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르고스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르고스도는 스페인 북부에 위치한 도이다. 아타푸에르카 지역에서 100만 년 이상 된 인류의 거주 증거가 발견되었고, 켈트이베리아 시대에는 여러 부족이 거주했다. 로마 시대에는 히스파니아 타라코넨시스의 일부였으며, 서고트족, 아랍인의 지배를 거쳐 카스티야 왕국의 수도가 되었다. 부르고스도는 에브로 강과 두에로 강 유역에 위치하며, 부르고스 시를 포함하여 10개의 코마르카와 371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부르고스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주 |
국가 | 스페인 |
자치 공동체 | 카스티야 이 레온 |
주도 | 부르고스 |
대통령 | 세사르 리코 루이스 |
소속 정당 | PP |
면적 | 14,292 km² |
면적 순위 | 11위 |
면적 비율 | 스페인의 2.78% |
인구 (2023년) | 355,041 명 |
인구 순위 | 36위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인구 비율 | 스페인의 0.80% |
주민 | 부르갈레스 (남성) 부르갈레사 (여성) |
공식 언어 | 스페인어 |
의회 | 코르테스 헤네랄레스 |
정치 | |
하원 의석 | 정보 없음 |
상원 의석 | 정보 없음 |
기타 정보 | |
시간대 | 정보 없음 |
UTC 오프셋 | 정보 없음 |
하계 시간대 | 정보 없음 |
하계 UTC 오프셋 | 정보 없음 |
우편 번호 | 09 |
지역 번호 | 정보 없음 |
ISO 코드 | ES-BU |
웹사이트 | 부르고스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아타푸에르카 지역에서 고고학자들은 100만 년 이상 된 인류와 인간의 거주 증거를 발견했다. 발견된 것 중에는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호미닌 두개골이 포함되어 있다.
부르고스가 된 켈트이베리아 지역에는 모르고보스, 투르모디기, 베로네스가 거주했으며, 아마도 켈트이베리아 지역 북부의 마지막 거주민인 펠렌도네스도 거주했다. 그리스의 역사가 프톨레마이오스에 따르면 주요 도시로는 브라붐, 시사라, 데오브리굴라(현재의 타르다호스), 암비스나 세기아사몬(사사몬) 및 베로베스카(브리비에스카)가 있었다. 고대 로마의 식민지배 하에서 이 지역은 히스파니아 키테리어(Hither Spain)의 일부였고, 이후에는 히스파니아 타라코넨시스의 일부가 되었다.
5세기에 서고트족은 수에비족을 몰아냈다. 8세기에는 아랍인이 카스티야 전체를 점령했다. 레온의 알폰소 3세는 9세기 중반경에 이 지역을 재정복하고 기독교 세계를 방어하기 위해 많은 성을 건설했다. 점차적으로 이 지역은 재정복되었다. 이 지역은 카스티야(라틴어 ''castella'', 즉 "성의 땅")로 알려지게 되었다. 11세기에 부르고스는 카스티야 왕국의 수도가 되었다.
2. 1. 선사 시대
아타푸에르카 지역에서 고고학자들은 100만 년 이상 된 인류와 인간의 거주 증거를 발견했다. 발견된 것 중에는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호미닌 두개골이 포함되어 있다.부르고스가 된 켈트이베리아 지역에는 모르고보스, 투르모디기, 베로네스가 거주했으며, 아마도 켈트이베리아 지역 북부의 마지막 거주민인 펠렌도네스도 거주했다. 그리스의 역사가 프톨레마이오스에 따르면 주요 도시로는 브라붐, 시사라, 데오브리굴라(현재의 타르다호스), 암비스나 세기아사몬(사사몬) 및 베로베스카(브리비에스카)가 있었다.
2. 2. 고대 ~ 중세
아타푸에르카 지역에서 고고학자들은 100만 년 이상 된 인류와 인간의 거주 증거를 발견했다. 발견된 것 중에는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호미닌 두개골이 포함되어 있다.
부르고스가 된 켈트이베리아 지역에는 모르고보스, 투르모디기, 베로네스가 거주했으며, 아마도 켈트이베리아 지역 북부의 마지막 거주민인 펠렌도네스도 거주했다. 그리스의 역사가 프톨레마이오스에 따르면 주요 도시로는 브라붐, 시사라, 데오브리굴라(현재의 타르다호스), 암비스나 세기아사몬(사사몬) 및 베로베스카(브리비에스카)가 있었다. 고대 로마의 식민지배 하에서 이 지역은 히스파니아 키테리어(Hither Spain)의 일부였고, 이후에는 히스파니아 타라코넨시스의 일부가 되었다.
5세기에 서고트족은 수에비족을 몰아냈다. 8세기에는 아랍인이 카스티야 전체를 점령했다. 레온의 알폰소 3세는 9세기 중반경에 이 지역을 재정복하고 기독교 세계를 방어하기 위해 많은 성을 건설했다. 점차적으로 이 지역은 재정복되었다. 이 지역은 카스티야(라틴어 ''castella'', 즉 "성의 땅")로 알려지게 되었다. 11세기에 부르고스는 카스티야 왕국의 수도가 되었다.
2. 3. 근대 ~ 현대
아타푸에르카 지역에서 고고학자들은 100만 년 이상 된 인류와 인간의 거주 증거를 발견했다. 발견된 것 중에는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호미닌 두개골이 포함되어 있다.
부르고스가 된 켈트이베리아 지역에는 모르고보스, 투르모디기, 베로네스가 거주했으며, 아마도 켈트이베리아 지역 북부의 마지막 거주민인 펠렌도네스도 거주했다. 그리스의 역사가 프톨레마이오스에 따르면 주요 도시로는 브라붐, 시사라, 데오브리굴라(현재의 타르다호스), 암비스나 세기아사몬(사사몬) 및 베로베스카(브리비에스카)가 있었다. 고대 로마의 식민지배 하에서 이 지역은 히스파니아 키테리어(Hither Spain)의 일부였고, 이후에는 히스파니아 타라코넨시스의 일부가 되었다.
5세기에 서고트족은 수에비족을 몰아냈다. 8세기에는 아랍인이 카스티야 전체를 점령했다. 레온의 알폰소 3세는 9세기 중반경에 이 지역을 재정복하고 기독교 세계를 방어하기 위해 많은 성을 건설했다. 점차적으로 이 지역은 재정복되었다. 이 지역은 카스티야(라틴어 ''castella'', 즉 "성의 땅")로 알려지게 되었다. 11세기에 부르고스는 카스티야 왕국의 수도가 되었다.
3. 지리
부르고스도 북부에는 지중해로 흘러드는 에브로 강이, 남부에는 대서양으로 흘러드는 두에로 강이 흐르고 있다. 즉, 부르고스도 내에는 대서양 외해로 흘러드는 하천과 지중해로 흘러드는 하천의 분수계가 지나고 있다. 에브로 강 유역에 위치한 부르고스도 내의 대표적인 도시는 미란다 데 에브로이다. 반면, 두에로 강의 본류에 위치한 부르고스도 내의 대표적인 도시는 아란다 데 두에로이다. 또한, 현청 소재지인 부르고스는 두에로 강의 지류역에 위치해 있다.
4. 인구
다음 차트는 역대 인구를 나타낸다.
연도 | 인구 |
---|---|
1857 | 333,356 |
1900 | 338,828 |
1950 | 397,048 |
2000 | 348,934 |
2020 | 357,650 |
출처: 국립 통계 연구소(Instituto Nacional de Estadística, INE)
부르고스도 인구의 절반 가까이가 부르고스(178,574명)에 거주하고 있다. 부르고스에는 중세 시대에 카스티야 왕국의 수도가 있었으며, 철도 교통의 요충지이기도 하다. 인구 2위인 미란다 데 에브로(약 39,000명) 역시 철도 교통의 요충지이다. 인구 3위인 아란다 데 두에로(약 33,000명)는 남북으로 뻗은 철도 교통에서는 단순한 중간 역에 불과하지만, 간선 도로인 N122호선이 동서로 뻗어 있다.
4. 1. 인구 추이
다음 차트는 역대 인구를 나타냅니다.연도 | 인구 |
---|---|
1857 | 333,356 |
1900 | 338,828 |
1950 | 397,048 |
2000 | 348,934 |
2020 | 357,650 |
출처: 국립 통계 연구소(Instituto Nacional de Estadística, INE)
부르고스도 인구의 절반 가까이가 부르고스(178,574명)에 거주하고 있다. 부르고스에는 중세 시대에 카스티야 왕국의 수도가 있었으며, 철도 교통의 요충지이기도 하다. 인구 2위인 미란다 데 에브로(약 39,000명) 역시 철도 교통의 요충지이다. 인구 3위인 아란다 데 두에로(약 33,000명)는 남북으로 뻗은 철도 교통에서는 단순한 중간 역에 불과하지만, 간선 도로인 N122호선이 동서로 뻗어 있다.
4. 2. 주요 도시 (2010년 기준)
순위 | 기초 자치체 | 인구 |
---|---|---|
1 | 부르고스 | 178,574 |
2 | 미란다 데 에브로 | 39,038 |
3 | 아란다 데 두에로 | 33,154 |
4 | 브리비에스카 | 7,843 |
5 | 메디나 데 포마르 | 6,311 |
6 | 비야르카르요 데 메린도 데 카스티야 라 비에하 | 4,855 |
7 | 바예 데 메나 | 3,921 |
8 | 레르마 | 2,798 |
9 | 로아 | 2,458 |
10 | 사라스 데 로스 인판테스 | 2,171 |
5. 행정 구역
부르고스도는 10개의 코마르카로 나뉜다.
- 메린다데스
- 발레 델 루드론
- 에브로
- 라 부레바
- 몬테스 데 오카
- 알포스 데 부르고스
- 시에라 데 라 데만다
- 오드라 이 피수에르가
- 아를란사
- 리베라 델 두에로
부르고스 도는 371개의 지방 자치체로 나뉘는데, 이는 스페인에서 가장 많은 수를 가진 도이며, 이 중 많은 자치체가 100명 미만의 인구를 가지고 있다. 부르고스 다음으로 인구가 많은 곳은 미란다 데 에브로와 아란다 데 두에로이며, 그 외의 자치체는 인구 1만 명 미만이다.
5. 1. 코마르카
부르고스도는 10개의 코마르카로 나뉜다.
- 메린다데스
- 발레 델 루드론
- 에브로
- 라 부레바
- 몬테스 데 오카
- 알포스 데 부르고스
- 시에라 데 라 데만다
- 오드라 이 피수에르가
- 아를란사
- 리베라 델 두에로
부르고스 현에는 371개의 지방 자치체가 있으며, 그 중 많은 곳이 인구 100명 미만의 마을이다. 부르고스 다음으로 인구가 많은 곳은 미란다 데 에브로와 아란다 데 두에로이며, 그 외의 자치체는 인구 1만 명 미만이다.
5. 2. 사법 관할 구역
부르고스 도는 7개의 사법 관할 구역으로 나뉜다.[5] 부르고스, 아란다 데 두에로, 비야르카요 데 메린다드 데 카스티야라비에하, 미란다 데 에브로, 레르마, 브리비에스카, 살라스 데 로스 인판테스 사법 관할 구역이 있다.5. 3. 지방 자치체
부르고스 도는 371개의 지방 자치체로 나뉘는데, 이는 스페인에서 가장 많은 수이다. 많은 자치체가 100명 미만의 인구를 가지고 있다.
부르고스 현에는 10개의 코마르카가 있다. 부르고스 다음으로 인구가 많은 곳은 미란다 데 에브로와 아란다 데 두에로이며, 그 외의 자치체는 인구 1만 명 미만이다.
6. 교통
참조
[1]
웹사이트
Origin and history of Spanish language: First manuscripts
http://www.spanishin[...]
2013
[2]
웹사이트
Sierra de la Demanda, Burgos, Sistema Ibérico
http://www.montesdea[...]
[3]
웹사이트
Valpuesta Foundation is born with the aimn to study and promote Castilian since its very origins
http://www.fundacion[...]
[4]
웹사이트
Población, superficie y densidad por CCAA y provincias y población, superficie y densidad.
http://www.ine.es/ja[...]
INE(スペイン国立統計局)
2011-12-11
[5]
웹사이트
Partidos judiciales de la provincia de Burgos
http://www.cgpe.es/p[...]
Consejo General de los Procuradores de España
2011-12-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