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석사 (서산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석사 (서산시)는 충청남도 서산시에 위치한 사찰로, 신라 문무왕 17년(677년) 의상대사가 창건하고 무학대사가 중건했다고 전해진다. 고려 시대에는 유방택과 관련된 설화가 있으며, 원래 화엄종 사찰이었으나 현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7교구 수덕사의 말사이다. 조선 시대에는 불교 탄압으로 폐사되었으나, 2012년 쓰시마 불상 절도 사건으로 인해 일본 관음사에서 도난된 불상이 부석사에서 약탈당한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어 불상 반환 소송이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산시의 문화유산 - 서산 휴암리 선사유적지
서산 휴암리 선사유적지는 충청남도 서산시 휴암리에서 발견된 신석기시대 유적으로, 11개의 움집 터와 볍씨가 붙어 있는 민무늬토기를 통해 당시 벼농사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는 '휴암리형 집터'가 특징이다. - 서산시의 문화유산 - 서산 보원사지
서산 보원사지는 충청남도 서산시에 위치했던 사찰 터로, 827년에 처음 존재가 확인되었으며 고려 시대에는 법인국사가 입적하고 조선 시대에 쇠퇴하여 현재 석조, 당간지주 등 다양한 문화재가 남아 있다. - 충청남도의 절 - 수덕사
충청남도 예산군 덕숭산에 위치한 수덕사는 백제 시대 창건 설이 있는 조계종 제7교구 본사이자 덕숭총림의 중심 사찰로서, 국보인 대웅전을 비롯한 다수의 문화재를 보유하며 선불교 중흥에 기여했고, 현재는 템플스테이를 통해 불교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다. - 충청남도의 절 - 부여 정림사지
부여 정림사지는 백제 시대의 가람 배치와 고려 시대의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백제의 중심 사찰 유적으로, 오층석탑과 석조여래좌상이 남아있고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 서산시의 건축물 - 서산야구장
- 서산시의 건축물 - 현대트랜시스
현대트랜시스는 1994년 설립되어 자동차 변속기 및 시트를 생산하며, 현대파워텍을 합병하고 사명을 변경하여 파워트레인, 시트, 연구 개발 등을 수행하는 기업이다.
부석사 (서산시)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문화재 정보 | |
이름 | 부석사 (浮石寺) |
국가 | 대한민국 충청남도 |
유형 | 문화재자료 |
지정 번호 | 195 |
지정일 | 1984년 5월 17일 |
주소 | 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 취평리 131번지 |
수량 | 1동 |
문화재청 | 31,01950000,34 |
2. 역사
부석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7교구 수덕사의 말사이다. 원래 화엄종 사찰이었으나, 현재는 조계종 사찰이다.
2. 1. 창건과 중건
신라 문무왕 17년(677년)에 의상대사가 창건하고 그 뒤 무학대사가 중건했다고 전해진다. 전해지는 설에 의하면 고려가 멸망하고 조선이 건국되자 고려의 충신이었던 유방택이 망국의 한을 품고 낙향하여 이곳에 별당을 짓고 살다가 세상을 떠났고, 그를 아끼고 따르던 사람들이 그가 쓰던 별당을 개조해 부석사라고 불렀다고 한다. 또 다른 설로는 의상대사와 당나라 여인에 얽힌 이야기가 있다.2. 2. 조선시대
고려가 멸망하고 조선이 건국되자 고려의 충신이었던 유방택이 망국의 한을 품고 낙향하여 이곳에 별당을 짓고 살다가 세상을 떠나자 그를 아끼고 따르던 사람들이 그가 쓰던 별당을 개조해 부석사라고 불렀다고 전한다. 태종에 의한 1407년 (태종 7년) 불교 탄압 당시, 존속이 허용된 88개 사찰 안에 부석사의 이름은 없었다. 세종에 의한 1424년 (세종 6년)의 불교 탄압 때에도 존속이 허용된 36개 사찰 안에 부석사의 이름은 없었으며, 적어도 15세기 초에는 폐사되었다.3. 쓰시마 불상 절도 사건
2012년 10월 한국인 절도단이 관음사 (쓰시마시)에서 관세음보살 좌상을 훔쳐 한국으로 가져왔다. 이 사건으로 부석사와 쓰시마시 간 불상 반환 문제가 발생했다.[1] 부석사는 이 불상이 왜구에게 약탈당한 것이라 주장하지만, 약탈 증거는 없다고 밝혔다.[4]
3. 1. 개요
2012년 10월 관음사 (쓰시마시)에서 한국인 절도단이 관세음보살 좌상을 훔쳐갔다. 절도단은 한국에서 체포되었고, 불상은 경찰에 압수되었다. 관세음보살 좌상 내부 문서에는 "고려국 서주 부석사", "천력 3년(서기 1330년)" 등이 적혀 있었다[1]。 부석사는 이 불상이 원래 부석사에 있던 것을 일본이 약탈했다고 주장하며, 일본이 아닌 부석사에 반환할 것을 요구했다. 2013년 2월 26일, 대전지방법원은 일본으로의 반환을 금지하는 가처분 결정을 내렸다[2]。 쓰시마시에서는 시 인구의 약 절반인 16,803명이 불상 조기 반환을 요구하는 서명을 했다[3]。부석사는 왜구에게 약탈당했다고 주장하지만, "근거를 나타내는 감정서는 불상을 잃었을 때, 떠올리는 것이 슬퍼서 버렸다"고 한다[4]。
3. 2. 불상 반환 문제
2012년 10월 관음사 (쓰시마시)의 관세음보살 좌상이 한국인 절도단에게 도난당했다. 이후 절도단은 한국에서 체포되었고, 불상은 경찰에 압수되었다. 관세음보살 좌상 내부에서 발견된 문서에 "고려국 서주 부석사", "천력 3년(서기 1330년)" 등의 기록이 있었다.[1] 이 때문에 부석사는 이 불상이 원래 부석사에 있던 것을 일본이 약탈한 것이라며 일본에 반환하지 않고 부석사에 반환할 것을 요구했다. 2013년 2월 26일, 한국의 대전지방법원은 일본으로의 반환을 금지하는 가처분 결정을 내렸다.[2] 쓰시마시에서는 시 인구의 약 절반인 16,803명 분의 불상 조기 반환을 요구하는 서명이 모였다.[3]
부석사는 왜구에게 약탈당했다고 주장하지만, 그 근거에 대해 "근거를 나타내는 감정서는 불상을 잃었을 때, 떠올리는 것이 슬퍼서 버렸다"고 한다.[4]
3. 3. 약탈 주장과 근거
2012년 10월 관음사 (쓰시마시)의 관세음보살 좌상이 한국인 절도단에게 도난당했다. 이후 절도단은 한국에서 체포되었고, 불상은 경찰에 압수되었다. 관세음보살 좌상 내부에서 발견된 문서에는 "고려국 서주 부석사", "천력 3년(서기 1330년)" 등이 적혀 있었다.[1] 이 때문에 부석사는 이 불상이 원래 부석사에 있던 것을 일본이 약탈한 것이라 주장하며, 일본에 반환하지 않고 부석사에 반환할 것을 요구했다. 2013년 2월 26일, 한국의 대전지방법원은 일본으로의 반환을 금지하는 가처분 결정을 내렸다.[2] 쓰시마시에서는 시 인구의 약 절반인 16,803명 분의 불상 조기 반환을 요구하는 서명이 모였다.[3]부석사는 왜구에게 약탈당했다고 주장하지만, 그 근거에 대해서는 "근거를 나타내는 감정서는 불상을 잃었을 때, 떠올리는 것이 슬퍼서 버렸다"고 한다.[4]
4. 사진
(내용 없음)
4. 1. 부석사 산신각

참조
[1]
뉴스
対馬の盗難仏像判決
https://www.sankeibi[...]
産経新聞
2017-01-27
[2]
뉴스
韓国裁判所、仏像の日本返還認めず 対馬で盗難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3-02-26
[3]
뉴스
仏像盗難問題、対馬市長が返還求め訪韓へ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13-06-16
[4]
뉴스
窃盗仏像代わりにマスコット人形!?返還拒否の韓国僧侶ふざけた来日 テレビウォッチ 2013/3/15
https://www.j-cast.c[...]
JCAST
2013-03-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