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저 베이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저 베이컨은 1219년경 잉글랜드에서 태어난 중세 철학자이자 과학자이다. 옥스퍼드 대학교와 파리 대학교에서 공부하고 가르쳤으며, 프란체스코회 수도사로 활동했다. 그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연구하고 실험과 관찰을 중시하는 과학적 방법론을 강조했으며, 《대저작》을 비롯한 여러 저술을 통해 수학, 광학, 연금술, 천문학 등 다양한 분야를 다루었다. 특히, 그는 화약 제조법을 유럽에 소개하고, 율리우스력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등 근대 과학 발전에 기여했다. 베이컨은 언어학 연구에도 관심을 가져 보편 문법의 개념을 제시하기도 했다. 그의 사상은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의 과학 기술 발전에도 시사점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히브리어학자 - 제임스 바
    제임스 바는 스코틀랜드 출신의 신학자이자 구약학자로서, 성경 언어 의미론과 근본주의 비판에 기여했으며, 에든버러 대학교와 옥스퍼드 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활발하게 활동했다.
  • 영국의 음악 이론가 - 헨리 퍼셀
    헨리 퍼셀은 왕실 예배당 소년 성가대원 출신으로 웨스트민스터 사원의 오르가니스트이자 왕실 현악 합주단의 작곡가 겸 지휘자를 역임한 영국의 바로크 시대 작곡가로, 오페라, 세미오페라, 극 부수 음악, 앤섬, 기악곡 등 다양한 장르에서 왕성한 활동을 펼쳐 영국 바로크 음악의 정점으로 평가받는다.
  • 영국의 문법학자 - 앨퀸
    앨퀸은 앵글로-색슨족 출신 학자이자 교육자로, 카롤루스 대제의 초청으로 프랑크 왕국에서 카롤링거 르네상스의 주요 동력으로 활동하며 교육 표준 혁신, 카롤링거 소문자 필기 장려, 종교 정책 관여 등 프랑크 왕국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로저 베이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옥스포드 대학교 자연사 박물관에 있는 베이컨의 동상
옥스포드 대학교 자연사 박물관에 있는 베이컨의 동상
이름로저 베이컨
다른 이름경이로운 박사(Doctor Mirabilis)
출생일약 1219년/1220년
출생지잉글랜드 서머싯 일체스터 근처
사망일약 1292년 (향년 약 72/73세)
사망지잉글랜드 옥스퍼드셔 옥스퍼드 근처
국적잉글랜드
소속작은형제회
호칭 접미사OFM
로마자 표기Rogerus, Rogerius Baconus, Baconis
호칭 접두사성직자
학문
주요 관심 분야신학
자연철학
자연과학
화학
생물학
공학
수학
천문학
학파스콜라 철학
주요 사상실험 과학
출신 대학옥스퍼드 대학교
주요 업적
주요 업적광학
과학철학(실험 과학의 특권)
달력
화약
지도 교수로버트 그로스테스트
참고 자료
참고 자료

2. 생애

로저 베이컨은 13세기 초 영국 서머싯 주 일체스터에서 태어났다. 출생년도는 정확하지 않으나, 1210년에서 1220년 사이로 추정된다.[3] 베이컨 가문은 부유했으나, 헨리 3세 시대의 정치적 혼란 속에서 재산을 몰수당하고 가족이 추방되는 어려움을 겪었다.[65]

베이컨은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수학하며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술에 대해 강의하였고, 얼마 후 프란체스코회에 입회하여 옥스퍼드 대학교 교수가 되었다. 1233년경에는 당시 유럽 최고의 학문 기관이었던 파리 대학교로 유학을 갔다. 당시 프란체스코회와 도미니코회는 신흥 수도회였지만, 학문 세계에서 눈부신 활약을 보이며 주목받고 있었다. 베이컨은 로버트 그로스테스트 등 당대의 저명한 학자들과 교류를 쌓았으며, 실험과 관찰을 중시하는 강의로 주목받았다.

베이컨의 학문은 알하이삼을 비롯한 이슬람권 과학자들의 저술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이를 통해 당시 유럽 학문의 문제점을 깨닫게 되었다. 그는 질 낮은 번역본으로만 알려진 아리스토텔레스그리스어를 배울 생각조차 하지 않는 학자들의 태도를 비판했다. 또한, 물리학 연구는 아리스토텔레스적인 방법론이 아닌, 경험에 기반한 방법론에 따라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베이컨은 기 드 풀크(후에 클레멘스 4세) 추기경의 요청으로 저술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프란체스코회의 금지령에도 불구하고 비밀리에 저술을 정리하여 1267년에 교황에게 『대저작』을 보냈고, 이어서 『소저작』과 1268년에는 『제3저작』을 보냈다. 그러나 교황은 같은 해에 서거하였고, 보호자를 잃은 베이컨은 1278년에 프란체스코회 내에서 단죄되어 투옥되었다. 10년간의 감금 생활 후, 고향 출신 영국 귀족들의 석방 호소로 풀려났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로저 베이컨은 1219년(1220년) 또는 1210년, 1213년, 1214년, 1215년, 1220년에 영국 서머싯 주 일체스터에서 부유한 가정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65][3] 그의 집안은 두 아들들의 교육을 지원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부유했다.[65] 그는 13세에 옥스퍼드 대학교에 들어가 중세 대학의 교과 과정이었던 삼학(문법, 논리학, 수사학)과 사학(산술, 음악, 기하학, 천문학)을 공부했다.[65] 옥스퍼드에서 교육 과정을 마친 뒤 1241년까지 옥스퍼드 대학에서 가르쳤다.[65]

2. 2. 파리 대학 시기

베이컨은 파리 대학에서 신학 박사 학위를 받고 강의를 하였다.[65] 1240년대 이전 파리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가 기독교인이 아니라는 이유로 그의 저술과 내용을 가르치는 것이 금지되었으나, 베이컨의 강의가 아리스토텔레스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면서 이러한 금지가 완화되었다.[65] 파리에서 베이컨은 과학자 페트루스 페레그리누스를 만나 과학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65]

2. 3. 옥스퍼드 복귀와 프란체스코회 입회

1247년 옥스퍼드로 돌아온 베이컨은 재산을 수학, 자연 철학 등에 대한 책과 도구를 만들고 사는 데 사용하였다. 그 과정에서 로버트 그로스테스트의 저서에 영향을 받아 언어, 수학, 과학, 광학에 대한 더 깊은 연구를 시작한다. 베이컨은 알하젠의 《광학(Optics)》을 읽으며 수학이 실생활이나 실제 세계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알게 되었다고 한다.[65] 1251년에는 파리에 있었다.[66]

1256년 또는 1257년에 프란체스코회에 입회하여 수도사가 되었다.[66] 1260년 이후, 베이컨의 활동은 수도회 수사들이 사전 승인 없이 책이나 소책자를 출판하는 것을 금지하는 법령에 의해 제한되었다.[66]

2. 4. 교황 클레멘스 4세와의 관계와 저술 활동

1260년대 중반, 베이컨은 나르본의 주교이자 사비나 추기경이며, 영국의 왕실과 귀족 세력 사이에서 협상한 교황 특사였던 클레멘스 4세(기 드 풀크)와의 친분을 통해 상관들의 간섭을 피할 수 있었다.[66] 얼마 후 베이컨은 클레멘스 4세에게 과학 교육과정의 개선과 교육기관에 실험실 증설에 대한 내용의 편지를 보냈고, 더 나아가 교육과정의 전체적인 개편과 모든 지식을 포함한 백과사전을 만들 것을 제안했다.[67] 교황은 베이컨에게 이미 이에 관한 것이 있다고 생각하여 그것을 보내라고 요청했고, 베이컨은 《대저작》, 《소저작》, 《제3저작》을 만들어 교황에게 보냈다.[67] 하지만 교황은 이것을 받기 전인 1268년에 사망했다.[67]

2. 5. 투옥과 말년

1278년 프란체스코회는 베이컨을 이탈리아 안코나의 감옥에 수감하였다.[68] 이후 베이컨은 1292년 옥스퍼드에서 사망한다.

3. 과학적 업적

로저 베이컨은 그로스테스트의 제자로, 스승의 '분석의 방법'을 발전시켜 과학적 사실 기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베이컨은 현상에 대한 지식을 늘리는 데 기여하는 실험 방법을 '실험 과학의 3대 특권' 중 두 번째로 꼽았다.[79][80] 그는 마리코트의 페트루즈가 자석을 가로로 자르면 각각 N극과 S극을 갖는 두 개의 새로운 자석이 된다는 사실을 증명한 것을 높이 평가했다.[79][80]

19세기 에칭, 베이컨이 연금술 실험을 하는 모습


베이컨은 연금술에도 관심을 가져 여러 관련 저술을 남겼다. '예술과 자연의 비밀 작용과 마법의 허무함에 관한 편지' (''Epistola de Secretis Operibus Artis et Naturae et de Nullitate Magiaela'')에서는 점술을 비판하면서도 현자의 돌 제조법, 화약 제조법으로 추정되는 내용, 가상의 비행 기계와 잠수함에 대한 언급을 남겼다.

베이컨은 갈레누스의 의학에 대해 서술하면서 아비케나의 번역본을 언급했고,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에 대해 부정적인 이미지를 제시했지만, 그의 작품은 르네상스 헤르메스 사상의 영향을 받았다.[20][21] 그는 연금술이 가장 중요한 과학이라고까지 말하며, 연금술 주제를 모호하게 유지했는데, 이는 당시 영국의 난해한 주제에 대한 비밀 유지 필요성과 상징과 은유로 말하는 연금술 전통을 준수하려는 의도였다.[22]

베이컨은 율리우스력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아이작 뉴턴보다 400년 앞서 물이 담긴 컵에서 빛의 스펙트럼을 관찰했다. 또한, 백과사전을 만들 계획을 세웠으나 단편만 남아있다.

3. 1. 광학

베이컨은 알하젠의 《광학》, 킨디의 《광학》, 프톨레마이오스의 《광학》, 아리스토텔레스 등 다양한 광학 및 철학 저술을 해석하고, 수학적 분석을 시도했다.[74] 《대저작》에서 눈과 뇌의 해부학, 의 방향, 위치, 크기, 반사굴절 등을 다루었다.[73][74]

로저 베이컨이 연구한 광학1(대저작, Opus Majus)


로저 베이컨이 연구한 광학2(실험과학의 본질, On the nature of Experimental Science)


로버트 그로스테스트와 베이컨은 아리스토텔레스의 귀납-연역적 절차에 제3의 탐구 단계를 추가해야 한다고 제안했으며, 베이컨은 이 테스트 절차를 실험 과학의 ‘제1의 특권’이라고 불렀다.[76] 14세기 초, 테오도릭은 베이컨의 제1의 특권에 대한 놀랄 만한 응용을 시도하여 무지개 연구에 기여했다.[77]

그러나 베이컨은 추가적인 실험적 테스트보다는 이전 저술가의 선험적인 고찰과 권위에 자주 호소하는 한계를 보였다.[78]

3. 2. 달력

율리우스력은 1년의 길이를 365.25일로 정했기 때문에, 실제 1년보다 약 11분 14초가 더 길었다. 이 작은 차이는 128년마다 하루가 빨라지는 오차를 만들었다. 1263년경, 로저 베이컨은 이 문제를 지적하고 교황에게 조치를 요청했다.[83]

베이컨은 《대저작》에서 율리우스력의 오차를 지적하고, 125년마다 하루를 빼며, 고정된 춘분하지 준수를 중단하는 달력 개혁을 제안했다. 그의 제안은 1268년 교황 클레멘스 4세가 사망한 후 실행되지 않았지만, 훗날 그레고리력 개혁(1582년)에 영향을 주었다.[83]

가톨릭 교회는 300년간 이 문제를 검토한 끝에 교황 그레고리오 13세1582년 10월 5일을 10월 15일로 바꾸어 10일을 건너뛰는 개혁을 단행했다. 이로써 춘분은 니케아 공의회 시절처럼 3월 21일에 오게 되었다. 또한, 400년에 한 번씩 윤년을 없애는 규칙을 추가하여, 현재 사용 중인 그레고리력이 만들어졌다. 가톨릭 국가들은 그레고리력을 쉽게 채택했으나, 개신교 국가들은 율리우스력을 고집하다가, 1700년덴마크, 네덜란드, 독일 등이 그레고리력으로 바꾸었다.[83]

3. 3. 화약

베이컨은 《대저작》과 《제3저작》에서 화약의 필수 성분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대한 설명을 남겼다. 이는 유럽 최초의 화약 제조법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일부 학자들은 베이컨이 중국의 폭죽 시연을 목격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흑색화약이 고대 중국의 연단술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은 이제 사실로 입증되고 있다. 그러나 유럽 일부에서는 르네상스 초기에 영국의 로저 베이컨이 최초로 흑색화약을 발명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는 전설로만 전해오던 고대 '희랍의 불'을 과학적으로 재현했다고 알려졌다. 바로 이 연구 과정에서 목탄과 황의 혼합물에 초석을 배합하면 폭발적으로 연소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가 만들었다는 화약에 흑색 화약이라는 이름이 붙게 된 것은 가루가 배합되어 있어서 혼합물의 색이 검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베이컨의 흑색화약 발명과 관련된 초기의 자료에는 전설적인 성격이 너무 강하기 때문에 진위를 확인하기가 어렵다.[84][85]

'예술과 자연의 비밀 작용과 마법의 허무함에 관한 편지' (''Epistola de Secretis Operibus Artis et Naturae et de Nullitate Magiaela'')는 '예술과 자연의 놀라운 힘에 관하여' (''De Mirabili Potestate Artis et Naturaela'')로도 알려져 있으며, 알 수 없는 "파리의 윌리엄"에게 보낸 것으로 추정되는 위작 편지이다. 이 편지에는 베이컨에게 전해지는 대부분의 연금술 공식들이 담겨 있으며, 아마도 화약 제조법도 포함되어 있다.[49]

3. 4. 기타

로저 베이컨은 〈예술과 자연의 비밀스러운 일과 마술의 허무함에 관한 편지〉 (Epistola de Secretis Operibus Artis et Naturae, et de Nullitate Magiaela)[86][87]에서 주술과 같은 마술에 반대하였고, 연금술 관련 저술과 주로 마법사의 돌(흑색화약)[88]의 제조법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이 편지에는 날아다니는 기계와 잠수함에 대한 가설도 포함되어 있다.[89]

베이컨은 연금술 설명서 〈연금술의 거울〉(Speculum Alchemiaela)[90]의 저자로도 알려져 있다. 그는 이 책에서 수은과 황을 금속의 원소로 생각하는 아라비아의 전통적인 원자설을 지지했으며, 원소 간의 변화에 대한 어렴풋한 암시를 하였다.

'예술과 자연의 비밀 작용과 마법의 허무함에 관한 편지'는 '예술과 자연의 놀라운 힘에 관하여' (De Mirabili Potestate Artis et Naturaela)로도 알려져 있으며, "파리의 윌리엄"에게 보낸 것으로 추정되는 위작 편지이다. 이 편지에서는 점술과 같은 행위들을 일축하지만, 베이컨에게 전해지는 대부분의 연금술 공식들이 담겨 있으며, 현자의 돌을 만드는 방법과 화약 제조법도 포함되어 있다. 또한 가상의 비행 기계와 잠수함에 대한 몇몇 구절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의 최초 사용을 알렉산드로스 대왕에게 돌리고 있다. '마법의 허무함'은 베이컨 시대의 난해한 주장들을 반박하는 글로, 자연 현상으로 설명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4. 저작

로저 베이컨의 주요 저작들은 다음과 같다.

제목원제작성 연도내용 및 기타
대저작Opus Majusla1266년[92]수학, 광학, 연금술, 천문학 등을 다루며, 천체의 위치와 크기에 대한 이론을 포함한다. "인간 무지의 네 가지 일반적인 원인", "철학과 신학의 친화성", "문법의 유용성에 관하여", "물리학에서 수학의 유용성", "원근법 과학에 관하여", "실험적 지식에 관하여", "도덕 철학"의 7부로 구성되어 있다.
소저작Opus Minorla1266년대저작의 요약본.
제3저작Opus Tertiumla1266년대저작, 소저작과 함께 교황 클레멘스 4세에게 보내졌으나, 교황은 같은 해에 서거하였다.
실험과학의 본질De scientia experimentalila1266–67년실험 과학의 중요성을 강조.
자연철학의 일반원리Communia naturaliumla1268년
수학의 일반원리Communia mathematicala1268년
철학개론Compendium philsophiaela1272년
연금술의 거울Speculum Alchemiaela? [91]금속의 기원과 구성에 대한 짧은 논문. 위서로 간주되기도 한다.
종의 증식에 관하여De Multiplicatione Specierumla
연소 거울에 관하여De Speculis Comburentibusla
신학 연구 개요Compendium Studii Theologiaela
그리스어 문법Grammatica Graecala
히브리어 문법Grammatica Hebraicala
변증학 개론Summulae Dialecticesla 또는 Summulae super Totam Logicamla
궤변과 구별에 관한 총론Summa de Sophismatibus et Distinctionibusla
문법 개론Summa Grammaticala
계산법Computusla



베이컨은 신학에 대한 개혁을 촉구했다. 그는 신학자들이 성경 자체에 주의를 집중하고 원전 언어를 철저히 학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여러 원전 언어에 능통했고, 라틴어로 작업하는 학자들에 의해 잘못 번역되거나 잘못 해석된 성경과 그리스 철학자들의 저술의 여러 부패를 지적했다. 그는 또한 과학("자연철학la")에 대한 신학자들의 교육과 그것을 중세 교육 과정에 추가할 것을 주장했다.

''대작la''에는 수학, 광학, 화학에 관한 서술이 포함되어 있으며, 우주의 규모에 대해서까지 언급하고 있다. 베이컨은 현미경, 망원경, 비행기, 증기선이 발명될 것을 예상했다.[63] 그는 우주의 운행이 인간의 운명과 심신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했다. 베이컨은 율리우스력의 문제점을 지적했고, 아이작 뉴턴보다 400년 앞서 물이 담긴 컵에서 빛의 스펙트럼을 관찰했다.

베이컨은 당시 세계 최첨단이었던 아라비아 과학과 철학에 정통했으며, 근대 과학을 앞서가며 경험과 관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백과사전을 만들 계획이 있었지만, 단편만 남아 있다.

5. 사상

베이컨은 신학 연구에서 성서 원전 연구와 다양한 학문 분야의 통합을 강조했다. 스콜라 철학의 권위주의적 풍토를 비판하고, 실험과 관찰을 통한 과학적 방법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에 정통했지만, 원전 연구와 비판적 검토를 통해 지식의 발전을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신학 학습자들이 성서 원전의 언어인 그리스어히브리어를 배워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대학의 커리큘럼 개혁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베이컨은 여러 언어에 능통했고, 당시의 성서와 그리스 철학 서적이 잘못된 필사와 오역으로 원본에서 멀어져 있다고 개탄했다. Opus Majusla[63]에는 수학, 광학, 화학에 관한 서술이 포함되어 있으며, 우주의 규모에 대해서까지 언급하고 있다. 더 나아가 베이컨은 후세에 현미경, 망원경, 비행기, 증기선이 발명될 것을 예상했다. 그는 아이작 뉴턴보다 400년 앞서 물이 담긴 컵에서 빛의 스펙트럼을 관찰했다.

베이컨은 당시 세계 최첨단이었던 아라비아 과학과 철학에 정통했으며, 근대 과학을 앞서가며 경험과 관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백과사전을 만들 계획이 있었던 것 같지만, 단편만 남아 있다.

베이컨은 Summa Grammaticala 등 초기 언어학 및 논리학 저술에서 옥스퍼드와 파리의 명칭주의(terminist) 및 모디스트 이전(pre-modist) 논리와 문법을 제시했다. 그의 후기 언어학 연구는 당시에는 유례가 없는 용어와 질문들을 사용한다.[23]

그의 Grammatica Graecael, Grammatica Hebraicahe와 "문법의 유용성에 관하여"(Opus Majusla의 제3권), 그리고 『철학 연구 개론』[23]에서 베이컨은 학자들이 여러 언어를 알아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24] 그는 무역, 전파, 행정과 같은 실용적인 목적에 유용하다고 생각하여 유럽의 구어를 무시하지는 않았지만, 주로 당시의 과학 언어와 종교 언어인 아랍어, 그리스어, 히브리어, 중세 라틴어에 관심을 가졌다.[24]

베이컨은 다른 언어들을 완벽하게 실용적으로 숙달하는 것보다 그 문법 규칙에 대한 이론적 이해에 더 관심이 있었으며, 라틴어 독자가 문장의 본래 의미를 오해하지 않도록 했다.[24] 그의 그리스어와 히브리어 문법에 대한 논의는 라틴어에 영향을 미치거나 라틴어 본문을 제대로 이해하는 데 필요한 측면을 다루는 비교 문법이다.[25] 그는 “나는 라틴어 화자를 위해 그리스어 문법을 설명하고자 한다”라고 명확하게 말한다.[26]

『개론』과 Grammatica Graecael의 일부는 모든 인간 언어의 기저에 있는 보편 문법에 대한 초기 설명으로 간주되어 왔다.[27] Grammatica Graecael에는 가장 간결하고 유명한 설명이 들어 있다.[27]

6. 유산 및 영향

베이컨이 파리 대학교 총장에게 자신의 저술 중 하나를 제시하는 모습을 묘사한 사본 삽화


로저 베이컨은 당대에는 다른 학자들에게 크게 주목받지 못했지만, 보나벤투라, 존 페컴, 리무즈의 피터, 레이먼드 룰 등에게 영향을 주었다. 또한, 광학을 중세 대학 커리큘럼에 추가하는 데 기여했다.

근세 초, 영국에서 베이컨은 금단의 지식을 가진 현명하고 교활한 사람의 전형으로 여겨졌으며, 말하는 청동 머리 전설 등 다양한 이야기가 만들어졌다.

16세기 이후, 프랜시스 베이컨 등 자연 철학자들은 로저 베이컨을 과학적 선구자로 재조명했다. 19세기, 윌리엄 휴얼 등은 베이컨을 시대를 앞서간 인물로 평가했다.

20세기에는 베이컨의 사상이 중세적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뒤엠, 손다이크, 코이레 등) 현대 학계는 베이컨의 사상에서 프란체스코회 신앙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참조

[1] 웹사이트 Bacon http://www.collinsdi[...] 2018-06-15
[2] 웹사이트 Who is Roger Bacon? http://www.rogerbaco[...] 2019-10-16
[3] 서적 Complete Dictionary of Scientific Biography http://www.encyclope[...] Charles Scribner's Sons 2008
[4] 문서 Chron. Maj. Chronica Majora
[5] 문서 Chronicle of the 24 Generals 1300
[6] 간행물 Biography of Roger Bacon https://core.ac.uk/d[...]
[7] 서적 Opus Majus https://archive.org/[...] 1897
[8] 서적 Opus Majus https://archive.org/[...] 1897
[9] 서적 Opus Majus https://archive.org/[...] 1897
[10] 서적 Opus Majus https://archive.org/[...] 1897
[11] 서적 Opus Majus https://archive.org/[...] 1897
[12] 서적 Opus Majus https://archive.org/[...] 1897
[13] 서적 Worthies https://books.google[...] 1828
[14] 문서 The Calendar 2011
[15] 서적 Opus Majus https://archive.org/[...] 1897
[16] 서적 Optics https://books.google[...] (Smith trans.) 1996
[17] 서적 Bill Nye's Comic History of England https://archive.org/[...] Chicago, Thompson and Thomas 1896
[18] 서적 Bill Nye's Comic History of England https://archive.org/[...] Chicago, Thompson and Thomas 1896
[19] 백과사전 Gunpowder
[20] 저널 Medicine and Mathematics in the Sixteenth Century 1917-07-01
[21] 저널 Roger Bacon and the Hermetic Tradition in Medieval Science Brill
[22] 논문 Roger Bacon: The Christian, the Alchemist, the Enigma https://scholarsarch[...] University at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23] 서적 https://books.google[...] 1990
[24] 서적 https://books.google[...] 1990
[25] 서적 https://books.google[...] 1990
[26] 서적 https://books.google[...] 1990
[27] 서적 https://books.google[...] 1974
[28] 서적 https://books.google[...] 1990
[29] 문서 MS Bodl. 211
[30] 문서 Understanding Nature 2008
[31] 뉴스 NY Times https://query.nytime[...] NY Times 2005-02-20
[32] 저널 The American Historical Review Oxford University Press, American Historical Association 1928-01-01
[33] 저널 Isi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The History of Science Society 1928-09-01
[34] 서적 American National Biography 1999
[35] 웹사이트 UA Experts Determine Age of Book 'Nobody Can Read' http://uanews.arizon[...] University of Arizona 2011-02-09
[36] 서적 Early English Prose Romances: With Bibliographical and Historical Introductions Nattali & Bond 1858
[37] 서적 Fryer Bacon 1627
[38] 웹사이트 Pseudodoxia Epidemica http://penelope.uchi[...] 2023-01-08
[39] 서적 Friar Bacon & Friar Bungay
[40] 서적 Friar Bacon & Friar Bungay
[41] 서적 Friar Bacon & Friar Bungay
[42] 서적 Friar Bacon & Friar Bungay
[43] 서적 Friar Bacon & Friar Bungay
[44] 서적 Chronicle of the Kings of England https://books.google[...]
[45] 서적 Chronicle of the Kings of England https://books.google[...]
[46] 서적 Chronicle of the Kings of England https://books.google[...]
[47] 서적 De Nullitate Magiae
[48] 서적 Opus Majus
[49] 뉴스 Review of ''The First Scientist'' http://www.guardian.[...] The Guardian 2003-05-17
[50] 서적 The Outline of History https://archive.org/[...] New York 1971
[51] 서적 North Pole, South Pole 2010
[52] 웹사이트 The Fixation of Belief http://www.peirce.or[...] 1877
[53] 서적 The Protestant Experience in America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2023-05-29
[54] 웹사이트 The Stripling Thames http://thames.me.uk/[...] 1909
[55] 웹사이트 Gentleman's Magazine https://books.google[...] 1829-08
[56] 서적 Dramatic Bibliography https://books.google[...] 1933
[57] 웹사이트 Roger Bacon https://sites.google[...] Google Sites 2014-04-27
[58] 웹사이트 The Black Rose http://unsworth.unet[...] Brandeis University 2014-04-27
[59] 저널 Book Reviews 1985
[60] 웹사이트 Walt Whitman's Best Friend Wrote the First Robot Revolution Story http://www.io9.com 2009-05-18
[61] 오디오북 The Brazen Android https://archive.org/[...]
[62] 웹사이트 Fifth Business http://www.studymode[...] Study Mode 2014-04-27
[63] 서적 世界史概観 下 岩波新書 1975
[64] 서적 Medieval Science, Technology, and Medicine: An Encyclopedia Routledge 2005-09-29
[65] 저널 THE FATHER OF BRITISH OPTICS: ROGER BACON, c. 1214-1294 http://bjo.bmj.com/c[...] 2010-01-09
[66] 서적 Roger Bacon: His Life, Career, and Works
[67] 서적 Roger Bacon: His Life, Career, and Works
[68] 서적 Roger Bacon: His Life, Career, and Works
[69] 서적 Roger Bacon: His Life, Career, and Works
[70] 서적 Roger Bacon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Sciences
[71] 서적 Roger Bacon and his Search for a Universal Science Columbia Univ. Pr.
[72] 서적 Roger Bacon's Attitude toward the Latin Translations and Translators of the Twelfth and Thirteenth Centuries
[73] 서적 Ptolemy's theory of visual perception: an English translation of the Optics http://books.googl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74] 논문 A Philosophical Perspective on Alhazen's ''Op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75] 서적 과학철학의 역사(A Historical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Science) 동연
[76] 서적 The Opus Majus
[77] 서적 Robert Grosseteste
[78] 서적 The Opus Majus
[79] 서적 The Opus Majus Russell and Russell
[80] 서적 The Opus Majus
[81] 서적 Robert Grosseteste
[82] 서적 Robert Grosseteste
[83] 논문 The Western Calendar: – 'Intolerabilis, Horribilis, et Derisibilis'; Four Centuries of Discontent Specola Vaticana
[84] 서적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Volume 5, Part 7 Cambridge University Press
[85] 서적 Technology in world civilization: a thousand-year history http://books.google.[...] MIT Press 2011-11-28
[86] 서적 The natural and the supernatural in the Middle Ages: the Wiles lecture given at the Queen's University of Belfast, 2006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87] 서적 White magic, Black magic in the European Renaissance BRILL
[88] 서적 Roger Bacon and the sciences: commemorative essays BRILL
[89] 서적 From the Norman Conquest to the Black Death: An Anthology of Writings from England Oxford University Press
[90] 서적 Understanding Nature: Case Studies in Comparative Epistemology Springer
[91] 웹사이트 연금술의 거울(The Mirror of Alchemy) http://www.levity.co[...]
[92] 웹사이트 대저작(Opus Majus) http://ia600204.us.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