27]
논문
Granitic Inselbergs: Domed, Block-Strewn and Castellated
[28]
서적
Glaciers & Glaciation
Arnold
[29]
서적
Plains, Steps, Hilly Relief and Valleys in Northern Sweden--review, Interpretations and Implications for Conclusions on Phanerozoic Tectonics
http://resource.sgu.[...]
Sveriges geologiska undersökning (Geological Survey of Sweden)
2016-06-29
[30]
서적
図解 日本地形用語辞典 増訂版
東洋出版
[31]
서적
Written in Stone: A Geologic History of the Northeastern United States
Globe Pequot
[32]
서적
Written in Stone: A Geologic History of the Northeastern United States
Globe Pequot
[33]
웹사이트
Vermont Soils with Names of American Indian Origin
http://www.vt.nrcs.u[...]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2008-01-06
[34]
서적
Holmes Principles of Physical Geolog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35]
서적
Rocks and Landforms
https://books.google[...]
Routledge
[36]
서적
Webster's New Explorer Dictionary of Word Origins
Federal Street Press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