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브라이언 오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라이언 오서는 캐나다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자 코치이다. 선수 시절 '미스터 트리플 악셀'로 불리며 1987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고, 1984년과 1988년 동계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프로로 전향하여 아이스쇼에 출연했으며, 코치로 활동하며 김연아, 하뉴 유즈루 등을 지도하여 올림픽 금메달을 이끌었다. 그는 캐나다 훈장을 받았으며, 세계 스케이팅 명예의 전당에 헌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나다의 성소수자 스포츠 선수 - 사샤 호스틴
    사샤 호스틴은 'Scarlett'라는 아이디로 활동하는 캐나다의 트랜스젠더 여성 프로게이머로, 《스타크래프트 II》에서 뛰어난 실력을 보여주며 e스포츠에서 성공한 여성 선수로 평가받고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되기도 했다.
  • 캐나다의 성소수자 스포츠 선수 - 제프리 버틀
    제프리 버틀은 캐나다의 은퇴한 남자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자 안무가이며, 2006년 동계 올림픽 동메달, 2008년 세계 선수권 대회 금메달을 획득하고, 김연아 등 유명 선수들의 프로그램 제작에 참여했다.
  • 1984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 - 그제고시 필리포프스키
    그제고시 필리포프스키는 폴란드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자 코치로, 트리플 토룹-트리플 토룹 점프 조합을 세계 최초로 성공시키고, 세계 선수권 대회 동메달, 유럽 선수권 대회 메달을 획득했으며, 동계 올림픽에 세 번 출전한 후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 1984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 - 브라이언 보이타노
    브라이언 보이타노는 1988년 캘거리 동계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이자, 1985년부터 1988년까지 전미 선수권 4연패, 1986년과 1988년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을 차지했으며, 1996년 세계 피겨 스케이팅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미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다.
  • 1988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 - 그제고시 필리포프스키
    그제고시 필리포프스키는 폴란드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자 코치로, 트리플 토룹-트리플 토룹 점프 조합을 세계 최초로 성공시키고, 세계 선수권 대회 동메달, 유럽 선수권 대회 메달을 획득했으며, 동계 올림픽에 세 번 출전한 후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 1988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 - 페트르 바르나
    체코슬로바키아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페트르 바르나는 1992년 동계 올림픽에서 쿼드러플 점프를 성공시키며 동메달을 획득하고, 같은 해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한 후 프로 스케이터 및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브라이언 오서
기본 정보
2014년 브라이언 오서
브라이언 오서, 2014년
이름브라이언 어니스트 오서
출생일1961년 12월 18일
출생지온타리오주 벨빌, 캐나다
직업피겨 스케이터
코치
활동 기간1977년-현재
수상캐나다 훈장 (1985년)
신장169 cm
배우자라제시 티와리
거주지토론토
별명미스터 트리플 악셀
선수 경력
전 코치더그 리
전 스케이팅 클럽마리포사 윈터 클럽
미들랜드 FSC
은퇴1988년
기록올림픽 역사상 최초의 트리플 악셀 성공
코치 경력
현재 지도 선수제이슨 브라운 (피겨 스케이팅 선수)
차준환
기하라 리카
이전 지도 선수하뉴 유즈루
김연아
하비에르 페르난데스
엘리자베트 투르신바예바
남 응우옌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
올림픽1984 사라예보 남자 싱글 은메달
1988 캘거리 남자 싱글 은메달
세계 선수권 대회1983 헬싱키 남자 싱글 동메달
1984 오타와 남자 싱글 은메달
1985 도쿄 남자 싱글 은메달
1986 제네바 남자 싱글 은메달
1987 신시내티 남자 싱글 금메달
1988 부다페스트 남자 싱글 은메달
캐나다 선수권 대회8회 우승
수상 내역
캐나다 훈장1985년 멤버, 1988년 오피서
에미상1989년
기타
소속IMG

2. 선수 경력

온타리오주 벨빌 출신으로, 어린 시절부터 피겨 스케이팅 유망주로 주목받았다. 특히 안정적이고 뛰어난 트리플 악셀 점프 구사 능력으로 '미스터 트리플 악셀'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1980년대 초반 시니어 무대에 두각을 나타내 1983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3위에 올랐다. 1984년 사라예보 동계 올림픽에서는 올림픽 사상 최초로 프리스케이팅에서 트리플 악셀을 성공시키며 은메달을 획득했고, 같은 해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도 2위를 차지했다.

이후 미국의 브라이언 보이타노와 치열한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며 '브라이언 대결( Battle of the Brianseng )'로 불리는 경쟁을 펼쳤다. 1987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며 세계 정상에 올랐으나, 1988년 캘거리 동계 올림픽에서는 다시 보이타노에게 밀려 은메달을 획득했다. 같은 해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추가한 뒤 아마추어 선수 생활을 마감하고 프로로 전향했다.

선수 시절의 공로를 인정받아 캐나다 훈장을 수여받았으며[21], 프로 전향 후에는 ''카르멘 온 아이스'' 공연으로 에미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2009년에는 세계 피겨스케이팅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21]

2. 1. 초기 생애 및 아마추어 시절

온타리오주 벨빌에서 태어났으며, 페네탄귀시니에서 자랐다. 그는 다섯 자녀 중 막내이다. 원래 아이스하키에 관심이 있었지만, 6세 때 피겨스케이팅을 시작했다. 어린 시절부터 피겨 유망주로 주목받아 1977년 캐나다 선수권 대회 노비스 레벨에서 우승했고, 1978년 세계 주니어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4위를 차지했다. 1979년 캐나다 선수권 대회 주니어 클래스에 출전하여 트리플 악셀 점프를 성공시키며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1980-1981 시즌부터 시니어 무대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어, 1981년 캐나다 선수권 대회에서 첫 우승을 차지하며 캐나다 남자 싱글의 대표 선수로 자리매김했다. 같은 해 세계 선수권에서는 6위를 기록했고, 1983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3위에 오르며 처음으로 메이저 국제 대회 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 시기 오서는 트리플 악셀 점프를 완벽하게 구사하여 '미스터 트리플 악셀'이라는 별명을 얻을 정도로 기술적인 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1984년 사라예보 동계 올림픽에서는 컴펄서리 피겨 7위, 쇼트 프로그램 1위를 기록했고, 프리스케이팅에서는 동계 올림픽 역사상 처음으로 트리플 악셀을 성공시키며 1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컴펄서리 피겨 점수가 합산된 최종 결과 미국스콧 해밀턴에게 밀려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캐나다 남자 싱글 선수로서는 1932년 레이크플래시드 동계 올림픽몽고메리 윌슨 이후 52년 만에 나온 값진 메달이었다. 같은 해 열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도 스콧 해밀턴에 이어 다시 2위에 올랐다. 1985년에는 피겨 스케이팅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캐나다 훈장 멤버(Member) 등급을 받았다.[21]

1984 시즌 후 스콧 해밀턴이 은퇴하면서, 미국의 브라이언 보이타노가 오서의 새로운 라이벌로 떠올랐다. 두 선수는 이름이 같아 '브라이언 대결 (Battle of the Brianseng)'로 불리며 치열한 경쟁을 펼쳤다. 1985년 세계 선수권에서는 오서가 2위, 보이타노가 3위를 차지했고, 1986년 세계 선수권에서는 보이타노가 1위, 오서가 2위를 기록했다. 마침내 1987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오서가 첫 우승을 차지하며 세계 정상에 올랐고, 보이타노는 2위에 머물렀다.

1988년 캘거리 동계 올림픽은 캐나다에서 열려 오서에게 큰 기대가 모아졌다. 그는 개회식에서 캐나다 선수단 기수를 맡기도 했다. 다시 한번 펼쳐진 '브라이언 대결'에서 두 선수는 팽팽한 접전을 벌였으나, 근소한 차이로 보이타노가 금메달을, 오서는 또다시 은메달을 획득했다. 같은 해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도 보이타노에게 밀려 은메달을 추가했다. 1988년, 오서는 캐나다 훈장 오피서(Officer) 등급으로 승급되었다.[21] 이 시즌을 끝으로 오서는 아마추어 선수 생활을 마감하고 프로 피겨스케이터로 전향했다.

2. 2. 올림픽 및 세계 선수권 대회

온타리오주 벨빌에서 태어난 오서는 어린 시절부터 피겨 유망주로 주목받았다. 1977년 캐나다 선수권 대회 노비스 부문에서 우승했고,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는 4위를 차지했는데, 이는 훗날 라이벌이 되는 브라이언 보이타노보다 낮은 순위였다. 1979년 캐나다 선수권 대회 주니어 부문에서 우승하며 트리플 악셀을 성공시킨 두 번째 남자 선수가 되었다.

1980-1981 시즌부터 시니어 무대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네벨혼 트로피에서 은메달을 획득하고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6위를 차지한 뒤, 캐나다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첫 우승을 차지하며 이후 8회 연속 우승의 시작을 알렸다. 1981년 세계 선수권 대회 데뷔 무대에서는 6위를 기록했다. 다음 시즌에는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첫 메달(은메달)을 획득했고,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4위로 순위를 끌어올렸다. 1983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하며 올림픽 시즌을 앞두고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이 시기 오서는 트리플 악셀 점프를 매우 안정적으로 구사하여 '미스터 트리플 악셀'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1984년 사라예보 동계 올림픽에서는 프리스케이팅에서 올림픽 사상 처음으로 트리플 악셀을 성공시키며 1위를 차지했지만, 컴펄서리 피겨에서의 낮은 순위(7위) 때문에 종합 순위에서는 미국의 스콧 해밀턴에게 밀려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캐나다 남자 싱글 선수로는 1932년 몽고메리 윌슨 이후 52년 만의 올림픽 메달이었다. 같은 해 열린 1984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도 컴펄서리 피겨의 약점을 극복하지 못하고 다시 스콧 해밀턴에 이어 은메달을 차지했다.

1984-1985 시즌, 스콧 해밀턴이 은퇴하면서 오서가 세계 정상에 오를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1985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소련의 알렉산더 파데예프에게 밀려 2위에 머물렀다. 이후 오서는 프리스케이팅에서 트리플 악셀을 두 번 시도하는 등 기술 난도를 높였다. 주니어 시절부터 경쟁했던 미국의 브라이언 보이타노와의 라이벌 관계도 본격화되었다. 1986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보이타노가 우승하고 오서가 2위를 차지했다. 마침내 1987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오서는 프리스케이팅에서 두 번의 트리플 악셀을 성공시키는 등 뛰어난 연기를 펼치며 첫 세계 선수권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는 세계 선수권 역사상 프리스케이팅에서 트리플 악셀을 두 번 성공시킨 최초의 기록이었다.

개최국 캐나다에서 열린 1988년 캘거리 동계 올림픽은 오서와 보이타노의 대결, 이른바 'Battle of the Brianseng'로 큰 주목을 받았다. 오서는 개회식에서 캐나다 선수단의 기수를 맡는 영예를 안았고, 1986년 세계 선수권 이후 패배한 적이 없는 상승세를 타고 있었다. 경기에서는 컴펄서리 피겨 3위, 쇼트 프로그램 1위, 프리스케이팅 2위를 기록하며 접전을 펼쳤으나, 심판 판정 결과 근소한 차이(0.10점)로 보이타노에게 금메달을 내주고 또다시 은메달에 만족해야 했다. 올림픽 직후 열린 1988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도 프리스케이팅에서는 우승했지만 종합 순위에서 보이타노에게 밀려 은메달을 추가했다.

오서는 1988년 시즌을 끝으로 아마추어 무대에서 은퇴하고 프로로 전향했다. 그는 1982년 이후 출전한 모든 대회에서 시상대에 오르는 꾸준함을 보여주었다. 선수 시절의 공로를 인정받아 1985년 캐나다 훈장 멤버(Member) 등급을 받았고, 1988년에는 오피서(Officer) 등급으로 승급되었다.

2. 3. 기타 수상 경력

오서는 1985년 캐나다 훈장 멤버(CM) 등급을 수여받았고, 1988년에는 같은 훈장의 오피서(OC) 등급으로 승격되었다.[10]

또한, HBO에서 방영된 ''카르멘 온 아이스''에서의 공연으로 공동 주연 두 명과 함께 에미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오서는 다음과 같은 여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연도명예의 전당
1989년캐나다 스포츠 명예의 전당
1995년캐나다 올림픽 명예의 전당
1998년미들랜드 스포츠 명예의 전당
2003년페네탄귀시니 스포츠 명예의 전당
2009년세계 피겨스케이팅 명예의 전당
2012년온타리오 스포츠 명예의 전당


3. 프로 스케이터 및 코치 경력

1988년 캘거리 동계 올림픽과 세계 선수권 이후 아마추어 선수 생활을 마감하고 프로 스케이터로 전향하여 아이스 쇼 등에서 활동했다. 2000년대 초반부터 안무가로도 활동 영역을 넓혔으며, 2006년부터는 코치로서 새로운 경력을 시작하여 이후 김연아, 하뉴 유즈루 등 여러 세계적인 선수들을 성공적으로 지도했다.

피겨 스케이팅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캐나다 훈장을 받았으며, 2009년 3월에는 선수 시절의 기량과 코치로서의 공로를 인정받아 세계 피겨스케이팅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21]

3. 1. 프로 전향 이후

선수 생활을 마친 직후인 1988년부터 스타즈 온 아이스(Stars on Ice) 투어를 시작하여 2007년 마지막 출연까지 거의 20년 동안 활동했다. 아이스쇼에서 백플립을 선보이는 몇 안 되는 스케이터 중 한 명으로 유명했으나, 2007년 연습 중 손목 부상 이후 백플립을 중단하고 아이스쇼 출연도 크게 줄였다.[2]

1989년 TV 영화 ''빙상의 카르멘''에 에스카밀로 역으로 출연하여 함께 주연을 맡은 카타리나 비트, 브라이언 보이타노에미상을 수상했다.[14]

1998년, 전 연인과의 법적 분쟁 과정에서 동성애자임이 알려지는 일이 있었으나, 오서 본인도 자신이 게이임을 공개적으로 밝히며 주변 스케이터들과 대중의 지지를 받았다.[15] 현재는 파트너와 함께 토론토에서 거주하고 있다.

2000년경부터는 안무가로도 활동 영역을 넓혀 엘비스 스토이코, 션 소여, 혼다 다케시, 장민, 제니퍼 로빈슨 등 여러 선수의 프로그램을 안무했으며, 다수의 아이스쇼 제작에도 참여했다.[16]

2006년부터는 코치 활동을 시작했으며, 2007년 캐나디언 스타즈 온 아이스에서 프로 스케이터로서 은퇴 공연을 가진 후 코치 업무에 전념하고 있다.

2009년 3월에는 세계 피겨스케이팅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3. 2. 코치 활동

2008-09년 그랑프리 파이널 당시 제자인 김연아와 함께 있는 오서.


2006년 아이스쇼에서 은퇴한 후, 2007년 초부터 대한민국김연아를 제자로 받아들이며 지도자로서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그는 지도 경험이 풍부하지는 않았지만, GOE(수행점수) 평가를 중시하는 전략을 통해 김연아를 2009년 세계 선수권 대회와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로 이끌었다.[17] 이 시기 한국에서 높은 인기를 얻어 김연아와 함께 아이스쇼에 출연하고 자서전을 출판했으며, TV 광고에도 등장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올림픽 이후인 2010년 3월에는 서울시 명예시민이 되기도 했다.

2009년 8월에는 자신의 스포츠 인생과 김연아 코치 경험 등을 담은 에세이집 《한 번의 비상을 위한 천 번의 점프》가 대한민국에서 번역 출판되었다.[22]

2010년 8월, 김연아와의 3년 계약이 만료된 후 결별했다. 이 과정에서 오서 측은 자신의 매니지먼트 회사인 IMG를 통해 김연아 측으로부터 일방적인 코치 계약 해지를 통보받았다고 발표했으나,[18] 김연아 측은 이를 부인하며 양측이 서로 다른 입장을 내놓는 등 매끄럽지 못한 결별 과정을 겪었다.[19]

김연아와 결별한 후 캐나다로 돌아가 신티아 파뇌프의 전담 코치를 맡았으며, 이후 일본의 남자 피겨 스케이팅 선수 하뉴 유즈루의 코치를 맡았다 (2012년 4월 ~ 2022년 은퇴). 하뉴 유즈루는 오서의 지도를 받으며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서 남자 싱글 2연속 금메달을 획득했다.[23] 또한 스페인의 하비에르 페르난데스도 지도하여 (2011년 중반 ~ 2019년 은퇴) 2018년 동계 올림픽 동메달, 세계 선수권 2회 우승 (2015, 2016), 유럽 선수권 7연패 (2013-2019)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현재 그는 토론토 크리켓 스케이팅 및 컬링 클럽의 수석 강사로 활동하며, 트레이시 윌슨과 함께 선수들을 지도하고 있다.

2007년 김연아 선수와 오서


2010년 고 크리스티나 선수와 오서


하비에르 페르난데스(Javier Fernández) 지도 시절 (2011년 로스텔레콤컵에서)


2014년 하뉴 유즈루 선수와 오서


하뉴 유즈루와 세계 선수권 대회(공식 연습) (2015년)


2023년 4대륙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진보양 선수, 트레이시 윌슨 선수와 오서


=== 현재 지도 선수 ===

선수 이름국적코칭 시작주요 성과 (오서 코칭 기간 중)
제이슨 브라운미국2018년 여름[3]2020년 4대륙 선수권 은메달
코리 서클리이탈리아 / 캐나다2013년
진보양중국2022년[4]
키히라 리카일본2021년 9월 (대면 코칭 시작)
핌피다 레르드프라이완태국2024년[5]
그레이슨 롱캐나다2019년[6]
카이야 루이터캐나다2024년 9월[7]
헤티 시캐나다2024년[8]
신지아대한민국2024년 8월



=== 과거 지도 선수 ===

선수 이름국적코칭 기간주요 성과 (오서 코칭 기간 중)
페도르 안드레예프캐나다2007년 가을 ~ ?(이후 아이스댄싱 전향)
션 칼로우오스트레일리아2007년 ~ 2008년
알레인 샤르트랑캐나다2014년 8월 ~ 은퇴 (파트타임)
차준환대한민국2015년 3월 ~ 2023년 6월2022년 4대륙 선수권 우승, 2023년 세계 선수권 은메달, 2018년 그랑프리 파이널 동메달
가브리엘 달레만캐나다2015년 봄 ~ 2019년2017년 세계 선수권 동메달
피비 디 토마소오스트레일리아2007년 ~ 2008년
미카엘라 뒤 토이트남아프리카 공화국2012년 ~ 은퇴
하비에르 페르난데스스페인2011년 중반 ~ 2019년2018년 동계 올림픽 동메달, 세계 선수권 2회 우승 (2015, 2016), 유럽 선수권 7연패 (2013-2019)
고 크리스티나미국2009년 ~ 2012년2009년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동메달
엘레네 게데바니슈빌리조지아2011년 중반 ~ 2013년 여름2012년 유럽 선수권 동메달
스티븐 고골레프캐나다? ~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우승 (13세)
하뉴 유즈루일본2012년 4월 ~ 2022년 7월2014년, 2018년 올림픽 2연속 금메달, 세계 선수권 2회 우승 (2014, 2017), 2020년 4대륙 선수권 우승, 그랑프리 파이널 4연패 (2013-2016)
요시 헬게손스웨덴2016년 ~ 2018년
김연아대한민국2007년 3월 ~ 2010년 8월2010년 올림픽 금메달, 2009년 세계 선수권 우승
레이첼 커클랜드 / 에릭 라드포드캐나다2005년 ~ 2009년(페어)
예카테리나 쿠라코바폴란드2018년 12월 ~ 2021년 9월,
2023년 7월 ~ 2024년 5월
곽민정대한민국2010년 2월 ~ 2010년 8월
소니아 라푸엔테스페인2013년 10월 ~ 2014년
예브게니아 메드베데바러시아2018년 6월 ~ 2020년 9월2019년 세계 선수권 동메달
에밀리아 머독미국2020년 ~ 2022년
남 응우옌캐나다2012년 여름 ~ 2016년 봄2014년 세계 주니어 선수권 우승
니시야마 신고일본2016년 ~ 2018년[9](이후 아이스댄싱 전향)
콘래드 오젤캐나다2019년 여름 ~ 2022년 8월
애덤 리폰미국2008년 12월 ~ 2010년 3월
로만 사도브스키캐나다2016-17 시즌
엘리자베트 투르신바예바카자흐스탄2013년 ~ 2018년 6월
주이중국2020년 초 ~ 2021년 말


4. 개인사

온타리오주 벨빌에서 태어났다.

1998년 전 연인으로부터 별거 위자금 소송을 당하면서 동성애자임이 알려졌다. 공개를 막기 위한 법적 싸움에서 패소하여 자신의 성적 취향을 공개해야만 했다. 오서는 처음에 게이임을 밝히는 것이 자신의 경력을 망칠까 두려워했지만, 이후 다른 스케이터들과 대중의 지지를 받았다.[15] 2008년부터는 브라이언 오서 재단(The Brian Orser Foundation)의 이사인 라제시 티와리(Rajesh Tiwari)와 관계를 맺고 있으며, 캐나다 최초의 공개적으로 게이인 판사인 하비 브라운스톤(Harvey Brownstone)의 주례로 결혼식을 올렸다. 현재 파트너와 함께 토론토에서 살고 있다.

피겨 스케이팅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캐나다 정부로부터 캐나다 훈장을 받았다. 1989년에는 TV 영화 「빙상의 카르멘(Carmen on Ice영어)」에 조연으로 출연하여 주연인 카타리나 비트, 브라이언 보이타노와 함께 에미상을 수상했다.[14] 2009년 3월, 선수 시절의 기량과 코치로서의 공로를 인정받아 세계 피겨스케이팅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21]

2000년경부터 안무가로 활동을 시작하여 엘비스 스토이코, 션 소여, 本田武史, 장진리, 제니퍼 로빈슨 등의 프로그램 및 수많은 아이스쇼를 제작했다.[16] 프로 스케이터로서는 2007년 캐나디언 스타즈 온 아이스에서 은퇴 공연을 가졌다.

2009년 8월, 자신의 스포츠 인생과 김연아의 코치를 맡게 된 과정 등을 담은 에세이집 《한 번의 비상을 위한 천 번의 점프》가 대한민국에서 번역되어 출판되었다.[22]

5. 기타



선수 생활을 마친 직후인 1988년부터 스타즈 온 아이스 투어를 시작하여 거의 20년간 출연했으며, 2007년 캐나디언 스타즈 온 아이스에서 프로 스케이터로서 은퇴 공연을 가졌다.[2] 아이스쇼에서는 백플립을 선보일 수 있는 몇 안 되는 스케이터로 알려졌지만, 2007년 연습 중 손목 부상을 당한 이후 백플립을 중단하고 아이스쇼 출연을 줄였다.[2]

1990년 독일에서 제작된 피겨 스케이팅 영화 ''카르멘 온 아이스''에서 라이벌이었던 브라이언 보이타노카타리나 비트와 함께 주연(에스카밀로 역)을 맡았다. 이 작품에서의 연기로 공동 주연들과 함께 에미상을 수상했다.[14]

2000년경부터는 안무가로도 활동하여 엘비스 스토이코, 션 소여, 혼다 다케시, 장민, 제니퍼 로빈슨 등의 안무를 제작했다.[16]

2009년 8월에는 자신의 스포츠 인생과 김연아 코치 과정 등을 담은 에세이집 《한 번의 비상을 위한 천 번의 점프》가 대한민국에서 번역 출판되었다.[22]

1998년 전 연인과의 법적 분쟁 과정에서 동성애자임이 알려졌고, 이후 본인 스스로 게이임을 공개적으로 밝혔다.[15] 현재는 파트너인 남성과 함께 토론토에서 살고 있다.

피겨 스케이팅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캐나다 정부로부터 캐나다 훈장을 받았다. 1985년에 멤버(CM) 등급을 받았고, 1988년에는 오피서(OC) 등급으로 승격되었다.[10] 선수 시절의 기량과 코치로서의 공로 또한 인정받았다.[21]

'''명예의 전당 헌액'''
연도명예의 전당
1989년캐나다 스포츠 명예의 전당
1995년캐나다 올림픽 명예의 전당
1998년미들랜드(온타리오주) 스포츠 명예의 전당
2003년페네탄귀시니 스포츠 명예의 전당
2009년세계 피겨스케이팅 명예의 전당
2012년온타리오 스포츠 명예의 전당


6. 주요 경기 결과

주요 대회 성적
대회1976–771977–781978–791979–801980–811981–821982–831983–841984–851985–861986–871987–88
국제 대회: 시니어
동계 올림픽2위2위
세계 선수권6위4위3위2위2위2위1위2위
스케이트 캐나다6위2위2위1위1위1위
NHK 트로피2위2위
세인트 아이벌1위1위1위
네벨혼 트로피2위
비엔나 컵3위
생제르베1위
노바라트 트로피1위
국제 대회: 주니어
주니어 세계 선수권4위
국내 대회
캐나다 선수권1위 (N)3위 (J)1위 (J)4위1위1위1위1위1위1위1위1위
등급: N = 노비스; J = 주니어


7. 프로그램 사용곡

wikitext

시즌쇼트 프로그램(SP)프리 스케이팅(FS)갈라쇼(EX)
1987–1988싱 싱 싱(Sing, Sing, Sing)
연주: 베니 굿맨(Benny Goodman)
발레 음악 『볼트』 중에서
작곡: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Dmitri Shostakovich)
Story of my Life
헝가리 광시곡 제2번
작곡: 프란츠 리스트(Franz Liszt)


참조

[1] 웹사이트 Brian Orser Arena https://www.orillia.[...] City of Orillia 2020-05-07
[2] 뉴스 Orser skates into town https://www.simcoe.c[...] Metroland Media Group 2007-10-25
[3] 웹사이트 Jason Brown Announces Coaching Change http://www.usfsa.org[...] 2018-05-29
[4] 웹사이트 Boyang JIN: 2022/2023 http://www.isuresult[...] International Skating Union
[5] 웹사이트 Lerdpraiwan https://web.archive.[...]
[6] 웹사이트 Grayson Long: 2022/23 http://www.isuresult[...] 2023-07-06
[7] 웹사이트 Kaiya RUITER: 2024/2025 https://web.archive.[...] International Skating Union 2024-10-06
[8] 웹사이트 Shi https://web.archive.[...]
[9] 웹사이트 Japan's ice dancers Nishiyama and Yoshida inspired by club-mate Hanyu https://www.olympic.[...]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2020-01-14
[10] 웹사이트 Mr. Brian Orser https://www.gg.ca/en[...] 2023-11-09
[11] 웹사이트 オーサー ブライアン(フィギュアスケート)-ソチオリンピック2014-JOC https://www.joc.or.j[...] 公益財団法人日本オリンピック委員会 2014-02-07
[12] 웹사이트 フィギュア365【12月18日】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21-12-18
[13] 뉴스 フィギュアの妖精キム・ヨンアの新コーチに「Mr.トリプルアクセル」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07-01-10
[14] 웹사이트 Awards for Carmen on Ice https://www.imdb.com[...]
[15] 간행물 Ready, set, come out https://books.google[...] The Advocate誌 1999-02-02
[16] 웹사이트 http://www.canadiane[...]
[17] 뉴스 金妍児を2度断ったオーサー=「平均を」が指導哲学〔五輪・フィギュア〕 http://www.jiji.com/[...] 時事通信 2010-02-24
[18] 웹사이트 Brian Orser no longer coaching Olympic Champion Yu-Na Kim http://figureskaters[...] 2010-08-23
[19] 뉴스 朝鮮日報 2010-08-11
[20] 웹사이트 フィギュア紀平、NHK杯も欠場 足首負傷回復遅れ https://www.sankei.c[...] 産経ニュース 2021-11-05
[21] 웹사이트 '김연아 스승' 오서 코치, 피겨 명예의 전당 입성 http://www.gooddaysp[...] 굿데이 스포츠 2009-03-13
[22] 웹사이트 피겨요정 김연아의 캐나디안 코치 브라이언 오서의 에세이 http://blog.chosun.c[...] 조선일보 블로그 2009-10-30
[23] 웹사이트 김연아부터 하뉴까지…오서 코치, 올림픽과 인연 깊었다 http://sports.news.n[...] MK스포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