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는 스페인 출신의 은퇴한 여자 프로 테니스 선수이다. 4세에 테니스를 시작하여 1989년 프랑스 오픈에서 슈테피 그라프를 꺾고 우승하며 최연소 우승 기록을 세웠다. 끈기 있는 플레이 스타일로 '바르셀로나 범블비'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통산 29개의 단식 타이틀과 69개의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다. 4번의 그랜드 슬램 단식 우승과 6번의 그랜드 슬램 복식 우승을 포함하여, 5번의 올림픽에 출전하여 메달 4개를 획득했다. 2007년 국제 테니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선수 은퇴 후에는 개인적인 재정 문제와 법적 문제에 직면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페인의 여자 테니스 선수 - 가르비녜 무구루사
가르비녜 무구루사는 베네수엘라 출신 스페인 프로 테니스 선수로, 2016년 프랑스 오픈과 2017년 윔블던 여자 단식 우승, 2017년 WTA 랭킹 1위 등극, 그리고 2024년 은퇴까지 WTA 투어에서 10개의 단식 타이틀과 5개의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다. - 스페인의 올림픽 테니스 참가 선수 - 카를로스 모야
스페인 출신 테니스 선수 카를로스 모야는 1998년 프랑스 오픈 우승, 1999년 세계 랭킹 1위, 2004년 데이비스컵 우승 등의 활약을 펼쳤으며, 은퇴 후에는 밀로시 라오니치와 라파엘 나달의 코치로 활동했다. - 스페인의 올림픽 테니스 참가 선수 - 다비드 페레르
스페인의 은퇴한 프로 테니스 선수인 다비드 페레르는 2002년 ATP 투어 첫 우승을 시작으로 총 27개의 단식 타이틀을 획득, 2013년 프랑스 오픈 준우승, 2007년 ATP 파이널 준우승, 데이비스 컵 3회 우승, 2012년 파리 마스터스 우승 등의 기록을 남겼으며 2013년 세계 랭킹 3위까지 올랐다.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
본명 | 아란사수 이사벨 마리아 산체스 비카리오 |
출생일 | 1971년 12월 18일 |
출생지 | 바르셀로나, 스페인 |
거주지 | 바르셀로나, 스페인 |
신장 | 1.69 m |
프로 데뷔 | 1985년 |
은퇴 | 2002년 |
플레이 스타일 | 오른손잡이 (양손 백핸드) |
통산 상금 | $16,942,640 |
역대 상금 순위 | 30위 (여자 선수) |
테니스 명예의 전당 헌액 연도 | 2007년 |
테니스 명예의 전당 ID | arantxa-sanchez-vicario |
개인 기록 (단식) | |
통산 전적 | 764승 296패 (72.1%) |
통산 우승 | 29회 |
최고 랭킹 | 1위 (1995년 2월 6일) |
호주 오픈 최고 성적 | 준우승 (1994, 1995) |
프랑스 오픈 최고 성적 | 우승 (1989, 1994, 1998) |
윔블던 선수권 대회 최고 성적 | 준우승 (1995, 1996) |
US 오픈 최고 성적 | 우승 (1994) |
개인 기록 (복식) | |
통산 전적 | 676승 224패 |
통산 우승 | 69회 |
최고 랭킹 | 1위 (1992년 10월 19일) |
호주 오픈 복식 최고 성적 | 우승 (1992, 1995, 1996) |
프랑스 오픈 복식 최고 성적 | 준우승 (1992, 1995) |
윔블던 선수권 대회 복식 최고 성적 | 우승 (1995) |
US 오픈 복식 최고 성적 | 우승 (1993, 1994) |
WTA 투어 챔피언십 복식 최고 성적 | 우승 (1992, 1995) |
개인 기록 (혼합 복식) | |
통산 우승 | 4회 |
통산 전적 | 68승 29패 |
호주 오픈 혼합 복식 최고 성적 | 우승 (1993) |
프랑스 오픈 혼합 복식 최고 성적 | 우승 (1990, 1992) |
윔블던 선수권 대회 혼합 복식 최고 성적 | 3라운드 (1990) |
US 오픈 혼합 복식 최고 성적 | 우승 (2000) |
국가대표 | |
페드컵 최고 성적 | 우승 (1991, 1993, 1994, 1995, 1998) |
호프먼 컵 최고 성적 | 우승 (1990, 2002) |
올림픽 메달 | |
올림픽 메달 | |
코치 활동 | |
코치 연도 | 2015년– |
코치 선수 | 캐롤라인 워즈니아키 (2015년) |
2. 선수 경력
스페인의 바르셀로나 출신인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는 테니스 선수였던 오빠 에밀리오 산체스와 하비에르 산체스의 영향을 받아 4살 때부터 테니스를 시작했으며, 1985년 13세의 나이로 프로에 데뷔했다.
선수 생활 동안 그랜드 슬램 대회에서 단식 4회(프랑스 오픈 3회, US 오픈 1회), 여자 복식 6회, 혼합 복식 4회 우승을 차지했다. 특히 1989년 프랑스 오픈에서는 17세의 나이로 당시 세계 랭킹 1위였던 슈테피 그라프를 꺾고 우승했으며, 1994년에는 프랑스 오픈과 US 오픈 단식에서 우승했다. 1995년 2월에는 단식과 복식 모두 세계 랭킹 1위에 올랐다.
산체스 비카리오는 끈질긴 수비와 투지 넘치는 플레이 스타일로 '바르셀로나 범블비'(Barcelona Bumblebee)라는 별명을 얻었다.[23][3]
스페인 국가대표로서 페드컵에서는 5회 우승(1991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8년)을 이끌었고, 페드컵 통산 최다승(72승) 및 최다 경기 출전(58회)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4] 호프만 컵에서도 1990년과 2002년 두 차례 우승에 기여했다. 하계 올림픽에는 1988년부터 2004년까지 5회 연속 출전하여 은메달 2개와 동메달 2개를 획득했는데, 이는 올림픽 테니스 역사상 5개 대회에 출전한 유일한 기록이다.[25][6][26][7]
2002년 11월, 통산 단식 29승, 복식 69승의 기록을 남기고 은퇴했으며,[24][5] 2004년 잠시 복식 선수로 복귀하여 2004년 하계 올림픽 등에 출전하기도 했다.
은퇴 후 2005년 미국의 테니스 매거진이 선정한 '역사상 가장 위대한 선수 40인' 중 27위에 올랐으며, 2007년에는 스페인 여성 선수 최초로 국제 테니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2009년 마드리드에 개장한 마드리드 마스터스의 새로운 경기장 카자 마지카의 두 번째 코트는 그녀의 업적을 기려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코트'로 명명되었다.[27][9]
2. 1. 초기 경력
바르셀로나에서 태어난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는 테니스 선수였던 오빠 에밀리오 산체스와 하비에르 산체스를 따라 4살 때부터 테니스를 시작했다. 그녀의 오빠들 역시 프로 테니스 선수로 활동했다.1985년, 13세의 나이로 프로에 데뷔한 산체스 비카리오는 1989년 프랑스 오픈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당시 17세 5개월이었던 그녀는 결승전에서 세계 랭킹 1위이자 그랜드 슬램 5연승 중이던 슈테피 그라프를 7-6, 3-6, 7-5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는 당시 프랑스 오픈 여자 단식 최연소 우승 기록이었으나, 이듬해 모니카 셀레스가 16세의 나이로 우승하며 기록을 경신했다. 이 우승으로 산체스 비카리오는 가브리엘라 사바티니, 모니카 셀레스와 함께 슈테피 그라프의 강력한 경쟁자로 떠올랐다.
산체스 비카리오는 특유의 끈질기고 포기하지 않는 플레이 스타일로 명성을 얻었다. 미국의 테니스 해설가 버드 콜린스는 그녀의 플레이에 대해 "정말로 받기 불가능할 것 같은 볼까지도 넘기고 또 넘겨서 결국 상대로 하여금 기가 질리게 만든다"고 평가하며 'Barcelona Bumblebee|바르셀로나 범블비영어'라는 별명을 붙여주었다.[3]
이후 1991년 프랑스 오픈과 1992년 US 오픈에서도 결승에 진출했으나, 두 번 모두 모니카 셀레스에게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2. 2. 전성기
1989년 프랑스 오픈 단식에서 당시 세계 랭킹 1위였던 슈테피 그라프를 17세의 나이로 꺾고 우승하며, 이 대회 최연소 여자 단식 우승 기록을 세웠다. 이 기록은 이듬해 모니카 셀레스가 16세의 나이로 우승하면서 깨졌다. 이후 산체스는 가브리엘라 사바티니, 모니카 셀레스와 함께 그라프를 위협하는 강력한 선수로 평가받았다. 1991년 프랑스 오픈에서는 다시 결승에 올랐으나 당시 17세였던 셀레스에게 패했고, 1992년 US 오픈에서도 첫 결승에 진출했지만 셀레스에게 패배했다.산체스 비카리오는 특유의 끈질기고 쉽게 포기하지 않는 플레이 스타일로 점차 실력을 인정받았다. 미국의 유명 테니스 해설가 버드 콜린스(Bud Collins)는 그녀의 플레이에 대해 "정말로 받기 불가능할 것 같은 볼까지도 넘기고 또 넘겨서 결국 상대로 하여금 기가 질리게 만든다"고 평가하며 '바르셀로나 범블비'(Barcelona Bumblebee)라는 별명을 붙여주었다.[23][3]
1994년은 산체스 비카리오 경력의 황금기였다. 호주 오픈 결승에서는 그라프에게 패했지만, 프랑스 오픈에서는 마리 피에르스를 꺾고 5년 만에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이어 US 오픈 결승에서는 그라프를 상대로 역전승을 거두며 첫 US 오픈 타이틀을 획득, 한 해에 그랜드 슬램 2관왕을 달성했다. 이 해 그녀는 ITF가 선정한 단식 부문 세계 챔피언이었다.[4]
1995년 2월에는 단식과 복식 모두에서 세계 랭킹 1위에 올랐다. 그러나 이 해부터 그랜드 슬램 대회에서 준우승을 여러 차례 기록했다. 호주 오픈에서는 피에르스에게 패해 2년 연속 준우승을 했고, 프랑스 오픈과 윔블던에서는 모두 결승에서 그라프에게 패했다. 특히 윔블던 결승 3세트 11번째 게임은 듀스를 13번이나 반복하며 20분간 이어지는 접전이었으나, 결국 게임을 내주며 첫 윔블던 우승 기회를 놓쳤다.
1996년에도 프랑스 오픈과 윔블던 결승에서 다시 그라프에게 패하며 두 대회 연속 준우승에 머물렀다. 1996년 프랑스 오픈 결승은 3시간 4분이라는 대회 역사상 최장 시간 경기로 기록되었다.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단식 결승에서는 미국의 린제이 데이븐포트에게 패해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 시기 이후 마르티나 힝기스와 같은 신예 선수들에게 약점을 보이며 점차 하락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1998년 프랑스 오픈에서는 4년 만에 세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결승에서 셀레스를 풀 세트 접전 끝에 꺾으며 개인 통산 네 번째이자 마지막 그랜드 슬램 단식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 경기는 셀레스가 그랜드 슬램 결승에서 그라프 외의 선수에게 패한 유일한 사례이며, 산체스와 셀레스 두 선수 모두에게 마지막 그랜드 슬램 단식 결승 진출이 되었다.
산체스 비카리오는 복식에서도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헬레나 수코바와 함께 1993년 US 오픈 여자 복식에서 우승했고, 야나 노보트나와 함께 1995년 윔블던 여자 복식 우승을 포함하여 총 6개의 그랜드 슬램 여자 복식 타이틀과 4개의 그랜드 슬램 혼합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다.
국가대항전인 페드컵에서는 콘치타 마르티네스와 함께 스페인의 황금기를 이끌었다. 1991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8년 등 총 5번의 우승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산체스 비카리오는 페드컵 역사상 최다 경기 승리(72승) 및 최다 경기 출전(58회)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4] 또한 호프만 컵에서도 1990년과 2002년 스페인 대표로 출전하여 우승에 기여했다.
하계 올림픽에는 1988년부터 2004년까지 총 5번 출전하여, 올림픽 역사상 5개 대회에 출전한 유일한 테니스 선수가 되었다.[25][6] 올림픽에서 은메달 2개와 동메달 2개를 획득하여 총 4개의 메달을 목에 걸었다.[26][7] 이는 당시 스페인 선수 최다 메달 기록이었으나, 이후 다비드 칼과 사울 크라비오토가 각각 5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기록이 경신되었다.[8]
2. 3. 국가대표 경력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는 스페인 국가대표로서 페드컵, 호프만컵, 하계 올림픽 등 다양한 국제 대회에서 활약했다.그녀는 1988년 서울 올림픽부터 2004년 아테네 올림픽까지 총 5번의 하계 올림픽 테니스 종목에 출전한 유일한 선수이다.[6] 올림픽에서는 은메달 2개와 동메달 2개를 획득하여 총 4개의 메달을 목에 걸었다.[7] 이는 당시 스페인 선수 중 최다 올림픽 메달 기록이었으나, 이후 다비드 칼과 사울 크라비오토가 각각 5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기록을 경신했다.[8]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는 단식 결승에 진출했으나 미국의 린제이 데이븐포트에게 패해 은메달을 획득했다. 8강에서는 이다 기미코를 상대로 승리했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는 복식 경기에만 출전했다.
페드컵에서는 스페인 대표팀의 핵심 선수로 활약하며 1991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8년 등 총 5번의 우승을 이끌었다. 특히 1991년 우승은 스페인의 페드컵 사상 첫 우승이었다.[4] 동료 선수인 콘치타 마르티네스와의 복식 조합은 페드컵에서 강력한 모습을 보였으며, 1993년부터 1995년까지 3년 연속 우승과 1998년 우승을 함께 달성했다. 1998년 결승에서는 스위스 제네바 원정에서 마르티나 힝기스와 파티 슈나이더가 버틴 스위스 팀을 꺾고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산체스 비카리오는 페드컵 통산 최다 경기 승리(72승) 및 최다 경기 출전(58회)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4] 그녀의 마지막 단식 경기는 2002년 11월 페드컵 결승 슬로바키아 전이었으며, 야네테 후사로바에게 패배했다.
호프만컵에서는 1990년과 2002년에 스페인 대표팀의 일원으로 출전하여 두 번 모두 우승을 차지했다.
2. 4. 은퇴
산체스는 2002년 11월 페드컵 결승 슬로바키아 전을 마지막으로 단식에서 은퇴했으며, 이 시점까지 통산 단식 29개, 복식 69개의 타이틀을 획득했다.[24][5] 그녀의 마지막 단식 경기는 해당 페드컵 결승 4번째 경기로, 야네테 후사로바에게 0-6, 2-6으로 패배했다. 같은 해 마지막 그랜드 슬램 대회였던 미국 오픈에서는 1회전에서 프랑스의 예선 통과자 마리옹 바르톨리에게 3-6, 1-6으로 패했다.이후 2004년에 잠시 투어에 복귀하여 2004년 하계 올림픽을 포함한 몇몇 대회의 복식 경기에 출전했다. 이 복귀로 산체스 비카리오는 1988년부터 2004년까지 총 5번의 하계 올림픽 테니스 종목에 출전한 유일한 선수가 되었으며,[25][6] 이 기간 동안 은메달 2개와 동메달 2개를 획득했다.[26][7] 이는 당시 스페인 선수 최다 올림픽 메달 기록이었지만, 이후 다비드 칼과 사울 크라비오토가 각각 5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기록을 경신했다.[8]
3. 개인 생활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는 두 번 결혼했다. 첫 번째는 2000년 7월 스포츠 기자 후안 베힐스(Juan Vehils)와 했으나 2001년에 이혼했다. 이후 2008년 9월 사업가 호세프 산타카나(Josep Santacana)와 재혼하여 딸(2009년생)과 아들(2011년생)을 두었다.[10][11][12] 그러나 2019년 산타카나와도 이혼했다.[13]
2012년, 산체스 비카리오는 자서전을 통해 선수 시절 6000만달러를 벌었지만, 부모가 재정을 거의 전적으로 관리하면서 모든 돈을 잃었다고 주장했다.[14] 같은 해, 그녀는 아버지와 오빠 하비에르 산체스를 상대로 선수 시절 수입을 부당하게 관리했다는 이유로 소송을 제기했다. 이 소송은 3년 이상 지속되었고, 2015년 비공개 합의로 마무리되었다.[15]
그녀는 탈세 및 사기 혐의와 관련된 여러 법적 문제에 직면했다. 2009년에는 탈세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350만유로를 상환하라는 명령을 받았다.[16] 2015년에는 룩셈부르크 은행(Banque de Luxembourg)으로부터 520만달러에 달하는 신용 및 재산 사기 혐의로 고소당했으나, 은행은 해당 금액을 회수하지 못했다. 2018년에는 이전 사건에서 자신의 재정 상황에 대해 법원을 고의로 속인 혐의로 다시 기소되었다.[17] 2021년 바르셀로나 검찰은 이전 소송에서 빚을 갚지 않기 위해 자산을 은닉한 추가 사기 혐의로 산체스 비카리오에게 징역 4년을 구형했다.[18] 2024년에는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19]
테니스 선수인 오빠 에밀리오 산체스와 하비에르 산체스 외에도, 언니 마리사(Marisa)가 있다. 마리사 역시 잠시 프로 테니스 선수로 활동했으며, 1990년 세계 랭킹 368위를 기록했다.[20][21]
4. 업적 및 평가
산체스 비카리오는 4살 때 오빠인 에밀리오 산체스와 하비에르 산체스를 따라 테니스를 시작했으며,[23] 특유의 끈질기고 쉽게 포기하지 않는 플레이 스타일로 명성을 얻었다. 미국의 테니스 해설가 버드 콜린스는 그녀의 플레이를 "정말로 받기 불가능할 것 같은 볼까지도 넘기고 또 넘겨서 결국 상대로 하여금 기가 질리게 만든다"고 묘사하며 '바르셀로나 범블비'(Barcelona Bumblebee)라는 별명을 붙였다.[23][3] 그녀는 강인한 발놀림을 바탕으로 한 베이스라인 플레이어였으며, 특히 클레이 코트에서 강점을 보였다.
1989년 프랑스 오픈에서는 17세의 나이로 당시 세계 랭킹 1위였던 슈테피 그라프를 꺾고 우승하며, 당시 대회 최연소 여자 단식 우승 기록을 세웠다. (이 기록은 이듬해 모니카 셀레스가 16세로 우승하며 깨졌다.) 이후 1994년 프랑스 오픈, 1994년 US 오픈, 1998년 프랑스 오픈에서도 우승하며 총 4번의 그랜드 슬램 단식 타이틀을 획득했다. 1995년 2월에는 단식 세계 랭킹 1위에 올랐으며, 2002년 11월 은퇴할 때까지 통산 29개의 단식 타이틀을 획득했다.[5][24]
복식에서도 뛰어난 성적을 거두어, 헬레나 수코바, 야나 노보트나, 챈더 루빈 등 다양한 파트너와 함께 호주 오픈 3회(1992, 1995, 1996), 윔블던 1회(1995), US 오픈 2회(1993, 1994) 우승을 포함하여 총 6개의 그랜드 슬램 여자 복식 타이틀을 차지했다. 또한 4개의 그랜드 슬램 혼합 복식 타이틀도 획득했으며, 통산 69개의 복식 타이틀을 기록했다.[5][24] 단식과 마찬가지로 1995년 2월에는 복식 세계 랭킹 1위에도 올랐다.
스페인 국가대표로서 페드컵에서 눈부신 활약을 펼쳤다. 콘치타 마르티네스와 함께 스페인의 5차례 우승(1991, 1993, 1994, 1995, 1998년)을 이끌었다. 산체스 비카리오는 페드컵 역사상 최다 경기 승리(72승) 및 최다 경기 출전(58회)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4] 호프만 컵에서도 1990년과 2002년에 스페인 대표로 출전하여 우승에 기여했다.
하계 올림픽에는 1988년 서울 올림픽부터 2004년 아테네 올림픽까지 총 5번 출전하여, 올림픽 역사상 5개 대회에 참가한 유일한 테니스 선수가 되었다.[6][25] 올림픽에서 은메달 2개와 동메달 2개를 획득하여[7][26], 한때 스페인 선수 중 최다 올림픽 메달리스트였다. (이후 다비드 칼과 사울 크라비오토가 각각 5개의 메달로 기록을 경신했다.[8])
2002년 11월 공식 은퇴했으나,[5][24] 2004년 잠시 복귀하여 아테네 올림픽을 포함한 몇몇 대회 복식 경기에 출전했다.[25]
2005년 미국 '테니스 매거진'은 '역사상 가장 위대한 테니스 선수 40인' 중 산체스 비카리오를 27위로 선정했다. 2007년에는 국제 테니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이는 스페인 선수로는 세 번째이자, 스페인 여자 선수로는 최초였다. 2009년 마드리드에 개장한 마드리드 마스터스의 새로운 경기장 카하 마히카의 두 번째 코트는 그녀의 업적을 기려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코트'(Court Arantxa Sánchez Vicario)로 명명되었다.[9][27]
산체스 비카리오는 콘치타 마르티네스와 함께 스페인 여자 테니스의 황금기를 이끌었으며, 단식과 복식 모두에서 세계 정상에 오른 드문 선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1994년에는 ITF 선정 올해의 선수(ITF World Champion)였다.[4]
5. 그랜드 슬램 대회 성적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는 그랜드 슬램 대회 단식, 여자 복식, 혼합 복식에서 모두 우승을 경험한 선수이다.
단식에서는 총 4번 우승하고 8번 준우승했다. 우승 기록은 프랑스 오픈 3회(1989년, 1994년, 1998년)와 US 오픈 1회(1994년)이다.
여자 복식에서는 총 6번 우승하고 5번 준우승했다. 우승 기록은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3회(1992년, 1995년, 1996년), 윔블던 1회(1995년), US 오픈 2회(1993년, 1994년)이다.
혼합 복식에서는 총 4번 우승하고 4번 준우승했다. 우승 기록은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1회(1993년), 프랑스 오픈 2회(1990년, 1992년), US 오픈 1회(2000년)이다.
5. 1. 단식
1985년 13세의 나이로 프로에 데뷔했다. 1989년 프랑스 오픈에서 만 17세 5개월의 나이로 첫 그랜드 슬램 타이틀을 획득했다. 결승전에서는 당시 그랜드 슬램 5회 연속 우승 중이던 슈테피 그라프를 상대로 7-6(8-6), 3-6, 7-5로 승리하며 큰 주목을 받았다. 이후 가브리엘라 사바티니, 모니카 셀레스와 함께 그라프의 강력한 경쟁자로 떠올랐다.1991년 프랑스 오픈에서는 다시 결승에 올랐으나, 당시 17세였던 셀레스에게 패배했다. 1992년 US 오픈에서도 결승에 진출했지만 셀레스에게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1994년은 산체스 비카리오의 커리어 황금기였다. 오스트레일리아 오픈에서 처음으로 결승에 진출했으나 그라프에게 패배했다. 하지만 프랑스 오픈에서는 결승에서 마리 피에르스를 6-4, 6-4로 꺾고 5년 만에 대회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이어 US 오픈 결승에서는 그라프를 상대로 1-6, 7-6(7-3), 6-4의 역전승을 거두며 첫 US 오픈 타이틀을 획득, 한 해에 그랜드 슬램 2관왕을 달성하며 통산 3번째 그랜드 슬램 우승을 기록했다.
1995년 2월에는 단식과 복식 모두 세계 랭킹 1위에 올랐다. 그러나 이 해부터 그랜드 슬램 결승에서 아쉬운 패배가 이어졌다.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결승에서는 피에르스에게 패해 2년 연속 준우승을 기록했고, 프랑스 오픈 결승과 윔블던 첫 결승 진출에서도 그라프에게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특히 1995년 윔블던 결승 3세트 11번째 게임은 13번의 듀스 끝에 20분 만에 그라프에게 내주며 우승 기회를 놓쳤다.
1996년에도 프랑스 오픈과 윔블던 결승에서 연속으로 그라프에게 패하며 두 대회 모두 2년 연속 준우승을 기록했다. 1996년 프랑스 오픈 결승은 3시간 4분이 걸린 대회 역사상 가장 긴 여자 단식 결승전이었다. 애틀랜타 올림픽 단식에서는 결승에서 린제이 데이븐포트에게 패해 은메달을 획득했다.
1998년 프랑스 오픈에서 4년 만에 세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결승에서 셀레스를 7-6(7-5), 0-6, 6-2로 꺾었다. 이 우승은 산체스 비카리오의 마지막 그랜드 슬램 단식 우승이자, 셀레스가 그랜드 슬램 결승에서 그라프 외의 선수에게 패한 유일한 사례가 되었다.
산체스 비카리오는 2002년 11월, 페드컵 결승 슬로바키아전을 마지막으로 단식에서 은퇴했다. 마지막 그랜드 슬램 출전이었던 같은 해 US 오픈에서는 1회전에서 탈락했다.
통산 단식 29회 우승을 기록했으며, 이 중 그랜드 슬램 타이틀은 4개이다. 코트 종류별로는 클레이 코트에서 19회, 하드 코트에서 8회, 잔디 코트와 카펫 코트에서 각각 1회 우승했다.
'''단식 우승 (29)'''
No. | 일시 | 대회명 | 장소 | 코트 | 결승 상대 | 스코어 |
---|---|---|---|---|---|---|
1. | 1988년 7월 11일 | Belgian Open | 브뤼셀, 벨기에 | 클레이 | Raffaella Reggi|라파엘라 레기ita | 6-0, 7-5 |
2. | 1989년 4월 25일 | International Championships of Spain (1) | 바르셀로나, 스페인 | 클레이 | Helen Kelesi|헬렌 켈레시eng | 6-2, 5-7, 6-1 |
3. | 1989년 6월 11일 | 프랑스 오픈 (1) | 파리, 프랑스 | 클레이 | 슈테피 그라프 | 7-6(6), 3-6, 7-5 |
4. | 1990년 4월 29일 | International Championships of Spain (2) | 바르셀로나, 스페인 | 클레이 | Isabel Cueto|이사벨 쿠에토deu | 6-4, 6-2 |
5. | 1990년 7월 22일 | Virginia Slims of Newport | 뉴포트, 로드아일랜드주, 미국 | 잔디 | Jo Durie|조 두리eng | 7-6(2), 4-6, 7-5 |
6. | 1991년 8월 25일 | Virginia Slims of Washington | 워싱턴 D.C., 미국 | 하드 | 카테리나 말리바 | 6-2, 7-5 |
7. | 1992년 3월 22일 | Lipton International Players Championships (1) | 키 비스케인, 플로리다주, 미국 | 하드 | 가브리엘라 사바티니 | 6-1, 6-4 |
8. | 1992년 8월 23일 | Matinee Ltd. - Canadian Open (1) | 몬트리얼, 캐나다 | 하드 | 모니카 셀레스 | 6-3, 4-6, 6-4 |
9. | 1993년 3월 21일 | Lipton International Players Championships (2) | 키 비스케인, 플로리다 주, 미국 | 하드 | 슈테피 그라프 | 6-4, 3-6, 6-3 |
10. | 1993년 4월 11일 | Bausch & Lomb Championships (1) | 아멜리아 아일랜드, 플로리다 주, 미국 | 클레이 | 가브리엘라 사바티니 | 6-2, 5-7, 6-2 |
11. | 1993년 4월 25일 | International Championships of Spain (3) | 바르셀로나, 스페인 | 클레이 | 콘치타 마르티네스 | 6-1, 6-4 |
12. | 1993년 5월 2일 | Citizen Cup (1) | 함부르크, 독일 | 클레이 | 슈테피 그라프 | 6-3, 6-3 |
13. | 1994년 4월 10일 | Bausch & Lomb Championships (2) | 아멜리아 아일랜드, 플로리다 주, 미국 | 클레이 | 가브리엘라 사바티니 | 6-1, 6-4 |
14. | 1994년 4월 24일 | International Championships of Spain (4) | 바르셀로나, 스페인 | 클레이 | 이바 마욜리 | 6-0, 6-2 |
15. | 1994년 5월 1일 | Citizen Cup (2) | 함부르크, 독일 | 클레이 | 슈테피 그라프 | 4-6, 7-6(3), 7-6(6) |
16. | 1994년 6월 5일 | 프랑스 오픈 (2) | 파리, 프랑스 | 클레이 | 마리 피에르스 | 6-4, 6-4 |
17. | 1994년 8월 21일 | Matinee Ltd. International - Canadian Open (2) | 몬트리얼, 캐나다 | 하드 | 슈테피 그라프 | 7-5, 1-6, 7-6(4) |
18. | 1994년 9월 11일 | US 오픈 | 뉴욕, 미국 | 하드 | 슈테피 그라프 | 1-6, 7-6(3), 6-4 |
19. | 1994년 9월 25일 | Nichirei International Championships | 도쿄, 일본 | 하드 (I) | 에이미 프레이저 | 6-1, 6-2 |
20. | 1994년 11월 6일 | Bank of the West Classic | 오클랜드, 미국 | 카펫 (I) |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 1-6, 7-6(5), 7-6(3) |
21. | 1995년 4월 30일 | Ford International Championships of Spain (5) | 바르셀로나, 스페인 | 클레이 | 이바 마욜리 | 5-7, 6-0, 6-2 |
22. | 1995년 5월 21일 | German Open | 베를린, 독일 | 클레이 | 막달레나 말리바 | 6-4, 6-1 |
23. | 1996년 4월 7일 | Family Circle Magazine Cup | 힐튼 헤드 아일랜드, 사우스캐롤라이나주, 미국 | 클레이 | Barbara Paulus|바바라 파울루스deu | 6-2, 2-6, 6-2 |
24. | 1996년 5월 5일 | Rexona Cup (3) | 함부르크, 독일 | 클레이 | 콘치타 마르티네스 | 4-6, 7-6(4), 6-0 |
25. | 1998년 1월 18일 | Sydney International | 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 | 하드 | 비너스 윌리엄스 | 6-1, 6-3 |
26. | 1998년 6월 7일 | 프랑스 오픈 (3) | 파리, 프랑스 | 클레이 | 모니카 셀레스 | 7-6(5), 0-6, 6-2 |
27. | 1999년 4월 25일 | Dreamland Egypt Classic | 카이로, 이집트 | 클레이 | Irina Spîrlea|이리나 스피를레야ron | 6-1, 6-0 |
28. | 2001년 4월 8일 | Porto Open | 포르투, 포르투갈 | 클레이 | Magüi Serna|마구이 세레나spa | 6-3, 6-1 |
29. | 2001년 5월 26일 | Open de Espana Villa de Madrid | 마드리드, 스페인 | 클레이 | Ángeles Montolio|앙헬레스 몬톨리오spa | 7-5, 6-0 |
'''그랜드 슬램 단식 성적 연대표'''
대회 | 1986 |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2002 | SR | 승-패 |
---|---|---|---|---|---|---|---|---|---|---|---|---|---|---|---|---|---|---|---|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준결승 | 준결승 | 준결승 | 결승 | 결승 | 8강 | 3회전 | 8강 | 2회전 | 8강 | 불참 | 1회전 | 0 / 11 | 41–11 |
프랑스 오픈 | 예선 1회전 | 8강 | 8강 | 우승 | 2회전 | 결승 | 준결승 | 준결승 | 우승 | 결승 | 결승 | 8강 | 우승 | 준결승 | 준결승 | 2회전 | 1회전 | 3 / 16 | 72–13 |
윔블던 선수권 대회 | 불참 | 1회전 | 1회전 | 8강 | 1회전 | 8강 | 2회전 | 4회전 | 4회전 | 결승 | 결승 | 준결승 | 8강 | 2회전 | 4회전 | 2회전 | 불참 | 0 / 15 | 41–15 |
US 오픈 | 불참 | 1회전 | 4회전 | 8강 | 준결승 | 8강 | 결승 | 준결승 | 우승 | 4회전 | 4회전 | 8강 | 8강 | 4회전 | 4회전 | 3회전 | 1회전 | 1 / 16 | 56–15 |
총 승-패 | 0–0 | 4–3 | 7–3 | 15–2 | 6–3 | 19–4 | 16–4 | 18–4 | 23–2 | 21–4 | 19–4 | 15–4 | 19–3 | 9-4 | 15–4 | 4–3 | 0–3 | 4 / 58 | 210–54 |
- (W) 우승; (F) 준우승; (SF) 준결승; (QF) 8강; (#R) 라운드 탈락 (4R, 3R, 2R, 1R); (RR) 라운드 로빈; (Q#) 예선 라운드 탈락; (A) 불참; (NH) 대회 미개최; (SR) 참가 대회 수 대비 우승 비율; (W–L) 승-패 기록
'''그랜드 슬램 단식 결승 (4승 8패)'''
결과 | 년도 | 대회 | 코트 | 상대 | 스코어 |
---|---|---|---|---|---|
승 | 1989년 | 프랑스 오픈 (1) | 클레이 | 슈테피 그라프 | 7–6(8–6), 3–6, 7–5 |
패 | 1991년 | 프랑스 오픈 (1) | 클레이 | 모니카 셀레스 | 3–6, 4–6 |
패 | 1992년 | US 오픈 (1) | 하드 | 모니카 셀레스 | 3–6, 3–6 |
패 | 1994년 |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1) | 하드 | 슈테피 그라프 | 0–6, 2–6 |
승 | 1994년 | 프랑스 오픈 (2) | 클레이 | 마리 피에르스 | 6–4, 6–4 |
승 | 1994년 | US 오픈 (1) | 하드 | 슈테피 그라프 | 1–6, 7–6(7–3), 6–4 |
패 | 1995년 |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2) | 하드 | 메리 피에르스 | 3–6, 2–6 |
패 | 1995년 | 프랑스 오픈 (2) | 클레이 | 슈테피 그라프 | 5–7, 6–4, 0–6 |
패 | 1995년 | 윔블던 (1) | 잔디 | 슈테피 그라프 | 6–4, 1–6, 5–7 |
패 | 1996년 | 프랑스 오픈 (3) | 클레이 | 슈테피 그라프 | 3–6, 7–6(7–4), 8–10 |
패 | 1996년 | 윔블던 (2) | 잔디 | 슈테피 그라프 | 3–6, 5–7 |
승 | 1998년 | 프랑스 오픈 (3) | 클레이 | 모니카 셀레스 | 7–6(7–5), 0–6, 6–2 |
'''WTA 투어 챔피언십 단식 결승 (0승 1패)'''
5. 2. 복식
지나 개리슨나타샤 즈베레바
이네스 고로차테기
나타샤 즈베레바
로빈 화이트
나타샤 즈베레바
나타샤 즈베레바
나타샤 즈베레바
메리 조 페르난데스
나타샤 즈베레바
안나 쿠르니코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