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 원미구 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천시 원미구 을은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로,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부천시 중구 갑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다. 2016년 부천시의 일반구 폐지에 따라 부천시 을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이사철, 배기선, 설훈 등이 있으며, 각 선거에서 다양한 정당 소속 후보들이 당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0년 폐지된 대한민국 선거구 - 부천시 원미구 갑
부천시 원미구 갑은 1996년 신설되어 2016년까지 총 6번의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진 선거구로, 안동선, 김기석, 임해규, 김경협 등이 역대 당선자이다. - 2020년 폐지된 대한민국 선거구 - 부천시 소사구 (선거구)
부천시 소사구 선거구는 1993년 신설되어 1996년부터 2016년까지 운영되었으며 김문수, 차명진, 김상희 등의 국회의원을 배출, 보수와 진보정당 간 경쟁이 치열했던 선거구였으나 2016년 구 폐지로 부천시 병 선거구로 통합되었다. - 부천시의 정치 - 부천시 원미구 갑
부천시 원미구 갑은 1996년 신설되어 2016년까지 총 6번의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진 선거구로, 안동선, 김기석, 임해규, 김경협 등이 역대 당선자이다. - 부천시의 정치 - 부천시 소사구 (선거구)
부천시 소사구 선거구는 1993년 신설되어 1996년부터 2016년까지 운영되었으며 김문수, 차명진, 김상희 등의 국회의원을 배출, 보수와 진보정당 간 경쟁이 치열했던 선거구였으나 2016년 구 폐지로 부천시 병 선거구로 통합되었다. - 경기도의 폐지된 선거구 - 군포시 (1996년 선거구)
군포시 선거구는 1996년 신설되어 2016년 인구 증가로 분구되기 전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유선호, 김부겸, 이학영 의원을 배출했다. - 경기도의 폐지된 선거구 - 고양시 덕양구 갑
고양시 덕양구 갑은 제16대 총선을 위해 고양시 덕양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선거구로, 덕양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다가 일산동구 식사동 편입 후 고양시 갑 선거구로 재편되어 폐지되었으며, 곽치영, 유시민, 손범규, 심상정 등이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부천시 원미구 을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한민국 선거구 정보 | |
이름 | 부천시 원미구 을 |
의회 | 국회 |
큰 지도 | 경기도 |
연도 | 1996년 |
폐지 | 2020년 |
유형 | 국회 |
이전 선거구 | 부천시 중구 갑 |
이후 선거구 | 부천시 을 |
의원수 | 1인 |
2. 역사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부천시 중구 갑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부천시 원미구 을 선거구가 신설되었다. 2016년 7월 4일, 부천시가 일반구인 원미구, 소사구, 오정구를 폐지하면서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부천시 을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2. 1. 선거구 신설 및 개편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부천시 중구 갑 선거구에서 분리되면서 신설되었다.2016년 7월 4일을 기해 부천시가 일반구인 원미구, 소사구, 오정구를 폐지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부천시 을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3. 1. 역대 국회의원 목록
4.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 | 당선인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이사철 | 신한국당 | 31,371 | 37.93 |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배기선 | 새천년민주당 | 43,490 | 50.94 |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배기선 | 열린우리당 | 56,752 | 47.45 |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이사철 | 한나라당 | 43,102 | 48.97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설훈 | 민주통합당 | 63,758 | 56.01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설훈 | 더불어민주당 | 57,198 | 42.84 |
각 선거별 자세한 결과는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4. 1.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국당 이사철 후보가 새정치국민회의 배기선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보수 성향의 이사철 후보는 지역 개발 공약을 내세워 지지를 얻었으나, 선거 과정에서 불법 선거 운동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
---|---|---|---|---|
신한국당 | 이사철 | 31,371 | 37.93 | |
새정치국민회의 | 배기선 | 27,955 | 33.80 | |
자유민주연합 | 김길홍 | 11,956 | 14.45 | |
통합민주당 | 조영상 | 9,647 | 11.66 | |
무소속 | 김만옥 | 1,761 | 2.12 | |
합계 | 82,690 |
4. 2.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배기선 후보가 50.9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한나라당 이사철 후보는 41.28%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하였고, 자유민주연합 김선관 후보는 7.77%를 득표하였다.
4. 3.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배기선 후보가 재선에 성공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배기선 | 열린우리당 | 56,752 | 47.45 |
이사철 | 한나라당 | 47,808 | 39.97 |
이강인 | 새천년민주당 | 7,132 | 5.96 |
이종문 | 민주노동당 | 6,926 | 5.79 |
권상기 | 자유민주연합 | 976 | 0.81 |
합계 | 119,594 | 100 |
4. 4.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이사철 | 한나라당 | 43,102 | 48.97 |
배기선 | 통합민주당2008 | 31,136 | 35.37 |
최순영 | 민주노동당 | 7,927 | 9.00 |
박성희 | 친박연대 | 5,305 | 6.02 |
유정하 | 평화통일가정당 | 539 | 0.61 |
합계 | 88,009 |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이사철 후보가 통합민주당2008 배기선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4. 5.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통합당 설훈 후보가 새누리당 손숙미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진보 성향의 설훈 후보는 민주통합당의 지지세에 힘입어 당선되었으나, 지역구 내 기반이 약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4. 6.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설훈 후보가 새누리당 이사철 후보를 누르고 재선에 성공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