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범려는 춘추 시대 월나라의 정치가이자 상인으로, 월나라가 오나라를 멸망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는 오나라와의 전쟁에서 자살 특공대를 조직하여 승리하고, 이후 월왕 구천을 보좌하여 오나라 멸망을 위한 기반을 다졌다. 오나라 멸망 후에는 관직을 사임하고 제나라로 떠나 상업 활동을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했으며, 도주공으로 불리며 재물의 신으로 숭배받았다. 범려는 또한 상업, 양어, 군사 전략에 관한 저술을 남겼으며, 후세에 훌륭한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월나라 사람 - 서시 (사람)
서시는 기원전 5세기 춘추 시대 월나라의 미인으로, 월나라가 오나라에 패배한 후 오왕 부차에게 바쳐져 오나라 멸망의 원인이 되었으며, '침어' 고사로 유명한 중국 4대 미인 중 한 명이다. - 월나라 사람 - 윤상 (월나라)
춘추 시대 월나라의 제34대 군주인 윤상은 월자 부담의 아들이자 구천의 아버지로, 기원전 538년부터 기원전 497년까지 재위하며 오나라와 잦은 충돌을 겪었다. - 춘추 시대의 정치인 - 공자
공자는 기원전 551년에 태어난 유교의 창시자이며, 덕치주의와 사회 질서를 중시하고 인과 예를 통해 사회적 조화를 추구했으며, 동아시아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춘추 시대의 정치인 - 오자서
오자서는 춘추 시대 초나라 출신으로 초나라에 복수하기 위해 오나라에서 활약하며, 손무와 함께 오나라의 부국강병을 이끌고 초나라를 공격하여 수도 영을 함락시켰으나, 오왕 부차와의 갈등으로 자결하고 사후에는 물의 신으로 숭배받았다.
범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범려 |
한자 | 范蠡 |
로마자 표기 | Fan Li |
별칭 | 鴟夷子皮 (치이자피) 陶朱公 (도주공) |
출생과 사망 | |
출생 | 기원전 517년경 |
출생지 | 초나라 완지 (현재의 허난성 난양시) |
사망 | 미상 |
사망지 | 미상 |
활동 | |
시대 | 춘추전국시대 |
소속 국가 | 초나라 월나라 |
주요 활동 | 구천 섬김 오나라 멸망 기여 사업으로 큰 부를 이룸 |
가족 관계 | |
주군 | 윤상 구천 |
관직 | |
관직 | 책사급 모신 |
2. 생애
범려는 어디에서 출생하고 어떻게 월나라에서 벼슬을 했는지는 알려진 바가 없다. 이웃 오나라 왕 합려가 오자서, 손무에게 도움받아 국력을 신장하자 패권 경쟁에서 밀리면 곧 멸망하던 시기의 월나라도 국력 신장에 최선을 다했다. 결국 오나라가 군사를 일으켜 월나라를 침범하였지만, 범려는 기발한 계책으로 오나라를 패퇴시켰다.
월왕 구천과 함께 범려는 한때 오나라의 인질이었다. 3년간 억류된 후 두 사람은 월나라로 돌아왔고, 범려는 구천을 도와 월나라의 행정 체계를 간소화하는 개혁을 실시했다. 기원전 473년, 월나라는 마침내 오나라를 멸망시켰다.[1] 이후 범려는 관직을 사임하고 스스로 도주공(陶朱公)이라 칭했다.
재상직에서 은퇴한 후, 범려는 서시와 함께 어선을 타고 태호의 안개 낀 황야를 떠돌아다녔다고 한다. 만년에는 사업 성공으로 전설이 되었으며, 사후에는 재물의 신인 재신으로 숭배받았다.[1]
범려는 송나라의 범중엄의 조상이었다.[2]
2. 1. 월나라의 모신
범려는 어디에서 태어나 어떻게 월나라에서 벼슬을 했는지는 알려진 바가 없다. 이웃 오나라 왕 합려가 오자서, 손무에게 도움받아 국력을 키우자, 패권 경쟁에서 밀리면 곧 멸망하는 시기였기에 월나라도 국력 신장에 힘을 쏟았다. 오나라가 군사를 일으켜 월나라를 침범하였지만, 범려는 기발한 계책으로 오나라를 물리쳤다. 범려는 자살 특공대를 조직하여 적의 눈앞에서 목을 스스로 베게 하였다. 이에 경악하는 오나라 군대를 급습하여 합려에게 상처를 입히고 오나라 군대를 초토화시켰다. 합려는 이 상처로 결국 죽었다.[1]합려가 죽은 뒤 왕위를 계승한 부차는 오자서의 도움을 받아 복수를 다짐했다. 오나라의 복수를 두려워한 월왕 구천은 오나라를 먼저 침략하려 했으나, 범려는 이를 만류했다. 그러나 구천은 출병하여 대패했다. 구천은 부차에게 신하를 자처하며 목숨을 구걸했고, 문종은 구천을 구명하기 위해 부차의 측근 재상 백비에게 뇌물을 주며 설득했다. 이때 오자서는 부차에게 구천을 죽여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했지만, 부차는 서시를 바친 월나라를 속국으로 삼는 선에서 끝냈다. 오왕 부차와 월왕 구천이 서로 복수를 다짐한 데서 와신상담 고사성어가 유래했다.[1]
범려는 월왕 구천과 함께 한때 오나라의 인질이었다. 3년간 억류된 후 두 사람은 월나라로 돌아왔고, 범려는 구천을 도와 월나라의 행정 체계를 간소화하는 개혁을 실시했다. 기원전 473년, 월나라는 마침내 오나라를 멸망시켰다.[1]
2. 2. 오나라 멸망
오나라의 합려 사후 왕위를 계승한 부차는 오자서에게 도움받아 복수할 칼날을 갈았다. 오나라의 복수를 두려워한 월나라 왕 구천은 오나라를 먼저 침략하려 했지만, 범려는 이를 만류했다. 그럼에도 구천은 출병하여 대패했다. 구천은 부차에게 신하를 자처하며 머리를 조아렸고, 문종은 구천을 구명하기 위해 부차의 측근인 재상 백비에게 많은 뇌물을 주고 설득했다. 이때 오자서는 부차에게 구천을 죽여야 한다고 간언했지만, 부차는 서시까지 바친 월나라를 속국으로 삼는 선에서 끝냈다. 오왕 부차와 월왕 구천이 서로 복수를 다짐한 데서 와신상담의 고사성어가 유래했다.[1]거짓된 충성심을 보여주고 월나라로 돌아온 구천은 범려와 문종에게 보좌받아 복수할 저력을 키웠다. 밖으로는 부차에게 순종하는 모습만 보여줘 방심을 유도하는 한편, 범려는 백비에게 뇌물을 계속 보내 부차와 오자서를 이간질하게 했다. 결국 부차는 오자서를 죽였고, 월나라 군대는 부차가 출병한 틈을 타 오나라를 급습하여 황자를 죽였다. 4년 후, 월나라는 부차를 궁지에 몰아넣어 자살하게 했다.[1]
구천과 범려는 한때 오나라의 인질이었다. 3년간의 억류 생활 이후 두 사람은 월나라로 돌아왔고, 범려는 구천을 도와 월나라의 행정 체계를 간소화하기 위한 개혁을 수행했다. 기원전 473년, 월나라는 마침내 오나라를 멸망시켰다.[1]
구천은 범려에게 국정을 맡기려 했지만, 범려는 문종을 추천했다. 범려와 문종의 보좌를 받으면서도 구천은 표면적으로 부차에게 순종하는 자세를 보여 부차를 방심하게 했다. 또한 범려는 백비에게 뇌물을 보내 오자서에 대한 험담을 부차에게 퍼뜨려 이간질을 꾀했다. 예상대로 오자서는 부차에게 살해당했고, 부차는 북쪽으로 출병하여 천하를 다투려 했고, 월나라 일은 신경 쓰지 않게 되었다.[1]
부차가 오나라 군대의 대부분을 이끌고 북쪽의 회맹에 참가하여, 국토를 지키는 것은 태자 유와 극소수의 병사뿐이었다. 구천은 그 틈을 타 범려에게 물었고, 범려는 "좋습니다"라고 대답했다. 이에 월나라는 대군을 일으켜 단숨에 오나라를 습격하여 태자를 죽이고 오나라를 점령했다. 부차는 당황하여 급히 돌아왔고, 구천은 일단 화해했다. 그 후에도 부차는 무리하게 북쪽으로 출병하여 국력을 소모했다. 4년 후, 월나라는 오나라에 결전을 걸어 마침내 부차를 고소산으로 몰아넣었다. 부차는 항복하여 목숨을 구걸했지만, 범려는 후환을 없애기 위해 죽이라고 진언했다. 구천은 죽이는 것을 망설였고, 주산 군도에 유배 보내려 했지만, 그 명령을 받은 부차는 자살했다.[1]
2. 3. 은퇴와 전설
월나라를 떠나 제나라에 은거한 범려는 문종에게 편지를 보내 "새 사냥이 끝나면 활이 필요없고, 교활한 토끼가 죽으면 사냥개를 삶는다."(토사구팽[4])라고 설명하며, 월왕은 고난은 함께 할 수 있어도 영광을 함께 누릴 수 없는 상이라고 하였다. 그러면서 병을 핑계로 은퇴하라고 권유한다.[1] 범려의 편지를 받고 월을 떠나기를 주저하던 문종은 구천에게 반역을 의심받아 결국 자결하였다.[1]월을 탈출한 범려는 이름을 바꾸고 장사를 하여 막대한 부를 얻었다. 제나라에서 범려의 이름을 듣고 그에게 재상 자리를 권유했지만, 범려는 높은 명성이 불행의 원인이라 생각하고 가진 재산을 사람들에게 나눠주고 다시 도망간다.[1] 제나라에서 도망한 범려는 조로 와서 현재의 산둥성 허쩌시 딩타오구로 거처를 옮기고 스스로 도주공이라 칭했다. 이곳에서도 장사에 성공하여 막대한 재산을 모았는데, 늙어서는 은퇴한 후 유유자적하였다.[1] 이와 관련된 전설은 『사기(史記)』의 「화식열전(貨殖列傳)」에 언급되어 있다.[1]
재상직에서 은퇴한 후, 범려는 고대 중국의 유명한 사대 미인 중 한 명인 서시와 함께 어선을 타고 도교의 고대 신선들처럼 태호의 안개 낀 황야를 떠돌아다녔다고 한다. 만년에는 사업 성공으로 전설적인 인물이 되었으며, 사후에는 재물의 신, 즉 재신(Cai Shen)으로 숭배받았다.[1]
범려는 송나라의 유명한 재상이자 역사적 인물인 범중엄의 조상이었다.[2]
3. 저술
범려의 저작은 소실되었으며, 채모 (281–356)의 작품집에 인용된 구절을 통해서만 알려져 있다.[1] 그의 상업 이론은 당나라 시대인 8-9세기에 마종에 의해 요약되었다.[1]
그의 원 저작에는 다음이 포함된다.[1]
4. 평가
대업이 달성되어 득의양양한 구천을 보고 범려는 월나라를 떠나 제나라에 은거한다. 범려는 문종에게 편지를 보내, "새 사냥이 끝나면 활이 필요 없고, 교활한 토끼가 죽으면 사냥개를 삶는다."(토사구팽[4])라고 설명하고, 월 왕은 고난은 같이할 수 있어도 영광을 함께 누릴 수 없는 상이라고 이야기하면서 칭병하고 은퇴하라고 권유한다. 범려의 편지를 받고 월을 떠나기를 주저하던 문종은 구천에게 반역을 의심받아 결국 자결하였다.
범려의 훌륭한 활약과 출처진퇴는 후세의 동경이 되었고, 호적수인 오자서와 함께 오랫동안 회자되었다.
범려는 일본에서도 명신으로 유명하다. 태평기 권 제4 "오월투사"(서원원본의 사서)에는 고다이고 천황의 신하 고지마 다카노리가 "'''하늘이 구천을 비워두더라도 때에 범려는 없을 수 없다'''"라는 구절을 보냈다는 이야기가 있다. 고다이고 천황을 구천에 비유하여, 명신이 나타나지 않는 것은 아니니 포기하지 말라고 격려한 것이다. 이 일화는 "고지마 다카노리"라는 문부성 창가로 불렸다.
5. 작품
범려의 저작은 소실되었으며, 채모 (281–356)의 작품집에 인용된 구절을 통해서만 알려져 있다. 그의 상업 이론은 당나라 시대인 8-9세기에 마종에 의해 요약되었다.[1]
그의 원 저작에는 다음이 포함된다.[1]
- 상업 경영 및 위험에 관한 여러 논문[1]
- 양어에 관한 초기 텍스트인 ''양어경''(養魚經, Book of Fish Breeding).[1]
- 군사 전략에 관한 ''병법''(兵法, Art of War). 손자의 ''손자병법''과는 구별된다.[1]
; 소설
; 텔레비전 드라마
참조
[1]
웹사이트
God of Wealth
https://www.chinatow[...]
[2]
서적
Ethnic Chinese Business in Asia: History, Culture and Business Enterprise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Publishing Company
2017-06-25
[3]
문서
[[前漢]]設立の功労者である[[韓信]]が失脚した際、[[皇帝]]である[[劉邦]]に対しこの手紙の語句をそのまま引用して伝えたとされている。
[4]
문서
"《[[사기 (역사서)|사기]](史記)》 〈월왕구천세가(越王句踐世家)〉에 따르면, “蜚鳥盡 良弓藏 狡兔死 走狗烹 (벌레를 먹는 새가 없어지면 좋은 활이 감추어지고, 교활한 토끼가 죽으면 사냥개가 삶긴다.)”라고 했으며, 《사기(史記)》 〈회음후열전(淮陰侯列傳)〉에 따르면, “果若人言. 狡兎死良狗烹 飛鳥盡良弓藏 敵國破謀臣亡. 天下已定我固當烹 (과연 사람들의 말과 같도다. 교활한 토끼가 죽으면 사냥개가 삶기고, 날아다니는 새가 없어지면 좋은 활이 감추어지며, 적국이 타파되면 모신도 망한다. 천하가 이미 평정되었으니 나도 마땅히 삶기는구나)”라고 [[한신 (회음후)|한신]]이 한탄하였다고 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