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족은 중국 남서부에 거주하는 소수 민족으로, 스스로를 다양한 이름으로 부르며, 역사적으로는 '이(夷)'로 불리다가 '이(彝)'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족은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는 이어(彝語)를 사용하며, 고유의 문자 체계를 가지고 있다. 이족은 흑이, 백이, 아자, 하서의 카스트 제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농업과 목축업을 주로 하며, 좐파를 주식으로 한다. 횃불 축제와 같은 독특한 문화와 전통 의학을 가지고 있으며, 윈난성을 중심으로 쓰촨성, 구이저우성 등에 분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족 - 룽윈
    이족 출신 룽윈은 1927년부터 1945년까지 윈난성을 통치하며 개혁을 추진하여 윈난성의 근대화를 이끌었으나, 장제스와의 갈등으로 실각 후 망명, 귀국 후에는 정부 요직을 역임했으나 비판받기도 한 중국의 군벌이자 정치인이다.
  • 이족 - 윈난스린
    윈난스린은 중국 윈난성 루난 이족 자치현에 있는 2억 7천만 년 전 페름기 석회암 카르스트 지형으로, 기암괴석 숲과 이족 문화, 유네스코 지정 등으로 대표되는 국가급 풍경 명승구이자 관광지이다.
  • 태국의 민족 - 몽족
    몽족은 중국 남부와 동남아시아에 거주하며 '자유로운 사람'을 뜻하는 고유 명칭 '몽'을 사용하지만 중국에서는 '묘족'으로 불리며, 17세기 이후 동남아시아로 이주하여 전 세계에 디아스포라를 형성, 복잡한 역사와 문화를 지닌 민족이다.
  • 태국의 민족 - 카렌족
    카렌족은 미얀마, 태국 등 동남아시아에 거주하며 언어, 문화, 종교가 다른 이질적인 민족 집단의 총칭으로, 지정학적 중요성과 자치권 확보를 위한 투쟁, 난민 문제, 디아스포라 형성 등의 특징을 지닌다.
  • 베트남의 민족 - 흐레족
    흐레족은 베트남 중부 고원 지대에 거주하며 과거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고 논농사를 주로 하며 물소, 돼지 등을 사육하고 '치엥 바'라는 꽹과리 축제를 가진 소수민족이다.
  • 베트남의 민족 - 몽족
    몽족은 중국 남부와 동남아시아에 거주하며 '자유로운 사람'을 뜻하는 고유 명칭 '몽'을 사용하지만 중국에서는 '묘족'으로 불리며, 17세기 이후 동남아시아로 이주하여 전 세계에 디아스포라를 형성, 복잡한 역사와 문화를 지닌 민족이다.
이족
기본 정보
이족 여성 (시장)
이족 여성 (윈난성)
다른 이름누오수
뤄뤄
언어 정보
사용 언어이어
남서관화
이어 표기ꆈꌠꉙ
인구 정보
전체 인구12,000,155명 (2013년)
거주 지역중국: 11,000,858명 (2013년)
라오스
미얀마
베트남: 3,307명 (1999년)
태국
중국 내 인구약 9백만 명 (2010년)
베트남 내 인구4,827명 (2019년)
문화 및 종교
종교대부분: 비모교 (이족 고유의 샤머니즘)
소수: 도교
민족 관계
관련 민족티베트족
미얀마족 (버마족)
나시족
창족
투자족
리스족
라후족
하니족
지눠족
바이족
언어별 명칭
미얀마어ယီလူမျိုး
태국어โล-โล
베트남어Lô Lô
표준 중국어彝族 (Yízú)
한국어이족 (彝族)
기타
구글 지도 검색어이족

2. 명칭

이족은 스스로를 "눠쑤", "라스", "니스", "노포스"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부른다. 지역에 따라 다른 명칭을 사용하며, 이족의 다양한 집단은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기도 한다.[3]

중국에서는 역사적으로 "이(夷)"라는 명칭으로 불렸으나, 청나라한족이 아닌 만주족이 이(夷)라는 호칭을 싫어하여 같은 소리의 이(彝)로 바꾸었다. 현재는 "이(彝)"로 통일되었으며, 彝는 雅자이다.

"롤로족"이라는 명칭도 사용되었으나, 현재 중국에서는 멸칭으로 간주된다. "롤로"는 이족이 조상 숭배를 위해 가지고 있던 작은 대나무 조각을 의미한다. "라과(玀猓)"라는 명칭은 멸시적인 표현이다. 중화인민공화국의 언어 개혁으로 ''뤄뤄''의 문자는 두 번 대체되었다.[5]

베트남에서는 한자를 사용하지 않아 오늘날에도 로로족 (Người Lô Lô / 𠊛盧盧vi)이라고 불리고 있다.

다양한 이족 집단의 명칭은 세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3]


  • '''니'''(ꆀii): 누수,[3] 나수, 네수, 니수 등이 있으며, 원래 자칭어인 ''닙''(ꆀii)에 '-su' 접미사가 붙어 '사람들'을 나타낸다.[3]
  • '''롤로''': 이족의 호랑이 숭배와 관련이 있으며, 그들의 방언에서 ''lo''는 '호랑이'를 의미한다.[4]
  • '''기타''': 다양한 이족 집단의 다른 명칭을 포함한다.[3]


이족은 부자간의 부칭 명명 체계를 사용한다.[3] 아버지 이름의 마지막 글자가 아들의 이름 첫 글자로 이어지는 방식이다.[3] 완전한 이족 이름은 씨족명, 분파 씨족명, 아버지 이름, 개인 이름으로 구성된다.[3]

분류대략적인 총 인구그룹
남부1,082,120니스, 남부 나수, 무지, 아 체, 남부 가이수, 풀라,
보카, 레수, 체수, 라오우, 알루, 아종, 시우바
동남부729,760폴루오, 사니, 아시, 아제, 동남부 롤로, 지아수, 푸와,
알루오, 아우, 디가오, 멍, 시치, 아티, 다이잔, 아사헤이, 라바,
주오케, 아니, 밍랑, 롱
중앙565,080롤로포, 다야오 리포, 중앙 니에수, 에니푸, 로피, 포페이
동부1,456,270동부 나수, 판시안 나수, 우사 나수, 슈이시 노수,
우딩 리포, 망부 노수, 동부 게포, 나이수, 우멍,
나루오, 사메이, 사니에, 뤄우, 구오푸, 게세, 샤오헤이 네이수,
다헤이 네이수, 데포, 라카, 라고우, 알링, 투슈, 고우조우,
우포, 동부 사마두
서부1,162,040미샤바 라루오, 서부 롤로, 시앙탕, 신핑 라루,
양리우 라루, 투수, 가이지, 지안토우 라루오, 시지마, 리미, 밀리,
라우, 치앙이, 서부 사마두, 서부 게포,
쉬장 라루, 에카, 서부 가이수, 수안, 펑지
북부2,534,120성바 노수, 이누오 노수, 샤오량산 노수, 부투오 노수,
수오디, 톈바 노수, 바이 이, 나루오, 나루, 탈루, 미시수, 리우,
북부 아우, 타구, 리우데, 나자, 타얼
미분류55,490미치 (미지에), 징훙 나수, 아푸, 무지, 탕랑, 미차,
아이지, 콰이군


3. 역사

이족은 중국 서부의 고강족(古羌)의 후손이다. 강(羌)은 티베트족, 나시족, 강족의 선조이기도 하다.[9] 이족은 남동 티베트로부터 쓰촨을 따라 윈난성에 이주해 왔으며, 현재는 윈난성에 가장 많이 거주하고 있다. 남조 왕국을 건국한 오만족이 선조라고 한다.

정령 신앙을 행하며, 비모라는 사제가 인도한다. 도교불교의 영향도 많이 받고 있다. 윈난성에는 이슬람교를 신봉하는 이족 집단도 있다. 하지만 그것들은 이슬람교를 신봉하는 이족인지, 이 어를 사용하고 이족 문화에 속하는 회족인지는 명확하게 구분할 수 없다.

윈난성 서북부와 쓰촨에 사는 이족의 다수는 복잡한 노예 제도를 가지고 있었으며[37], 사람들은 흑이(귀족은 쓰촨성 서부에서 윈난성 산악 지대로 남하한 기마 목축 민족)와 백이(백번의 조상은 타이계의 벼농사 경작민으로 추정되며, 일찍부터 윈난성의 여러 분지에 정착했다)로 나뉘어 있었다. 백이와 다른 민족(노예 약탈의 항쟁이나 전쟁을 적극적으로 벌인 결과, 타이계 민족이나 먀오족, 한족 등도 포함되게 되었다)은 노예로 취급되었지만, 백이는 자신의 토지를 경작하는 것을 허락받았고, 자신의 노예를 소유하며, 때로는 자유를 사기도 했다.

또한 다량산에 사는 이족에게는 피모가 전하는 노래에 사후의 영혼이 조상의 땅으로 돌아가는 경로를 나타내는 것이 있으며, 그것을 거슬러 올라가면 장강 문명과는 이질적인 쓰촨 문명으로도 불리는 삼성퇴 유적을 건설한 집단의 후예라는 설도 존재한다.

무어거와 남송 시대의 다른 이족 왕국들


이족의 왕국 남조


남조의 통치자 이모훈(779–808년 재위)의 조각


이족 은제 머리 장식


; 윈난 왕국

남조대리국은 윈난 지역에서 이족이 세운 중요한 왕국이다.[9][10][11] 윈난 북서부의 이족은 복잡한 노예제도를 가지고 있어 흑이(귀족)와 백이(평민)로 나뉘었다. 백이와 타 민족은 노예였지만, 고위 노예는 토지를 경작하고 노예를 소유했으며 자유를 살 수도 있었다.

좐만은 225년 제갈량의 남정 당시 윈난에서 세력을 얻었다.[9] 4세기 경에는 이 지역을 장악했지만, 593년 수나라에 반란을 일으켰고, 602년 보복 원정으로 멸망했다. 좐은 흑백 미와(Mywa)로 알려진 두 그룹으로 분열되었다.[9] 백 미와(바이만) 부족은 백족의 전신으로 여겨지며, 얼하이호의 고산 단층 호수 주변의 비옥한 윈난 서부에 정착했다. 이족의 전신으로 여겨지는 흑 미와(우만)는 윈난 동부의 산악 지역에 정착했다. 이 부족들은 몽사(蒙舍), 몽췬(蒙嶲), 랑충(浪穹), 텅탄(邆賧), 실랑(施浪), 웨시(越析)로 불렸다. 각 부족은 '자오'로 알려졌다.[10]

649년 몽사 부족의 족장 신누뤄(細奴邏)는 대몽(大蒙)을 건국하고 치자가 왕(奇嘉王, "뛰어난 왕")의 칭호를 사용했다. 그는 당나라의 종주권을 인정했다.[12] 652년 신누뤄는 얼하이호창산을 지배하던 장락진추의 백 미와 왕국을 흡수했다. 이후 흑백 미와는 각각 전사와 대신 역할을 했다.[3] 704년 티베트 제국은 백 미와 부족을 봉신 또는 조공국으로 만들었다.

서기 737년, 당나라의 지원을 받아 신누뤄의 증손자 피라각(皮羅閣)은 여섯 개의 '자오'를 통일하여 남조(南詔)라는 새로운 왕국을 세웠다.[3] 수도는 738년 타이허(현대 타이허 마을 부근, 다리에서 몇 마일 떨어진 곳)에 세워졌다. 피라각의 통치 하에 백 미와는 윈난 동부에서 제거되어 서부로 재정착했다. 흑백 미와는 분리되어 대신과 전사의 보다 견고한 카스트 제도를 만들었다.[3]

남조는 서기 902년까지 165년 동안 존재했다. 35년간의 전쟁 끝에 백족 출신의 단사평(段思平)이 대리국을 건국하여 남조의 영토를 계승했다. 당시 대부분의 이족은 대리의 지배를 받았다. 쿠빌라이 칸원나라에 의해 대리국이 멸망하면서, 이족은 원나라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대리 시대에 이족은 대리 영토에 살았지만 대리 왕족과의 교류는 거의 없었다.

원나라는 이족을 위한 자치 조직인 루오루오 쉬안웨이시(罗罗宣慰司)를 설치했는데, 이는 로로족을 위한 지방 유화 정부를 의미한다. 기술적으로 원나라 황제의 지배를 받았지만, 이족은 원나라 시대에도 자치권을 가지고 있었다. 귀족과 평민 사이의 격차는 이 시기에 더욱 커졌다.

;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

명나라부터 시작하여, 중화 제국은 중국 남서부 지역에서 문화 동화 정책을 가속화하여 이족 봉건 영주들의 통치권을 중앙 정부에서 파견된 관리들로 교체하였다.[13] 이 과정에서 이족 지역은 크고 작은 많은 공동체로 분열되었고, 공동체 간의 소통은 어려워졌다.[13]

청나라 강희제오삼계를 격파하고 운남 지역을 점령하여 성급 정부를 설립했다. 옹정제 시대에 악이태가 운남과 귀주의 총독이 되면서, 이족에 대한 문화 동화가 더욱 강화되었다. 곤명 인근에 거주하는 이족은 전통적인 화장 관습을 버리고 매장을 채택해야 했는데, 이는 이족 사이에서 반란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었다. 청나라는 이러한 반란을 진압했다.

제2차 아편 전쟁 (1856–1860) 이후, 프랑스와 영국의 많은 기독교 선교사들이 이족이 거주하는 지역을 방문했다. 일부 선교사들은 량산 이족 자치주와 같은 일부 지역의 이족이 청나라의 지배를 받지 않고 독립해야 한다고 믿었지만, 대부분의 귀족들은 청나라 통치에 대한 불만에도 불구하고 이족이 중국의 일부라고 주장했다.

1911년 이전 캐나다 감리교 선교사 윌리엄 존 모티모어와 찰스 윈필드 서비스가 량산 이족 자치주의 이족과 함께 찍은 사진.


; 현대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쓰촨성, 윈난성, 구이저우성에 여러 이족 자치 행정 구역(지구급 또는 현급)이 설치되었다.[14] 자동차 교통과 통신의 발달로, 서로 다른 이족 지역 간의 교류가 급증하고 있다. 현대 중국에서 이족은 이주 노동자로서 체계적인 차별과 학대를 경험하기도 한다.[15] 이족 출신으로, 중화민국 통치하의 윈난성 군벌이었던 룽윈이 있다. 중공의 제4방면군은 대장정 중에 이족과 마주쳤고, 많은 이족이 공산군에 합류했다.[14]

3. 1. 윈난 왕국

남조대리국은 윈난 지역에서 이족이 세운 중요한 왕국이다.[9][10][11] 윈난 북서부의 이족은 복잡한 노예제도를 가지고 있어 흑이(귀족)와 백이(평민)로 나뉘었다. 백이와 타 민족은 노예였지만, 고위 노예는 토지를 경작하고 노예를 소유했으며 자유를 살 수도 있었다.

좐만은 225년 제갈량의 남정 당시 윈난에서 세력을 얻었다.[9] 4세기 경에는 이 지역을 장악했지만, 593년 수나라에 반란을 일으켰고, 602년 보복 원정으로 멸망했다. 좐은 흑백 미와(Mywa)로 알려진 두 그룹으로 분열되었다.[9] 백 미와(바이만) 부족은 백족의 전신으로 여겨지며, 얼하이호의 고산 단층 호수 주변의 비옥한 윈난 서부에 정착했다. 이족의 전신으로 여겨지는 흑 미와(우만)는 윈난 동부의 산악 지역에 정착했다. 이 부족들은 몽사(蒙舍), 몽췬(蒙嶲), 랑충(浪穹), 텅탄(邆賧), 실랑(施浪), 웨시(越析)로 불렸다. 각 부족은 '자오'로 알려졌다.[10]

649년 몽사 부족의 족장 신누뤄(細奴邏)는 대몽(大蒙)을 건국하고 치자가 왕(奇嘉王, "뛰어난 왕")의 칭호를 사용했다. 그는 당나라의 종주권을 인정했다.[12] 652년 신누뤄는 얼하이호창산을 지배하던 장락진추의 백 미와 왕국을 흡수했다. 이후 흑백 미와는 각각 전사와 대신 역할을 했다.[3] 704년 티베트 제국은 백 미와 부족을 봉신 또는 조공국으로 만들었다.

서기 737년, 당나라의 지원을 받아 신누뤄의 증손자 피라각(皮羅閣)은 여섯 개의 '자오'를 통일하여 남조(南詔)라는 새로운 왕국을 세웠다.[3] 수도는 738년 타이허(현대 타이허 마을 부근, 다리에서 몇 마일 떨어진 곳)에 세워졌다. 피라각의 통치 하에 백 미와는 윈난 동부에서 제거되어 서부로 재정착했다. 흑백 미와는 분리되어 대신과 전사의 보다 견고한 카스트 제도를 만들었다.[3]

남조는 서기 902년까지 165년 동안 존재했다. 35년간의 전쟁 끝에 백족 출신의 단사평(段思平)이 대리국을 건국하여 남조의 영토를 계승했다. 당시 대부분의 이족은 대리의 지배를 받았다. 쿠빌라이 칸원나라에 의해 대리국이 멸망하면서, 이족은 원나라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대리 시대에 이족은 대리 영토에 살았지만 대리 왕족과의 교류는 거의 없었다.

원나라는 이족을 위한 자치 조직인 루오루오 쉬안웨이시(罗罗宣慰司)를 설치했는데, 이는 로로족을 위한 지방 유화 정부를 의미한다. 기술적으로 원나라 황제의 지배를 받았지만, 이족은 원나라 시대에도 자치권을 가지고 있었다. 귀족과 평민 사이의 격차는 이 시기에 더욱 커졌다.

3. 2.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

명나라부터 시작하여, 중화 제국은 중국 남서부 지역에서 문화 동화 정책을 가속화하여 이족 봉건 영주들의 통치권을 중앙 정부에서 파견된 관리들로 교체하였다.[13] 이 과정에서 이족 지역은 크고 작은 많은 공동체로 분열되었고, 공동체 간의 소통은 어려워졌다.[13]

청나라 강희제오삼계를 격파하고 운남 지역을 점령하여 성급 정부를 설립했다. 옹정제 시대에 악이태가 운남과 귀주의 총독이 되면서, 이족에 대한 문화 동화가 더욱 강화되었다. 곤명 인근에 거주하는 이족은 전통적인 화장 관습을 버리고 매장을 채택해야 했는데, 이는 이족 사이에서 반란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었다. 청나라는 이러한 반란을 진압했다.

제2차 아편 전쟁 (1856–1860) 이후, 프랑스와 영국의 많은 기독교 선교사들이 이족이 거주하는 지역을 방문했다. 일부 선교사들은 량산 이족 자치주와 같은 일부 지역의 이족이 청나라의 지배를 받지 않고 독립해야 한다고 믿었지만, 대부분의 귀족들은 청나라 통치에 대한 불만에도 불구하고 이족이 중국의 일부라고 주장했다.

3. 3. 현대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쓰촨성, 윈난성, 구이저우성에 여러 이족 자치 행정 구역(지구급 또는 현급)이 설치되었다.[14] 자동차 교통과 통신의 발달로, 서로 다른 이족 지역 간의 교류가 급증하고 있다. 현대 중국에서 이족은 이주 노동자로서 체계적인 차별과 학대를 경험하기도 한다.[15] 이족 출신으로, 중화민국 통치하의 윈난성 군벌이었던 룽윈이 있다. 중공의 제4방면군은 대장정 중에 이족과 마주쳤고, 많은 이족이 공산군에 합류했다.[14]

4. 하위 그룹

이족은 다양한 하위 그룹으로 나뉘며, 각 그룹은 고유한 명칭과 언어, 문화를 가지고 있다.[3] 이들은 중국인에 의해 하나의 민족으로 묶였지만, 서로 이해할 수 없는 언어를 사용하기도 한다.[3] 이족의 다양한 지역 명칭은 크게 세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 '''니'''(ꆀii): 누수,[3] 나수, 네수, 니수 등 유사한 이름은 원래 자칭인 ''닙''(ꆀii)에 '-su'(사람들을 의미) 접미사가 붙은 파생어이다.[3] ''사니''라는 이름도 이 그룹에 속한다. 중국 이름 ''이''(夷중국어 및 彝중국어)는 니에서 파생되었다고 널리 알려져있다.
  • '''롤로''': 롤로, 롤로푸 등의 명칭은 이족의 호랑이 숭배와 관련이 있으며, 그들의 방언에서 ''lo''는 '호랑이'를 의미한다.[4] ''Lo''는 중국 이칭 ''뤄뤄''(猓猓중국어, 倮倮중국어 또는 罗罗중국어)의 기반이기도 하다. 원래 글자(猓중국어)는 개 부수와 ''구어''(果중국어) 음성 문자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중국어에서 그림 비하였다.[5] 중화인민공화국의 언어 개혁으로 ''뤄뤄''의 문자는 두 번 바뀌었다. 처음에는 사람 부수를 가진 ''뤄''(倮중국어)였지만, 이는 ''루오''(裸중국어, '벌거벗은')의 그림 변형이었고, 나중에는 ''뤄''(罗중국어, '새를 잡는 그물')로 대체되었다.[5]
  • '''기타''': 이 그룹에는 다양한 이족 집단의 다른 명칭이 포함된다. 일부는 다른 민족 집단일 수 있지만, 중국인에 의해 이족으로 인식된다. "푸"는 고대 민족인 푸(濮중국어)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이족의 하위 그룹은 언어 분류와 지리적 분포에 따라 더 세분화될 수 있다.

분류대략적인 총 인구그룹
남부1,082,120니스, 남부 나수, 무지, 아 체, 남부 가이수, 풀라,
보카, 레수, 체수, 라오우, 알루, 아종, 시우바
동남부729,760폴루오, 사니, 아시, 아제, 동남부 롤로, 지아수, 푸와,
알루오, 아우, 디가오, 멍, 시치, 아티, 다이잔, 아사헤이, 라바,
주오케, 아니, 밍랑, 롱
중앙565,080롤로포, 다야오 리포, 중앙 니에수, 에니푸, 로피, 포페이
동부1,456,270동부 나수, 판시안 나수, 우사 나수, 슈이시 노수,
우딩 리포, 망부 노수, 동부 게포, 나이수, 우멍,
나루오, 사메이, 사니에, 뤄우, 구오푸, 게세, 샤오헤이 네이수,
다헤이 네이수, 데포, 라카, 라고우, 알링, 투슈, 고우조우,
우포, 동부 사마두
서부1,162,040미샤바 라루오, 서부 롤로, 시앙탕, 신핑 라루,
양리우 라루, 투수, 가이지, 지안토우 라루오, 시지마, 리미, 밀리,
라우, 치앙이, 서부 사마두, 서부 게포,
쉬장 라루, 에카, 서부 가이수, 수안, 펑지
북부2,534,120성바 노수, 이누오 노수, 샤오량산 노수, 부투오 노수,
수오디, 톈바 노수, 바이 이, 나루오, 나루, 탈루, 미시수, 리우,
북부 아우, 타구, 리우데, 나자, 타얼
미분류55,490미치 (미지에), 징훙 나수, 아푸, 무지, 탕랑, 미차,
아이지, 콰이군



이족은 노스(흑이, 쓰촨다량산 등), 니(아시, 사니 등), 롤로호・라라포(백이)의 3대 계통으로 크게 나뉜다. 노스 사회는 과거 다량산이 노예제 사회였고, 현재에도 족장(가지)이 일족의 굳건한 결속력으로 존재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가지는 혈통을 의미하며, 시조로부터 부자 연명제에 의해 연결되는 부계 친족 집단이다.

5. 언어

중국티베트어족, 티베트·버마어 계통으로 미얀마어 지류에 속하는 이어를 사용하며, 버마어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여섯 종류의 방언이 있으며, 이 문자라는 표음문자를 가진다.[17]

고대 이족 문자로 된 종교 문서


현대 이족 문자 표지판


이족어


이 문자는 원래 표어 문자였으며, 중국 문자와 유사하게 최소 13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다른 알려진 어떤 문자 체계와도 완전히 독립적인 것으로 보인다. 20세기 초까지 이 문자의 사용은 주로 ''비모'' 사제들이 의례적인 텍스트를 대대로 전승하는 데 국한되었다. 20세기 중반에 이르러서야 량산의 지배 계급 가문들이 서신 작성과 같은 비종교적인 목적으로 이 문자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 문자는 이족 전체에서 표준화된 적이 없었기 때문에, 아마도 10,000자에 달하는 문자가 있었으며, 그 중 많은 수가 지역적이었다. 역사, 문학, 의학에 관한 많은 작품들과 지배 가문의 족보가 옛 이족 문자로 기록되어 여전히 사용되고 있으며, 이 지역에는 옛 이족 석비와 비석이 있다.

1950년대에 이 문자를 로마자로 표기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별다른 호응을 얻지 못했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전통적인 문자가 음절 문자로 표준화되었다. 음절 이족 문자는 책, 신문, 길거리 표지판, 교육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중국어의 영향이 점차 커지고 있다.

5. 1. 문자

이족은 중국티베트어족, 티베트·버마어 계통으로 미얀마어 지류에 속하는 이어를 사용하며, 버마어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여섯 종류의 방언이 있으며, 이 문자라는 표음문자를 가진다. 이 문자는 원래 표어 문자였으며, 중국 문자와 유사하게 최소 13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다른 알려진 어떤 문자 체계와도 완전히 독립적인 것으로 보인다. 20세기 초까지 이 문자의 사용은 주로 ''비모'' 사제들이 의례적인 텍스트를 대대로 전승하는 데 국한되었다. 20세기 중반에 이르러서야 량산의 지배 계급 가문들이 서신 작성과 같은 비종교적인 목적으로 이 문자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 문자는 이족 전체에서 표준화된 적이 없었기 때문에, 아마도 10,000자에 달하는 문자가 있었으며, 그 중 많은 수가 지역적이었다. 역사, 문학, 의학에 관한 많은 작품들과 지배 가문의 족보가 옛 이족 문자로 기록되어 여전히 사용되고 있으며, 이 지역에는 옛 이족 석비와 비석이 있다.

1950년대에 이 문자를 로마자로 표기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별다른 호응을 얻지 못했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전통적인 문자가 음절 문자로 표준화되었다. 음절 이족 문자는 책, 신문, 길거리 표지판, 교육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중국어의 영향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 문자(로로 문자)라고 불리는 음소 문자를 가지고 있다.

6. 문화

전통 의상을 입은 이족 여성


청나라 시대 이족의 갑옷


전통적인 이족 사회는 귀족인 흑이(''nuohuo''/''nzymo'') 계급, 평민인 백이(''qunuo''/''quho'') 계급, ''아자''(ajia/mgajie) 계급, ''하서''(xiaxi/gaxy) 계급, 이렇게 4개의 카스트로 나뉘었다.[20][21][22][23][24][25] 흑이는 인구의 약 7%를 차지했고, 백이는 인구의 50%를 차지했다. 두 계급은 통혼하지 않았고, 흑이는 백이보다 부유하거나 더 많은 노예를 소유하고 있더라도 항상 더 높은 지위로 여겨졌다. 백이와 흑이는 또한 별개의 마을에 거주했다. 흑이는 농사를 짓지 않았는데, 이는 전통적으로 백이와 노예들이 했다. 흑이는 행정 및 군사 활동만 담당했다. 백이는 엄밀히 말하면 노예는 아니었지만, 흑이에게 종신 노예처럼 살았다. 아자는 인구의 33%를 차지했다. 그들은 흑이와 백이 모두에게 소유되었고 백이보다 낮은 수준의 종신 노동자로 일했다. 하서는 최하위 계급이었다. 그들은 소유주의 가축과 함께 살았고 아무런 권리가 없는 노예였다. 그들은 구타당하고, 팔리고, 오락으로 살해될 수 있었다. 네 계급 모두 부계 혈통으로 구성되었다.[20][21][22][23][24][25] 노예 문화의 만연은 너무 심해서 때로는 아이들이 소유한 노예의 수에 따라 이름을 짓기도 했다. 예를 들어: Lurbbu(많은 노예), Lurda(강한 노예), Lurshy(노예 지휘관), Lurnji(노예의 기원), Lurpo(노예 영주), Lurha(백 명의 노예), Jjinu(많은 노예).[26]

이 카스트 노예 제도의 영향력은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초반까지도 발견되었는데, 이때 ''누오후오'' 씨족은 ''쿠누오''와의 결혼을 막거나 그렇게 한 구성원을 처벌했다.

이족의 주요 산업은 농업과 목축업이다.[45] 농업에서는 주로 산간 지역에서 옥수수, 쌀, 감자, 밀, 메밀, 콩류 등을 재배하고, 염소나 돼지 등의 가축을 사육한다. 전통적인 주식은 좐파(糌粑)라는 볶은 밀가루를 물에 반죽한 것으로, 티베트족의 식습관과 비슷하다.[46]

이족은 전통적으로 사촌 간의 결혼, 즉 자신의 부모의 형제자매의 자녀 중 이성인 형제자매를 의미하는 교차 사촌을 신부 후보로 삼는 습관을 가지고 있었다. 이족 사회에서 어머니의 형제는 반드시 다른 씨족이며, 아버지의 자매는 다른 씨족으로 시집가는 것이 원칙이었기 때문에, 혈족 중에서도 교차 사촌은 타인으로 간주되었다. 반면, 부모의 같은 성씨의 형제자매끼리의 평행 사촌 간의 혼인은 같은 씨족 간의 결혼으로 여겨져 엄격히 금지되었다.

최근에는 리장 등의 도시로 나가 돈벌이를 하는 젊은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족은 나시족이나 푸미족과 마찬가지로 전통적으로 화장의 관습을 가지고 있었다. 이 관습은 고원에 거주하는 유목민의 세계관과 연결되는 것으로, 이족의 기원을 생각하는 데 참고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전근대 세계에서 화장을 할 수 있는 것은, 강력한 화력을 얻기 위해 연료를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부유한 신분에 한정되었으며,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조장 혹은 토장을 행했다.

불 축제


이족의 가장 큰 축제는 화파절(火把节)이라고 불리는 불 축제이며 매년 음력 6월 24일~6월 26일에 열리며, 풍년을 기원하는 축제로, 가가쿠(노래 부르기)도 열린다.[46]

이족은 큰 현악기(뜯는 악기 및 활로 켜는 악기)를 비롯하여, 바우(바우)와 마부(마부)라고 불리는 관악기를 포함한 여러 전통 악기를 연주한다.[30] 구현(kouxian)은 량산 이족에게서 흔히 발견되는 또 다른 악기인데, 작은 네 갈래 악기로, 유대인의 하프와 유사하며, 대부분 즉흥적으로 연주되며 연주자 또는 주변 환경의 분위기를 반영하는 것으로 여겨진다.[30] 이족 춤은 아마도 가장 널리 알려진 형태의 음악 공연이며, 공공 후원 휴일 및/또는 축제 행사 중에 자주 공연된다.[30]

이족은 독자적인 달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한 달을 36일로 하고, 1년을 10개월과 나머지 5일(윤년은 6일)로 하는 태양력이다.

6. 1. 생활

이족의 주요 산업은 농업과 목축업이다.[45] 농업에서는 주로 산간 지역에서 옥수수, 쌀, 감자, 밀, 메밀, 콩류 등을 재배하고, 염소나 돼지 등의 가축을 사육한다. 전통적인 주식은 좐파(糌粑)라는 볶은 밀가루를 물에 반죽한 것으로, 티베트족의 식습관과 비슷하다.[46]

결혼과 관련해서는, 옛날부터 이족의 청년들은 부모의 형제자매의 자녀 중 이성인 형제자매를 의미하는 교차 사촌을 신부 후보로 삼는 습관을 가지고 있었다. 이족 사회에서 어머니의 형제는 반드시 다른 씨족이며, 마찬가지로 아버지의 자매는 다른 씨족으로 시집가는 것이 원칙이었다. 따라서 혈족 중에서도 교차 사촌은 타인으로 간주되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부모의 같은 성씨의 형제자매끼리의 평행 사촌 간의 혼인은 엄격히 금지되었다.[46]

최근에는 돈벌이를 위해 리장시 등의 도시로 나가는 사람들도 있다.

이족은 독자적인 달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한 달을 36일로 하고, 1년을 10개월과 나머지 5일(윤년은 6일)로 하는 태양력이다.

6. 2. 혼인 풍습

이족은 전통적으로 사촌 간의 결혼, 즉 자신의 부모의 형제자매의 자녀 중 이성인 형제자매를 의미하는 교차 사촌을 신부 후보로 삼는 습관을 가지고 있었다. 이족 사회에서 어머니의 형제는 반드시 다른 씨족이며, 아버지의 자매는 다른 씨족으로 시집가는 것이 원칙이었기 때문에, 혈족 중에서도 교차 사촌은 타인으로 간주되었다. 반면, 부모의 같은 성씨의 형제자매끼리의 평행 사촌 간의 혼인은 같은 씨족 간의 결혼으로 여겨져 엄격히 금지되었다.

최근에는 리장 등의 도시로 나가 돈벌이를 하는 젊은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6. 3. 장례 풍습

이족은 나시족이나 푸미족과 마찬가지로 전통적으로 화장의 관습을 가지고 있었다. 이 관습은 고원에 거주하는 유목민의 세계관과 연결되는 것으로, 이족의 기원을 생각하는 데 참고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전근대 세계에서 화장을 할 수 있는 것은, 강력한 화력을 얻기 위해 연료를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부유한 신분에 한정되었으며,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조장 혹은 토장을 행했다.

6. 4. 축제

횃불 축제는 이족의 주요 명절 중 하나이다. 이족의 전설에 따르면, 시레아비와 아틸라바라는 두 명의 힘센 사나이가 있었다고 한다. 시레아비는 하늘에 살았고, 아틸라바는 땅에 살았다. 시레아비는 아틸라바의 힘에 대해 듣고 씨름 시합을 제안했다. 두 번의 패배를 겪은 후, 시레아비는 시합에서 죽었고, 이는 보살들을 크게 분노하게 하여 땅을 벌하기 위해 메뚜기 떼를 보냈다. 음력 6월 24일에 아틸라바는 많은 소나무를 베어 횃불로 사용하여 메뚜기 떼를 죽이고 작물을 파괴로부터 보호했다. 따라서 횃불 축제는 그를 기리기 위해 열린다.[29]

이족의 가장 큰 축제는 화파절(火把节)이라고 불리는 불 축제이며 매년 음력 6월 24일~6월 26일에 열리며, 풍년을 기원하는 축제로, 가가쿠(노래 부르기)도 열린다.[46]

6. 5. 음악

이족은 큰 현악기(뜯는 악기 및 활로 켜는 악기)를 비롯하여, 바우(바우)와 마부(마부)라고 불리는 관악기를 포함한 여러 전통 악기를 연주한다.[30] 구현(kouxian)은 량산 이족에게서 흔히 발견되는 또 다른 악기인데, 작은 네 갈래 악기로, 유대인의 하프와 유사하며, 대부분 즉흥적으로 연주되며 연주자 또는 주변 환경의 분위기를 반영하는 것으로 여겨진다.[30] 이족 춤은 아마도 가장 널리 알려진 형태의 음악 공연이며, 공공 후원 휴일 및/또는 축제 행사 중에 자주 공연된다.[30]

7. 종교

이족은 전통적으로 비모이즘이라는 토착 신앙을 믿는다. 윈난성의 일부 이족은 다이족 및 티베트족과의 교류를 통해 불교를 수용하기도 했다. 이족 불교의 가장 중요한 신은 마하칼라이다. 20세기에는 글래드스톤 포테우스를 비롯한 의료 선교사들의 영향으로 많은 이족들이 기독교로 개종했다. OMF 인터내셔널에 따르면 1991년 윈난성에 최대 150만 명의 이족 기독교인이 있었으며, 루취안 현에는 20개 이상의 교회가 있다고 보고되었다.

8. 의학

이족은 구전과 기록을 통해 전통 의학을 세대 간에 전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의 전통 의학 체계는 학문적으로 정리되었다.[33] 이족 의학 자료가 수집된 현에는 인간에게 감염될 수 있는 사스(SARS) 바이러스 계통을 포함하는 동굴도 있으며, 사스 동굴 인근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과거 감염의 혈청학적 징후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4][35] 이에 따라, 이족은 역사적으로 반복적으로 코로나바이러스에 노출되었고, 수 세기 전에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을 의학적으로 방어하는 방법을 수동적으로 배우고, 그 결과를 세대 간 의학적 지침 기록에 기록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36]

9. 분포

이족은 주로 중국 남서부의 산악 지역에 거주하며, 900만 명이 넘는 인구 중 대부분이 윈난성(450만 명 이상), 쓰촨성 남부(250만 명), 구이저우성 북서부(100만 명)에 분포한다.[2] 이들은 주로 산악 지역에 거주하며, 고도 차이에 따라 다양한 기후와 생활 양식을 보인다.[2]

중국의 이족 자치주 및 현


현별 이족 인구


이족의 주요 거주 지역은 다음과 같다:

이 외에도 윈난 성과 쓰촨 성에는 여러개의 이족 자치현이 있다.

  • 광시 좡족 자치구
  • *룽린 각족 자치현
  • 쓰촨성
  • *마볜 이족 자치현
  • *어볜 이족 자치현

  • 윈난성
  • *닝얼 하니족 이족 자치현
  • *위안장 하니족 이족 타이족 자치현
  • *징구 다이족 이족 자치현
  • *징둥 이족 자치현
  • *루취안 이족 먀오족 자치현
  • *양비 이족 자치현
  • *신핑 이족 타이족 자치현
  • *쉰뎬 후이족 이족 자치현
  • *난젠 이족 자치현
  • *스린 이족 자치현
  • *웨이산 이족 후이족 자치현
  • *닝랑 이족 자치현
  • *장청 하니족 이족 자치현
  • *어산 이족 자치현
  • *전위안 이족 하니족 라후족 자치현

10. 저명한 인물


  • 하이라이 아무(1993–), 가수
  • 허제(1986–), 가수
  • 우징화 (1931-2007), 전 티베트 자치구 공산당 서기
  • 룽즈이(1929-2021), 전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구이저우성 위원회 주석
  • 장충(1900-1980), 전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부주석
  • 장리인(1989–), 가수
  • 지커쥔이 (1988–), 가수
  • 룽윈(1884–1962), 윈난성 지사 겸 군벌
  • 루한(1895–1974), 윈난성 장군 겸 지사
  • 양리쿤(1941–2000), 여배우
  • 지디마자, 정치가, 현대 시인
  • 취환장, 의약학자
  • 모시쯔스, 이족 남성 가수.

참조

[1] 웹사이트 Report on Results of the 2019 Census https://drive.google[...] General Statistics Office of Vietnam 2020-05-01
[2] 웹사이트 Ethnic Groups – china.org.cn http://www.china.org[...] 2014-08-08
[3] 문서
[4] 웹사이트 '#5560 PTB *k-la TIGER' https://stedt.berkel[...]
[5] 서적 The Languages of China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6] 간행물 Autonyms: ought or ought not. http://sealang.net/s[...]
[7] 웹사이트 Perspectives on the Yi of Southwest China https://publishing.c[...]
[8] 서적 China Lonely Planet
[9] 서적 Exploring nationalisms of China: themes and conflict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0] 웹사이트 The Faded Buddhist Country: A Brief History of Ancient Yunnan Constitution https://medium.com/@[...] 2018-08-19
[11] 서적 Chinese Dialects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American Academic Press 2017
[12] 웹사이트 Nanzhao 南詔 (www.chinaknowledge.de) http://www.chinaknow[...]
[13] 웹사이트 gaitu guiliu http://www.chinaknow[...]
[14] 서적 Red Star Over China Penguin Books
[15] 서적 Scattered Sand: The Story of China's Rural Migrants https://www.versoboo[...] Verso Books 2013-06
[16] 서적 Amid the Clouds and Mist: China's Colonization of Guizhou, 1200–1700 Brill
[17] 웹사이트 The Yi People and Language http://www.babelston[...]
[18] 학술지 英语和彝语的语法比较研究
[19] 웹사이트 Perspectives on the Yi of Southwest China https://publishing.c[...]
[20] 서적 Intimate Exclusion: Race and Caste Turned Inside Out
[21] 서적 Encyclopedia of the Peoples of Asia and Oceania
[22] 서적 Anti-Drug Crusades in Twentieth-Century – China: Nationalism, ...
[23] 서적 The Languages of China
[24] 서적 Perspectives on the Yi of Southwest China
[25] 서적 Christianity in China: From the Eighteenth Century to the Present
[26] 웹사이트 Perspectives on the Yi of Southwest China https://publishing.c[...]
[27] 서적 The World of Chinese Mythology: An Introduction Brill
[28] 웹사이트 Spirit Pictures {{pipe}} Mountain Patterns – Burke Museum https://www.burkemus[...]
[29] 문서
[30] 웹사이트 彝族人网-中国彝族文化网络博物馆,创建最早,规模最大的彝族文化门户网站-网站地图 http://www.yizuren.c[...] yizuren.com 2014-08-08
[31] 서적 Yi costume festival Colette Fu 2013
[32] 서적 Wanderer/Wonderer: Pop-Ups by Colette Fu : October 14, 2016 – February 26, 2017. National Museum of Women in the Arts 2016
[33] 학술지 Medicinal plants used by the Yi ethnic group: A case study in central Yunnan
[34] 학술지 Serological Evidence of Bat SARS-Related Coronavirus Infection in Humans, China
[35] 학술지 Human-animal interactions and bat coronavirus spillover potential among rural residents in Southern China
[36] Article The forgotten legacy of Traditional Medicine in the age of coronavirus https://towardsdatas[...]
[37] 서적 中国大涼山イ族区横断記 築地書館 1982
[38] 서적 涼山彝族の言語と文字 三重大学出版会 2011-11-25
[39] 서적 涼山彝族の言語と文字 三重大学出版会 2011-11-25
[40] 서적 涼山彝族の言語と文字 三重大学出版会 2011-11-25
[41] 서적 涼山彝族の言語と文字 三重大学出版会 2011-11-25
[42] 서적 言語学大辞典 世界言語編 三省堂 1992
[43] 서적 涼山彝族の言語と文字 三重大学出版会 2011-11-25
[44] 서적 涼山彝族の言語と文字 三重大学出版会 2011-11-25
[45] 서적 涼山彝族の言語と文字 三重大学出版会 2011-11-25
[46] 서적 中国少数民族事典 東京堂出版 2001-09-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