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빌리 진 킹 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빌리 진 킹 컵은 여자 테니스 국가 대항전으로, 1963년 국제 테니스 연맹(ITF)이 창립 50주년을 기념하여 페더레이션 컵으로 출범시켰다. 2020년에는 빌리 진 킹의 이름을 따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이 대회는 1995년부터 데이비스 컵과 유사한 조별 리그 방식으로 진행되며, 월드 그룹 I, II와 지역 그룹으로 구성된다. 2023년 12월 기준, 한국은 27위이며, 1973년 첫 출전 이후 1986년과 2023년에 월드 그룹 16강에 진출한 것이 최고 성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테니스 대회 - 올림픽 테니스
    올림픽 테니스는 1896년 아테네 올림픽에서 남자 단식과 복식으로 시작되어 한때 올림픽 종목에서 제외되었다가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프로 선수 참가가 허용되면서 부활하여 현재는 다양한 종목으로 진행되며, 커리어 골든 슬램 달성의 중요한 요소로 여겨지고 국가별 출전 제한 등의 규정이 적용된다.
  • 테니스 대회 - 그랜드 슬램 (테니스)
    그랜드 슬램은 테니스 4대 메이저 대회인 호주 오픈, 프랑스 오픈, 윔블던, US 오픈을 모두 우승하는 것을 의미하며, 연간, 논-캘린더 이어, 커리어, 골든 슬램 등 다양한 형태로 달성될 수 있다.
  • 1963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일본 그랑프리
    일본 그랑프리는 1976년 후지 스피드웨이에서 처음 개최된 포뮬러 원 자동차 경주 대회로, 스즈카 서킷과 후지 스피드웨이를 오가며 F1 역사에 중요한 사건들을 만들어냈고,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취소되었던 2020년과 2021년을 제외하고 2022년부터 스즈카 서킷에서 다시 개최되고 있으며 2024년부터는 봄에 개최될 예정이다.
  • 1963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CONCACAF 선수권 대회
    CONCACAF 선수권 대회는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이 주최하는 국가대항 축구 대회이며, 멕시코와 코스타리카가 최다 우승국이다.
  • 월드컵 - 럭비 월드컵
    럭비 월드컵은 세계 럭비가 주관하는 럭비 유니온 최고 권위의 대회로, 4년마다 20개국이 참가하여 우승팀을 가리는 세계 3대 스포츠 이벤트 중 하나이다.
  • 월드컵 - 크리켓 월드컵
    크리켓 월드컵은 국제 크리켓 협의회(ICC)가 주관하는 국제 원데이 국제 크리켓(ODI) 대회로, 오스트레일리아가 최다 우승국이며 세계적인 스포츠 이벤트이다.
빌리 진 킹 컵
기본 정보
빌리 진 킹 컵 로고
로고
종목테니스
창립1963년
참가 팀 수8 (월드 그룹), 99 (2016년 총 참가국 수)
참가 국가ITF 회원국
최근 우승팀이탈리아 (5회 우승)
웹사이트billiejeankingcup.com
기타 정보
이전 명칭페더레이션 컵 (Fed Cup)

2. 역사

헤이즐 호치키스 화이트먼은 1919년에 여자 테니스 팀 대항전에 대한 아이디어를 처음 제안했지만, 당시에는 채택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그녀는 1923년 미국과 영국 간의 연례 경기인 화이트먼 컵에 트로피를 기증하며 이 아이디어를 꾸준히 추진했다.[7]

이후 넬 홀 호프먼이 화이트먼의 아이디어를 이어받아 실현에 옮겼다. 1962년, 메리 하드윅 헤어는 이 대회에 대한 강력한 지지를 보여주는 문서를 제출했고, 이는 국제 테니스 연맹(ITF)이 매년 다른 장소에서 일주일 동안 팀 챔피언십을 개최하도록 설득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1963년, ITF는 창립 50주년을 기념하여 페더레이션 컵을 창설했다.[7]

첫 대회는 16개국이 참가한 가운데 런던 퀸스 클럽에서 개최되었으며, 호주 페드컵 팀과 미국 페드컵 팀이 맞붙었다. 달린 하드, 빌리 진 킹, 마가렛 스미스 코트, 레슬리 터너 보우리 등 그랜드 슬램 (테니스) 챔피언들이 대거 참가하여 대회의 권위를 높였다. 미국이 초대 챔피언에 올랐지만, 초기에는 호주가 강세를 보이며 11번의 챔피언십 중 7번을 우승했다.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미국이 이 대회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7]

첫 대회는 상금 없이 진행되었고, 각 팀이 경비를 자체적으로 부담해야 했다. 그러나 1976년 콜게이트 그룹, 1981년부터 1994년까지 일본의 NEC 등 스폰서가 참여하면서 참가 팀 수가 크게 늘었다.[7]

1992년부터 지역별 예선 방식이 도입되었고, 1995년에는 대회 명칭이 '페드컵'으로 변경됨과 동시에 데이비스 컵처럼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이 채택되었다. 이후 몇 차례의 포맷 수정을 거쳐 2005년부터는 8개국으로 구성된 월드 그룹 I과 월드 그룹 II가 연중 3주 동안 홈 앤드 어웨이 경기를 치르는 방식이 확립되었다. 이와 함께 3개의 지역 그룹(아메리카, 아시아/오세아니아, 유럽/아프리카)이 경쟁하고, 그 결과에 따라 월드 그룹으로의 승격 또는 하위 그룹으로의 강등이 결정되는 시스템이 운영되고 있다.[7]

2021년 대회의 총상금은 1200만달러였다.[7][8]

1976년부터 1982년까지 미국이 대회 7연패를 달성했다. 1981년, 1985년, 1989년에는 일본에서 페더레이션 컵이 개최되었다. 특히 1989년 대회는 크리스 에버트의 현역 마지막 경기였다.[7]

1991년, 모니카 셀레스, 가브리엘라 사바티니,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등 여자 테니스 톱 선수들이 자국 대표 선수 출전을 거부하면서, 국제 테니스 연맹은 이들에게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출전 금지 조치를 내렸다. 이는 올림픽 대표 선수의 자격 요건에 "페드컵 대표 선수일 것"이 필수 사항 중 하나로 추가되는 계기가 되었다.[7]

1992년에는 통일 독일 팀이 우승을 차지했으며, 1993년부터 1995년까지는 스페인 팀이 3연패를 달성했다. 1995년부터는 데이비스 컵처럼 각국이 전년도 성적에 따라 그룹으로 배정되는 방식이 도입되었다.[7]

1996년에는 대한민국 팀이 월드 그룹 1회전에서 독일을 꺾고 사상 처음으로 준결승에 진출했다. 2020년부터 결승 대회가 부활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2021년으로 연기되었다.[7]

2. 1. 초기 역사 (페더레이션 컵)

헤이즐 호치키스 화이트먼은 1919년 여자 테니스 팀 대항전에 대한 아이디어를 떠올렸으나 채택되지 않았다. 하지만 그녀는 1923년 미국과 영국 간의 연례 경기인 화이트먼 컵에 트로피를 수여하며 끈기를 보였다.

해리 호프먼의 아내인 넬 홀 호프먼은 화이트먼 부인의 아이디어를 실행에 옮겼다. 1962년, 미국의 영국 거주자였던 메리 하드윅 헤어는 이러한 행사에 대한 압도적인 지지를 증명하는 서류를 제출하여, ITF가 매년 다른 장소에서 일주일 동안 열리는 팀 챔피언십을 개최하도록 설득했다. 화이트먼이 여자 데이비스 컵에 대한 아이디어를 낸 지 40년 만에 현실이 된 것이다. 1963년, ITF는 창립 50주년을 기념하여 페더레이션 컵을 출범시켰고, 모든 국가에 개방된 이 대회는 큰 성공을 거두었다.

초대 대회에는 16개국이 참가했다. 런던 퀸스 클럽에서 열린 첫 경기는 호주 페드컵 팀과 미국 페드컵 팀 간의 대결이었다. 그랜드 슬램 (테니스) 챔피언 달린 하드, 빌리 진 킹, 마가렛 스미스 코트, 레슬리 터너 보우리 등이 자국 대표로 참가했다. 미국이 첫 해에 챔피언 국가로 등극했지만, 초기에는 호주가 압도적이었고, 이후 11번의 챔피언십에서 7번을 우승했다. 1980년경 미국은 이 대회에서 상당한 발자취를 남기며 높은 수준을 설정했다.

첫 번째 페더레이션 컵은 상금이 없었고 팀들이 자체 경비를 부담해야 했음에도 불구하고 16개 팀이 참가했다.

2. 2. 페드 컵 시대

1919년, 헤이즐 호치키스 화이트먼이 여자 테니스 팀 대항전에 대한 아이디어를 떠올렸으나 채택되지 않았다. 하지만 그녀는 1923년 미국과 영국 간의 연례 경기에 트로피를 수여했고, 이 대회는 화이트먼 컵으로 명명되었다.[7]

이후 호주 데이비스 컵 주장인 해리 호프먼의 아내 넬 홀 호프먼이 화이트먼 부인의 아이디어를 실행에 옮겼다. 1962년, 미국의 영국 거주자였던 메리 하드윅 헤어는 이러한 행사에 대한 압도적인 지지를 증명하는 서류를 제출하여 ITF가 매년 다른 장소에서 일주일 동안 열리는 팀 챔피언십을 개최하도록 설득했다. 1963년, ITF는 창립 50주년을 기념하여 페더레이션 컵을 출범시켰다.[7]

초대 대회에는 16개국이 참가했으며, 호주 페드컵 팀과 미국 페드컵 팀 간의 대결이 런던 퀸스 클럽에서 열렸다. 달린 하드, 빌리 진 킹, 마가렛 스미스 코트, 레슬리 터너 보우리 등 그랜드 슬램 (테니스) 챔피언들이 참가했으며, 미국이 첫 우승을 차지했다. 초기에는 호주가 강세를 보였으나, 1980년경부터 미국이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7]

첫 번째 페더레이션 컵은 상금이 없었고 팀들이 자체 경비를 부담해야 했음에도 불구하고 16개 팀이 참가했다. 이후 스폰서십이 도입되면서 참가 팀 수가 급격히 증가했는데, 처음에는 1976년 콜게이트 그룹이, 1981년부터 1994년까지는 일본의 통신 및 컴퓨터 대기업 NEC가 후원했다.[7]

1992년에는 지역별 예선 방식이 도입되었고, 1995년에는 대회 명칭이 페드컵으로 축약되었으며, 데이비스 컵과 같이 홈 앤 어웨이 방식이 채택되었다. 1995년 이후 몇 차례의 포맷 변경이 있었으며, 2005년에 시행된 포맷은 8개국 월드 그룹 I과 8개국 월드 그룹 II를 포함하여 연중 3주 동안 홈 앤 어웨이로 경기를 치르는 방식이었다. 3개의 지역 그룹이 경쟁하며, 결과에 따라 승강이 이루어진다.[7]

2021년 대회의 상금은 1200만달러였다.[7][8]

'''역대 결승전 기록'''

연도우승국스코어준우승국결승 장소 (코트 종류)도시
1963미국 (1)2–1호주 (1)퀸스 클럽 (잔디) 런던
1964호주 (1)2–1미국 (1)저먼타운 크리켓 클럽 (잔디) 필라델피아
1965호주 (2)2–1미국 (2)쿠용 스타디움 (잔디) 멜버른
1966미국 (2)3–0서독 (1)토리노 프레스 스포츠 클럽 (클레이) 토리노
1967미국 (3)2–0영국 (1)Blau-Weiss T.C. (클레이)서베를린
1968호주 (3)3–0네덜란드 (1)스타드 롤랑 가로스 (클레이) 파리
1969미국 (4)2–1호주 (2)아테네 테니스 클럽 (클레이) 아테네
1970호주 (4)3–0서독 (2)프라이부르크 T.C. (클레이) 프라이부르크
1971호주 (5)3–0영국 (2)로열 킹스 파크 T.C. (잔디) 퍼스
1972남아프리카 공화국 (1)2–1영국 (3)엘리스 파크 스타디움 (하드) 요하네스버그
1973호주 (6)3–0남아프리카 공화국 (1)바트 홈부르크 T.C. (클레이) 바트 홈부르크
1974호주 (7)2–1미국 (3)나폴리 T.C. (클레이) 나폴리
1975체코슬로바키아 (1)3–0호주 (3)Aixoise C.C. (클레이) 엑상프로방스
1976미국 (5)2–1호주 (4)와코비아 스펙트럼 (실내 하드) 필라델피아
1977미국 (6)2–1호주 (5)데번셔 파크 (잔디) 이스트본
1978미국 (7)2–1호주 (6)쿠용 클럽 (잔디) 멜버른
1979미국 (8)3–0호주 (7)RSHE 클럽 캄포 (클레이) 마드리드
1980미국 (9)3–0호주 (8)로트-바이스 테니스 클럽 (클레이)서베를린
1981미국 (10)3–0영국 (4)덴엔 콜로세움 (클레이) 도쿄
1982미국 (11)3–0서독 (3)데카슬론 클럽 (하드) 산타클라라
1983체코슬로바키아 (2)2–1서독 (4)알비스귈리 T.C. (클레이) 취리히
1984체코슬로바키아 (3)2–1호주 (9)피네이로스 스포츠 클럽 (클레이) 상파울루
1985체코슬로바키아 (4)2–1미국 (4)나고야 그린 클럽 (하드) 나고야
1986미국 (12)3–0체코슬로바키아 (1)슈트반체 스타디움 (클레이) 프라하
1987서독 (1)2–1미국 (5)홀리번 C.C. (하드) 밴쿠버
1988체코슬로바키아 (5)2–1소련 (1)플린더스 파크 (하드) 멜버른
1989미국 (13)3–0스페인 (1)아리아케 테니스의 숲 공원 (하드) 도쿄
1990미국 (14)2–1소련 (2)피치트리 W.O.T. (하드) 애틀랜타
1991스페인 (1)2–1미국 (6)노팅엄 테니스 센터 (하드) 노팅엄
1992독일 (2)2–1스페인 (2)발트슈타디온TC (클레이) 프랑크푸르트
1993스페인 (2)3–0호주 (10)발트슈타디온TC (클레이) 프랑크푸르트
1994스페인 (3)3–0미국 (7)발트슈타디온TC (클레이) 프랑크푸르트
1995스페인 (4)3–2미국 (8)발렌시아 T.C. (클레이) 발렌시아


2. 3. 빌리 진 킹 컵 시대

2020년, 국제 테니스 연맹(ITF)은 '페드컵'이라는 대회 명칭을 '빌리 진 킹 컵'으로 변경했다. 이는 여자 테니스와 사회 전반의 평등을 위해 헌신한 빌리 진 킹의 업적을 기리기 위한 것이었다. 빌리 진 킹은 선수 시절 그랜드 슬램 단식에서 12회, 여자 복식에서 16회, 혼합 복식에서 11회 우승하는 등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뿐만 아니라 여성 스포츠 재단을 설립하고, 여자 테니스 협회(WTA) 창립을 주도하는 등 여성 스포츠 발전과 성 평등 증진에 크게 기여했다.[1]

2021년 대회부터 총상금은 120억달러로 증액되었는데, 이는 남자 대회인 데이비스 컵과 동일한 수준이다.

현재 빌리 진 킹 컵은 8개국으로 구성된 월드 그룹 I과 월드 그룹 II가 연중 3주 동안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른다. 각 경기는 5전 3선승제(단식 4경기, 복식 1경기)로 진행된다. 지역 그룹 I, II, III은 풀 리그 방식으로 운영되며, 결과에 따라 월드 그룹 승격 또는 하위 그룹 강등이 결정된다.

2. 4. 한국 테니스와 빌리 진 킹 컵

한국은 1973년 처음으로 페더레이션 컵에 참가한 이후 꾸준히 대회에 참여하고 있다.[1] 1996년에는 월드 그룹 4강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루기도 했다.[2] 당시 한국 대표팀은 1회전에서 독일을 3승 2패로 꺾고 돌풍을 일으켰다.[3] 비록 준결승에서 미국에 패했지만,[4] 한국 여자 테니스의 저력을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성과는 페더레이션 컵(현 빌리 진 킹 컵) 참가를 통해 국제 경험을 쌓은 한국 선수들이 올림픽 등 주요 국제 대회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며 한국 테니스의 위상을 높이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3. 대회 방식

1919년, 헤이즐 호치키스 화이트먼이 여자 테니스 팀 대항전 아이디어를 냈으나 채택되지 않았다. 하지만 1923년 미국과 영국 간 연례 경기에 트로피를 수여하며 화이트먼 컵 대회를 만들었다.[1] 넬 홀 호프먼은 해리 호프먼의 아내로, 이 아이디어를 실행에 옮겼다.[1] 1962년, 메리 하드윅 헤어가 ITF에 팀 챔피언십 개최를 설득, 1963년 ITF 창립 50주년 기념 페더레이션 컵이 출범했다.[1]

초대 대회는 런던 퀸스 클럽에서 호주 페드컵 팀과 미국 페드컵 팀의 경기로 열렸다.[1] 달린 하드, 빌리 진 킹, 마가렛 스미스 코트 등 그랜드 슬램 (테니스) 챔피언들이 참가해 미국이 우승했다.[1] 초기에는 호주가 강세였으나, 1980년경부터 미국이 두각을 나타냈다.[1]

첫 대회는 상금이 없었지만, 1976년 콜게이트 그룹, 1981년부터 1994년까지 NEC 후원으로 참가국이 늘었다.[1] 1992년 지역별 예선, 1995년 대회명 '페드컵' 변경 및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이 도입되었다.[1]

2005년 변경된 포맷은 8개국 월드 그룹 I, 8개국 월드 그룹 II, 3개 지역 그룹 경쟁 및 승강 방식으로, 2021년 대회 상금은 12억달러였다.[7][8]

현재 대회 방식은 다음과 같다.

레벨그룹
1월드 그룹 I (8개국)
월드 그룹 I 플레이오프 (월드 그룹 I 4개국 + 월드 그룹 II 4개국)
2월드 그룹 II (8개국)
월드 그룹 II 플레이오프 (월드 그룹 II 4개국 + 유럽/아프리카 그룹 I 2개국 + 아메리카 그룹 I 1개국 + 아시아/오세아니아 그룹 I 1개국)
3아메리카 그룹 I (8개국)유럽/아프리카 그룹 I (15개국)아시아/오세아니아 그룹 I (7개국)
4아메리카 그룹 II (11개국)유럽/아프리카 그룹 II (7개국)아시아/오세아니아 그룹 II (15개국)
5유럽/아프리카 그룹 III (16개국)


3. 1. 경쟁 시스템

1995년부터 빌리 진 킹 컵은 남자 데이비스 컵과 유사한 조별 리그 방식으로 변경되어, 1년에 한 번 개최된다. 현재 대회 구조는 월드 그룹(16개국)을 최상위 그룹으로 하여, 그 아래에 3개의 지역 그룹이 존재한다. 각 지역 그룹은 6~10개국으로 구성된 클래스로 나뉘며, 2007년 기준으로 총 95개국이 참가하고 있다.

월드 그룹은 다시 월드 그룹 I과 월드 그룹 II로 나뉜다. 월드 그룹 II의 1회전 승리 팀은 다음 시즌 월드 그룹 I 승격을 위해 월드 그룹 I의 1회전 패배 팀과 승강전을 치른다. 월드 그룹 I의 1회전 승리 팀은 토너먼트 방식으로 우승을 향해 경쟁한다.

각 경기는 3세트 매치로, 단식 4경기(1일차 단식 2경기, 2일차 단식 2경기)와 복식 1경기를 합쳐 총 5경기로 진행된다.

2020년부터 월드 그룹 경기 방식이 변경되어, "빌리 진 킹 컵 파이널스"라는 이름으로 한 장소에서 일주일간 개최된다. 2020년에는 12개국(전년도 결승 진출국, 개최국, 와일드 카드 2개국, 예선 통과 8개국)이 3개국씩 4개 그룹으로 나뉘어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경기를 치르고, 각 그룹 1위 4개국이 준결승에 진출하여 토너먼트 방식으로 우승팀을 가린다. 각 국가 간의 대결은 단식 2경기와 복식 1경기로 구성되며, 모든 경기는 3세트 매치로 진행된다.

3. 2. 경기 운영

빌리 진 킹 컵의 경기 운영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 월드 그룹 및 월드 그룹 II, 플레이오프: 5전 3선승제로, 이틀에 걸쳐 진행된다. 첫날 단식 2경기, 다음 날 단식 2경기와 복식 1경기가 열린다.[1]
  • 조별 그룹 I, II, III: 3전 2선승제로, 단식 2경기와 복식 1경기가 진행된다.[1]


경기 장소 선정 방식은 다음과 같다.

  • 월드 그룹 및 월드 그룹 II 1라운드, 준결승, 결승, 플레이오프: 홈 앤드 어웨이 녹아웃 방식으로 진행되며, 경기 장소는 추첨 또는 참가 국가 중 한 곳으로 자동 배정된다.[1]
  • 그룹 I, II, III: 풀 리그 형식으로, 일주일 동안 단일 장소에서 개최된다. 개최 날짜와 장소는 빌리 진 킹 컵 위원회에서 결정한다.[1]


각 경기는 3세트 매치제로 진행된다. (자세한 경기 방식은 테니스 문서 참조)[1]

4. 기록 및 통계

빌리 진 킹 컵의 전신은 1963년 국제 테니스 연맹(ITF) 창립 50주년을 기념하여 시작된 페더레이션 컵이다. 1919년 헤이즐 호치키스 화이트먼이 여자 테니스 팀 대항전을 제안했으나 채택되지 않았고, 1923년 미국과 영국 간의 화이트먼 컵으로 이어졌다. 이후 메리 하드윅 헤어의 제안으로 ITF가 팀 챔피언십을 개최하게 되었다.

초창기에는 오스트레일리아가 강세를 보였으나, 1980년대부터 미국이 두각을 나타냈다. 1995년 대회 명칭이 페드컵으로 변경되었고,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이 도입되었다.

역대 기록 및 통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역대 결승전 결과

연도우승팀점수준우승팀결승전 장소 (코트 종류)도시
1963 미국 (1)2–1 오스트레일리아 (1)퀸스 클럽 (잔디)런던
1964 오스트레일리아 (1)2–1 미국 (1)저먼타운 크리켓 클럽 (잔디)필라델피아
1965 오스트레일리아 (2)2–1 미국 (2)쿠용 스타디움 (잔디)멜버른
1966 미국 (2)3–0 서독 (1)토리노 프레스 스포츠 클럽 (클레이)토리노
1967 미국 (3)2–0 영국 (1)블라우바이스 T.C. (클레이)서베를린
1968 오스트레일리아 (3)3–0 네덜란드 (1)스타드 롤랑 가로스 (클레이)파리
1969 미국 (4)2–1 오스트레일리아 (2)아테네 테니스 클럽 (클레이)아테네
1970 오스트레일리아 (4)3–0 서독 (2)프라이부르크 T.C. (클레이)프라이부르크
1971 오스트레일리아 (5)3–0 영국 (2)로열 킹스 파크 (잔디)퍼스
1972 남아프리카 공화국 (1)2–1 영국 (3)엘리스 파크 스타디움 (하드)요하네스버그
1973 오스트레일리아 (6)3–0 남아프리카 공화국 (1)바트 홈부르크 T.C. (클레이)바트홈부르크
1974 오스트레일리아 (7)2–1 미국 (3)나폴리 T.C. (클레이)나폴리
1975 체코슬로바키아 (1)3–0 오스트레일리아 (3)액수아즈 C.C. (클레이)엑상프로방스
1976 미국 (5)2–1 오스트레일리아 (4)와코비아 스펙트럼 (실내 카펫)필라델피아
1977 미국 (6)2–1 오스트레일리아 (5)데번셔 파크 (잔디)이스트본
1978 미국 (7)2–1 오스트레일리아 (6)쿠용 스타디움 (잔디)멜버른
1979 미국 (8)3–0 오스트레일리아 (7)RSHE 클럽 캄포 (클레이)마드리드
1980 미국 (9)3–0 오스트레일리아 (8)로트바이스 테니스 클럽 (클레이)서베를린
1981 미국 (10)3–0 영국 (4)덴엔 콜로세움 (클레이)도쿄
1982 미국 (11)3–0 서독 (3)데카트론 클럽 (하드)산타클라라
1983 체코슬로바키아 (2)2–1 서독 (4)알비스귈리 T.C. (클레이)취리히
1984 체코슬로바키아 (3)2–1 오스트레일리아 (9)피네이로스 스포츠 클럽 (클레이)상파울루
1985 체코슬로바키아 (4)2–1 미국 (4)나고야 그린 클럽 (하드)나고야
1986 미국 (12)3–0 체코슬로바키아 (1)슈트반체 스타디움 (클레이)프라하
1987 서독 (1)2–1 미국 (5)홀리번 C.C. (하드)밴쿠버
1988 체코슬로바키아 (5)2–1 소련 (1)플린더스 파크 (하드)멜버른
1989 미국 (13)3–0 스페인 (1)아리아케 테니스의 숲 공원 (하드)도쿄
1990 미국 (14)2–1 소련 (2)피치트리 W.O.T. (하드)애틀랜타
1991 스페인 (1)2–1 미국 (6)노팅엄 테니스 센터 (하드)노팅엄
1992 독일 (2)2–1 스페인 (2)발트슈타디온 T.C. (클레이)프랑크푸르트
1993 스페인 (2)3–0 오스트레일리아 (10)발트슈타디온 T.C. (클레이)프랑크푸르트
1994 스페인 (3)3–0 미국 (7)발트슈타디온 T.C. (클레이)프랑크푸르트
1995 스페인 (4)3–2 미국 (8)발렌시아 T.C. (클레이)발렌시아
1996 미국 (15)5–0 스페인 (3)애틀랜틱시티 컨벤션 센터 (실내 카펫)애틀랜틱시티
1997 프랑스 (1)4–1 네덜란드 (2)브라반트 홀 (실내 카펫)스헤르토헨보스
1998 스페인 (5)3–2 스위스 (1)팔렉스포 (실내 하드)제네바
1999 미국 (16)4–1 러시아 (3)타우베 테니스 센터 (하드)스탠퍼드
2000 미국 (17)5–0 스페인 (4)만달레이 베이 (실내 카펫)라스베이거스
2001 벨기에 (1)2–1 러시아 (4)파르케 페리알 후안 카를로스 1세 (실내 클레이)마드리드
2002 슬로바키아 (1)3–1 스페인 (5)팔라시오 데 콩그레소스 (실내 하드)마스팔로마스
2003 프랑스 (2)4–1 미국 (9)올림픽 스타디움 (실내 카펫)모스크바
2004 러시아 (1)3–2 프랑스 (1)크릴라츠코예 스포츠 팰리스 (실내 카펫)모스크바
2005 러시아 (2)3–2 프랑스 (2)스타드 롤랑 가로스 (클레이)파리
2006 이탈리아 (1)3–2 벨기에 (1)스피루돔 (실내 하드)샤를루아
2007 러시아 (3)4–0 이탈리아 (1)루즈니키 스타디움 (실내 하드)모스크바
2008 러시아 (4)4–0 스페인 (6)클럽 데 캄포 빌라 데 마드리드 (클레이)마드리드
2009 이탈리아 (2)4–0 미국 (10)테니스 클럽 칼리아리 (클레이)레조칼라브리아
2010 이탈리아 (3)3–1 미국 (11)샌디에이고 스포츠 아레나 (실내 하드)샌디에이고
2011 체코 (6)3–2 러시아 (5)올림픽 스타디움 (실내 하드)모스크바
2012 체코 (7)3–1 세르비아 (1)O2 아레나 (실내 하드)프라하
2013 이탈리아 (4)4–0 러시아 (6)테니스 클럽 칼리아리 (클레이)칼리아리
2014 체코 (8)3–1 독일 (5)O2 아레나 (실내 하드)프라하
2015 체코 (9)3–2 러시아 (7)O2 아레나 (실내 하드)프라하
2016 체코 (10)3–2 프랑스 (3)르네스 스포르 (실내 하드)스트라스부르
2017 미국 (18)3–2 벨라루스 (1)치조우카 아레나 (실내 하드)민스크
2018 체코 (11)3–0 미국 (12)O2 아레나 (실내 하드)프라하
2019 프랑스 (3)3–2 오스트레일리아 (11)RAC 아레나 (실내 하드)퍼스
2020-21 RTF (5)2–0 스위스 (2)O2 아레나 (실내 하드)프라하
2022 스위스 (1)2–0 오스트레일리아 (12)에미레이트 아레나 (실내 하드)글래스고
2023 캐나다 (1)2–0 이탈리아 (2)에스타디오 데 라 카르투하 (실내 하드)세비야
2024 이탈리아 (5)2-0 슬로바키아 (1)마르틴 카르페나 아레나 (실내 하드)말라가


4. 2. 국가별 성적

국가우승 연도준우승 연도
미국1963, 1966, 1967, 1969,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1986, 1989, 1990, 1996, 1999, 2000, 2017 (18회)1964, 1965, 1974, 1985, 1987, 1991, 1994, 1995, 2003, 2009, 2010, 2018 (12회)
체코슬로바키아
체코
1975, 1983, 1984, 1985, 1988, 2011, 2012, 2014, 2015, 2016, 2018 (11회)1986 (1회)
오스트레일리아1964, 1965, 1968, 1970, 1971, 1973, 1974 (7회)1963, 1969,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4, 1993, 2019, 2022 (12회)
소련
러시아
RTF
2004, 2005, 2007, 2008, 2020–21 (5회)1988, 1990, 1999, 2001, 2011, 2013, 2015 (7회)
스페인1991, 1993, 1994, 1995, 1998 (5회)1989, 1992, 1996, 2000, 2002, 2008 (6회)
이탈리아2006, 2009, 2010, 2013, 2024 (5회)2007, 2023 (2회)
프랑스1997, 2003, 2019 (3회)2004, 2005, 2016 (3회)
서독
독일
1987, 1992 (2회)1966, 1970, 1982, 1983, 2014 (5회)
스위스2022 (1회)1998, 2020–21 (2회)
남아프리카 공화국1972 (1회)1973 (1회)
벨기에2001 (1회)2006 (1회)
슬로바키아2002 (1회)2024 (1회)
캐나다2023 (1회)
영국1967, 1971, 1972, 1981 (4회)
네덜란드1968, 1997 (2회)
세르비아2012 (1회)
벨라루스2017 (1회)



국가우승 횟수첫 우승최근 우승
체코6회20112018
이탈리아5회20062024
러시아
RTF
5회20042021
미국4회19962017
프랑스3회19972019
스페인2회19951998
벨기에1회20012001
슬로바키아1회20022002
스위스1회20222022
캐나다1회20232023


4. 3. 개인 기록


  • '''최연소 선수'''
  • Denise Panagopoulou영어; 12세 360일[11]
  • '''최고령 선수'''
  • Gill Butterfield영어; 52세 162일
  • '''최다 경기 출전'''
  • 118, 안 크레머
  • '''최다 조 출전'''
  • 74, 안 크레머
  • '''최다 승리'''
  • : 72,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 단식: 50,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 복식: 38, 라리사 닐란드
  • '''최장 경기'''
  • 2016 페드컵 월드 그룹 1라운드: 리셸 호겐캄프가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를 상대로 4시간 만에 7–6(7–4), 5–7, 10–8로 승리.[11]
  • '''최다 우승 주장'''
  • 페트르 팔라; 6회 우승


1현재 선수들은 14세 이상이어야 한다.

5. 하트 어워드

하트 어워드는 국제 테니스 연맹(ITF)이 빌리 진 킹 컵에 참가하는 선수들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국가를 빛나게 대표하고, 코트에서 뛰어난 용기를 보여주며, 팀에 대한 헌신을 보여준 선수"에게 주어진다.[12] 이 상은 2009년에 처음 제정되었다.

연도월드 그룹 SFWG / WG II 플레이오프WG / WG II R1아메리카스 ZG I아시아/오세아니아 ZG I유럽/아프리카 ZG I
2009 멜라니 오딘
2010 옐레나 얀코비치 마리아 페르난다 알베스 카타리나 스레보트니크
2011 페트라 크비토바 안드레아 페트코비치 보야나 요바노프스키 비앙카 보토 모리타 아유미 빅토리아 아자렌카
2012 옐레나 얀코비치 다니엘라 한투호바 카탈리나 카스타뇨 리나 소피아 아르비드손
2013 갈리나 보스코보에바
2014 안드레아 페트코비치 사비나 샤리포바
2015 루치에 사파로바 플라비아 페네타
2016
2017
2018 페트라 크비토바
2019
연도결승예선플레이오프아메리카 그룹 I아시아/오세아니아 그룹 I유럽/아프리카 그룹 I
2020–21
2022
2023 백다연
2024


6. 현재 랭킹

''자세한 내용은 ITF 랭킹을 참고하십시오.''

ITF 빌리 진 킹 컵 국가 랭킹,
#국가포인트변동
1align="left" |1,117.075
2align="left" |1,093.32
3align="left" |1,072.152
4align="left" |1020.321
5align="left" |985.003
6align="left" |980.842
7align="left" |974.044
8align="left" |881.941
9align="left" |864.572
10align="left" |804.52
11align="left" |757.07
12align="left" |702.275
13align="left" |682.50
14align="left" |672.264
15align="left" |671.711
16align="left" |670.781
17align="left" |657.565
18align="left" |653.932
19align="left" |637.851
20align="left" |608.851

이전 랭킹 업데이트 이후 변동

출처:[13]

참조

[1] 웹사이트 Fed Cup Number of Nations Participating per Year http://www.fedcup.co[...] ITF 2016-01-15
[2] 뉴스 In a Fitting Tribute, the Fed Cup Is Renamed After Billie Jean King https://www.nytimes.[...] 2020-09-17
[3] 웹사이트 About Us https://www.billieje[...] 2020-09-23
[4] 서적 Guinness World Records 2008 https://archive.org/[...] Bantam Books
[5] 웹사이트 About Fed Cup by BNP Paribas http://www.itftennis[...] ITF 2016-01-13
[6] 웹사이트 FED CUP COMMITTEE https://www.fedcup.c[...] Fed Cup 2018-01-26
[7] 웹사이트 Fed Cup Format http://www.fedcup.co[...] ITF 2016-01-13
[8] 웹사이트 Fed Cup Rules & Regulations http://www.fedcup.co[...] ITF 2016-01-13
[9] 문서 (G) – Grass, (C) – Clay, (H) – Hard, (Cp) – Carpet, (Ix) – Indoor
[10] 웹사이트 Billie Jean King Cup Champions https://www.billieje[...] ITF 2016-01-13
[11] 뉴스 Hogenkamp Wins Longest Ever Fed Cup Match Over Kuznetsova http://www.tennisnow[...] Tennisnow.com 2016-02-06
[12] 웹사이트 Billie Jean King Cup- Heart Award https://www.billieje[...] International Tennis Federation 2022-11-13
[13] 웹사이트 Nations Ranking https://www.billieje[...] International Tennis Federation 2021-11-12
[14] 뉴스 In a Fitting Tribute, the Fed Cup Is Renamed After Billie Jean King https://www.nytimes.[...] 2020-09-17
[15] 웹사이트 About Us https://www.billieje[...] 2020-09-23
[16] 문서 (G) - 芝, (C) - クレー, (H) - ハード, (Cp) - カーペット, (Ix) - 屋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