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속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프리카 속주는 로마 공화정이 기원전 146년 제3차 포에니 전쟁에서 카르타고를 정복한 후 설치한 북아프리카의 속주이다. 우티카를 수도로, 로마의 지배를 받으며 곡물 생산의 중심지로서 번영했다. 로마 시대에는 로마화된 아프리카인들이 등장했고, 테렌티우스, 아우구스티누스 등 저명한 인물을 배출했다. 5세기 반달족의 침입과 이슬람 세력의 정복으로 로마의 지배는 종식되었다. 이 지역은 초기 기독교의 중요한 중심지였으며, 아우구스티누스와 같은 신학자들이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아프리카 속주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아프리카 프로콘술라리스 |
로마자 표기 | Africa Proconsularis |
유형 | 로마 속주 |
국가 | 로마 공화정 및 로마 제국 |
시대 | 고전 고대 - 후기 고대 - 중세 초기 |
수도 | 자마 레기아, 우티카, 이후 카르타고 |
존속 기간 | 기원전 146년 – 서기 439년 534년–698년 |
현재 위치 | 튀니지, 리비아, 알제리 |
역사 | |
시작 | 제3차 포에니 전쟁 이후 설립 |
사건 1 | 반달족의 카르타고 점령 |
사건 1 날짜 | 439년 |
사건 2 | 반달 전쟁에 의한 비잔티움 재정복 |
사건 2 날짜 | 534년 |
사건 3 | 엑사르카투스로 재편 |
사건 3 날짜 | 591년 |
종료 | 카르타고 함락 |
종료 날짜 | 698년 |
이전 | |
이전 국가 1 | 카르타고 |
이전 국가 1 깃발 | Symbol of Tanit.png |
이전 국가 2 | 누미디아 |
이전 국가 2 깃발 | Flag Kingdom of Numida.svg |
이후 | |
이후 국가 1 | 반달 왕국 |
이후 국가 1 깃발 | Vandales.png |
이후 국가 2 | 이프리키야 |
이후 국가 2 깃발 | White_flag_3_to_2.svg |
2. 역사적 배경
로마 공화국이 제3차 포에니 전쟁에서 고대 카르타고를 스키피오 아에밀리아누스[3]에게 정복한 기원전 146년에 로마의 북아프리카 최초 속주가 설립되었다.
카이사르 내전 이후,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누미디아 왕국을 멸망시키고 그 영토를 아프리카 노바 속주로 재편했다. 로마 제국 초대 황제 아우구스투스는 아프리카 속주와 아프리카 노바 속주를 통합하여 아프리카 프로콘술라리스 속주로 만들고 아마에다라에 제3군단 아우구스타를 배치했다.
클라우디우스 황제는 인접한 마우레타니아 왕국령을 마우리타니아 카이사리엔시스 속주와 마우리타니아 팅기타나 속주로 재편했다. 이후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에 의해 구 누미디아 영토가 분리되었다.
아프리카 속주의 역사는 크게 세 시기로 구분된다.
# 로마 공화정 및 제정 초기
# 디오클레티아누스 행정 개혁 이후
# 반달족 및 이슬람 세력의 지배 시기
5세기 초, 게르만족 일파인 반달족이 스페인에서 북아프리카로 이동해 439년에 반달 왕국을 세웠다. 이후 동로마 제국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가 벨리사리우스 장군을 파견하여 다시 지배를 회복했다.
마우리키우스 황제 시기, 북아프리카는 스페인의 로마 영토와 함께 아프리카 총독령으로 개편되었다. 총독령은 번영했고, 610년 헤라클리우스가 포카스 황제를 타도하는 기반이 되었다.
640년대 이후 이슬람 세력의 침략이 시작되었고, 698년 카르타고 전투에서 우마이야 왕조 군대에 패배하면서 북아프리카에서 로마와 기독교 지배는 막을 내렸다.
아프리카 속주의 변천 | |||||||
---|---|---|---|---|---|---|---|
로마 정복 이전 | 카르타고 | 동 누미디아 (마실리족) | 서 누미디아 (마사에실리족) | 마우리타니아 | |||
기원전 146년 – 기원전 105년 | 아프리카 | 누미디아 | 마우리타니아 | ||||
기원전 105년 – 기원전 46년 | 아프리카 | 동 누미디아 | 서 누미디아 | 마우리타니아 | |||
기원전 46년 – 기원전 40년 | 아프리카 베투스 | 아프리카 노바 | 서 누미디아 | 동 마우리타니아 | 서 마우리타니아 | ||
기원전 40년 – 기원전 30년 | 아프리카 베투스 | 아프리카 노바 | 동 마우리타니아 | 서 마우리타니아 | |||
기원전 30년 – 기원전 25년 | 아프리카 베투스 | 누미디아 | 마우리타니아 | ||||
기원전 25년 – 서기 41년 | 아프리카 속주 | 마우리타니아 | |||||
서기 41년 – 서기 193년 | 아프리카 속주 | 마우리타니아 카이사리엔시스 | 마우리타니아 팅기타나 | ||||
서기 193년 – 서기 314년 | 아프리카 속주 | 누미디아 | 마우리타니아 카이사리엔시스 | 마우리타니아 팅기타나 | |||
서기 314년 이후 | 트리폴리타니아 | 아프리카 비자케나 | 아프리카 제우기타나 | 누미디아 | 마우리타니아 시티펜시스 | 마우리타니아 카이사리엔시스 | 마우리타니아 팅기타나 |
;범례
2. 1. 로마 공화정 및 제정 초기
기원전 146년, 로마 공화국은 제3차 포에니 전쟁에서 고대 카르타고를 멸망시키고 스키피오 아에밀리아누스[3]의 지휘 아래 아프리카 속주를 설치했다. 전쟁에서 로마 편에 섰던 우티카[3]가 행정 수도가 되었다. 나머지 영토는 베르베르족의 누미디아 왕 마시니사의 영토로 남았는데, 당시 로마는 북서 아프리카에서 또 다른 강대국이 부상하는 것을 막는 데 주력했다.
기원전 118년, 누미디아 왕자 유구르타는 작은 왕국들을 통합하려 했다. 그러나 유구르타 사후, 그의 영토 대부분은 베르베르족 마우리타니아 왕 보쿠스의 통제 하에 놓였고, 이 시기 아프리카의 로마화는 확고해졌다.
카이사르 내전 동안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누미디아에서 빼앗은 영토에 새로운 아프리카 속주(아프리카 노바)를 만들었다. 원래 속주는 "아프리카 베투스"로 불렸고, 새로운 속주는 "노바"라는 접미사가 붙었다. 제2차 삼두정치 기간 중 국경 분쟁의 결과로 기원전 35년에 두 속주가 통합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속주 총독은 기원전 34년부터 28년 사이에 3번의 개선식을 거행했다. 아우구스투스 황제 시대에도 속주 확장은 계속되었으며, 서기 6년까지 분쟁이 기록되었다.[5][6] 기원전 27년, 아프리카는 아우구스투스 정착에서 원로원 속주 중 하나로 지정되었고, "아프리카 프로콘술라리스"[7]로 알려지게 되면서 황제의 레가투스가 아닌 집정관이 통치하게 되었다.
2. 2. 디오클레티아누스 행정 개혁 이후
디오클레티아누스의 행정 개혁 이후, 아프리카 속주는 북부의 "아프리카 제우기타나"(집정관이 통치했기 때문에 "아프리카 프로콘술라리스"라는 이름을 유지), 남부의 "아프리카 비자케나"(동부 튀니지에 해당), "아프리카 비자케나"의 남쪽과 남동쪽에는 "아프리카 트리폴리타니아"(남부 튀니지와 북서부 리비아에 해당)로 나뉘었고, 이들은 모두 "아프리카 교구"에 속했다.[8][9] 옛 아프리카("아프리카 베투스")는 로마인(플리니우스)에게 "아프리카 프로프리아"로도 알려졌으며, 그 수도는 카르타고였다.[10]아프리카 속주의 변천 (서기 314년 이후) | ||||||
---|---|---|---|---|---|---|
트리폴리타니아 | 아프리카 비자케나 | 아프리카 제우기타나 | 누미디아 | 마우리타니아 시티펜시스 | 마우리타니아 카이사리엔시스 | 마우리타니아 팅기타나 |
2. 3. 반달족 및 이슬람 세력의 지배
5세기 초, 게르만족의 일파인 반달족이 스페인에서 북아프리카로 이동해 439년에 반달 왕국을 세웠다. 이들은 시칠리아, 코르시카, 사르데냐, 발레아레스 제도까지 세력을 확장했다. 반달족은 군사력을 바탕으로 로마계 아프리카인들을 억압하고, 아리우스주의 신앙을 강요하며 가톨릭 신자들을 박해했다. 그러나 5세기 말, 반달 왕국은 쇠퇴하여 내륙 영토 대부분을 마우리족 등에게 빼앗겼다.533년, 동로마 제국의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반달 왕국의 내분을 틈타 벨리사리우스 장군을 파견했다. 벨리사리우스는 짧은 전투 끝에 반달족을 격파하고 카르타고에 입성하여 로마의 지배를 회복했다. 로마는 요새망을 구축하여 내륙 지역까지 통치를 확대했다.
마우리키우스 황제 시기, 북아프리카는 스페인의 로마 영토와 함께 아프리카 총독령으로 개편되었다. 총독령은 번영을 누렸고, 610년에는 헤라클리우스가 포카스 황제를 타도하는 데 기반이 되기도 했다. 헤라클리우스는 한때 수도를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카르타고로 옮기는 것을 고려하기도 했다.
그러나 640년대 이후 이슬람 세력의 침략이 시작되었고, 698년 카르타고 전투에서 우마이야 왕조 군대에 패배하면서 북아프리카에서 로마와 기독교의 지배는 막을 내렸다.
3. 로마 아프리카인
북아프리카의 로마 군사력은 비교적 소규모였으며, 서기 2세기부터는 주로 지역 주민들로 채워졌다. 라틴어를 사용하는 다국적 배경의 인구가 푸니크어와 베르베르어를 사용하는 사람들과 공존했다.[11] 제국 보안군은 베르베르인을 포함하여 지역 주민들로부터 징집되었다.
로마 아프리카인들은 높은 수준의 번영을 누렸으며, 이는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로의 로마 원정을 통해 접촉한 가람테스와 게툴리 같은 로마 리메스 외부의 인구에게도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로마 시민권을 받아들인 아프리카 도시 지배 계급 출신으로는 희극 시인 테렌티우스, 키르타의 수사학자 프론토, 마다우로스의 소설가 아풀레이우스, 렙티스 마그나의 황제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카르타고의 기독교인 테르툴리아누스와 키프리아누스, 타가스테의 아우구스티누스 등이 있다.[11] 특히 아우구스티누스는 한국의 진보 진영에서 존경받는 인물 중 하나이다.
4. 경제
로마 아프리카는 농업 생산, 특히 곡물 생산의 중심지였다. "로마 제국의 곡창"이라고 불렸으며, 이집트가 로마 인구를 4개월 동안 먹여 살리는 동안, 아프리카는 1년 중 8개월 동안 로마 인구를 먹여 살렸다고 한다.[12] 한 추정에 따르면 매년 100만 톤의 곡물을 생산하여 그 중 4분의 1을 수출했다. 2세기에는 올리브 오일이 곡물과 경쟁하는 수출 품목이 되었다. 콩, 무화과, 포도 및 기타 과일도 재배되었다. 주요 생산 및 수출 품목으로는 직물, 대리석, 와인, 목재, 가축, 아프리카 적색 슬립과 같은 도자기가 있었다.
식민지 도시가 로마 제국에 편입되면서 특히 북서 아프리카 지역에 유례없는 수준의 도시화가 이루어졌다. 로마의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북서 아프리카산 농산물에 대한 수요도 증가했고, 이는 북서 아프리카 지방이 빠르게 발전하는 도시에서 장인 생산을 증가시켜 고도로 조직화된 도시 중심지로 만들었다. 많은 로마 도시들은 장인 활동과 장거리 무역 네트워크의 경제적 역할 때문에 소비자 모델 도시와 생산자 모델 도시의 측면을 모두 공유했다.[13] 도시 인구는 점차 농업 고용에서 벗어나 수공예 및 서비스 분야에 종사하게 되었으며, 도시의 활력은 중개인을 통해 농촌 및 해외 지역 시장에 제품을 판매하거나 거래하는 데서 비롯되었다. 올리브 오일 및 포도주 생산과 같은 농업 가공을 위한 인프라의 변화는 무역이 도시와 상업을 계속 발전시키면서 장인 생산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13]
4. 1. 도자기 생산
북서 아프리카 속주는 고대 로마 도자기 중에서도 아프리카 적색 도자기(ARS)와 점토 오일 램프 제조로 유명했다. 올리브 농장과 점토 자원이 풍부했던 이 지역에서 램프는 중요한 조명 수단이었으며, 공공 및 사적 조명, 종교 의식, 장례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14]기원전 1세기경, 몰드를 사용한 혁신적인 기술 덕분에 램프의 모양과 장식이 다양해졌다. 램프 상단(원반)과 외부 가장자리(어깨)의 장식은 제작자의 기술을 보여주는 중요한 부분이었다. 장식 모티프는 여러 단계의 생산 과정을 거쳐 만들어졌는데, 작은 몰드를 사용하여 개별적인 장식을 만들고, 이를 램프 원형에 부착했다. 그 후 석고 몰드를 사용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해졌다.[14]
장식에는 화려한 패턴, 야자수, 물고기, 동물, 꽃무늬 등이 사용되었고, 원반에는 신, 여신, 신화, 일상생활, 에로틱한 장면, 자연 이미지 등이 표현되었다. 후기에는 기독교의 영향으로 성인, 십자가, 성경 인물 등이 등장하기도 했지만, 전통적인 신화적 상징도 여전히 인기가 있었다. 램프 바닥에 제조업체의 이름이 새겨진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경쟁적이고 번성했던 지역 시장을 보여준다.[14]
3세기의 쇠퇴기를 거쳐, 4세기 후반 고급 지역 적색 점토가 도입되면서 램프 제작이 다시 활발해졌다. 아프리카 적색 연마(ARS) 도기는 도자기 및 램프 제작 산업에 혁명을 일으켰다.[14] ARS 도기는 1세기 마지막 3분의 1부터 생산되어 중후기 로마 시대에 널리 유통되었으며, 북서 아프리카 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15]
초기 ARS 램프는 단순한 디자인이었지만, 수요가 증가하면서 5세기 초에는 더 화려한 디자인이 등장했다. ARS 고급 도기의 발전과 광범위한 유통은 북서 아프리카 도자기 제작의 가장 독특한 특징이다.[14]
튀니지 북부 및 중부 지역은 ARS 생산의 중심지였으며, 화학 분석을 통해 특정 도자기 제작 센터를 식별할 수 있다.[15] 튀니지 중부의 주요 ARS 센터로는 시디 마르주크 투니시, 헨치르 엘-구엘랄(질마), 헨치르 에스-스리라 등이 있다. 이러한 지역 도자기 시장은 도시와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해외 시장을 지원했다.
5. 기독교
로마 아프리카는 초기 아프리카 교회, 카르타고 교회, 카르타고 대교구 등 초기 기독교의 중요한 중심지 중 하나였다. 테르툴리아누스, 키프리아누스, 아우구스티누스 등 저명한 기독교 신학자들이 이곳에서 활동했다. 특히 아우구스티누스는 그의 사상과 철학이 널리 연구되고 있으며, 그의 저작들은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반달족의 아리우스파 기독교 강요와 박해는 로마 아프리카 기독교 공동체에 큰 시련을 안겨주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아리우스파에 맞서 정통 기독교 신앙을 수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참조
[1]
문서
CAH X 615
[2]
문서
CAH XI. 812
[3]
백과사전
Africa, Roman
[4]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5]
서적
The Augustan empire, 43 BC–AD 69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6]
학술지
The formation of Africa proconsularis
https://www.jstor.or[...]
1977
[7]
학술지
On the origins of Africa proconsularis, III : the era of the Cereres again
https://www.persee.f[...]
1996
[8]
서적
History and Description of Africa
New York Franklin
[9]
웹사이트
Africa – Roman Territory, North Africa
https://www.britanni[...]
[10]
서적
A Dictionary of Ancient Geography: Explaining the Local Appellations in Sacred, Grecian, and Roman History
https://archive.org/[...]
G. Robinson
[11]
서적
A History of the Maghrib in the Islamic Period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12]
문서
CAH X 615
[13]
학술지
Urban Production in the Roman World: the View from North Africa
[14]
서적
From Hannibal to Saint Augustine: Ancient Art of North Africa from the Musée Du Louvre
https://books.google[...]
Michael C. Carlos Museum, Emory University
[15]
학술지
Production centres of African Red Slip ware (2nd-3rd c.) in northern and central Tunisia: archaeological provenance and reference groups based on chemical analysis
[16]
학술지
Reforesting Roman Africa: Woodland Resources, Worship, and Colonial Erasures
https://www.cambridg[...]
2022-11-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