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분 (시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분은 시간의 단위로, 1시간의 1/60에 해당하며 60초와 같다. 고대에는 시간을 24개로 나누어 하루를 정의했고, 이후 정밀한 시계 발명과 함께 분과 초가 도입되었다. 분은 라틴어 'pars minuta prima'에서 유래되었으며, 1250년경 기계식 시계가 발명되면서 널리 사용되었다. 바빌로니아에서 유래한 육십진법에 따라 1시간은 60분으로 나뉘며, 국제단위계(SI)에서 분의 기호는 'min'이다. 협정 세계시(UTC)에서는 윤초의 적용으로 인해 1분이 59초 또는 61초가 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SI와 함께 사용되는 비SI 단위 - 전자볼트
    전자볼트는 전자가 1볼트의 전위차를 통과할 때 얻거나 잃는 에너지 단위로, 1.602 × 10⁻¹⁹ 줄과 같으며, 다양한 물리학 분야와 공학에서 에너지, 질량, 운동량, 온도, 거리 등을 표현하는 데 널리 활용된다.
  • SI와 함께 사용되는 비SI 단위 - 원자 질량 단위
    원자 질량 단위는 원자 및 분자 질량 측정 단위로, 과거 amu로 불렸으나 탄소-12 원자 질량의 1/12을 기준으로 하는 통일 원자 질량 단위(u)로 정의되었고, 현재는 달톤(Da)과 함께 다양한 과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 시간의 단위 - 오전
  • 시간의 단위 - 오후
    오후는 정오와 해질녘 사이의 시간으로, 1300년경부터 사용된 단어이며, 태양의 위치, 근무 시간, 학교 수업, 인간의 체온 변화, 교통사고 발생률, 생산성 감소 등과 관련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분 (시간)
단위 정보
이름
영어minute
기호min
대상시간
유래1시간의 60분의 1
Junghans Additionsstoppuhr, 1960년대 (2 qu).JPG
왼쪽 상단의 침이 분을 가리킨다.
일반 정보
물리량시간
단위계비SI 단위, SI 병용 단위
정의60 초

2. 역사

고대에는 (하루)을 기준으로 시간을 나누었고, 이를 24등분하여 시간이라는 단위가 생겨났다. 이후 더 세분화된 시간이 필요해지면서 '분'과 ''라는 단위가 만들어졌다. '분'과 '초'라는 단위가 가장 먼저 나타난 때는 정밀한 기계식 시계가 발명된 1250년경이다. 분을 나타내는 영어 단어 'minute'는 라틴어로 '첫 번째 작은 부분들'이라는 의미의 '파르스 미누타 프리마(''pars minuta prima'')'에서 유래했으며, 초를 나타내는 단어 'second'는 '두 번째로 작은 부분들'이라는 의미의 라틴어 '파르테스 미누타이 세쿤다이(''partes minutae secundae'')'에서 유래했다.

역사적으로 "분(minute)"이라는 단어는 "첫 번째 작은 부분"을 의미하는 라틴어 ''pars minuta prima''에서 유래했다. 이러한 시간 구분은 "두 번째 작은 부분"(라틴어: ''pars minuta secunda'')으로 더 세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초(second)"라는 단어가 유래되었다.

분이 1시간을 60분할하는 것은 바빌로니아에서 유래한 육십진법에 의한 것이다. 현대와 같은 십진법에 의한 소수의 개념이 발표된 것은 유럽 수학에서는 1585년의 일이며, 그 이전에는 1 미만의 수를 나타내는 경우 분수를 사용하거나, 바빌로니아 수학에서 도입된 육십진법 소수 (분모를 60의 거듭제곱으로 고정시킨 분수)를 사용했다.

하지만 당시 기계식 시계는 현재처럼 정확하게 시간을 측정하지 못했고, 초침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분침이 있는 시계도 적었다. 이 시대의 "분"과 "초"는 천문학이나 항해에서의 속도 계산 등 개념상의 존재였다.

2. 1. 고대 및 중세 시대

고대에는 하루를 기준으로 시간을 나누었고, 이를 24등분하여 시간이라는 단위가 생겨났다. 이후 더 세분화된 시간이 필요해지면서 '분'과 ''라는 단위가 만들어졌다. '분'과 '초'라는 단위가 가장 먼저 나타난 때는 정밀한 기계식 시계가 발명된 1250년경이다. 분을 나타내는 영어 단어 'minute'는 라틴어로 '첫 번째 작은 부분들'이라는 의미의 '파르스 미누타 프리마(''pars minuta prima'')'에서 유래했다.

알 비루니는 1000년경 유대교 달력에 대해 논하면서 시간을 육십분법으로 분, , 삼분 및 사분으로 처음 세분했다.[4]

중세 과학자 로저 베이컨보름달 사이의 시간 간격을 시간, 분, 초, 3분의 1, 4분의 1(''horae'', ''minuta'', ''secunda'', ''tertia'', ''quarta'')의 수로 정의했다.[5]

2. 2. 근대

1577년 요스트 뷔르기는 티코 브라헤를 위해 분침이 있는 시계를 제작했다.[6] 1675년 토머스 톰피언이 헤어 스프링을 발명하면서 분침을 시계에 도입하는 것이 가능해졌다.[7]

1656년 크리스티안 호이겐스가 진자시계를 제작하면서 분과 초가 실제로 시계로 계측되는 시간의 단위가 되었다. 분이라는 시간 단위가 시민 생활에 나타난 것은 철도 개통 이후이다. 여러 열차가 특정 역에서 교차하기 위한 운행 다이어그램 작성에는 시간만으로는 부족했기 때문이다.

원래 분의 정의는 "1/60 시간"이지만, 국제단위계(SI)에서 가 시간의 기본 단위이므로, 분은 "60초"로 정의된다.

3. 기호

국제단위계(SI)에서 분의 기호는 'min'이다.[9][10] 'm'은 미터 기호와 혼동될 수 있어 천문학, 역학, 항해술 등 특수 분야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예: 태양의 적경 값 표기)[10] 프라임 부호(′)는 각도의 분을 나타내는 기호이므로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4. 윤초와 분

협정 세계시(UTC)에서는 윤초를 추가하거나 빼서 지구 자전 속도의 미세한 변화를 반영한다.[1] 윤초가 적용되면 1분은 59초 또는 61초가 될 수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the origin of hours, minutes and seconds? http://www.wisteme.c[...] 2011-05-25
[2] 웹사이트 Non-SI units accepted for use with the SI, and units based on fundamental constants http://www.bipm.org/[...] 2011-05-25
[3] 서적 The Penguin Dictionary of Mathematics https://books.google[...] Penguin UK
[4] 서적 The Chronology of Ancient Nations https://books.google[...]
[5] 서적 The Opus Majus of Roger Bac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6] 문서 https://twpl.library[...]
[7] 간행물 The Story of Timekeeping 1926
[8] 문서 計量単位令 https://laws.e-gov.g[...] 別表第1、項番三、時間、分
[9] 문서 暦象年表 2021年 https://eco.mtk.nao.[...] 大学共同利用機関法人 自然科学研究機構 国立天文台 2020-06-18
[10] 문서 暦象年表 2021年 https://eco.mtk.nao.[...] 大学共同利用機関法人 自然科学研究機構 国立天文台 2020-06-18
[11] 웹인용 Non-SI units accepted for use with the SI, and units based on fundamental constants http://www.bipm.org/[...] 2011-05-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