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호 (상나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호는 상나라 무정 왕의 64명의 부인 중 한 명으로, 군사적 지도자이자 제사장의 역할을 수행했다. 갑골문과 부호의 묘에서 출토된 유물을 통해 그녀가 여러 군사 작전을 지휘했으며, 당시 가장 강력한 장군 중 한 명이었음을 알 수 있다. 부호의 묘는 도굴되지 않은 채 발견되어 상나라 시대의 매장 관행과 부호의 삶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녀는 옥기, 청동기, 뼈기 등 다양한 유물과 함께 매장되었으며, 이는 그녀의 높은 지위를 나타낸다. "부호"라는 명칭의 해석과 부호의 실존 여부에 대한 논란이 존재하며, 현대 대중문화에서도 그녀를 소재로 한 작품이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나라의 군인 - 오래 (상나라)
오래는 상나라 주왕을 섬긴 인물로, 뛰어난 힘으로 주왕에게 중용되었지만 간신으로서 악행을 저질러 은주 혁명의 원인이 되었으며, 주나라 무왕에게 토벌될 때 전사했고 그의 후손은 진나라의 조씨가 되었다고 한다.
부호 (상나라) | |
---|---|
기본 정보 | |
![]() | |
배우자 | 무정 (상나라) |
자녀 | 조기 |
직업 | 군사 장군 여사제 |
왕조 | 상나라 |
칭호 | 왕후 |
사망일 | 기원전 1200년경 |
사망 장소 | 은허, 상나라 |
기타 정보 | |
중국어 간체 | 妇好 |
중국어 정체 | 婦好 |
병음 | Fù Hǎo |
로마자 표기 | Bu Ho |
모신 | 모신 |
2. 생애
상나라 무정 왕의 여러 부인 중 한 명이었던 부호는 단순한 왕비를 넘어, 당시 사회에서 군사 및 종교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던 인물이다. 그녀의 이름과 활동은 『사기』와 같은 후대의 전해지는 문헌에는 기록되어 있지 않으나,[20] 은허에서 발굴된 갑골문 기록과 1976년에 발견된 그녀의 부호묘를 통해 상세히 알려지게 되었다.[20]
갑골문 기록에는 부호가 여러 차례 군대를 이끌고 주변 부족과의 전투에 참여했으며, 특히 강인(羌人) 정벌 시에는 13,000명에 달하는 대규모 병력을 지휘했다는 내용이 남아 있다.[20] 또한, 그녀는 중요한 국가 제사를 직접 집행하기도 하여,[20] 당시 상나라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겨졌던 군사와 제례 양쪽 분야에서 모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음을 알 수 있다. 부호는 자신의 토지를 소유했으며,[20] 조기 태자의 어머니이기도 했다.
부호는 남편인 무정보다 먼저 사망했으며,[20] 은허의 궁전 종묘 구역 내에 묻혔다. 그녀의 묘는 상나라 왕족의 묘 중 유일하게 도굴되지 않은 채 발견되어, 그녀의 군사적 권위를 상징하는 도끼(鉞)를 비롯한 다수의 귀중한 유물이 출토되었다.[20] 후대의 갑골문에는 그녀가 제사의 대상이 되는 선조로 기록되기도 했다.[20]
2. 1. 왕비 이전
알려진 바에 따르면 무정 왕은 인근 부족들과의 동맹을 공고히 하기 위해 각 부족에서 한 명씩의 여성과 결혼했다. 부호는 무정 왕의 64명의 부인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그녀는 이러한 결혼을 통해 왕실에 들어왔으며, 당시의 반(半) 모계 사회 구조를 통해[5] 무정의 세 비빈 중 한 명으로 지위가 상승했다. 그녀는 묘에서 발견된 다양한 무기들을 통해 볼 때 변방이나 스텝 지역 출신이었을 가능성이 있다.[6][7]다른 두 명의 비빈은 부정( 婦妌중국어 )과 부시( 婦嬕중국어 )였다. 부정은 정실 부인이었고, 부호는 첩실이었다. 부호는 또한 조기 태자의 어머니이기도 했다. 갑골문에는 그녀의 출산 시 건강에 대한 염려가 나타나 있다.

상나라의 제사장 활동과 의례에 대한 기록은 제한적이어서 일부 해석은 모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 婦중국어 )라는 한자는 여러 의미를 지닐 수 있다. 갑골문 해독에도 불구하고, 부호가 본래 왕의 부인이 아니라 제사장이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일부 문맥에서 '부인'이라는 칭호가 실제로는 제사장의 지위를 나타냈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부호는 자신의 토지를 소유했다. 갑골문에 따르면 그녀는 왕에게 여러 차례 놀라울 정도로 가치 있는 공물을 바쳤다. 당시 가장 중요한 정치 활동 중 하나인 의례는 상나라 왕이 주관했지만, 갑골문 기록에 따르면 무정은 부호에게 특별한 의례 집행과 조상 제사를 여러 차례 맡겼다. 상나라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겨진 활동은 의례와 전투였는데, 부호는 이 두 분야 모두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2. 2. 왕비이자 군사 지도자
무정 왕은 주변 부족과의 동맹을 강화하기 위해 각 부족 여성과 결혼했는데, 부호(zh)는 그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그녀는 무정의 64명 부인 중 한 명으로 왕실에 들어와, 당시의 반(半)모계 사회 구조 속에서 지위를 높여[5] 무정의 세 주요 비빈 중 한 명이 되었다. 그녀의 묘에서 다양한 무기가 출토된 점으로 미루어 보아, 변방이나 스텝 지역 출신일 가능성이 제기된다.[6][7] 다른 두 명의 주요 부인은 부정(zh)과 부시(zh)였으며, 이 중 부정이 정실 부인이었고 부호는 첩실이었다. 부호는 조기 태자의 어머니이기도 했으며, 갑골문에는 그녀의 출산 시 건강을 염려하는 기록이 남아 있다.상나라의 갑골문 해독에도 불구하고 일부 기록은 해석이 모호하다. 예를 들어 '부'(zh)라는 글자는 여러 의미를 지닐 수 있어, 부호가 본래 왕비가 아닌 제사장이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즉, 일부 문맥에서 '부인'이라는 호칭이 실제로는 제사장의 지위를 의미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부호는 자신의 토지를 소유했으며, 갑골문에 따르면 왕에게 여러 차례 귀중한 공물을 바쳤다. 당시 가장 중요한 정치 활동이었던 의례는 상나라 왕이 주관했지만, 무정은 부호에게 특별한 의례를 집행하고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도록 여러 차례 지시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는 당시 가장 중요했던 두 활동인 의례와 전투 모두에서 부호가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음을 보여준다.
부호의 존재와 활동은 주로 상나라 갑골문 유물, 특히 은허에서 발굴된 250건 이상의 기록들을 통해 현대에 알려졌다.[10][20] 후대의 『사기』와 같은 문헌에는 그녀에 대한 기록이 전혀 없다. 갑골문 기록과 그녀의 무덤에서 발견된 무기들은 부호가 상나라를 위해 여러 군사 작전을 지휘한 장군이었음을 증명한다.[11] 그녀는 상나라의 적과 주변 세력을 정복하는 임무를 맡았다.[12] 오랫동안 상나라와 대립했던 토방(zh)은 부호가 이끈 군대에 결정적으로 패배했다. 이후 인접한 이, 강, 그리고 파에 대한 군사 작전이 이어졌다. 특히 파족과의 전투는 중국 역사상 기록된 최초의 대규모 매복 작전으로 유명하며,[13] 강인(羌人) 정벌 시에는 13,000명에 달하는 대규모 병력을 지휘했다.[20] 지(Zhi)와 후가오(Hou Gao) 같은 중요한 장군들이 그녀를 보좌했으며, 그녀는 당대 상나라에서 가장 강력한 군사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14] 이러한 그녀의 특별한 지위는 무덤에서 발굴된 큰 전투 도끼(鉞)를 포함한 다수의 무기들을 통해 확인된다.[4]
부호의 업적은 매우 뛰어나고 독특하지만, 당시 군사적 역할을 수행한 여성이 부호만은 아니었다. 부징 역시 무덤에서 많은 무기와 군사 장비가 발견되어 군에서 활동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갑골문 기록에 따르면 이 시대에 최소 600명의 여성이 군대에 참여했던 것으로 보인다.[15]
무정보다 먼저 세상을 떠난 부호는 은허의 궁전 종묘 구역 내에 위치한 부호묘(현재 허난성 안양시 인두구)에 묻혔다. 상나라 왕족의 묘 중 유일하게 도굴되지 않은 상태로 1976년에 발굴되면서 그녀의 존재가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20] 묘 내부에서는 부호가 군사적 권위를 가졌음을 상징하는 도끼(鉞)을 비롯하여, 상나라 시대에는 보기 드문 동경, 사각형 모양의 정(鼎)과 장방이(長方彝) 등 총 1,928점의 귀중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2. 3. 정치적 영향력
무정 왕은 주변 부족과의 동맹을 강화하기 위해 각 부족 여성과 혼인했는데, 부호(婦好zho)는 그중 한 명으로 왕의 64명의 부인 중 하나였다. 그녀는 이러한 혼인을 통해 왕실에 들어와 반(半)모계 사회 구조 속에서 두각을 나타내어[5] 무정 왕의 세 비빈 중 한 명이 되었다. 그녀의 묘에서 다양한 무기가 출토된 점으로 미루어 변방이나 스텝 지역 출신일 가능성이 제기된다.[6][7] 다른 두 비빈은 부정( 婦妌zho)과 부시(婦嬕zho)였으며, 부정은 정실, 부호는 첩실이었다. 부호는 조기 태자의 어머니이기도 했으며, 갑골문에는 그녀의 출산 시 건강을 염려하는 기록이 남아 있다.상나라의 제사장 활동과 의례에 대한 기록은 일부 모호한 점이 있다. '부'(婦zho)와 같은 한자는 여러 의미를 지닐 수 있어, 갑골문 해독에도 불구하고 부호가 본래 왕비가 아닌 여성 제사장이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즉, 일부 문맥에서 '부인'은 실제로는 제사장의 지위를 의미할 수도 있다.
부호는 자신의 토지를 소유했으며, 갑골문에 따르면 왕에게 여러 차례 귀중한 공물을 바쳤다. 당시 가장 중요한 정치 활동이었던 의례는 상나라 왕이 주관했지만, 무정 왕은 부호에게 특별한 의례를 집행하고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도록 여러 차례 지시했다는 기록이 갑골문에 남아 있다. 상나라에서 가장 중요했던 활동인 의례와 전투 양쪽 모두에서 부호는 뛰어난 역할을 수행했다.
부호는 현대 학자들에게 주로 상나라 갑골문 유물인 은허에서 발굴된 기록들을 통해 알려져 있다.[10] 이 기록들과 그녀의 무덤에서 발견된 무기들은 부호가 상나라를 위해 여러 군사 작전을 지휘한 장군이었음을 보여준다.[11]
군사 지휘관으로서 그녀는 상나라의 적과 주변 부족들을 정복하는 임무를 수행했다.[12] 토방( 土方zho)은 여러 세대에 걸쳐 상나라와 대립했으나, 부호가 이끈 군대에 결정적인 패배를 당했다. 그 뒤 인접한 이족, 강족, 파족에 대한 군사 작전이 이어졌다. 특히 파족과의 전투는 중국 역사상 기록된 최초의 대규모 매복 공격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13] 최대 13,000명의 병력과 지(Zhi), 후가오(Hou Gao)와 같은 주요 장군들이 그녀의 지휘 아래 있었으며, 부호는 당시 상나라에서 가장 강력한 군사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14] 그녀의 무덤에서 발굴된 큰 전투 도끼를 포함한 다수의 무기는[4] 그녀의 이례적인 군사적 지위를 뒷받침한다.
부호의 업적이 독보적이기는 하지만, 당시 다른 여성들도 군사적 역할을 수행했다는 증거가 있다. 예를 들어, 부징의 무덤에서도 다수의 무기와 군사 장비가 발견되어 그녀 역시 군사 활동에 참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갑골문 기록에 따르면 이 시대에 최소 600명 이상의 여성이 군대에 참여했던 것으로 나타났다.[15]
2. 4. 제사장
상나라 시대의 제사장 활동과 의례에 대한 기록은 일부 모호한 점이 있다. '부'(婦|푸중국어)와 같은 한자는 여러 의미를 가질 수 있어, 갑골문 해독에도 불구하고 부호와 같은 여성이 본래 왕의 부인이 아니라 제사장이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즉, 일부 문맥에서 '부인'이라는 의미가 실제로는 제사장의 지위를 나타낼 수도 있다는 것이다.
부호는 자신의 토지를 소유했으며, 갑골문에 따르면 왕에게 여러 차례 귀중한 공물을 바쳤다. 당시 가장 중요한 정치 활동이었던 의례는 상나라 왕이 통제했지만, 갑골문 기록에는 무정이 부호에게 특별한 의례를 집행하고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도록 반복적으로 지시했다는 내용이 나타난다. 이는 상나라의 중요한 활동인 의례에서 부호가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음을 보여준다.[20] 갑골문에는 부호가 직접 제사를 집행했다는 기록도 남아 있으며[20], 무정보다 먼저 사망한 후에는 후대 갑골문에서 제사 대상인 선조로 기록되기도 했다.[20]
3. 부호묘
부호 묘는 상나라 무정의 왕비인 부호의 무덤으로, 허난성 안양시 인두구의 은허 유적 내에 위치한다.[20] 부호는 남편인 무정보다 먼저 사망했으며, 그녀의 묘는 당시 왕족들이 주로 묻히던 주요 왕실 묘역에서 벗어나 강 건너편 그녀 소유의 땅에 조성되었다.[5] 이러한 독특한 위치 덕분에 부호 묘는 상나라 왕족의 무덤 중 유일하게 도굴되지 않은 채 온전히 보존될 수 있었다.[5][20]
1976년 고고학자들에 의해 발굴된 부호 묘는[5] 갑골문 기록으로만 단편적으로 알려졌던 부호라는 인물의 존재와 그녀의 높은 사회적 지위를 실증적으로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20] 또한, 상나라 시대의 장례 문화, 사회 구조, 공예 기술 등을 연구하는 데 매우 귀중한 자료를 제공한다. 묘 내부에서는 부호의 강력한 군사적 권위를 상징하는 월(鉞)을 비롯하여[20] 정교하게 제작된 다수의 청동기, 옥기, 상아기, 골기 등 약 1,928점에 달하는[20] 풍부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이는 부호가 단순한 왕비를 넘어 정치, 군사, 종교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음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부호 묘는 현재 일반에 공개되어 있다.[5]
3. 1. 발견

부호는 사망 후 일반적인 왕족들과 달리 주요 왕실 묘지가 아닌 강 건너편 자신의 소유지에 묻혔다. 그녀는 남편 무정보다 먼저 사망했으며, 무정은 이후 은에 자신의 묘를 만들었다.
부호의 묘는 그 위치 덕분에 도굴되지 않고 온전히 보존된 유일한 상나라 왕실 무덤으로 남아있다. 이는 부호의 삶과 당시의 매장 풍습을 연구하는 데 매우 귀중한 자료를 제공한다. 1976년 고고학자들에 의해 발굴되었으며, 현재는 일반에 공개되어 있다. 무정은 부호 사후에도 그녀를 매우 총애하여, 상나라를 위협하던 공(共)과의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부호의 영적인 도움을 구하며 그녀의 묘에서 여러 차례 제사를 지냈다. 또한 무정은 부호를 이전 시대의 위대한 왕 세 명과 사후에 혼인시키는 의례를 치르기도 했다.[5]
묘는 가로 5.6m, 세로 4m 크기의 구덩이 형태로, 내부에는 길이 5m, 너비 3.5m, 높이 1.3m의 나무 구조물이 있었다. 묘 내부에서는 부호의 높은 지위를 보여주는 막대한 양의 부장품이 발견되었다.
특히 다량의 다양한 무기가 함께 묻혀 있었는데, 이는 당시 전사나 장군에게만 허용되었던 것으로 부호의 중요한 군사적 역할을 시사한다. 이 외에도 수백 점에 달하는 청동기, 옥기, 뼈, 석기 유물(조각상, 그릇, 거울 등)이 발견되었으며, 이 중 상당수는 상나라 전역에서 수집된 희귀품이다. 이 유물들은 당시의 기술과 예술을 보여주는 가장 잘 보존된 사례들로 평가받는다. 또한 '부호가 준비한'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제사용 청동기와 점술에 사용된 거북이 껍질은 그녀가 고위 여사제이자 점술가였음을 뒷받침하는 증거이다.[4]
상나라 시대의 풍습에 따라, 묘에는 16명의 사람이 순장되었고 6마리의 개도 함께 묻혔다.[16] 부호 자신의 유해는 오랜 시간이 흘러 부패한 상태로 발견되었다.[17]
3. 2. 구조 및 유물
부호는 사망 후 왕족들이 일반적으로 함께 매장되는 주요 왕실 묘지와는 달리, 강 건너편 그녀 소유의 땅에 묻혔다. 이는 무정보다 먼저 사망했기 때문이다. 부호의 묘는 그 위치 덕분에 도굴되지 않고 온전히 발견된 유일한 상나라 왕실 무덤으로, 이를 통해 부호의 삶과 당시 매장 관행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무정은 부호 사후에 상나라를 위협했던 공(共)을 물리치는 데 그녀의 영적인 도움을 받고자 그곳에서 여러 차례 제사를 지냈다. 이는 무정이 부호를 얼마나 총애했는지를 보여주며, 그녀가 죽은 후에는 이전 시대의 위대한 왕 세 명과 영혼 결혼을 시키기도 했다.[5] 이 묘는 1976년 고고학자들에 의해 발굴되었으며 현재 일반에 공개되어 있다.
묘 자체는 가로 5.6m, 세로 4m 크기의 구덩이였으며, 내부에는 길이 5m, 너비 3.5m, 높이 1.3m 크기의 나무 구조물이 있었다. 묘 내부는 부호의 높은 지위를 보여주는 막대한 양의 매장품으로 가득 차 있었다.

부호의 묘에서는 그녀의 중요한 군사적 지위를 나타내는 다양하고 많은 양의 무기가 출토되었다. 당시에는 전사나 장군만이 무기와 함께 매장되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유물로는 군사적 지휘권을 상징하는 월(鉞)이 있다. 또한, 조각상, 용기, 거울 등 수백 점의 청동기, 옥기, 뼈, 석기 유물이 함께 발견되었는데, 이 중 다수는 상나라 전역에서 수집된 희귀한 물건들이었다. 이 유물들은 상나라 시대의 유물 중 가장 잘 보존된 상태로 평가받는다. 특히 '부호가 준비한(婦好備)'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제사용 청동 용기와 거북이 껍질은 그녀가 고위 여사제이자 점술가였음을 뒷받침하는 증거이다.[4] 상나라 시대에는 드물었던 동경도 출토되었다.
상나라의 관습에 따라, 부호는 16명의 사람과 6마리의 개와 함께 순장되었다.[16] 부호 자신의 유해는 부패하여 남아있지 않았다.[17]
부호 묘에서 출토된 주요 유물은 다음과 같다.[19]
종류 | 수량 | 비고 |
---|---|---|
옥기 | 755점 | |
뼈 유물 | 564점 | 뼈 머리핀 약 500개, 뼈 화살촉 20개 이상 포함 |
청동기 | 468점 | 무기 130점, 종 23개, 칼 27점, 거울 4점, 호랑이 또는 호랑이 머리 장식 4점, 정(鼎) (방정 포함), 장방이(長方彝) 등 포함 |
석기 | 63점 | |
상아기 | 5점 | |
도기 | 11점 | |
조개 껍데기 | 약 7,000개 | 상나라 시대 화폐 |
순장자 | 16명 | |
순장 동물 | 6마리 | 개 |
부호 묘는 은허의 궁전 종묘 구역 내(현재의 허난성 안양시 인두구)에 위치하며, 은 왕족의 묘 중 유일하게 도굴을 면한 채 1976년에 발견되었다. 총 1,928점의 유물이 출토되어 부호의 삶과 상나라 사회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3. 3. 역사적 의의
부호는 사망 후 왕족들이 주로 함께 매장되던 주요 왕실 묘지와는 달리, 강 건너편 자신의 땅에 묻혔다. 이는 남편인 무정이 은에 묘를 만들기 전의 일이다.
부호의 묘는 그 위치 덕분에 현재까지 발견된 상나라 왕실 묘 중 유일하게 도굴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어, 그녀의 삶과 당시의 매장 풍습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를 제공한다. 1976년 고고학자들에 의해 발굴되었으며, 현재는 일반에 공개되어 있다. 무정은 부호 사후에도 상나라를 위협하던 공(共)을 물리치기 위해 그녀의 영적인 도움을 구하고자 묘 앞에서 여러 차례 제사를 지냈는데, 이는 그가 부호를 얼마나 총애했는지 보여주는 증거이다.[5]
묘는 가로 5.6m, 세로 4m 크기의 구덩이 형태로, 내부에는 길이 5m, 너비 3.5m, 높이 1.3m의 목곽 구조물이 있었다. 목곽 안은 부호의 높은 지위를 보여주는 수많은 부장품으로 가득 차 있었다.
특히 다량의 다양한 무기가 함께 묻혀 있어 그녀의 중요한 군사적 역할을 짐작하게 한다. 당시에는 전사나 장군만이 무기와 함께 매장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수백 점의 청동기, 옥기, 골기, 석기 등이 발견되었는데, 이 중에는 조각상, 제사용 그릇, 거울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당수는 상나라 영토 밖에서 들여온 희귀품이었다. 이 유물들은 당시의 공예 기술을 보여주는 가장 잘 보존된 사례들로 평가받는다. 특히 '부호가 준비한(婦好備)'이라는 명문이 새겨진 제사용 청동기와 거북이 껍질은 그녀가 고위 여사제이자 점술가였음을 뒷받침하는 증거이다.[4] 상나라의 풍습에 따라 16명의 사람이 순장되었고, 6마리의 개도 함께 묻혔다.[16] 부호 자신의 유해는 부패하여 남아있지 않았다.[17]
무정의 부인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사기』와 같은 후대의 기록에는 부호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다. 그녀의 존재는 오직 갑골문과 같은 상나라 시대 문자 자료를 통해서만 확인된다. 1976년 묘의 발굴은 부호라는 인물을 세상에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부호에 관한 갑골문 기록은 250여 건에 달한다. 무정 재위 기간 동안 상나라는 주변 부족과의 전쟁이 잦았는데, 부호는 여러 차례 군대를 이끌고 직접 전투에 참여했다. 그녀는 파방(巴方), 토방(土方), 이방(夷方) 등을 정벌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강인(羌人)과의 전투에서는 13,000명에 달하는 대규모 병력을 지휘하기도 했다. 또한 제사를 직접 주관하는 등 종교적인 역할도 수행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 외에도 출산 가능 여부나 건강 상태에 관한 점술 기록도 남아있다. 부호의 생사를 묻는 점술 기록도 있으며, 그녀는 무정 재위 기간 중에 사망했다. 무정 시대 이후의 갑골문에서는 그녀가 제사의 대상이 되는 조상으로 등장한다.[20]
부호 묘에서는 군사적 권위를 상징하는 월(鉞)을 비롯하여, 상나라 시대에는 보기 드문 동경, 네모난 형태의 정(鼎)과 이(彝) 등 총 1,928점의 귀중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이 유물들은 은허의 궁전 종묘 구역 내에 위치한 부호 묘(현재 허난성 안양시 인두구)에서 발견되었다.
4. 논란과 이설
"부호(婦好)"의 "부(婦)" 자는 일반적으로 상나라 왕 무정의 아내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지만[20], 이에 대한 다른 견해도 존재한다. 갑골문에서 "부(婦)" 칭호를 가진 인물이 60명 이상 발견됨에 따라, 이 칭호가 왕비뿐만 아니라 특정 직위를 가진 여관(女官) 등을 포괄적으로 지칭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20] 더 나아가 일본의 학자 오치아이 아츠시는 '부(婦)'가 지방 영주의 칭호이며, 군사 활동 등으로 유명한 부호는 무정의 측실인 여성이 아니라 '호읍(好邑)'을 다스리던 남성 영주였다는 이설(異說)을 주장하기도 했다.[21]
4. 1. "부(婦)"의 해석
"부호(婦好)"의 "부(婦)"는 어떤 지위를 나타내는 말로, 일반적으로 상나라 왕 무정의 아내로 해석된다.[20] 그러나 "부(婦)" 칭호를 가진 인물이 60명 이상 확인되면서, 단순히 왕의 아내만이 아니라 여관(女官)과 같이 특정 역할을 수행했던 여성을 가리키는 일반적인 호칭이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20][21]"호(好)"는 '자(子)'라는 성씨 또는 씨족 집단 출신임을 나타낸다.[22] 갑골문에서는 여성을 나타내는 '여(女)' 자가 더해져 '부호(婦好)'로 쓰이는 경우가 많지만, '추자(帚子)'나 '부자(婦子)' 등으로 표기된 사례도 발견된다.[23] 이 때문에 현대 중국어 발음으로는 '푸쯔(Fù Zǐ)'에 가깝게 읽어야 하지만, '자(子)'에 여자 변이 붙은 글자가 '좋다'는 의미의 '호(好)' 자와 같아 편의상 '부호(Fù Hǎo)'라고 읽는 것이 일반적이다.
사후에 작성된 갑골문 기록에서는 부호를 '모신(母辛)' 또는 '비신(妣辛)'이라는 시호로 칭하고 있다. 여기서 '비(妣)'는 왕의 배우자를 나타내는 호칭이다.
5. 현대적 재조명
(내용 없음)
5. 1. 대중문화
참조
[1]
간행물
The Four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hinese Paleography [ICCP] Proceedings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2003
[2]
서적
The Cambridge Illustrated History of China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The First Lady of Chinese Archaeology
http://trowelblazers[...]
TrowelBlazers
2014-05-09
[4]
웹사이트
Shang Tomb of Fu Hao
http://depts.washing[...]
University of Washington
2007-08-04
[5]
웹사이트
Woman General Fu Hao
http://www.womenofch[...]
All China Women's Federation
2007-08-04
[6]
논문
Steppe Weapons in Ancient China and the Role of Hand-to-hand Combat
https://www.academia[...]
2015
[7]
서적
Nomadic Art of the Eastern Eurasian Steppes: The Eugene V. Thaw and Other New York Collections
https://cdn.sanity.i[...]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2
[8]
논문
Seima-Turbino Culture and the Proto-Silk Road
https://www.academia[...]
2016
[9]
논문
The origins of metallurgy in China
2017-10
[10]
웹사이트
The Tomb of Lady Fu Hao
http://www.ancientch[...]
British Museum
[11]
서적
Images of Women in Chinese Thought and Culture: Writings from the Pre-Qin Period Through the Song Dynasty
https://books.google[...]
Hackett Publishing
2003
[12]
서적
Ancient Queens: Archaeological Explorations
https://books.google[...]
Rowman Altamira
2003
[13]
서적
In Pursuit of Gender: Worldwide Archaeological Approaches
https://books.google[...]
Rowman Altamira
2002
[14]
웹사이트
Fu Hao – Queen and top general of King Wuding of Shang
http://www.colorq.or[...]
Color Q World
2007-08-04
[15]
서적
Notable Women of China: Shang Dynasty to the Early Twentieth Centu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9-16
[16]
웹사이트
FU HAO'S TOMB
https://depts.washin[...]
2018-10-25
[17]
웹사이트
Ancient China: From the Neolothic Period to the Han Dynasty
https://education.as[...]
2022-02-24
[18]
논문
Steppe Weapons in Ancient China and the Role of Hand-to-hand Combat
https://www.academia[...]
2015
[19]
논문
The Rise and Fall of Cowrie Shells: The Asian Story
2011
[20]
서적
『殷本紀』訂補与商史人物徴
中国社会科学出版社
2010
[21]
서적
殷──中国史最古の王朝
中央公論新社
2015
[22]
서적
殷墟婦好墓銘文研究
文津出版社
1993
[23]
문서
これは婦好以外の「婦」を冠する人物も同様であ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