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빈대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빈대떡은 녹두를 갈아 만든 한국 전통 음식으로, 녹두 반죽에 고사리, 돼지고기, 숙주나물, 김치 등을 넣어 부쳐낸다. 어원은 중국어 '빙져'에서 유래되었으며,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음식, 또는 정동(貞洞)의 빈대떡 장수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조선 시대에는 흉년에 빈대떡을 유랑민에게 나눠주거나, 제사상이나 잔치 음식의 받침으로 사용되었으며, 황해도와 평안도 지역에서 많이 먹었다. 현대에는 길거리 음식으로, 또는 술안주로 즐겨 먹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침 - 부꾸미
    부꾸미는 찹쌀가루와 멥쌀가루 반죽에 팥고물을 넣어 지져 만든 한국 전통 음식이다.
  • 부침 - 호떡
    호떡은 밀가루 반죽에 달콤한 소를 넣어 기름에 튀기듯 구운 한국식 팬케이크로, 중국 탕병에서 유래되어 한국인의 입맛에 맞게 대중화되었으며, 다양한 종류와 믹스 제품으로 판매된다.
  • 한국 요리 - 호박죽
    호박죽은 늙은 호박이나 단호박을 삶아 으깬 후 찹쌀가루 등을 넣어 끓여 만든 한국 전통 음식이다.
  • 한국 요리 - 애호박
    애호박은 한국 요리에서 볶음, 전, 찌개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는 채소이며, 말린 형태인 호박고지는 볶음이나 나물로 조리되고 궁중 요리에도 사용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빈대떡 - [음식]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광장시장에서 굽고 있는 빈대떡
다른 이름녹두부침개, 녹두전, 녹두전병, 녹두지짐
국가한국
종류부침개
주요 재료녹두
1인분 열량35 kcal
한국어 이름빈대떡
로마자 표기bindae-tteok
일본어ピンデトッ (pindetot)
한자綠豆煎, 綠豆지짐
조리 정보
만들기녹두를 갈아 만든 반죽에 채소, 고기 등을 넣어 기름에 지진 음식

2. 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대역어휘집 《역어유해》에 나오는 중국어 餠𩜼(중국어 발음 '빙져')의 한글 표기인 "빙쟈"가 어원으로 실려 있다.[15] 《조선상식(朝鮮常識)》에서는 빈자떡의 어원이 중국음 빙자(餠飣)에서 온 듯하다고 하였다.[16]

빈대떡이라는 음식의 유래에 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첫째는 제사상이나 교자상에 기름에 지진 고기를 높이 쌓을 때 밑받침용으로 썼는데, 이후 가난한 사람을 위한 독립된 요리가 되어 빈자(貧者)떡이 되었다는 설이다. 둘째는 빈대가 많다고 하여 빈대골이라 불렸던 정동(貞洞)에 빈자떡 장수가 많아 빈대떡이 되었다는 설이다.

조선시대에는 흉년에 세도가에서 빈대떡을 만들어 남대문 밖에 모인 유랑민들에게 적선으로 던져주었다고 한다.[16] 빈대떡은 1670년 장계향이 지은 『음식디미방』에 pincya/빈쟈한국어라는 이름으로 처음 등장한다.[5] 이 단어는 한자어 }}의 중세 한국어 표기인 pingcya/빙쟈한국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6][7] ''은 둥글고 납작한 팬케이크 모양의 음식을 의미한다.[6][7] ''은 찐 떡, 삶은 떡, 또는 팬에 구운 떡을 의미하며, 이 경우에는 팬케이크를 의미한다.

조선 시대(1392~1897)에 부유한 가정에서는 서울 남대문 밖에 모인 가난한 사람들에게 빈대떡을 나눠주곤 했다.[9] 빈대떡은 황해도평안도 북서부 지역에서 자주 먹었다.[10]

3. 역사

구워지고 있는 빈대떡


조선시대 궁중에서 명나라 사신을 접대할 때 내놓은 음식을 기록한 《영접도감의궤》(1634)에는 녹두를 갈아 참기름에 지져 낸 녹두병(綠豆餠)이라는 음식이 등장하는데, 이것이 민간에 전해져 《음식지미방》(1670)에서는 ‘빈쟈법’이라고 소개되었다.[17] 빈대떡은 1670년 장계향이 지은 『음식디미방』에 pincya/빈쟈한국어라는 이름으로 처음 등장한다.[5] 이 단어는 한자어 }}의 중세 한국어 표기인 pingcya/빙쟈한국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6][7]

《규곤시의방》에서는 거피한 녹두를 가루내어 반죽하고 팥소를 넣어 지진다고 하였고, 《규합총서》(1815)에서는 잣과 대추를 박아 꽃전모양으로 만든다고 하였다.[17]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1924)에서는 간 녹두에 돼지고기, 닭고기, 쇠고기 등과 여러 가지 채소, 버섯, 달걀, 해삼, 전복, 밤, 대추 등을 넣는 조리법이 나타난다.[17]

빈대떡은 황해도평안도 등 서북 지방, 특히 평안도에서 명물 음식으로 많이 먹었으며, 크기가 크고 두꺼웠다.[18][16] 조선 시대에는 부유한 가정에서 가난한 사람들에게 빈대떡을 나눠주기도 했다.[9]

빈대떡


한국어로 빈대(빈대한국어)는 빈대를 의미하며, 가난한 사람을 가리키기도 한다. 떡(떡한국어)은 을 뜻한다. 또한, 빙자병(병자병, 餠子餠한국어)이 세월이 흐르면서 빙자떡이 되었고, 빈대떡으로 불리게 되었다는 설도 있다.[14]

3. 1. 조선시대



조선시대 궁중에서 명나라 사신을 접대할 때 내놓은 음식을 기록한 《영접도감의궤》(1634)에는 녹두를 갈아 참기름에 지져 낸 녹두병(綠豆餠)이라는 음식이 등장하는데, 이것이 민간에 전해져 《음식지미방》(1670)에서는 ‘빈쟈법’이라고 소개되었다.[17] 빈대떡은 1670년 장계향이 지은 『음식디미방』에 pincya/빈쟈한국어라는 이름으로 처음 등장한다.[5] 이 단어는 한자어 }}의 중세 한국어 표기인 pingcya/빙쟈한국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6][7]

《규곤시의방》에서는 거피한 녹두를 가루내어 반죽하고 팥소를 넣어 지진다고 하였고, 《규합총서》(1815)에서는 잣과 대추를 박아 꽃전모양으로 만든다고 하였다.[17]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1924)에서는 간 녹두에 돼지고기, 닭고기, 쇠고기 등과 여러 가지 채소, 버섯, 달걀, 해삼, 전복, 밤, 대추 등을 넣는 조리법이 나타난다.[17]

빈대떡은 황해도와 평안도 등 서북 지방, 특히 평안도에서 명물 음식으로 많이 먹었으며, 크기가 크고 두꺼웠다.[18][16] 조선 시대에는 부유한 가정에서 가난한 사람들에게 빈대떡을 나눠주기도 했다.[9]

한국어로 빈대(빈대한국어)는 빈대를 의미하며, 가난한 사람을 가리키기도 한다. 떡(떡한국어)은 을 뜻한다. 또한, 빙자병(병자병, 餠子餠한국어)이 세월이 흐르면서 빙자떡이 되었고, 빈대떡으로 불리게 되었다는 설도 있다.[14]

3. 2. 일제강점기 및 광복 이후



조선시대에는 부유한 가정에서 서울 남대문 밖에 모인 가난한 사람들에게 빈대떡을 나눠주곤 했다.[9] 빈대떡은 제사상이나 잔치에 산적이나 구이 그릇 바닥에 깔아 양을 더 많아 보이게 하고, 여분의 기름기를 흡수하는 받침으로 만들어졌으며, 위에 있는 고기만 먹고 남은 빈대떡은 가난한 사람들에게 주었기에 빈대떡이라 불리게 되었다.[12][13]

빈대떡은 황해도와 평안도 등 서북 지방에서 많이 해 먹었다고 한다.[18][10] 특히, 평안도의 빈대떡은 그곳 명물 음식의 하나로 지금 서울의 빈대떡에 비하여 크기가 3배나 되고 두께도 2배가 된다.[16]

해방 직후 빈대떡은 가장 흔한 길거리 음식이었다.[19]

3. 3. 현대



빈대떡은 조선 시대 1670년대에 장계향이 저술한 『음식디미방』에 "빈쟈"( pincya/빈쟈한국어)라는 이름으로 처음 등장한다.[5] 이 단어는 한자어 餠의 중세 한국어 표기인 빙쟈|pingcya한국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6][7][8]

《영접도감의궤》(1634)에는 녹두를 갈아 참기름에 지져 낸 음식인 병자(餠煮)가 기록되어 있는데, 이를 녹두병(綠豆餠)이라고 했다. 《음식지미방》(1670)에서는 ‘빈쟈법’이라고 소개되어 있다.[17] 《규곤시의방》에서는 거피한 녹두를 가루내어 반죽하고 팥소를 넣어 지진다고 하였고, 《규합총서》(1815)에서는 잣과 대추를 넣어 꽃전 모양으로 만든다고 하였다.[17]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1924)에서는 간 녹두에 돼지고기, 닭고기, 쇠고기 등과 여러 가지 채소, 버섯, 달걀, 해삼, 전복 등을 넣는 조리법이 나타난다.[17]

조선 시대에는 부유한 가정에서 가난한 사람들에게 빈대떡을 나눠주기도 했다.[9] 빈대떡은 산적이나 구이를 제사상이나 잔치에 올릴 때 그릇 바닥에 깔아 양을 많아 보이게 하고 기름기를 흡수하는 받침으로 사용되었으며, 남은 빈대떡은 가난한 사람들에게 주었다.[12][13]

빈대떡은 황해도와 평안도 등 서북 지방에서 많이 먹었으며,[10][18] 특히 평안도의 빈대떡은 크기가 크고 두꺼운 것이 특징이다.[16] 해방 직후 빈대떡은 가장 흔한 길거리 음식이었다.[19]

4. 재료 및 조리법

빈대떡은 녹두 반죽에 고사리(Pteridium aquilinum), 돼지고기, 숙주나물, 배추김치를 넣어 만든다.[1]

빈대떡 소를 만들려면 불린 고사리를 짧게 썰어 다진 돼지고기와 섞고 간장, 다진 , 다진 마늘, 후추가루, 참기름으로 간을 한다.[1] 숙주나물은 씻어 데친 후 짧게 썰고 소금과 참기름으로 간을 한다.[1] 김치는 속을 빼고 물기를 짠 다음 잘게 썬다.[1] 그런 다음 재료들을 섞는다.[1]

씻고 불리고 껍질을 벗긴 녹두를 물과 함께 갈아 소금으로 간을 하여 반죽을 만든다.[1]

뜨겁게 달군 프라이팬에 기름을 충분히 두르고 녹두 반죽을 떠서 붓고, 그 위에 소를 올린 다음 다시 반죽을 부어 덮는다. 마지막으로 빈대떡 위에 녹색과 붉은색 고추를 어슷하게 썰어 올린다.[1] 양면을 노릇하게 부쳐 간장, 식초, 물, 잣가루를 섞은 소스에 찍어 먹는다.[1]

4. 1. 재료

빈대떡은 녹두 반죽에 고사리(Pteridium aquilinum), 돼지고기, 숙주나물, 배추김치를 넣어 만든다.[1]

빈대떡 소를 만들려면 불린 고사리를 짧게 썰어 다진 돼지고기와 섞고 간장, 다진 , 다진 마늘, 후추가루, 참기름으로 간을 한다.[1] 숙주나물은 씻어 데친 후 짧게 썰고 소금과 참기름으로 간을 한다.[1] 김치는 속을 빼고 물기를 짠 다음 잘게 썬다.[1] 그런 다음 재료들을 섞는다.[1]

씻고 불리고 껍질을 벗긴 녹두를 물과 함께 갈아 소금으로 간을 하여 반죽을 만든다.[1]

뜨겁게 달군 프라이팬에 기름을 충분히 두르고 녹두 반죽을 떠서 붓고, 그 위에 소를 올린 다음 다시 반죽을 부어 덮는다. 마지막으로 빈대떡 위에 녹색과 붉은색 고추를 어슷하게 썰어 올린다.[1] 양면을 노릇하게 부쳐 간장, 식초, 물, 잣가루를 섞은 소스에 찍어 먹는다.[1]

4. 2. 조리법

빈대떡은 녹두 반죽에 고사리(Pteridium aquilinum), 돼지고기, 숙주나물, 배추김치를 넣어 만든다.[1]

빈대떡 소를 만들려면 불린 고사리를 짧게 썰어 다진 돼지고기와 섞고 간장, 다진 , 다진 마늘, 후추가루, 참기름으로 간을 한다.[1] 숙주나물은 씻어 데친 후 짧게 썰고 소금과 참기름으로 간을 한다.[1] 김치는 속을 빼고 물기를 짠 다음 잘게 썬다.[1] 그런 다음 재료들을 섞는다.[1]

씻고 불리고 껍질을 벗긴 녹두를 물과 함께 갈아 소금으로 간을 하여 반죽을 만든다.[1]

뜨겁게 달군 프라이팬에 기름을 충분히 두르고 녹두 반죽을 떠서 붓고, 그 위에 소를 올린 다음 다시 반죽을 부어 덮는다. 마지막으로 빈대떡 위에 녹색과 붉은색 고추를 어슷하게 썰어 올린다.[1] 양면을 노릇하게 부쳐 간장, 식초, 물, 잣가루를 섞은 소스에 찍어 먹는다.[1]

5. 섭취

빈대떡은 밀가루로 하는 파전에 비해서 녹두를 갈아 만들기 때문에 단백질이 풍부하여 성장기의 어린이에 좋은 영양식이며, 술안주로도 적합하다.

참조

[1] 웹사이트 bindae-tteok http://www.hansik.or[...] 2017-05-25
[2] 웹사이트 주요 한식명(200개) 로마자 표기 및 번역(영, 중, 일) 표준안 http://www.korean.go[...] 2014-07-30
[2] 보도자료 주요 한식명 로마자 표기 및 표준 번역 확정안 공지 http://www.korean.go[...] 2014-05-02
[3] 웹사이트 Korean food: The 12 essential dishes you need to know from the North and the South https://www.thrillis[...] 2014-02-28
[4] 웹사이트 bindaetteok https://krdict.korea[...]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6-12-08
[5] 서적 Eumsik dimibang http://www.davincima[...] 2017-05-25
[6] 웹사이트 bindae-tteok http://stdweb2.korea[...]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7-05-25
[7] 서적 Yeogeo yuhae Sayeogwon
[8] 웹사이트 𩜼 U+2973C http://ctext.org/dic[...] 2017-05-25
[9] 웹사이트 bindae-tteok http://encykorea.aks[...] Academy of Korean Studies 2017-05-25
[10] 웹사이트 빈대떡 https://terms.naver.[...] 2021-05-03
[11] 웹사이트 Korean Food Series (5th Issue) http://www.pennfamil[...]
[12] 웹사이트 コネスト韓国料理・グルメガイド ピンデトッ http://www.konest.co[...]
[13] 웹사이트 コリアテイスト ピンデトッのレシピ http://www.koreatast[...]
[14] 웹사이트 http://100.empas.com[...]
[15] 문서 《역어유해》 상권 51a면, "餠𩜼 빙쟈"
[16] 웹사이트 빈대떡 https://terms.naver.[...]
[17] 뉴스 빈대떡, 貧者의 떡? http://www.joongang.[...] 중앙SUNDAY 2007-09-02
[18] 웹인용 빈대떡 https://terms.naver.[...] 2021-05-03
[19] 서적 한국인, 무엇을 먹고 살았나: 한국 현대 식생활사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