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근대역사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근대역사관은 일제강점기 동양척식주식회사 부산지점으로 사용되었던 건물을 활용하여 2003년 7월 3일 개관한 박물관이다. 1929년 일제강점기에 건축된 이 건물은 해방 이후 미군 숙소, 부산 미국문화원, 주부산 미국 영사관 등으로 사용되다가 1999년 대한민국 정부에 반환되었다. 부산근대역사관은 제1전시실, 제2전시실, 근대자료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산의 근대 개항부터 일제강점기, 한미 관계 등과 관련된 전시를 제공한다. 이 건물은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9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외세 지배의 상징이자 근대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중구의 문화유산 - 부산 복병산배수지
부산 복병산배수지는 가정에 식수를 공급하기 위해 성지곡수원지에서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시설로, 붉은 벽돌과 석재 마감, 아치형 석조 문틀이 특징이며 '요지무진'이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다. - 부산 중구의 건축물 - 부산롯데타운
부산롯데타운은 부산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대규모 복합 시설로, 롯데백화점 광복점을 시작으로 다양한 시설이 개장했으며, 완공 시 부산 최고 높이의 건축물이 될 롯데타운타워를 포함하고 도시철도 중앙역 및 남포역과 인접하여 교통 환경 개선에도 기여했다. - 부산 중구의 건축물 - 부산대교
부산대교는 부산광역시 영도구와 육지를 연결하는 왕복 4차로의 다리로서, 영도에서 서울까지 연결되며, 타이드아치 공법이 적용되어 대형 트럭도 통행할 수 있다. - 부산광역시의 박물관 -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은 부산광역시에 위치하며, 한국순교복자수녀회 오륜대 수도원 설립을 기념하여 1982년 개관, 한국 천주교회사 관련 유물 및 전시를 제공하고 2009년 박물관으로 정식 등록되었다. - 부산광역시의 박물관 - 국립부산과학관
국립부산과학관은 부산시의 과학관 유치 운동으로 설립되어 자동차, 조선, 에너지 등 동남권 주력 산업을 주제로 한 과학기술 체험관이며, 2013년 착공하여 2015년 6월에 준공되었고, 대한민국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공동 출연하는 국립과학관법인으로 운영된다.
| 부산근대역사관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 |
| 기본 정보 | |
| 한국어 명칭 | 부산근대역사관 |
| 한자 명칭 | 釜山近代歷史館 |
| 가타카나 명칭 | プサンクンデヨクサグァン |
| 영어 명칭 | Busan Modern History Museum |
| 설명 | 부산의 근대 역사를 전시하는 박물관 |
| 박물관 정보 | |
| 이름 | 부산근대역사관 |
| 유형 | 박물관 |
| 소재지 | 부산 |
| 개관일 | |
| 폐관일 | |
| 웹사이트 | 박물관 소개 |
| 사진 | |
![]() | |
2. 역사
부산근대역사관 건물은 일제강점기인 1929년 9월, 식민지 수탈 기구였던 동양척식주식회사 부산지점으로 대청동에 신축되었다.[3] 1945년 해방 이후에는 잠시 미군 24사단 숙소로 사용되다가, 1948년 한미간 재정 및 재산에 관한 최초협정에 따라 1949년 7월부터 부산 미국문화원으로 사용되었다. 6.25 전쟁 시기에는 임시 수도 부산에서 주한 미국 대사관으로도 이용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건물은 외세 지배의 상징으로 여겨졌으며, 1982년 3월 18일에는 부산 미국문화원 방화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후 1984년부터는 주부산 미국 영사관도 함께 운영되었다. 1996년 미국문화원이 철수하고, 1998년 미국 영사관도 문을 닫으면서, 마침내 1999년 4월 30일 미국 시설로 사용된 지 50여 년 만에 대한민국 정부에 반환되었다. 같은 해 6월 부산광역시 소유가 된 건물은 3년간의 준비 과정을 거쳐 2003년 7월 3일 부산근대역사관으로 개관하여 시민들을 위한 역사 교육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다.[3]
2. 1.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인 1929년 9월, 식민지 경제 수탈을 위한 대표적인 국책회사였던 동양척식주식회사의 부산지점 건물로 신축되었다.[3] 동양척식주식회사는 대한제국 시기 설립되어 일제강점기 동안 조선의 토지를 강제로 수용하거나 헐값에 매입하여 일본인 지주에게 넘기거나 직접 경영하는 방식으로 경제적 침탈을 주도했던 기관이다.동양척식주식회사 부산지점의 연혁은 다음과 같다.
이 건물은 일제강점기 동안 부산 지역 경제 수탈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으며, 당시 조선에 대한 외세 지배를 상징하는 건축물 중 하나로 여겨졌다.
2. 2. 해방 이후 ~ 대한민국 반환
1945년 해방 이후에는 미군이 주둔하면서 24사단 숙소로 사용되었다. 1948년 9월 11일 체결된 한미간 재정 및 재산에 관한 최초협정에 따라, 1949년 7월부터는 부산 미국문화원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1950년부터 1953년까지 6.25 전쟁 시기에는 대한민국 임시수도였던 부산에서 주한 미국 대사관 건물로도 이용되었다.이 건물은 역사적 배경 때문에 부산 지역에서 외세 지배의 상징처럼 여겨졌고, 이는 1982년 3월 18일 발생한 부산 미국문화원 방화사건의 배경이 되기도 했다. 이 사건은 당시 한국 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키며 민족 자주 의식과 반미 감정을 고취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1984년 1월부터는 건물 2층에 주부산 미국 영사관이 개설되어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경상남도, 경상북도, 제주도(현재의 제주특별자치도) 지역의 영사 업무를 담당했다. 이후 1996년 10월 16일 부산 미국문화원이 먼저 철수했고, 1998년 7월 10일에는 주한 미국 대사관으로 영사 업무가 통합되면서 미국 영사관도 문을 닫았다.
마침내 1999년 4월 30일, 미국 문화원으로 사용된 지 50년 3개월 만에, 그동안 무상으로 사용되던 건물이 대한민국 정부에 반환되었다. 같은 해 1999년 6월 10일, 재정경제부(현 기획재정부)와의 협의를 통해 시유지와 교환하는 방식으로 부산광역시 소유가 되었다.
2. 3. 부산근대역사관 개관
1948년부터 부산 미국문화원으로 사용되던 건물은 1996년 10월 16일 문화원 기능이 철수되었고, 1998년 7월 10일에는 주한 미국 대사관 통합 운영 방침에 따라 2층에 있던 주부산 미국 영사관도 문을 닫았다. 이로써 50년 3개월 동안 미국이 무상으로 사용해 오던 건물은 1999년 4월 30일 대한민국 정부에 공식 반환되었다. 같은 해 6월 10일, 부산광역시는 재정경제부(현 기획재정부)와의 협의를 통해 시유지와 교환하는 방식으로 건물의 소유권을 넘겨받았다.부산시는 이 건물을 역사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기로 결정하고, 3년간의 준비 및 공사 기간을 거쳐 2003년 7월 3일 부산근대역사관으로 새롭게 문을 열었다.[3] 일제강점기 동양척식주식회사 건물로 시작하여 해방 후 미국 시설로 이용되는 등 외세 지배의 아픈 역사를 상징하던 이 공간이 시민들을 위한 역사 문화 공간으로 탈바꿈한 것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는 과거사를 성찰하고 올바른 역사 인식을 정립하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3. 전시 공간
부산 관련 근현대 유물 200여 점이 전시되어 있다. 박물관은 1층의 부대 시설과 2층의 제1전시실, 3층의 제2전시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전시실에서는 시대별 주제에 맞춰 유물을 선보인다.
3. 1. 제1전시실
박물관 2층에 위치한 제1전시실은 부산의 근대 개항(1876년)부터 일제강점기까지의 역사를 다룬다. 주요 전시 주제는 부산의 근대 개항, 일제의 부산 수탈, 근대 도시 부산이다.3. 2. 제2전시실
제2전시실에서는 일본이 식민지 경제 수탈 목적으로 설립한 국책회사인 동양척식주식회사東洋拓殖株式会社|도요타쿠쇼쿠카부시키카이샤일본어와 근현대 한미 관계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또한, 일제강점기 당시 부산의 거리 풍경을 미니어처로 재현하여 전시하고 있다.3. 3. 기타 전시 공간
부산근대역사관에는 주요 전시실 외에도 다음과 같은 공간들이 마련되어 있다. 1층에는 4분 분량의 관련 영상을 상영하는 '''영상실'''과 '''정보검색 코너'''가 있다. 또한, '''근대자료실'''이 있으며, 특별교류전이나 기획전 등을 개최하는 '''특별전시실'''도 운영된다.4. 건물
부산근대역사관 건물은 일제강점기인 1929년에 동양척식주식회사 부산지점으로 건립된 철근 콘크리트 3층 건물이다. 당시 서구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건축 유산이지만, 동시에 일제의 경제 수탈 거점이라는 아픈 역사를 지니고 있다.
이 건물은 2001년 5월 16일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제49호 '구)동양척식주식회사부산지점'으로 지정되었으며, 2014년 9월 3일 '구 동양척식주식회사 부산지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4]
광복 이후에는 부산 주둔 미군 숙소로 사용되다가 1949년부터 미문화원으로 운영되었고, 1999년 한국 정부에 반환되었다. 건립부터 반환까지 외세 지배의 상징적 의미를 지녀온, 한국 근현대사의 중요한 역사적 건축물로 평가받는다.
4. 1. 건축 개요
부산근대역사관 건물은 2001년 5월 16일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제49호 '구)동양척식주식회사부산지점'으로 지정되었고, 2014년 9월 3일 '구 동양척식주식회사 부산지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4]1920년대에 건립된 이 건물은 철근 콘크리트 3층 구조이다. 외벽 기초와 벽면에는 대리석을 둘렀고, 바닥에도 대리석을 깔아 웅장한 느낌을 주도록 설계되었다. 건물 1층과 2층 사이에는 장식 문양이 들어가 있으며, 실내는 높은 천장과 문양이 새겨진 대형 기둥을 특징으로 하는 전형적인 은행 건물 양식을 따른다. 창문은 아치 형태로 만들어졌고, 옥상은 철근 콘크리트로 마감되었다.
이 건물은 일제강점기에 서구 건축 양식이 도입되던 시기의 건축 경향을 엿볼 수 있는 몇 안 되는 중요한 건축 유산이다. 그러나 동시에 일제가 한국의 경제를 수탈할 목적으로 설립한 동양척식주식회사의 부산지점으로 사용되어 부산 지역 경제 수탈의 거점 역할을 했던 아픈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동양척식주식회사는 표면적으로 선진 농법 전수와 국토의 효율적 이용을 내세웠지만, 실제로는 조선의 토지와 노동력을 착취하기 위한 기관이었다.
광복 이후에는 부산에 주둔한 미군의 숙소로 사용되다가 1949년부터 미문화원으로 운영되었고, 오랜 반환 요구 끝에 1999년에야 한국 정부에 반환되었다. 이처럼 건립 당시부터 반환될 때까지 외세 지배의 상징적 의미를 지닌 건물로서 한국 근현대사에서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지닌 건축물이다.
4. 2. 역사적 의미
일제강점기 일본이 한국을 경제적으로 수탈하기 위해 세운 동양척식주식회사의 부산지점 건물로서, 부산 지역 경제 수탈의 본거지 역할을 했다. 동양척식주식회사는 선진 농법 전수와 국토의 효율적 이용이라는 명분을 내세웠으나, 실제로는 조선의 토지와 노동력을 착취하기 위한 기관이었다.해방 이후에는 부산광역시에 진주한 미군의 숙소로 사용되다가 1949년 미국문화원으로 개원했으며, 한국전쟁 중에는 임시수도 부산의 미국대사관으로도 사용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 때문에 이 건물은 일제강점기부터 이어져 온 외세 지배를 상징하는 건축물로 여겨졌다. 1982년 3월 18일에는 이러한 외세 지배에 대한 저항의 의미를 담은 부산미국문화원 방화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건물은 1999년 4월 30일에 이르러서야 한국 정부에 반환되었다.[4]
1929년 9월에 세워진 이 철근 콘크리트 건물은 서구 양식이 도입되던 당시의 건축 경향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기도 하다. 건립 초기부터 1999년 반환될 때까지 일제강점기 경제 수탈과 해방 이후 외세의 영향력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등 한국 근현대사에서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5. 주변
용두산공원 북쪽 진입로 옆에 위치하며, 천주교 중앙성당과 한국은행 부산지점이 인접해 있다. 또한 보수동 책방골목과 마주보고 있다.
가까운 부산 도시철도 역으로는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중앙역과 남포역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Busan Modern History Museum
http://www.exploring[...]
Exploring Korea.com
2017-05-14
[2]
웹인용
박물관소개
http://modern.busan.[...]
null
2012-05-10
[3]
웹인용
부산의역사
http://www.busan.go.[...]
null
2012-05-10
[4]
간행물
부산광역시 지정문화재 및 문화재자료 지정명칭 변경 고시
부산광역시장
2014-09-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