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주나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숙주나물은 녹두가 발아하는 과정에서 얻는 식재료로, 비타민 C와 K의 함량이 증가하고 칼로리가 낮아지는 특징을 갖는다. 다양한 요리에 사용되며, 한국에서는 반찬, 비빔밥 재료로, 중국에서는 볶음밥, 춘권 등에, 인도, 일본, 네팔, 태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필리핀 등에서도 각 지역의 특색에 맞게 활용된다. 한국에서는 고려 말 원나라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으며, 신숙주의 이름에서 유래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숙주나물 | |
---|---|
콩나물 | |
한국어 | 숙주나물 |
한자 | 菽蒭나물 |
로마자 표기 | sukjunamul |
문화어 | 록두나물 |
일본어 | 모야시 (萌やし) |
일본어 (로마자) | moyashi |
타갈로그어 | toge |
인도네시아어 | kecambah, kecambah kacang hijau, taoge |
크메르어 | សណ្ដែកបណ្ដុះ (sândêkbândŏh) |
말레이시아어 | tauge, tauge halus |
태국어 | ถั่วงอก (thua ngok) |
베트남어 | giá đỗ, giá đỗ xanh |
중국어 (간체) | 豆芽 |
중국어 (정체) | 豆芽 |
중국어 (병음) | dòuyá |
중국어 (웨이드-자일스) | tou4 ya2 |
중국어 (민난어) | tāu-gê |
중국어 (정체, 광둥어) | 芽菜 |
중국어 (광둥어 병음) | ngaa4 coi3 |
중국어 (민난어) | 豆菜 |
중국어 (병음) | lǜdòuyá |
중국어 (웨이드-자일스) | lü4 tou4 ya2 |
어원 | 신숙주의 이름에서 유래함 |
설명 | 녹두의 싹 |
2. 주요 성분
숙주나물은 녹두가 발아하는 과정에서 비타민E나 B계열 비타민은 2배에서 10배까지 감소하고 비타민 C 및 K는 약 3배 증가한다.[8][9] 철분과 카로틴 함량도 낮아지나 높은 편이다. 칼로리는 1452KJ에서 126KJ로 낮아진다. 한편 콩나물에 함유되어 있는 필수아미노산인 아스파라긴산도 역시 함유되어 있다.
숙주나물은 가정에서도 쉽게 발아시킬 수 있다. 일반적인 방법은 병에 콩을 넣어 재배하는 것이다. 고운 망사나 얇은 천으로 병 입구를 덮고 고무줄이나 끈으로 묶은 후, 하루에 3~4번 신선한 물을 채웠다가 병을 거꾸로 뒤집어 물을 뺀다.[1]
숙주나물은 볶음, 국, 샐러드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녹두 숙주나물은 전자레인지에 데우거나 볶아서 조리할 수 있으며, 춘권과 같은 요리의 재료로도 사용된다.
3. 재배
재배량에 따라 적절한 기술을 선택해야 한다. 좋은 종자(새롭고 균일한 것)를 선택하고, 쓴맛을 방지하기 위해 빛이 씨앗에 닿지 않도록 하며, 물에 잠기지 않도록 충분한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1]
4. 요리
4. 1. 한국
숙주나물은 반찬으로 흔히 쓰이는 나물 요리 중 하나이며, 비빔밥의 재료로도 사용된다. 참기름, 간장, 다진 양파, 참깨, 후추, 다진 마늘 등으로 양념하여 무쳐 만들며, 만두나 순대의 재료로도 쓰인다.[7]
고려 말 원나라에서 들어온 음식으로 알려져 있으며, 숙주나물이라는 이름은 조선 초기의 학자인 신숙주에게서 나왔다는 설이 있다.[10] 사육신을 배신하고 수양대군 편에 선 신숙주를 비판하고 미워한 사람들이 만두소를 만들 때 짓이겨 넣는 녹두나물에 그의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숙주나물이 빨리 상하는 특성이 신숙주의 변절을 떠올리게 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4]
유한양행 설립자 유일한은 미국 유학 시절 숙주나물 통조림을 개발하여 중국계 미국인들에게 판매한 바 있다.
4. 2. 중국
중국 요리에서 숙주나물(豆芽|도우야중국어)은 볶음밥, 춘권, 계란탕, 산라탕 등에 흔히 쓰인다.[2]
광둥 요리에서는 계란부용, 소고기 차우 펀 등에 숙주나물이 쓰인다.[3]
4. 3. 인도
인도 요리, 특히 마하라슈트라 요리에서 ''우살''은 카레의 매운맛과 녹두 또는 숙주나물의 조화를 이루는 매운 요리이다. --
4. 4. 일본
일본 요리에서 숙주나물은 볶음 요리나 수프의 재료로 쓰인다. 라멘에 고명으로 올려지기도 한다.
4. 5. 네팔
네팔 요리에서는 아홉 종류의 발아된 콩으로 만든 수프인 콰티의 재료로 쓰인다. 콰티는 보통 8월에 열리는 자나이 푸르니마 축제 때 특별히 준비된다.[1] 콰티는 양파, 마늘, 생강, 감자, 향신료, 녹두 숙주를 포함한 콩나물을 볶아 섞어 만든다.[1] 집집마다 조리법에 많은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콰티를 만드는 것이다.[1] 콰티는 네팔에서 영양가 있는 음식으로 여겨지며,[1] 일반적으로 밥과 함께 먹는다.[1] 때로는 고기(특히 염소 튀김)를 추가하여 콰티의 풍미를 더하기도 한다.[1]
4. 6. 태국
태국 요리에서 숙주나물은 보통 수프와 볶음 요리에 사용된다. ''팟타이''에서는 제공되기 전에 한 번 살짝 볶아 넣고, ''남 응이아오''와 같은 수프에서는 요리 위에 뿌려 먹는다.[5]
4. 7.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요리에서 녹두나물은 널리 사용된다. 녹두나물은 ''라원'', ''미 첼로르'', ''소토''와 같은 수프 요리에 곁들여지며, ''페첼'', ''카레독'', ''가도가도''와 같은 인도네시아 채소 샐러드에 섞이거나, ''따우게 고렝''으로 볶아진다.
4. 8. 베트남
베트남에서는 쌀국수(Phở)에 숙주나물을 곁들여 먹는다.
4. 9. 필리핀
필리핀 요리에서 숙주나물은 보통 볶음 요리에 사용된다.
'기니상 투게'(볶은 숙주나물)는 숙주나물, 두부, 새우, 목이버섯, 완두콩, 당근, 간장, 굴 소스를 섞어 만든 볶음 요리이다.
'룸피아응 투게'는 스프링 롤의 일종으로, 바삭하고 아삭한 식감을 가진 간식이다. 숙주나물 스프링 롤은 채 썬 당근, 다진 양파와 마늘, 파티스, 녹두, 말린 새우, 돼지고기, 잘게 썬 튀긴 두부, 간 후추, 스프링 롤 랩, 식용유 등 엄선된 재료로 만들어진다. 이것은 양파, 실링 라부요 및 통 후추와 함께 매운 식초에 찍어 먹는다.[6]
참조
[1]
웹사이트
Growing Moyashi
http://cultivozen.ma[...]
2013-04-09
[2]
웹사이트
Bean Sprouts Recipes
http://chinesefood.a[...]
[3]
웹사이트
Beef Chow Fun
https://thewoksoflif[...]
2019-12-09
[4]
뉴스
숙주나물, 성삼문과 멀어진 신숙주의 변절
http://www.joongdo.c[...]
2016-06-09
[5]
웹사이트
Bean Sprouts - ThaiTable.com
http://www.thaitable[...]
[6]
뉴스
Restaurant chain brings back classic lumpiang togue
https://news.abs-cbn[...]
ABS-CBN News and Current Affairs
2024-03-19
[7]
웹인용
숙주나물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17-12-21
[8]
문서
USDA-Mung beans, mature seeds, raw SR Legacy 2019-04-01 174256(FDC ID) NDB Number: 16080
https://fdc.nal.usda[...]
[9]
문서
USDA-Mung beans, mature seeds, sprouted, raw SR Legacy 2019-04-01 169957 NDB Number: 11043
https://fdc.nal.usda[...]
[10]
웹인용
숙주나물
http://encykorea.aks[...]
한국민속문화대백과사전
2020-09-2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