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차 (오나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차는 춘추 시대 오나라의 왕으로, 아버지 합려의 뒤를 이어 기원전 495년에 즉위했다. 그는 월나라와의 전쟁에서 승리했으나, 구천의 계략과 백비의 간언으로 인해 오자서를 죽이고 서시에게 빠져 국정을 소홀히 했다. 결국 기원전 473년 월나라에 패하여 자결하고 오나라는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나라의 군주 - 합려
합려는 춘추시대 오나라의 군주로, 오자서와 손무를 등용하여 국력을 강화하고 초나라를 공격해 수도를 함락시키는 등 오나라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나, 월나라와의 전쟁에서 패배 후 부상을 입고 사망하며 아들에게 복수를 맹세하게 했다. - 오나라의 군주 - 오왕 요
오왕 요는 주몽왕의 손자이자 오나라의 군주로서 초나라와의 잦은 전투와 오자서 등용을 통한 국력 강화에 힘썼으나, 공자 광이 보낸 자객에게 암살당해 왕위 계승 과정에서의 문제점과 권력 찬탈에 대한 비판을 받았다. - 기원전 5세기 중국의 군주 - 위 문후
위 문후는 전국시대 위나라의 군주로서 이회, 오기 등 인재를 등용하고 법가적 개혁을 통해 위나라를 강국으로 만들었으며, 법치를 통해 사회 질서를 확립하고 백성들의 생활을 안정시키는 데 기여하여 전국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 기원전 5세기 중국의 군주 - 주 위열왕
주 위열왕은 기원전 425년부터 기원전 402년까지 재위한 주나라의 왕으로, 삼가분진을 단행하여 춘추 시대를 마감하고 전국 시대를 시작하게 했다.
부차 (오나라) | |
---|---|
기본 정보 | |
칭호 | 왕 |
이름 | 희부차 (姬夫差) |
시대 | 춘추 시대 |
![]() | |
통치 | |
왕조 | 오나라 |
재위 기간 | 기원전 495년 - 기원전 473년 |
수도 | 고소 |
전임자 | 합려 |
후임자 | 군주제 폐지 |
개인 정보 | |
출생 | 불명 |
사망 | 기원전 473년 11월 |
아버지 | 합려 |
자녀 | 우 홍 휘 자우 1명의 아들 |
2. 생애
기원전 495년, 부차는 아버지 합려가 월나라 침략 중 입은 부상으로 사망하자 왕위를 계승했다.
기원전 494년, 월왕 구천이 부차에게 복수할 것이라는 소문을 듣고 선제공격을 감행했으나, 부초 전투에서 오나라 군대에 대패했다. 구천은 회계산으로 후퇴하여 포위되었으나, 범려의 계책에 따라 오나라 재상 백비에게 뇌물을 주어 유리한 조건으로 화친을 맺었다. 이후 구천은 오나라에 인질로 보내졌으나, 3년 후 귀국하여 복수를 다짐했다.
기원전 486년, 부차는 장강과 회하를 연결하는 항구 운하를 건설하고, 황하까지 연결되는 홍구 운하를 통해 북쪽 제나라와의 전쟁에서 보급로를 확보하여 애령 전투에서 제나라에 승리하며 세력을 확장했다.
기원전 483년과 기원전 482년에는 사수와 제수를 연결하는 하수 운하를 건설했다. 같은 해, 황지에서 열린 제후 회의에서 패자의 지위를 얻었으나, 그 사이 구천이 오나라를 공격하여 태자를 죽였다. 부차는 급히 귀국하여 구천과 화친했다.
구천은 와신상담(臥薪嘗膽)하며 복수를 준비했고, 문종과 범려의 도움으로 국력을 키웠다. 또한 서시를 이용해 부차를 현혹시키고, 백비의 조언을 받아 충신 오자서를 죽이게 하는 등 오나라를 약화시켰다.
기원전 473년, 구천은 다시 오나라를 공격했고, 거듭된 패배에 부차는 화친을 청했으나 거절당했다. 결국 부차는 자결하고 오나라는 월나라에 병합되었다.[8][6]
2. 1. 초기 생애와 왕위 계승
부차는 합려의 아들이었다. 그는 아버지 합려가 월나라 침략 중에 입은 부상으로 사망한 후 기원전 495년에 왕이 되었다.[9] 원래 합려에게는 맏아들 파가 있었으나, 파가 아내를 잃은 후 요절하여 아들이 없었기에 부차가 왕위를 계승할 기회를 얻었다. 부차는 합려의 신임을 받는 오자서에게 자신을 태자로 추천해달라고 부탁했다. 합려는 부차의 사람됨에 우려를 표했지만, 부차의 노력과 오자서의 체면을 고려하여 부차를 태자로 삼았다.2. 2. 와신상담과 복수
오자서의 도움으로 국력을 충실히 키운 오나라는 힘을 착착 쌓아갔다. 후환을 두려워한 월나라 구천이 침략했지만, 오나라는 반격하여 구천을 몰아붙였다. 구천이 항복하자, 오자서는 구천을 죽여 후환을 없애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월나라 범려는 빼어난 미인 서시를 바치면서 항복을 구걸하였고, 월나라의 뇌물을 먹은 재상 백비의 권유로 부차는 월왕 구천을 살려두게 된다. 결국 월나라의 책략으로 목숨을 건진 구천은 거짓된 충성심을 보여주고 다시 월나라로 귀환하게 된다.[6]합려는 구천이 범려의 조언을 받아 국력을 키우고 있을 때 월나라를 공격했지만, 오히려 역습을 받았다. 합려는 월나라 무장 영고부의 화살에 엄지발가락을 맞고, 그 상처가 파상풍으로 이어져 사망했다. 합려는 죽기 전, 부차의 형제인 공자자산[10]과의 후계자 다툼을 피하고자 서둘러 부차를 불러 자신의 후계자로 임명하고 "구천이 네 아버지를 죽인 것을 잊지 마라"는 유언을 남겼다. 이 말을 잊지 않기 위해 부차는 침실에 들어갈 때 부하에게 합려의 유언을 반복하게 하고, 잠을 잘 때는 울퉁불퉁한 섶 위에 누워 몸에 고통을 느끼며 복수를 잊지 않으려 했다. 이를 와신상담이라 한다.[7]
2. 3. 패권 추구와 오자서의 죽음
오자서는 월나라가 복수할 것을 두려워하여, 부차에게 북쪽으로 진출하는 것을 간언했다. 이로 인해 부차와 오자서는 의견이 충돌하게 되었고, 결국 기원전 484년 백비의 참언으로 부차는 오자서에게 죽음을 내렸다. 오자서는 부차에게 하사받은 칼로 자결했는데, 이 사건의 배후에는 범려의 이간계가 있었다고 전해진다.[8]기원전 485년, 부차는 군대를 이끌고 제나라를 공격하여 제후들의 맹주로 인정받으려 했다. 그러나 원래 화북의 맹주였던 진나라가 이에 반대했다. 기원전 482년, 진나라와 오나라 사이에 주도권 다툼이 벌어졌다. 그때 오나라 본국이 월나라의 공격을 받아, 부차의 아들 태자 우와 동족인 공손미용[11] 등이 포로로 잡혀 처형되었다는 보고를 받았다.
부차는 이 소식에 당황하여 입단속을 했으나, 누설한 용의자 7명을 색출하여 처형했다. 결국 부차는 조앙의 무력 위협에 굴복하여 진나라에게 맹주의 자리를 포기했다. 귀국길에 백비의 진언으로 송나라를 공격하기도 했지만, 월나라도 오나라를 단번에 멸망시킬 힘은 없어 일단 화해했다.
2. 4. 제나라와의 전쟁과 진나라와의 갈등
부차([夫差중국어])는 계속 국력을 신장하여 북쪽으로 황하 유역에 진출, 패자를 꿈 꿀 수 있게 되었다. 그렇지만 오자서는 월나라의 복수를 두려워하여 부차([夫差중국어])에게 간언했다. 이로 인해 부차와 오자서는 의견이 충돌하게 되고, 기원전 484년 백비의 중상모략으로 오자서에게 자결을 명한다.[8] 물론 이 사건의 뒤에도 월나라 범려의 반간계가 작용했다.기원전 485년, 부차는 군대를 거느리고 제나라를 쳐서 제후의 맹주로 인정을 받으려 하였다. 하지만, 원래부터 화북의 맹주였던 진나라가 이것에 맹렬히 반대했다. 기원전 482년, 주도권 다툼으로 인해 진나라와 오나라 사이의 전쟁이 일어난다. 그때 오왕 부차가 집을 비운 틈을 이용하여 월나라가 오나라를 공격하여, 황자와 그 형제들을 함께 처형한다.[11] 진나라와의 주도권 다툼과 월나라와도 두 개의 전쟁을 치러야 하는 오나라는 결국 패망하게 된다.
부차 11년 (기원전 485년), 부차는 군대를 이끌고 제나라를 쳐서 회맹을 열어 오나라가 제후들의 맹주임을 인정받으려 했다. 하지만, 원래부터 화북의 맹주적 존재였던 진나라가 이에 반대했다.
부차 14년 (기원전 482년), 진나라와 오나라 사이에서 주도권 다툼이 일어난다. 그 때 오나라 본국이 월나라에 공격받아, 머물러 지키게 했던 그의 아들 태자 우와 동족인 공손미용[11]과 장군 수어요 등이 월나라의 포로가 되어 함께 처형되었다는 충격적인 보고를 받는다 (《춘추좌씨전》).
이 소식에 부차는 놀라 당황했고, 이 일이 제후들에게 새어 나가면 수치를 드러내게 되어 주도권을 잡을 수 없다고 생각하여 입단속을 했다. 하지만, 어떤 사람이 이 일을 누설했기 때문에 격노한 부차는 그 용의자를 조사하여, 결국 7명의 용의자를 색출하여 처형했다.
진나라와 맹주의 자리를 다투었지만, 진나라 대부 조앙이 무력으로 위협하여, 어쩔 수 없이 부차는 포기했다. 그 귀로에서 백비의 진언으로 의도적으로 천천히 귀국하여, 도중에 송을 공격하기도 했다. 월나라도 오나라를 한 번에 멸망시킬 정도의 힘은 없었고, 일단 화해했다.
2. 5. 오나라의 멸망
부차(夫差)는 계속 국력을 신장하여 북쪽으로 황하 유역에 진출해 패자를 꿈꿨지만, 오자서는 월나라의 복수를 두려워하여 부차에게 간언했다. 이로 인해 부차와 오자서는 의견이 충돌하게 되었고, 기원전 484년 백비의 중상모략으로 오자서는 자결하게 된다. 이 사건에는 월나라 범려의 반간계가 작용했다.[4]기원전 485년, 부차는 군대를 이끌고 제나라를 공격하여 제후의 맹주로 인정받으려 했다. 그러나 화북의 맹주였던 진나라가 ಇದಕ್ಕೆ 맹렬히 반대했다. 기원전 482년, 주도권 다툼으로 인해 진나라와 오나라 사이에 전쟁이 일어났다. 그때 부차가 집을 비운 틈을 타 월나라가 오나라를 공격하여 황자와 그 형제들을 처형했다. 진나라와의 주도권 다툼과 월나라와의 전쟁, 이 두 개의 전쟁을 치러야 했던 오나라는 결국 패망하게 된다.[4]
부차가 황지에서 열린 지역 제후 회의에서 패자의 지위를 획득했을 때, 구천은 군대를 이끌고 오나라를 공격했다. 부차는 급히 군대를 남쪽으로 돌려 구천과 화해해야 했다.[6] 구천은 한 번의 작전으로 오나라를 물리칠 수 없다고 판단, 군대를 강화하고 부차의 약점을 이용했다. 부차는 백비의 조언에 따라 충신 오자서를 처형했고, 서시에게 국사를 빼앗겼다.[4]
기원전 473년, 구천의 군대는 다시 오나라를 공격하여 거듭 패배를 안겨주었다. 부차는 다시 조건을 구했지만, 범려의 반대로 구천의 결의는 굳건해졌다. 결국 부차는 자결을 강요당했고 오나라는 월나라에 병합되었다.[8][6]
부차 21년(기원전 475년), 오나라 공자 경기[12]는 부차에게 행동을 고칠 것을 간언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그해 겨울 월나라가 오나라를 공격하자 경기는 다시 부차에게 월나라와 결탁해야 한다고 진언했지만, 격노한 부차는 경기를 죽였다.
부차 23년(기원전 473년) 11월, 수도 고소가 함락되었다. 부차는 고소산으로 도망쳐 화해를 청했지만, 범려는 22년간의 고통을 잊었냐며 반대했다. 구천은 부차를 용동(현재의 저우산 군도)으로 유배 보내려 했으나, 부차는 "자서에게 면목이 없다"라며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14] 구천은 부차의 죽음을 가엾게 여겨 장례를 치러주고, 오나라 멸망의 원흉이 된 백비를 처형했다.[15]
3. 가계
관계 | 이름 |
---|---|
황후 | ? |
후궁 | 위희부인 |
후궁 | 서시 (西施 施氏중국어, 이름은 이광夷光중국어) |
아들 | 태자 유(太子友중국어, 기원전 482년 사망) |
아들 | 왕자 지(王子地중국어) |
딸 | 자옥(紫玉중국어) |
4. 평가 및 유산
부차는 최소 4명의 아들을 두었는데, 그 중 3명의 이름은 유, 홍, 회였다. 유는 그의 후계자였지만 오나라의 패배로 이어진 전투에서 사망했고, 홍이 새로운 후계자가 되었다. 국가가 멸망한 후, 부차의 다른 세 아들은 추방되었다. 그들과 그들의 후손들은 오(吳)를 씨족 이름으로 삼았다. 한 고조에 의해 임명된 장사왕 오예는 오씨 가문의 후손으로, 부차의 후손이라고 전해진다.[7]
구천의 복수 이야기는 중국에서 성어가 되었고,[7] 서시의 미모 또한 그러했다. 부차의 억울한 신하 오자서는 단오절을 둘러싼 많은 축제의 영감으로 여겨져 왔다.
4. 1. 부정적 평가
부차는 결국 오나라의 멸망을 초래한 군주로 평가받는다. 《춘추좌씨전》에 따르면, 기원전 475년 오나라의 공자 경기[12]는 부차에게 행동을 고칠 것을 간언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결국 경기는 죽임을 당했다. 이는 부차가 간언을 듣지 않고 독단적인 정치를 펼쳤음을 보여준다.기원전 473년, 월나라에 의해 수도 고소가 함락되자 부차는 화해를 청했지만 거절당하고, 결국 "자서에게 면목이 없다"며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14] 이러한 비극적인 최후는 부차의 오만함과 잘못된 판단이 초래한 결과로 해석된다.
4. 2. 유산
부차는 최소 4명의 아들을 두었는데, 그 중 3명의 이름은 유, 홍, 회였다. 유는 그의 후계자였지만 오나라의 패배로 이어진 전투에서 사망했고, 홍이 새로운 후계자가 되었다. 국가가 멸망한 후, 부차의 다른 세 아들은 추방되었다. 그들과 그들의 후손들은 오(吳)를 씨족 이름으로 삼았다. 한 고조에 의해 임명된 오예, 장사왕은 오씨 가문의 후손이었다. 그는 부차의 후손이라고 전해진다.[7]구천의 복수 이야기는 중국에서 성어가 되었고,[7] 서시의 미모 또한 그러했다. 부차의 억울한 신하 오자서는 단오절을 둘러싼 많은 축제의 영감으로 여겨져 왔다.
5. 대중문화 속 부차
- 동주 열국지 춘추편(1996년, 배우: 바오다즈)
- 월왕 구천 (드라마)|월왕 구천영어(2006년, 배우: 유용)
- 쟁패-월왕에게 헌신한 남자-|쟁패-월왕에게 헌신한 남자-영어(2006년, 배우: 마덕종)
- 복수의 춘추 -와신상담- (2007년, 주연: 후쥔) - 부차와 구천의 22년간의 전쟁을 그린 작품.
- 손자병법 (2008년, 배우: 장송문)
- 삼국쟁란 춘추염성 (2008년)
- 손자병법대전 (2010년, 배우: 왕리)
- 여인들의 손자영웅전|여인들의 손자영웅전영어(2012년, 주연: 정자건)
- 사랑은 불타다 - 오왕 부차 - (다카라즈카 가극단, 2001년) - 부차와 서시의 사랑 이야기를 무대화.
- 사기 (작가: 요코야마 미쓰테루. 사마천의 저서 사기를 만화화한 것으로, 2권 "복수를 맹세한 사람들"에 등장한다)
- 『사기 항우와 유방』 (그림: 히사마츠 후미오, 글: 쿠보타 센타로)
참조
[1]
서적
Eurasia Book Co.
1986-08
[2]
서적
http://dict.revised.[...]
Ministry of Education (Taiwan)
2018-04-01
[3]
서적
Mandarin Daily News
1988-06
[4]
harvp
[5]
harvp
[6]
서적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The King of Yue's Revenge
http://www.shme.com/[...]
2013-03-28
[8]
citation
King of Wu-Fu Chai (n.d.)
http://history.cultu[...]
Culture China
2013-03-28
[9]
문서
杜預の『春秋経伝集解』および司馬貞の『史記索隠』が引く『竹書紀年』と『呉郡図経続記』より。『春秋左氏伝』では太子'''終纍'''と表記。
[10]
문서
実際は闔閭は夫差よりも末子の子山の器量を買っていたが、伍子胥の進言で断念した。
[11]
문서
『春秋左氏伝』では'''王孫弥庸'''と表記され、具体的な親族の血縁上の系譜関係は不明だが、父は夫差の子の公子姑曹と記述され、公孫弥庸は亡き父の軍旗を越が使用していたのを見て「あれは越の捕虜となったわが父の軍旗だ。その敵の越を殺さぬわけにはいかない」と言った。それを見た同族の太子友は「戦いに勝たないと国が滅ぶ。しばらく待ったほうがいい」と諌めている。しかし公孫弥庸はこれを聞き容れず、5千人の軍勢を率いてこれを迎え撃った。夫差の末子の公子地(『春秋左氏伝』では'''王子地''')が公孫弥庸を援助した。公孫弥庸は越の将軍の疇無餘を、公子地は同じく謳陽を捕獲したと記述されている。公子地に関しては越王勾践率いる本軍が到着すると陣営を固めたと、記述された以降の消息は不詳である。
[12]
문서
『[[呉越春秋]]』および『[[東周列国志]]』によると、[[呉王僚]]の子で怪力の持ち主。公子慶忌の存在を恐れた闔閭と伍子胥によって派遣された刺客の石要離(要離)に惨殺された設定となっている。
[13]
문서
『春秋左氏伝』では「'''王孫駱'''」とする。呉王夫差との具体的な親族の血縁上の系譜関係は不明。
[14]
문서
『史記』越王勾践世家第十一「呉王謝曰 吾老矣不能事君王 遂自殺乃蔽其面曰 吾無面以見子胥也」なお、『[[春秋左氏伝]]』では伍子胥のことは触れずに「私は年を取って、あなた(勾践)に奉仕することはできない」と述べて縊死した。
[15]
문서
『春秋左氏伝』[[哀公 (魯)|哀公]]二十四年の項では、伯嚭の刑死の記述はなく越の'''太宰嚭'''として、わずかに記されてい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