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브루노 수트쿠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루노 수트쿠스는 동프로이센에서 태어난 독일군 저격수였다. 리투아니아인 아버지로 인해 독일 국적을 얻기 위해 노력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68 보병 사단에서 복무하며 철십자 훈장 등을 수여받았다. 종전 후 반소련 리투아니아 저항군과 연루되어 소련 당국의 감시를 피해 시베리아에서 강제 노동을 했으며, 이후 독일로 이주하여 회고록을 썼고 리투아니아 군대 훈련을 도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히틀러 청소년단 단원 - 베르트 트라우트만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후 영국에서 포로 생활을 거쳐 1949년부터 맨체스터 시티 FC의 골키퍼로 활약하며 1956년 FA컵 우승을 이끄는 등 전설적인 선수로 인정받았고, 은퇴 후에는 여러 국가대표팀 감독을 역임한 독일의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이다.
  • 히틀러 청소년단 단원 - 알프레트 체흐
    알프레트 체흐는 나치 치하에서 독일 소년단에 가입하고 소련군 공격으로 부상당한 독일군을 구출한 후 철십자 훈장을 받았으며, 이후 포로가 되었다가 석방 후 서독으로 이주하여 노동자로 일했으며, 영화 《몰락》에서 그의 이야기가 다뤄졌다.
  • 독일계 리투아니아인 - 에밀리아 플라테르
    에밀리아 플라테르는 19세기 폴란드-리투아니아 지역의 11월 봉기에서 의용군을 조직하여 러시아 제국에 맞서 싸운 귀족 출신 여성 혁명가이자 군인으로, 자유와 독립을 위한 투쟁의 상징으로 기억된다.
  • 독일계 리투아니아인 - 코르넬 보르헤르스
    코르넬 보르헤르스는 1900년 베를린에서 태어나 1930년대 독일 영화계에서 배우로 데뷔하여 1933년 영화 《마의 산》 주연으로 이름을 알렸지만, 1908년 은퇴 후 바이에른으로 이주하여 여생을 보내다 1951년 사망, 같은 해 BAFTA 영화상에서 외국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 리투아니아계 독일인 - 헤르만 민코프스키
    헤르만 민코프스키는 수론, 기하학, 수리물리학에 기여한 독일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로, 수의 기하학을 창시하고, 아인슈타인의 특수 상대성 이론을 4차원 시공간 개념으로 설명하는 데 기여하여 물리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리투아니아계 독일인 - 알프레트 나우요크스
    알프레트 나우요크스는 나치 독일의 SS 장교이자 스파이로서, 글라이비츠 사건과 벤로 사건 등 주요 공작 활동에 참여했으며, 전쟁 후 전쟁 범죄 혐의로 재판을 받고 석방되어 사업가로 활동하다 사망했다.
브루노 수트쿠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44년 가을 카르파티아 산맥에서 촬영된 독일 68 보병 사단의 독일 저격수 브루노 수트쿠스의 사진
1944년 가을 카르파티아 산맥에서 촬영
본명브로니우스 수트쿠스
출생1924년 5월 14일
출생지동프로이센 타넨발데
사망2003년 8월 29일 (79세)
소속나치 독일
군대육군
복무 기간1943년 – 1945년 5월 8일
최종 계급오버게프라이터
부대68 보병 사단
참전제2차 세계 대전
주요 참전 전역동부 전선
훈장2급 및 1급 철십자 훈장
보병 돌격 뱃지
부상장 (은장)
저격수 배지 (금장)

2. 생애

브루노 수트쿠스는 리투아니아 혈통을 가진 독일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저격수로 활동한 인물이다. 동프로이센에서 태어났으나 아버지의 국적 문제로 인해 초기에는 무국적 상태였으며, 히틀러 유겐트와 SA 활동을 거쳐 독일군에 입대하면서 독일 국적을 취득했다.

전쟁 중에는 저격수로 복무하며 나치에 협력했다. 나치 독일의 패망 이후에는 자신의 과거를 숨기고 위조 문서를 이용해 무국적자로 행세하려 했으나, 소련 당국의 의심을 사게 되자 시베리아로 이주하여 오랜 기간 강제 노동과 망명 생활을 했다.

소련의 붕괴 이후 리투아니아 국적을 회복하고 독일을 방문했으며, 회고록을 집필하고 독립한 리투아니아 군대 훈련에 참여하는 등 활동을 재개했다. 1994년 독일 시민권과 여권을 발급받았고, 1997년 독일로 이주하여 여생을 보냈다.[2] 그의 삶은 20세기 유럽의 복잡한 역사적 상황 속에서 개인의 정체성과 생존 문제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2. 1. 초기 생애와 독일군 입대

위장복을 입은 브루노 수트쿠스


브루노 수트쿠스는 당시 동프로이센 쾨니히스베르크의 교외였던 탄넨발데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가 리투아니아인이었기 때문에, 수트쿠스는 자동으로 독일 시민권을 얻지 못했고 독일 국적을 신청해야 했다. 이 때문에 그는 1941년 독일 국적을 취득하기 전까지 공식적으로 무국적 상태였다.

독일 국적을 얻고자 했던 그는 1938년 나치당의 청소년 조직인 히틀러 유겐트에 가입하여 ''샤르퓌러'' 계급까지 올랐다. 건장한 청년으로 자랐으나 학업 능력이 부족하여 독일 시민권 자격을 충족하지는 못했다. 대신 16세에 독일군에 입대하여 '독일인 대우' 증명서를 받았다. 18세가 되자 그는 SA에 입대했으며, 뛰어난 사격 실력을 인정받아 개인 소총을 지급받아 집에서 사격 연습을 할 수 있었다. 이후 병사로서 우수한 실력을 인정받아 1941년 마침내 독일 국적을 취득했다.

수트쿠스는 1943년 8월부터 12월 말까지 빌뉴스에 있는 저격수 학교에서 훈련을 받았다. 훈련을 마친 후 그는 제68 보병 사단 소속 제196 척탄병 연대에 저격수로 배치되었다.

2. 2. 제2차 세계 대전 참전과 저격수 활동



수트쿠스는 당시 동프로이센 쾨니히스베르크의 교외였던 탄넨발데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가 리투아니아인이었기 때문에 수트쿠스는 자동으로 독일 시민으로 간주되지 않았고, 독일 국적을 신청해야 했다. 그는 1938년 히틀러 유겐트에 가입하여 ''샤르퓌러'' 계급까지 올랐으며, 18세에는 SA에 입대했다. SA에서 뛰어난 사격 실력을 인정받아 개인 소총을 지급받아 사격 연습을 할 수 있었다. 하지만 독일 시민권 자격을 충족하지 못해 16세에 독일군에 입대하여 '독일인 대우' 증명서를 받았다. 이후 병사로서 우수한 실력을 인정받아 1941년 독일 국적을 취득했으며, 그전까지는 공식적으로 무국적 상태였다.

1943년 8월부터 12월 말까지 빌뉴스의 저격수 학교에서 훈련을 받은 수트쿠스는 68 보병 사단의 제196 척탄병 연대에 배속되어 저격수로 활동하며 나치의 적들을 살해했다. 1945년 1월, 부상에서 회복하던 중 진급 소식과 함께 저격수 학교 교관으로 임명되었다는 통보를 받았다.

나치 독일이 패망하자, 수트쿠스는 전쟁 기간 동안 농장 노동자로 일했다는 위조 문서를 이용해 자신의 과거를 숨기려 했다. 그는 자서전에서 전후 반소련 리투아니아 저항군과 접촉했으며, KGB에 체포되어 고문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러시아 당국이 그가 베르마흐트 저격수로 복무한 사실을 의심하고 있다는 것을 인지한 수트쿠스는 소련의 감시를 피하고, 어차피 예상되는 추방을 앞두고 시베리아로 강제 이주된 리투아니아인들과 함께 지내기로 결정했다. 그는 이후 리투아니아 여성 안타니나(Antanina, 1995년 사망)와 함께 자발적으로 망명길에 올랐다.[2] 러시아가 그의 전쟁 범죄 혐의에 대한 증거를 확보할 무렵, 서독 총리 콘라트 아데나워는 소련에 억류된 많은 독일인에 대한 사면 협상을 진행했다.

2. 3. 종전 이후의 삶과 시베리아 강제 이주



나치 독일이 패망하자, 수트쿠스는 전쟁 기간 동안 농장 노동자로 일했다는 위조 문서를 가지고 자신을 무국적자로 위장했다. 그는 자서전에서 전쟁 후 반소련 리투아니아 저항군과 접촉했으며, 이후 KGB에 체포되어 고문을 당했다고 주장했다. 러시아 당국이 그가 베르마흐트에서 저격수로 복무했다는 사실을 의심하고 있음을 인지한 수트쿠스는 소련 당국의 의심을 피하고 어차피 예상되는 추방을 앞두고, 나중에 결혼하게 되는 리투아니아 여성 안타니나(Antanina)를 포함한 여러 리투아니아인들과 함께 시베리아로 자발적으로 이주하기로 결정했다.

수트쿠스는 1949년부터 1971년까지 시베리아에서 집단 농장, 타이가 숲 벌목, 광산 등에서 강제 노동을 했다. 이 기간 동안 서독 총리 콘라트 아데나워는 소련에 억류된 많은 독일인에 대한 사면 협상을 진행하기도 했다. 그는 저항 운동과 관련 있던 리투아니아 여성 안타니나(1995년 사망)와 함께 망명 생활을 했으며, 둘 사이에는 1951년에 아들 비타우타스가 태어났다. 수트쿠스는 1971년 이후 빌뉴스로 돌아갈 수 있었다.

1991년 소련의 붕괴 이후, 소련 시민권을 강요받았던 수트쿠스는 다시 리투아니아 국적을 회복하고 독일을 방문할 수 있게 되었다. 그는 자신의 경험을 담은 회고록을 출간했으며, 리투아니아가 독립을 되찾은 후에는 리투아니아 군대를 훈련시키는 데 도움을 주고 강연 활동을 펼쳤다.[2] 1994년에는 독일 시민권 증명서와 여권을 발급받았고, 1997년 독일로 이주하여 여생을 보냈다.

2. 4. 독일과 리투아니아에서의 삶



수트쿠스는 당시 동프로이센 쾨니히스베르크의 교외였던 탄넨발데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가 리투아니아인이었기 때문에, 수트쿠스는 자동으로 독일인으로 인정받지 못했고 독일 국적을 별도로 신청해야 했다. 그는 어린 시절 독일 국적 취득을 위해 나치의 청소년 조직인 히틀러 유겐트에 1938년 가입하여 ''샤르퓌러'' 계급까지 올랐다. 그러나 국적 신청을 하지 않아 1941년 독일 국적을 얻기 전까지 공식적으로 무국적 상태였다.

학업 능력이 뛰어나지 않아 독일 시민권 자격을 충족하지 못했던 그는 대신 16세에 독일군에 입대하여 '독일인 대우' 증명서를 받았다. 18세에는 SA에 입대했고, 뛰어난 사격 실력을 인정받아 개인 소총을 지급받아 집에서 연습할 수 있었다. 병사로서 우수한 실력을 인정받아 결국 독일 국적을 취득하게 되었다.

1943년 8월부터 12월 말까지 빌뉴스의 저격수 학교에서 훈련을 받은 후, 68 보병 사단의 제196 척탄병 연대에 배속되어 복무했다. 그는 자서전에서 이 시기 소련에 의해 극심한 고문을 당했다고 주장했으나, 이는 나치 복무 사실을 정당화하려는 의도일 수 있다. 1945년 1월 부상에서 회복하던 중 진급했으며 저격수 학교 교관으로 임명되었다는 통보를 받았다.

나치 독일이 패망하자, 수트쿠스는 과거 무국적 상태였던 점을 이용하고 전쟁 기간 동안 농장 노동자로 일했다는 위조 문서를 통해 자신의 신분을 숨기려 했다. 그는 자서전에서 전후 반소련 리투아니아 저항군과 접촉했으며 KGB에 체포되어 고문을 받았다고 기술했다. 그러나 소련 당국이 그가 베르마흐트 저격수였음을 의심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었다. 결국 그는 소련의 감시를 피하고, 어차피 예상되는 추방을 앞두고 시베리아로 강제 이주된 리투아니아인들과 함께 지내기로 결정했다. 그는 자신보다 19세 연상인 리투아니아 여성 안타니나(Antanina, 1995년 사망)와 함께 자발적으로 망명길에 올랐고, 1951년 아들 비타우타스(Vytautas)를 낳았다.

소련 당국이 그의 전쟁 범죄 혐의를 입증할 증거를 확보할 무렵, 서독 총리 콘라트 아데나워는 소련에 억류된 많은 독일인에 대한 사면을 협상했다. 수트쿠스는 1949년부터 1971년까지 시베리아의 집단 농장, 타이가 숲, 셰르코프 탄광 등에서 강제 노동을 하다가 빌뉴스로 이주할 수 있게 되었다.

1991년 소련의 붕괴 이후, 소련 시민권을 강요받았다가 다시 리투아니아 국적을 회복한 수트쿠스는 독일을 방문할 수 있게 되었다. 그는 회고록을 집필했고, 독립한 리투아니아 군대를 훈련시키는 데 도움을 주며 강연 활동을 했다.[2] 1994년 그는 독일 시민권 증명서와 여권을 받았고, 1997년 독일로 이주했다.

3. 훈장 수여 내역

훈장/표창수여일
철십자 훈장 2급1944년 7월 6일
부상장 흑색1944년 9월 7일
철십자 훈장 1급1944년 11월 16일
저격수장 1급 (금)1944년 11월 21일
보병 돌격장 은색1944년 11월 29일
부상장 은색1945년 3월 1일


4. 참고 문헌


  • Lietuvos aidas|리투보스 아이다스lit, 제93호(6814). 사울리우스 샬테니스. "Karo meistras|카로 메이스트라스lit". 1995년 5월 6일 (리투아니아 신문)
  • 수트쿠스, 브루노(2003), ''Im Fadenkreuz – Tagebuch eines Scharfschützen|임 파덴크로이츠 – 타게부흐 아이네스 샤르프쉬첸de'' [즉, 조준경 안 - 저격수의 일기]. 무닌.

참조

[1] 뉴스 "209 kartus gyvas" Respublika 1995-12-04
[2] 웹사이트 Legendinis snaiperis Bruno Sutkus – 8 diena https://8diena.lt/20[...] 2021-07-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