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비아 아우렐리아 사비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비아 아우렐리아 사비나는 2세기 로마 제국의 귀족 여성으로, 판노니아의 시르미움에서 태어났다. 로마 황제 하드리아누스의 아내인 비비아 사비나와 그녀의 아버지 루키우스 비비우스 사비누스를 기리기 위해 이름 붙여졌다. 어린 시절 로마 제국 전역을 여행했으며, 원로원 의원 루키우스 안티스티우스 부루스와 결혼했으나, 남편은 콤모두스 암살 음모에 연루되어 처형되었다. 이후 해방 노예 출신의 루키우스 아우렐리우스 아가클리투스와 재혼하여 티빌리스에서 생을 마쳤다. 그녀는 북아프리카 지역에서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티빌리스와 칼라마의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0년 출생 - 곽가
곽가는 후한 말 조조를 섬긴 전략가로, 뛰어난 통찰력으로 조조의 주요 전투에서 혁혁한 공을 세웠으나 38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했다. - 170년 출생 - 정익
후한 말기의 인물인 정익은 공융의 천거로 효렴에 임명되었으나 원담과의 전투에서 27세의 나이로 전사했다. - 비비우스 씨족 - 비비아 사비나
비비아 사비나는 1세기 후반에 태어나 로마 황제 하드리아누스와 결혼하여 황후가 되었으며, 주화에 등장하고 아우구스타 칭호를 받았으며 사후 신격화되었다. - 비비우스 씨족 - 볼루시아누스
볼루시아누스는 3세기 중반 로마 제국의 황제로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와 공동 황제를 지냈으나 군대의 반란으로 아버지와 함께 살해당하며 그의 통치는 혼란과 불안정으로 특징지어진다. - 아우렐리우스 풀부스 씨족 - 티투스 아우렐리우스 풀부스 (안토니누스 피우스의 아버지)
티투스 아우렐리우스 풀부스는 1세기 후반 로마 제국의 인물로 89년 집정관을 지냈으며 소 플리니우스의 친구이자 안토니누스 피우스 황제의 아버지로서,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에서 엄격하고 곧은 사람으로 묘사되었다. - 아우렐리우스 풀부스 씨족 - 루킬라
로마 황제 안토니누스 피우스의 외손녀이자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누나인 루킬라는 루키우스 베루스와 결혼하여 황후가 되었으나, 사후 클라우디우스 폼페이아누스와 재혼, 콤모두스 암살 모의에 가담했다가 처형당했으며, 그녀의 삶은 영화에서 재조명되었다.
비비아 아우렐리아 사비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비비아 아우렐리아 사비나 |
출생 | 170년 |
출생지 | 판노니아 시르미움 |
사망 | 217년 이전 |
왕조 |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 |
아버지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
어머니 | 소 파우스티나 |
배우자 | 안티스티우스 부루스 루키우스 아우렐리우스 아가클리투스 |
2. 생애
비비아 아우렐리아 사비나는 판노니아 시르미움에서 태어난 것으로 보인다. 그녀가 태어난 해에, 그녀의 부모는 시르미움에서 군사 작전을 준비하고 있었다.[6][7] 이름은 로마 황제 하드리아누스의 아내였던 황후 비비아 사비나와 그녀의 아버지 루키우스 비비우스 사비누스를 기리기 위해 지어졌다. 비비아 사비나는 아우렐리아 사비나 부모의 친척이자, 루필리아 파우스티나와 인척 관계였다. 루필리아 파우스티나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조모이자 소 파우스티나의 외조모였다.[6][7]
어린 시절, 아우렐리아 사비나는 부모와 함께 로마 제국 전역을 여행했다.[7] 180년경 아버지가 사망하기 전, 아프리카 속주 히포 레기우스 인근 티빌리스 출신의 원로원 의원 루키우스 안티스티우스 부루스와 약혼 후 결혼했다.[8]
180년에 부모가 사망하면서, 오빠인 콤모두스가 로마 황제가 되었다. 아우렐리아 사비나가 로마에서 안티스티우스 부루스와 결혼한 뒤, 부부는 티빌리스로 이주하여 정착하였다. 181년, 남편 루키우스 안티스티우스 부루스는 직권 집정관으로 활동했다. 188년, 남편은 콤모두스 암살 음모에 연루되어 처형당했다.[3] 아우렐리아 사비나는 이 음모에 연루되지 않아 살아남았다.
첫 남편이 죽자 아우렐리아 사비나는 해방 노예 출신의 로마계 그리스인이자 기사 계급이었던 루키우스 아우렐리우스 아가클리투스와 재혼하였다.[9] 티빌리스에서 남은 생애를 보냈으며, 두 번의 결혼에서 자녀는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9]
그녀의 가문, 연줄, 지위 덕분에 아우렐리아 사비나는 북아프리카의 유력한 이탈리아 거주민이 되었다. 티빌리스에서 발견된 비문들에 따르면, 아우렐리아 사비나는 티빌리스의 중요한 '후원자'가 되었고 티빌리스 시민들은 아우렐리아 사비나에게 명예 시민 자격을 부여하기도 했다. 인근에 있던 로마-베르베르 도시 칼라마는[9] 아우렐리아 사비나의 후원을 받으며 로마의 식민 도시로 승격하였고 도시 자체에서도 그녀를 자신들의 후원자라고 하며 영광을 표했다.[10]
2. 1. 출생과 가계
아우렐리아 사비나는 판노니아 시르미움에서 태어난 것으로 보인다. 그녀가 태어난 해에, 그녀의 부모는 시르미움에서 군사 작전을 준비하고 있었다.[6][7] 아우렐리아 사비나의 이름은 로마 황제 하드리아누스의 아내였던 황후 비비아 사비나와 그녀의 아버지 루키우스 비비우스 사비누스를 기리기 위해 지어졌다. 비비아 사비나는 아우렐리아 사비나 부모의 친척이자, 루필리아 파우스티나와 인척 관계였다. 루필리아 파우스티나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조모이자 소 파우스티나의 외조모였다.[6][7]2. 2. 어린 시절
아우렐리아 사비나는 판노니아의 시르미움에서 태어난 것으로 보인다. 그녀가 태어난 해에, 그녀의 부모는 시르미움에서 원정을 준비하고 있었다. 아우렐리아 사비나는 로마 황제 하드리아누스의 아내였던 로마 황후 비비아 사비나와 그녀의 아버지인 루키우스 비비우스 사비누스를 기리기 위해 이름 붙여졌다.[6][7] 비비아 사비나는 아우렐리아 사비나 부모의 친척으로, 루필리아 파우스티나의 이모할머니였다. 루필리아 파우스티나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친할머니이자 소 파우스티나의 외할머니였다.[1][2]어린 시절, 아우렐리아 사비나는 부모와 함께 로마 제국 전역을 널리 여행했다.[7]
2. 3. 첫 번째 결혼과 남편의 죽음
어린 시절, 아우렐리아 사비나는 부모와 함께 로마 제국 전역을 널리 돌아다녔다. 180년경 아버지가 사망하기 전, 아우렐리아 사비나는 아프리카 속주의 히포 레기우스 인근 티빌리스 출신의 원로원 의원 루키우스 안티스티우스 부루스와 약혼했고, 이후 결혼했다.[8]180년에 부모가 사망하면서, 오빠인 콤모두스가 아버지의 뒤를 이어 로마 황제가 되었다. 아우렐리아 사비나가 로마에서 안티스티우스 부루스와 결혼한 뒤, 부부는 티빌리스로 돌아와 정착하였다. 181년, 남편 루키우스 안티스티우스 부루스는 직권 집정관으로 활동했다. 188년, 남편은 콤모두스 암살 음모에 연루되어 처형당했다.[3] 아우렐리아 사비나는 이 음모에 연루되지 않아 살아남았다.
2. 4. 재혼과 말년
아우렐리아 사비나는 첫 남편이 죽자 해방 노예 출신의 로마계 그리스인이자 기사 계급이었던 루키우스 아우렐리우스 아가클리투스와 재혼하였다.[9] 티빌리스에서 남은 생애를 보냈으며, 두 번의 결혼에서 자녀는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9]그녀의 가문, 연줄, 지위 덕분에 아우렐리아 사비나는 북아프리카의 유력한 이탈리아 거주민이 되었다. 티빌리스에서 발견된 비문들에 따르면, 아우렐리아 사비나는 티빌리스의 중요한 '후원자'가 되었고 티빌리스 시민들은 아우렐리아 사비나에게 명예 시민 자격을 부여하기도 했다. 인근에 있던 로마-베르베르 도시 칼라마는[9] 아우렐리아 사비나의 후원을 받으며 로마의 식민 도시로 승격하였고 도시 자체에서도 그녀를 자신들의 후원자라고 하며 영광을 표했다.[10]
3. 아프리카 속주에서의 영향력
아우렐리아 사비나는 가문, 지위, 인맥 덕분에 북아프리카의 유력한 이탈리아계 거주민이 되었다. 티빌리스에서 발견된 비문에 따르면, 아우렐리아 사비나는 티빌리스의 중요한 '후원자'였으며, 티빌리스 시민들은 그녀에게 명예 시민 자격을 부여했다.[9] 인근 로마-베르베르 도시 칼라마는 그녀의 후원에 힘입어 로마 식민 도시로 승격되었고, 칼라마는 아우렐리아 사비나를 도시의 후원자로 칭송했다.[10]
참조
[1]
웹사이트
Rupilius
http://www.strachan.[...]
[2]
서적
Continuité gentilice et continuité familiale dans les familles sénatoriales romaines à l'époque impériale: mythe et réalité
Unit for Prosopographical Research, Linacre College, University of Oxford
[3]
웹사이트
Septimius conspiracy
http://thecorner.wor[...]
[4]
백과사전
Guelma-Calama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5]
논문
Patrona duitatis :Gender and Civic Patronage
https://scholarsbank[...]
[6]
웹사이트
Rupilius
http://www.strachan.[...]
[7]
서적
Continuité gentilice et continuité familiale dans les familles sénatoriales romaines à l'époque impériale: mythe et réalité
Unit for Prosopographical Research, Linacre College, University of Oxford
[8]
웹사이트
Septimius conspiracy
http://thecorner.wor[...]
[9]
백과사전
Guelma-Calama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10]
논문
Patrona duitatis :Gender and Civic Patronage
https://scholarsban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