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립박물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광역시립박물관은 고고, 민속, 인류학 관련 자료를 발굴, 보관, 전시하고 연구하는 기관으로, 부산광역시 행정기구 설치 조례에 근거하여 운영된다. 1977년 부산시립박물관으로 개관하여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의 이름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복천박물관, 정관박물관 등 여러 산하 기관을 관리한다. 동래관, 부산관, 야외전시, 문화체험관 등 다양한 전시 공간을 운영하며, 매년 역사 강좌와 문화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국보 제200호 금동보살입상 등 1만 3천 점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으며, 대연역과 인접해 접근성이 용이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8년 설립된 박물관 - 국립광주박물관
국립광주박물관은 광주·전남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다양한 유물을 전시하며 국보를 소장한 대한민국의 국립 박물관으로, 상설전시를 무료로 운영하면서 꾸준한 전시 개선과 기획전시를 통해 지역 문화 알리기에 기여하고 있다. - 1978년 설립된 박물관 - 국제친선전람관
국제친선전람관은 1978년 8월 26일 개관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박물관으로, 묘향산 보현사 인근에 위치하며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에게 각국에서 전달된 선물들을 전시하고 있고 조선식 건축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북한 체제 선전에 활용된다는 비판도 있다. - 부산 남구 소재의 관공서 - 한국거래소
한국거래소는 자본시장법에 따라 설립된 대한민국의 금융투자상품 거래 시장으로, 주식, 채권, ETF, 파생상품 등의 매매를 지원하며 코스피, 코스닥, 코넥스 시장을 운영하고 부산광역시에 본사를 둔다. - 부산 남구 소재의 관공서 - 부산은행
부산은행은 1967년 설립되어 1972년 주식 시장에 상장된 대한민국의 지방 은행으로, 2011년 BS금융지주(현 BNK금융지주) 출범 이후 본점을 문현동으로 이전했으며, 롯데그룹과의 협력을 통해 ATM 수수료 혜택을 제공하고 부산, 서울 등에서 영업하며 해외 지점도 운영한다. - 부산광역시의 박물관 -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은 부산광역시에 위치하며, 한국순교복자수녀회 오륜대 수도원 설립을 기념하여 1982년 개관, 한국 천주교회사 관련 유물 및 전시를 제공하고 2009년 박물관으로 정식 등록되었다. - 부산광역시의 박물관 - 부산근대역사관
부산근대역사관은 일제강점기 동양척식주식회사 부산지점으로 사용된 건물을 활용하여 2003년 7월 3일에 개관한 박물관이며, 부산의 근대 개항부터 일제강점기, 한미 관계 등과 관련된 전시를 제공하고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9호로 지정되어 있다.
부산광역시립박물관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종류 | 지역 역사 박물관 |
위치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4동 948-1 |
일반 정보 | |
개관 | 1978년 |
관장 | 박방룡 |
웹사이트 | 부산 박물관 |
2. 설치 근거 및 소관 사무
2. 1. 설치 근거
「부산광역시 행정기구 설치 조례」 제34조제1항[9]2. 2. 소관 사무
부산광역시립박물관은 고고·민속·인류학 영역에 속하는 자료를 발굴, 보관, 진열하고 관련 조사 및 연구를 수행한다. 미술과 공예에 관한 자료를 수집, 보관, 진열하며 관련 조사 및 연구를 진행한다. 또한 복천박물관, 정관박물관, 근대역사관, 임시수도기념관, 동삼동패총전시관 및 부산시민공원역사관의 관리 및 운영을 담당한다. 그 외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운영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을 소관 사무로 한다.3. 연혁
부산광역시립박물관은 1977년 9월 30일 부산시립박물관으로 설치되었다.[10] 1982년 1월 1일 부산직할시립박물관으로 개편되었고,[11] 1999년 1월 1일 부산광역시립박물관으로 다시 개편되었다.[12] 1995년 부산광역시립박물관으로 개관하였으며, 2002년 5월 전시관 2의 개관과 함께 개보수를 거쳐 부산박물관으로 변경되었다.[1]
1992년 3월 2일 가마전시관이 개관되었고, 2002년 4월 24일에는 동삼동패총전시관이 개관하였다. 2002년 5월 3일에는 청사를 신축하였다. 2014년 1월 21일에는 동래관이 개관하였다.
별관 건물에는 임시 수도 기념관이 개관되었는데, 이곳은 과거 이명박 전 대통령의 공관으로 사용되던 곳이다. 1996년 10월에는 복천동 고분군에서 발굴된 유물을 전시하기 위해 별관인 복천박물관이 개관되었다. 2003년 7월에는 부산 근대 박물관이 개관하였다.[2]
4. 전시
; 동래관
구석기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 부산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소개한다.
; 부산관
부산관은 조선시대부터 현대까지 부산의 역사를 다루는 공간이다. 조선실에서는 동래부의 위상, 임진왜란, 통신사, 왜관 등 부산을 중심으로 펼쳐진 역사를 주제별로 전시하고 있다. 근대실에서는 일본에 의해 강제로 개항한 후, 일본의 식민지배 하에서도 민족의 자존심을 지키면서 신문명을 받아들여 근대화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했던 부산을 조명한다. 현대실에서는 광복 이후 6.25 전쟁을 거쳐 대한민국 재건의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한 부산의 모습을 소개한다. 미술실에서는 부산박물관 소장 유물 중 한국 미술의 예술성과 역사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유물들을 전시하고 있다.
; 야외전시
동래남문비, 척화비, 약조제찰비, 사처석교비 등 지정문화재를 비롯한 40여 점의 석조물이 전시되어 있다.
; 문화체험관
문화체험관에서는 다도체험, 전통복식체험, 탁본체험, 유물퍼즐 맞추기를 할 수 있다.
4. 1. 동래관
구석기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 부산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소개한다.4. 2. 부산관
부산관은 조선시대부터 현대까지 부산의 역사를 다루는 공간이다. 조선실에서는 동래부의 위상, 임진왜란, 통신사, 왜관 등 부산을 중심으로 펼쳐진 역사를 주제별로 전시하고 있다. 근대실에서는 일본에 의해 강제로 개항한 후, 일본의 식민지배 하에서도 민족의 자존심을 지키면서 신문명을 받아들여 근대화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했던 부산을 조명한다. 현대실에서는 광복 이후 6.25 전쟁을 거쳐 대한민국 재건의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한 부산의 모습을 소개한다. 미술실에서는 부산박물관 소장 유물 중 한국 미술의 예술성과 역사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유물들을 전시하고 있다.4. 3. 야외전시
동래남문비, 척화비, 약조제찰비, 사처석교비 등 지정문화재를 비롯한 40여 점의 석조물이 전시되어 있다.4. 4. 문화체험관
문화체험관에서는 다도체험, 전통복식체험, 탁본체험, 유물퍼즐 맞추기를 할 수 있다.5. 프로그램
부산광역시립박물관은 1985년부터 매년 어린이와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역사 강좌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2] 1993년부터는 "찾아가는 문화학교"를 운영하고 있으며, 저명한 학자들을 초빙하여 강좌를 열거나 관광 해설, 시민들을 위한 고대사 강좌 등을 제공한다.[2]
6. 조직
6. 1. 관장
wikitext6. 1. 1. 학예연구실
학예연구실은 유물관리팀, 전시운영팀, 교육홍보팀, 문화재조사팀으로 구성되어 있다.[14][15]6. 2. 하부기관
복천박물관, 정관박물관, 부산근대역사관, 임시수도기념관, 동삼동패총전시관, 부산시민공원역사관 등이 있다.7. 소장품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는 1만 3천 점의 유물이 소장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유물로는 대한민국의 국보 제200호인 통일신라 시대의 금동보살입상이 있다.[2] 이 불상은 키가 1.11피트로 유난히 크며, 정면을 자신감 있게 바라보고 있다. 이마에는 작은 구멍이 있는데, 원래 모자 같은 것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4]
임진왜란 당시 류성룡이 조선에 파병된 명나라 군대를 돌보면서 작성한 미결 문서는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11호로 지정되었다. 이 문서는 1663년에 간행된 징비록에 전체 내용이 수록되어 있으며,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려는 류성룡의 의지를 보여준다.[5]
김홍도가 그린 조선 시대 산수 인물화는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09호로, "바위 기슭 아래 있는 어부"를 주제로 한 작품이다.[6]
곤여만국전도는 예수회 선교사 페르디난트 페르비스트가 1674년에 제작한 목판본 세계 지도를 바탕으로 조선 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14호이다. 부산박물관 소장 곤여만국전도는 1674년 목판본을 바탕으로 필사된 유일한 지도이다.[7]
1696년에 제작된 반곡 이덕성 초상화는 대한민국의 보물 제1501호로, 17세기와 18세기 과도기적 특징을 보여준다.
7. 1. 주요 소장품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는 1만 3천 점의 유물이 소장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유물로는 대한민국의 국보 제200호인 통일신라 시대의 금동보살입상이 있다.[2] 이 불상은 키가 1.11피트로 유난히 크며, 정면을 자신감 있게 바라보고 있다. 이마에는 작은 구멍이 있는데, 원래 모자 같은 것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4] 소장 유물은 주로 부산 덕천동, 노포동 고분군, 김해읍성과 경상남도 지역에서 출토된 것이다. 박물관은 6천 점의 불교 문화재, 730점의 부장품, 약 4천 점의 기증품, 350점의 수집품을 소장하고 있으며, 전시에는 부산과 관련된 약 600점의 선사 시대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2]임진왜란 당시 류성룡이 조선에 파병된 명나라 군대를 돌보면서 작성한 미결 문서는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11호로 지정되었다. 이 문서는 1663년에 간행된 징비록에 전체 내용이 수록되어 있으며,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려는 류성룡의 의지를 보여준다.[5]
김홍도가 그린 조선 시대 산수 인물화는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09호로, "바위 기슭 아래 있는 어부"를 주제로 한 작품이다.[6]
곤여만국전도는 예수회 선교사 페르디난트 페르비스트가 1674년에 제작한 목판본 세계 지도를 바탕으로 조선 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14호이다. 부산박물관 소장 곤여만국전도는 1674년 목판본을 바탕으로 필사된 유일한 지도이다.[7]
1696년에 제작된 반곡 이덕성 초상화는 대한민국의 보물 제1501호로, 17세기와 18세기 과도기적 특징을 보여준다.
8. 위치 및 접근성
부산광역시립박물관은 '유엔 로터리' 정류장에서 버스를 이용하여 접근할 수 있다. 지하철을 이용할 경우, 박물관은 대연역 3번 출구와 가깝다. 3번 출구에서 박물관까지는 도보로 약 5분 거리이다.[3]
박물관 지역에는 유엔 기념 공원이 있다. 이 공원에는 한국 전쟁과 관련된 여러 기념물이 있으며, 대한민국의 문화재로 등록되어 있다.
9. 주변 시설
부산박물관은 '유엔 로터리' 정류장에서 버스를 이용하여 접근할 수 있다. 지하철을 이용할 경우, 대연역 3번 출구와 가깝다. 3번 출구에서 박물관까지는 도보로 약 5분 거리이다.[3]
박물관 지역에는 유엔 기념 공원이 있다. 이 공원에는 한국 전쟁과 관련된 여러 기념물이 있다. 이 공원은 대한민국의 문화재로 등록되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Busan Museum (부산박물관) - Official Korea Tourism Organization
http://english.visit[...]
2016-01-07
[2]
웹사이트
Busan city museum
https://web.archive.[...]
2015-11-29
[3]
웹사이트
Service Information
https://museum.busan[...]
2021-08-16
[4]
뉴스
The best ten of relic in Busan museum, ' A git brozen bodhisattva in the period of united silla.
http://www.kookje.co[...]
International news
2015-12-07
[5]
뉴스
The best ten of relic in Busan museum, Jinsimucha which is draft of 'Ryu sung ryong documents
http://www.kookje.co[...]
International news
2015-12-15
[6]
뉴스
The best ten of relic in Busan museum, <7> Landscape&figure by Kim hong do
http://www.kookje.co[...]
International news
2015-12-15
[7]
뉴스
The best ten of relic in Busan museum, <5> Kunyu Quantu, a map of the world published in 1674 and transcribed in 18 century by Joseon
http://www.kookje.co[...]
International news
2015-12-15
[8]
법규
부산광역시 행정기구 설치 조례 시행규칙 제29조제2항 및 제5항
[9]
문서
고고·미술·민속·역사·인류학 영역에 속하는 자료를 수집·보관·진열·연구하여 일반관람인에게 공개하며, 아울러 이에 관한 조사·연구·계몽·선전을 위하여 부산광역시립박물관을 설치한다.
[10]
법규
조례 제1168호
[11]
법규
조례 제1623호
[12]
법규
조례 제3492호
[13]
문서
지방행정사무관으로 보한다.
[14]
문서
지방학예연구관으로 보한다.
[15]
문서
일반임기제공무원으로 보할 수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