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비는 일본 요괴로, 흉폭하지만 인간을 보면 웃는다고 전해진다. 중국 기원으로, 『이아』에는 사람을 닮았고, 부스스한 머리에 달리기가 빠르며, 사람을 잡아먹는다고 기록되어 있다. 외형은 큰 키, 검은 털, 긴 입술 등의 특징을 가지며, 웃음소리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지능이 높아 사람과 대화하고, 피는 붉은 염료로 사용된다고도 전해진다. 히다 산맥 일대에서는 풍운을 일으키는 요괴로 묘사되며, 야마와로와 혼동되기도 한다. 에드워드 S. 모스는 오모리 조개 무덤에서 발견된 원숭이 뼈를 비비의 뼈로 추정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야마현의 요괴 - 인어 (일본 요괴)
인어는 일본어로 닌교라고 불리며, 사람과 물고기 모습을 한 상상의 존재로, 일본 민간 신앙에서 장수나 불행의 징조로 여겨졌으며, 야오 비쿠니 설화, 다양한 그림과 미라 제작, 그리고 현대 대중문화 콘텐츠의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 도야마현의 요괴 - 여우불
여우불은 일본에서 전해지는 불가사의한 불빛 현상으로, 인적이 드문 곳에서 등롱이나 횃불처럼 나타났다 사라지는 붉은색, 주황색, 또는 푸른색을 띤 불빛이며, 지역별로 다양한 전설과 과학적 가설이 존재하지만 아직 정체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미스터리한 현상이다. - 신화의 원숭이 - 토트
토트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지혜, 마법, 달, 문자, 계산 등을 관장하는 신으로, 신들의 서기관이자 상형문자 발명가이며, 저승 세계의 심판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다재다능한 존재이다. - 신화의 원숭이 - 하누만
하누만은 힌두교에서 용맹, 헌신, 힘의 상징으로 숭배받으며 라마에 대한 헌신적인 조력자로서 여러 문헌에 등장하고 바람의 신 바유의 아들로 여겨지는 중요한 신이다. - 니가타현의 요괴 - 족제비속
족제비속은 유연하고 긴 몸통과 짧은 다리를 가진 족제비과의 포유류 속으로, 흉폭한 육식성을 띠며 유라시아, 아프리카, 아메리카 대륙에 널리 분포하고 서식지 파괴 등으로 보호 노력이 요구된다. - 니가타현의 요괴 - 낫족제비
낫족제비는 일본의 요괴로, 낫 모양의 발톱을 가졌거나 낫을 든 족제비의 모습으로 나타나 바람과 관련된 현상과 함께 등장하며, 지역에 따라 악신이나 여우 신앙과 연관되기도 하고, 한국에서는 서브컬처 매체를 통해 소개되어 젊은 층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 
| 비비 | |
|---|---|
| 개요 | |
![]()  | |
| 유형 | 요괴 | 
| 기원 | 중국 | 
| 출현 장소 | 산 | 
| 다른 이름 | 히히바바 | 
| 특징 | |
| 외모 | 원숭이와 비슷하며 개와 같은 얼굴을 가졌다고 함. 인간의 말을 할 수 있음. | 
| 성격 | 인간을 해치는 것으로 여겨짐. | 
| 능력 | 강한 완력 | 
| 기원 및 전승 | |
| 기원 | 중국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됨. | 
| 일본 | 일본에서는 산에 사는 요괴로 여겨짐. 인간의 말을 흉내 내며, 사람을 홀린다고 함. | 
| 행위 | 사람을 잡아먹거나 해치는 행위를 함. | 
| 이야기에 따른 묘사 | 에도 시대의 백과사전인 화한삼재도회에 그림과 함께 설명되어 있음. 미요시 마손의 척산기담에서는 늙은 원숭이가 변한 것으로 묘사됨. 가토리 나호코의 고금요괴담에서는 아이를 낳는 여인의 모습으로 나타남.  | 
| 대중 문화 속의 히히 | |
| 만화 | 게게게의 기타로 | 
| 게임 | 요괴워치 인왕 (비디오 게임) 진·여신전생 시리즈  | 
| 관련 항목 | |
| 관련 요괴 | 야마와로 가와우소 갓파  | 
| 참고 문헌 | |
2. 어원 및 명칭
야나기타 쿠니오의 저서 『요괴담의』에 따르면 비비라는 명칭은 요괴의 특징적인 웃음소리에서 유래했다고 한다.[3] 문헌에 따라 '狒々', '比々' 등으로 표기되기도 한다. 
비비는 인간과 유사한 외형을 지녔으며, 큰 키와 괴력을 가진 것으로 묘사된다.[1][2] 부스스한 머리카락, 검은 털, 긴 입술 등의 외형적 특징을 가진다.[6] 인간을 보면 크게 웃으며, 이 때 입술이 말려 올라가 눈을 덮는다고 한다.[1] 
야나기타 쿠니오의 『요괴담의』에는 비비는 흉폭하지만, 인간을 보면 크게 웃고, 입술이 말려 올라가 눈까지 덮어버린다는 기록이 있다. 비비를 웃게 만들어 입술이 눈을 덮었을 때, 입술 위에서 머리송곳으로 찔러 꿰뚫으면 잡을 수 있다고 한다.[1] 비비라는 이름은 이 웃음소리에서 유래되었다.[3] 덴와 3년(1683년) 에치고국(현 니가타현)과 쇼토쿠 4년(1714년) 이즈에서 비비가 실제로 잡혔다는 기록도 전해지는데, 전자는 키가 4척 8촌, 후자는 7척 8촌이었다고 한다.[4]
원래는 중국의 요괴이며, 『이아』 석수에 "비비는 사람을 닮았고, 부스스한 머리에 달리기가 빠르며, 사람을 잡아먹는다"고 적혀있다. 곽박의 주석에는 "효양에 대한 것이다. 『산해경』에는 '그 모습은 사람의 얼굴에 입술이 길고, 몸은 검고 털이 나 있으며, 발뒤꿈치가 굽어있다. 사람을 보면 웃는다'고 적혀있다. 교주, 광주, 난캉군의 산중에도 있으며, 큰 것은 키가 1장 남짓이다. 속칭 '산도'라고 부른다."고 적혀있다.[6] 에도 시대의 백과사전 『와칸 산사이즈에』에는 중국 서남부에 서식한다고 하며, 『본초강목』에서 인용하여, 신장은 대형이 1장(약 3미터) 남짓, 몸은 검은 털로 덮여 있으며, 사람을 습격해 잡아먹는다고 적혀있다. 또한, 사람의 말을 하며, 사람의 생사를 예지할 수도 있다고 한다.[7]
3. 특징
야나기타 쿠니오의 저서 『요괴담의』에 따르면, 비비는 흉폭하지만 인간을 보면 크게 웃는데, 이때 입술이 말려 올라가 눈까지 덮는다. 그래서 비비를 웃게 만들어 입술이 눈을 덮었을 때, 입술 위에서 머리송곳으로 찔러 꿰뚫으면 잡을 수 있다고 한다.[1] 비비라는 이름은 이 웃음소리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3]
북 알프스의 구로베 계곡에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비비는 풍운을 일으켜 그 속을 날아다니며, 사람을 던지거나 찢어 죽이는 요괴로 묘사된다.[5]
원래 중국의 요괴로, 『이아』 석수에 "비비는 사람을 닮았고, 부스스한 머리에 달리기가 빠르며, 사람을 잡아먹는다"고 적혀있다. 곽박의 주석에는 "효양에 대한 것이다. 『산해경』에는 '그 모습은 사람의 얼굴에 입술이 길고, 몸은 검고 털이 나 있으며, 발뒤꿈치가 굽어있다. 사람을 보면 웃는다'고 적혀있다. 교주, 광주, 난캉군의 산중에도 있으며, 큰 것은 키가 1장 남짓이다. 속칭 '산도'라고 부른다."고 적혀있다.[6]
에도 시대의 백과사전 『와칸 산사이즈에』에는 서남이(중국 서남부)에 서식한다고 하며, 『본초강목』에서 인용하여, 신장은 대형이 1장(약 3미터) 남짓, 몸은 검은 털로 덮여 있으며, 사람을 습격해 잡아먹는다고 적혀있다. 또한, 사람의 말을 하며, 사람의 생사를 예지할 수도 있다고 한다. 긴 머리카락은 가발의 원료가 된다고도 한다.[7]
지능도 높고, 사람과 대화할 수 있으며, 가쿠처럼 사람의 마음을 읽는다고도 한다. 피는 붉은색 염료가 된다고 하며, 이 피로 옷을 염색하면 변색되지 않는다고 한다. 또한, 사람이 이 피를 마시면 귀신을 보는 능력을 얻는다고도 한다.[3]
4. 전승 및 기록
북 알프스 구로베 계곡에는 벌목꾼 우두머리 스베리카와이오리노 겐스케가 비비와 격투를 벌였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겐스케는 비비에게 붙잡힌 동료를 구하기 위해 비비와 격투를 벌였고, 결국 비비는 동료를 놓아주고 떠났다고 한다.[5]
야마와로와 혼동되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산에서 웃는 것"에서 "산와라하"가 "야마와로"로 변한 것이라는 설이 있다.[2] 이와미 쥬타로가 비비를 퇴치했다는 전승도 있으며[2], 인신공양을 요구하여 인간 여성을 잡아먹는 요괴 사루가미와 동일시되기도 한다.[8]
비비는 지능이 높고 사람과 대화할 수 있으며, 가쿠처럼 사람의 마음을 읽는다고도 한다. 비비의 피는 붉은색 염료가 되며, 이 피로 옷을 염색하면 변색되지 않는다고 한다. 또한, 사람이 이 피를 마시면 귀신을 보는 능력을 얻는다고도 한다.[3]
4. 1. 중국 기원설
중국의 고전인 『이아』에는 "비비는 사람을 닮았고, 부스스한 머리에 달리기가 빠르며, 사람을 잡아먹는다"라고 적혀있다.[6] 『산해경』에는 "그 모습은 사람의 얼굴에 입술이 길고, 몸은 검고 털이 나 있으며, 발뒤꿈치가 굽어있다. 사람을 보면 웃는다"라고 묘사되어 있다.[6] 교주, 광주, 난캉군의 산중에도 서식하며, 큰 것은 키가 1장(약 3미터) 남짓이라고 한다.[6]
에도 시대의 백과사전 『와칸 산사이즈에』에는 『본초강목』을 인용하여 비비의 특징을 설명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비비는 서남이(중국 서남부)에 서식하며, 신장은 대형이 1장 남짓, 몸은 검은 털로 덮여 있으며, 사람을 습격해 잡아먹는다.[7] 또한 사람의 말을 하고, 사람의 생사를 예지할 수 있으며, 긴 머리카락은 가발의 원료가 된다고 한다.[7]
『본초강목』의 비비는 고릴라나 침팬지와 같은 유인원을 가리키는 것이라는 설도 있다.[7] 당시 일본에는 이러한 유인원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상하게 발육한 원숭이 종류에 『본초강목』의 기술을 적용한 것이라는 추측도 있다.[7]
4. 2. 현대의 해석
에드워드 S. 모스는 도쿄 오모리 조개 무덤에서 발견된 큰 원숭이 같은 뼈를 일본 옛 기록에 나오는 대형 원숭이, 즉 비비의 뼈로 추정했다.[9]
5. 기타
야마와로와 혼동되기도 하지만, "산에서 웃는 것"에서 유래한 "산와라하"가 "야마와로"로 변했다는 설이 있다.[2] 비비의 피는 붉은색 염료로 사용되며, 이 염료로 옷을 염색하면 변색되지 않는다고 한다. 또한, 비비의 피를 마시면 귀신을 보는 능력을 얻는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3]
참조
[1] 
서적
 
幻想動物事典
 
新紀元社
 
[2] 
서적
 
妖怪事典
 
毎日新聞社
 
[3] 
서적
 
幻想世界の住人たち IV 日本編
 
新紀元社
 
[4] 
서적
 
日本妖怪博物館
 
新紀元社
 
[5] 
서적
 
山ことばと炉端話 山の伝説・昔話とことばの民俗
 
エンタプライズ
 
[6] 
문서
 
爾雅註疏/卷10
 
s:zh:爾雅註疏/卷10 
[7] 
서적
 
図説・日本未確認生物事典
 
柏書房
 
[8] 
서적
 
妖怪画本 狂歌百物語
 
国書刊行会
 
[9] 
서적
 
日本妖怪大百科
 
講談社
 
[10] 
문서
 
爾雅註疏/卷10
 
s:zh:爾雅註疏/卷10 
[11] 
서적
 
幻想動物事典
 
新紀元社
 
[12] 
서적
 
妖怪事典
 
毎日新聞社
 
[13] 
서적
 
幻想世界の住人たち IV 日本編
 
新紀元社
 
[14] 
서적
 
日本妖怪博物館
 
新紀元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