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빗장밑정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빗장밑정맥은 겨드랑정맥의 연장으로, 속목정맥과 합류하여 팔머리정맥을 형성하며, 림프관과 연결되어 림프를 체순환계로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빗장밑동맥과 함께 주행하며, 앞목갈비근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빗장밑정맥은 중심 정맥 카테터 삽입에 사용되며, 흉곽출구증후군, 파게트-슈뢰터 증후군과 같은 질환과 관련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두경부 정맥 - 목정맥
    목정맥은 머리와 목의 혈액을 심장으로 되돌려 보내는 주요 정맥으로, 속목정맥, 바깥목정맥, 앞목정맥으로 나뉘며, 속목정맥은 머리뼈 안 혈액 배출에 중요하고, 목정맥압은 심혈관 질환 진단에 활용된다.
  • 두경부 정맥 - 구불정맥굴
    구불정맥굴은 뇌의 혈액을 심장으로 되돌리는 머리뼈 내 정맥굴로, 굴곡진 형태로 마루뼈, 관자뼈, 뒤통수뼈를 따라 위치하며 다양한 뇌 정맥들로부터 혈액을 공급받는다.
  • 몸통의 정맥 - 폐정맥
    폐정맥은 폐에서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받아 좌심방으로 운반하는 혈관으로, 호흡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심방 세동과 같은 부정맥 질환과 관련되어 임상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 몸통의 정맥 - 반홀정맥
    반홀정맥은 현재 제공된 정보로는 정의, 구조, 변이, 임상적 중요성, 어원 및 역사에 대한 내용이 불분명합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빗장밑정맥
개요
설명팔에서 혈액을 배액하는 혈관
배액 위치상지
출처액와정맥, 외경정맥
배수 위치완두정맥
동맥쇄골하동맥
식별
MeSH 이름Subclavian+Vein
MeSH 번호A07.231.908.877
이미지
갑상샘 및 그 관계. (오른쪽 쇄골하 정맥은 왼쪽 하단에 보이고 왼쪽 쇄골하 정맥은 오른쪽 하단에 보임.)
벽정맥의 발달 완료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오른쪽의 쇄골하 정맥, 위에서 세 번째.)

2. 구조

각 빗장밑정맥은 겨드랑정맥의 연속이며 첫 번째 갈비뼈의 가쪽 경계에서 앞목갈비근의 안쪽 경계까지 이어진다.[9] 여기서부터 속목정맥과 합류하여 팔머리정맥을 형성한다. 속목정맥과의 합류지점은 정맥각이라고 하며, 이 지점으로 가슴림프관도 합류하여 림프를 체순환계로 배출한다.

빗장밑정맥은 빗장밑동맥과 함께 주행하며 앞목갈비근에 의해 빗장밑동맥과 분리되어 있다.[9] 이때 빗장밑정맥은 앞목갈비근의 앞쪽에 있는 반면 빗장밑동맥은 앞목갈비근의 뒤쪽(및 중간목갈비근의 앞쪽)에 있다.[10]

3. 기능

빗장밑정맥은 림프계와 연관되어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가슴관의 림프는 왼쪽 속목정맥과의 접합부 근처에서 왼쪽 빗장밑정맥으로 빠져나가며[11], 림프계로부터 림프를 운반한다. 또한, 창자가 식이 지방과 지질을 흡수하여 생산한 킬로미크론(chylomicron) 또는 유미(chyle)를 혈류로 유입시켜 왼쪽 빗장밑정맥은 이러한 지방과 지질의 흡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3] 오른림프관은 목정맥과 오른쪽 빗장밑정맥의 접합부로 림프를 배출한다.

3. 1. 림프계와의 연관성

가슴관의 림프는 왼쪽 속목정맥과의 접합부 근처에서 왼쪽 빗장밑정맥으로 빠져나간다.[11] 림프계로부터 림프를 운반하며, 창자가 식이 지방과 지질을 흡수하여 생산한 킬로미크론(chylomicron) 또는 유미(chyle)를 혈류로 유입시킨다. 결과적으로, 왼쪽 빗장밑정맥은 이러한 지방과 지질의 흡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3]

오른림프관은 목정맥과 오른쪽 빗장밑정맥의 접합부로 림프를 배출한다.

림프계는 정맥에서 회수하지 못한 조직액이나 림프구, 장에서 흡수한 지질 등을 림프액으로 모으는데, 그 대부분은 좌우 빗장밑정맥·내경정맥에서 합류하여 체순환으로 되돌아간다. 좌우 하반신과 좌상반신의 림프액을 모으는 흉관은 좌 정맥각 부근에서 합류하며, 우상반신의 림프액을 모으는 우 림프 본간은 우 정맥각 부근에서 합류한다.

4. 임상적 관련성

빗장밑정맥은 표피에 가깝고 굴곡이 적어 정맥 천자나 고칼로리 정맥 영양, 중심정맥압 측정을 위한 카테터 삽입 등에 사용된다.[4][12]

흉곽출구증후군이 발생했을 때 빗장밑정맥이 막힐 수 있다.[15] 이 질환의 증상으로는 팔의 부기, 통증, 청색증이 있다.[15] 혈전이든 외압이든 흉곽출구증후군의 원인은 시급히 치료되어야 한다.[15]

파제트-슈뢰터 증후군은 빗장밑정맥에 혈전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대개 과격한 운동으로 인해 발생한다.

4. 1. 중심 정맥 카테터

빗장밑정맥은 크고 중심 정맥이며 비교적 얕게 위치하기 때문에, 오른쪽 빗장밑정맥은 종종 중심 정맥관 삽입에 사용된다.[4][12] 기흉, 혈흉, 그리고 동반된 빗장밑동맥의 천자 위험 때문에 오른쪽 내경정맥과 같은 다른 접근 방식보다 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5][6][13][14]

빗장밑정맥은 표피에 가깝고 굴곡이 적기 때문에 정맥 천자나 고칼로리 정맥 영양, 중심정맥압 측정을 위한 카테터 삽입(중심정맥 카테터) 등에 사용된다.

4. 2. 흉곽출구증후군

흉곽출구증후군이 발생했을 때 빗장밑정맥이 막힐 수 있다.[15] 이 질환의 증상으로는 팔의 부기, 통증, 청색증이 있다.[15] 혈전이든 외압이든 흉곽출구증후군의 원인은 시급히 치료되어야 한다.[15]

4. 3. 기타 질환

파게트-슈뢰터 증후군은 빗장밑정맥에 혈전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대개 과격한 운동으로 인해 발생한다.

5. 추가 이미지

대정맥과 홀정맥들


흉부 및 오른림프관


노출되어 있는 만삭아의 흉선


빗장밑정맥


빗장밑정맥 - 우측


빗장밑정맥


빗장밑정맥


참조

[1] 간행물 Chapter 7 - Head and neck http://www.sciencedi[...] Churchill Livingstone 2020-11-20
[2] 간행물 Chapter 65 - Axillosubclavian Vein Thrombectomy, Thrombolysis, and Angioplasty http://www.sciencedi[...] W.B. Saunders 2020-11-20
[3] 웹사이트 What is the Subclavian Vein? (with pictures) http://www.wisegeek.[...] 2019-01-03
[4] 간행물 Chapter 9 - Monitoring of the Heart and Vascular System http://www.sciencedi[...] W.B. Saunders 2020-11-20
[5] 간행물 49 - Procedures for Vascular Access http://www.sciencedi[...] Elsevier 2020-11-20
[6] 간행물 Chapter 204 - Central Venous Access http://www.sciencedi[...] Mosby 2020-11-20
[7] 간행물 CHAPTER 53 - Subclavian Vein Obstruction: Techniques for Repair and Bypass http://www.sciencedi[...] Academic Press 2020-11-20
[8] 웹인용 Subclavian Vein Anatomy, Function & Location Body Maps https://www.healthli[...] 2019-01-03
[9] 간행물 Chapter 7 - Head and neck http://www.sciencedi[...] Churchill Livingstone 2020-11-20
[10] 간행물 Chapter 65 - Axillosubclavian Vein Thrombectomy, Thrombolysis, and Angioplasty http://www.sciencedi[...] W.B. Saunders 2020-11-20
[11] 웹인용 What is the Subclavian Vein? (with pictures) http://www.wisegeek.[...] 2019-01-03
[12] 간행물 Chapter 9 - Monitoring of the Heart and Vascular System http://www.sciencedi[...] W.B. Saunders 2020-11-20
[13] 간행물 49 - Procedures for Vascular Access http://www.sciencedi[...] Elsevier 2020-11-20
[14] 간행물 Chapter 204 - Central Venous Access http://www.sciencedi[...] Mosby 2020-11-20
[15] 간행물 CHAPTER 53 - Subclavian Vein Obstruction: Techniques for Repair and Bypass http://www.sciencedi[...] Academic Press 2020-1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