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속목정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속목정맥은 두개골 기저의 경정맥공에서 시작하여 쇄골하정맥과 합류하여 상완두정맥을 형성하는 주요 정맥이다. 해부학적으로 내경동맥의 뒤쪽에서 시작하여 총경동맥의 가쪽을 따라 주행하며, 혀인두신경, 혀밑신경, 미주신경, 부신경 등과 인접한다. 속목정맥은 개인에 따라 크기, 모양, 주행 경로에 변이가 있을 수 있으며, 아래바위정맥굴, 인두정맥, 온얼굴정맥 등 다양한 지류를 갖는다. 임상적으로는 손상 시 심각한 출혈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방 압력 측정에 활용되는 경정맥압(JVP) 관찰, 중심정맥관 삽입 경로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두경부 정맥 - 목정맥
    목정맥은 머리와 목의 혈액을 심장으로 되돌려 보내는 주요 정맥으로, 속목정맥, 바깥목정맥, 앞목정맥으로 나뉘며, 속목정맥은 머리뼈 안 혈액 배출에 중요하고, 목정맥압은 심혈관 질환 진단에 활용된다.
  • 두경부 정맥 - 빗장밑정맥
    빗장밑정맥은 겨드랑정맥에서 이어져 속목정맥과 합류하여 팔머리정맥을 형성하는 중심 정맥으로, 가슴림프관이 합류하는 정맥각의 위치이자 중심 정맥관 삽입에 사용되지만 특정 질환과도 관련될 수 있다.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목동맥고랑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의학 용어집
    의학 용어집은 의학 분야의 다양한 용어와 정의를 모아놓은 목록으로, 인체 해부학적 용어인 '복부'와 희귀 유전 질환인 '아르스코그-스콧 증후군' 등이 포함된다.
속목정맥
해부학 정보
종류정맥
이름속목정맥
갑상샘 근처의 구조. 속목정맥은 중앙 왼쪽에 표시됨. (INT. JUGULAR)
갑상샘 근처의 구조. 속목정맥은 중앙 왼쪽에 표시됨. (INT. JUGULAR)
혀의 정맥. 속목정맥은 아래 왼쪽에 표시됨. (INT. JUGULAR)
혀의 정맥. 속목정맥은 아래 왼쪽에 표시됨. (INT. JUGULAR)
영어internal jugular vein
라틴어vena jugularis interna
기원구불정맥굴
아래바위정맥굴
이후 정맥팔머리정맥
동맥온목동맥
속목동맥
일반 정보
배수 위치
근원구불정맥굴
아래바위정맥굴
배수 위치팔머리정맥
동맥속목 동맥
온목 동맥

2. 해부학적 구조 및 경로

속목정맥은 머리 안쪽의 S상 정맥동에서 직접 이어져 두개골 바닥에 있는 경정맥공을 통해 목으로 나온다. 목에서는 주로 경동맥초 안에서 총경동맥내경동맥과 함께 주행하며, 미주신경 등 주요 신경들과 가까이 위치한다. 목의 측면을 따라 아래로 내려가 목의 뿌리 부분에서 쇄골하정맥과 합류하여 상완두정맥을 형성하며 심장 쪽으로 혈액을 보낸다. 일반적으로 왼쪽 속목정맥이 오른쪽보다 약간 짧다.

2. 1. 주행 경로

속목정맥은 S상 정맥동과 직접 연결되어 두개골 바닥의 경정맥공 뒤쪽 부분에서 시작한다. 시작 지점은 약간 부풀어 있는데, 이를 속목정맥 위팽대(superior bulb of internal jugular vein)라고 부른다. 하악후정맥의 앞가지, 안면 정맥, 설정맥이 흔히 하나로 합쳐져 속목정맥으로 흘러든다.

목의 측면에서는 처음에는 내경동맥의 뒤쪽을 따라 내려가다가, 점차 아래로 내려오면서 총경동맥의 앞가쪽으로 위치하게 된다. 목의 뿌리 부분에서는 쇄골하정맥과 합쳐져 상완두정맥을 형성한다. 정맥이 끝나기 직전 부분에는 두 번째 팽대부인 속목정맥 아래팽대(inferior bulb of internal jugular vein)가 있다.

속목정맥은 주행 경로에서 주변의 여러 구조물과 관계를 맺는다.

  • 목의 위쪽에서는 외측두직근 위를 지나며, 속목동맥경정맥공을 통과하는 여러 뇌신경들의 뒤쪽을 지난다.
  • 목의 아래쪽에서는 속목정맥과 속목동맥이 같은 면에 놓이게 되며, 설인신경설하신경이 동맥과 정맥 사이를 가로질러 지나간다.
  • 미주신경은 경동맥초 안에서 속목정맥과 온목동맥 사이에 위치하여 함께 아래로 내려간다.
  • 부신경은 속목정맥의 앞쪽 또는 뒤쪽을 지나 뒤쪽 대각선 방향으로 주행한다.


목의 뿌리 부분에서 오른쪽 속목정맥은 총경동맥에 가깝게 위치하며 쇄골하동맥의 시작 부분과 교차한다. 반면 왼쪽 속목정맥은 총경동맥과 겹쳐져 위치하는 경향이 있다.

일반적으로 왼쪽 속목정맥이 오른쪽보다 짧다. 각 속목정맥의 끝부분(아래팽대)에서 약 2.5cm 위쪽에는 혈액이 심장 쪽으로만 흐르도록 하는 한 쌍의 판막이 존재한다.

2. 2. 변이

서구 인구의 9~12%에서 속목정맥의 크기, 모양, 주행 경로에 변이가 관찰된다.[8][1] 확인된 변이에는 현저하게 작거나 기능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9][2] 속목정맥의 평균 직경은 10mm이지만, 5mm에서 35mm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10][3]

2. 3. 지류

속목정맥에는 다음과 같은 정맥들이 합류한다.[6]

  • 아래바위정맥굴
  • 인두정맥
  • 안면정맥
  • 설정맥
  • 상갑상선정맥
  • 중간갑상샘정맥
  • 뒤통수정맥 (가끔)
  • 달팽이관소관정맥
  • 흉쇄유돌근정맥
  • 하악후정맥

3. 임상적 중요성

속목정맥은 목 부위의 비교적 얕은 곳에 위치하고 연골 같은 단단한 조직으로 보호받지 못하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취약하다. 이곳을 통해 많은 양의 혈액이 흐르므로, 손상될 경우 심각한 출혈로 이어져 저혈량성 쇼크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심장의 우심방과 직접 연결되어 있고 사이에 판막이 없어, 심장 내부의 압력 변화가 목 부위에서 목정맥압(JVP)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는 특정 심장 질환 진단에 중요한 단서가 된다. 마지막으로, 속목정맥은 크기가 크고 접근이 용이하여 중심정맥관 삽입 등 다양한 의료 시술에 활용되는 중요한 혈관이다.

3. 1. 손상

속목정맥은 피부 표면에 비교적 가까이 위치하고 있으며, 연골과 같은 단단한 조직으로 보호되지 않아 외부 충격에 손상되기 쉽다. 속목정맥은 많은 양의 혈액이 흐르는 중요한 혈관이기 때문에, 손상될 경우 심각한 출혈이 빠르게 발생할 수 있다. 만약 출혈이 제때 멈추지 않으면 저혈량성 쇼크 상태에 빠질 수 있으며, 이는 생명을 위협하는 매우 위험한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속목정맥 손상은 신속한 응급 처치가 반드시 필요하다.

3. 2. 목정맥압 (경정맥압)

심장우심방과 속목정맥(내경정맥) 사이에는 판막이 없으므로, 우심방의 압력이 충분히 높아지면 혈액이 속목정맥으로 역류할 수 있다. 이 현상은 외부에서 관찰 가능하며, 이를 통해 우심방의 압력을 추정할 수 있다. 이렇게 관찰되는 박동을 목정맥압(Jugular Venous Pressure, JVP) 또는 경정맥압이라고 한다.[11][4]

일반적으로 환자가 머리를 45도 각도로 비스듬히 하고, 관찰자로부터 약간 돌린 자세에서 목정맥압을 관찰할 수 있다.[11][4] 목정맥압은 다음과 같은 여러 질환이나 상태에서 상승할 수 있다.[11][4]

  • 우심실 부전(심부전)
  • 삼첨판 협착증
  • 삼첨판 역류 (삼첨판 폐쇄 부전)
  • 심장압전 (심장 눌림증)


또한 부위에 압력을 가하여 목정맥압을 인위적으로 상승시키는 방법도 있는데, 이를 간목정맥역류(hepatojugular reflux 또는 abdominojugular reflux)라고 부른다. 이 방법은 목정맥압의 위치를 확인하고, 목동맥(경동맥)의 맥박과 구별하는 데 사용된다.[11][4] 목동맥 맥박과 달리 목정맥압은 만져서 느껴지지 않으며(촉진 불가), 그 박동이 미세하다.[11][4]

3. 3. 중심정맥관 삽입

속목정맥은 크기가 크고 몸의 중심 가까이에 있으며, 비교적 피부에서 얕은 곳에 위치하기 때문에 중심정맥관을 삽입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12][5] 중심정맥관은 중심정맥압을 정확하게 측정해야 하거나, 말초정맥을 통해 수액이나 약물을 투여하기 어려운 경우(예를 들어, 말초 혈관을 찾기 힘든 소생술 중인 환자) 등 다양한 이유로 삽입될 수 있다.[12][5]

속목정맥은 다른 정맥들에 비해 위치 변화가 거의 없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찾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12][5] 그러나 중심정맥관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드물게 속목정맥을 정확히 찾지 못하고 주변의 다른 중요한 구조물, 예를 들어 목동맥, 폐, 미주신경(CN X) 등을 잘못 건드려 손상을 일으킬 위험도 존재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12][5]

4. 추가 이미지

두정 정맥의 발달 완료를 보여주는 그림.


상·하대정맥과 완두정맥 및 그 지류.


갑상샘과 그 관계.


여섯 번째 경추 수준의 목 단면.


목의 오른쪽 면의 표면 해부, 경동맥 및 쇄골하동맥을 보여줍니다.


목의 정맥, 정면에서 본 모습.


척추정맥.


1차 림프절의 상대적 위치를 보여주는 도식.


흉관과 오른쪽 림프관.


상악신경과 접형구개신경절의 폐포 가지.


설인두신경, 미주신경부신경의 주행과 분포.


설하신경, 경신경총 및 그 분지.


인두 근육, 뒤에서 본 모습, 관련된 혈관신경과 함께.


및 뒤종격동에서 식도의 위치 및 관계. 뒤에서 본 모습.


만삭 태아흉선, 제자리에서 노출된 모습.

참조

[1] 웹사이트 Anatomical variations of the internal jugular vein: implications for successful cannulation and risk of carotid artery puncture http://apamedcentral[...] 2016-02-29
[2] 논문 Anatomical variations of internal jugular vein location: impact on central venous access https://www.ncbi.nlm[...] 1991-12-01
[3] 논문 Anatomical variation of left internal jugular vein
[4] 웹사이트 Cardiovascular {{!}} Reference {{!}} JVP http://www.clinicale[...] 2007-02-05
[5] 논문 Central venous cannulation
[6] 서적 分担解剖学2 脈管学・神経系 金原出版
[7] 웹사이트 Cardiovascular | Reference | JVP http://www.clinicale[...]
[8] 웹인용 Anatomical variations of the internal jugular vein: implications for successful cannulation and risk of carotid artery puncture http://apamedcentral[...] 2016-02-29
[9] 논문 Anatomical variations of internal jugular vein location: impact on central venous access https://www.ncbi.nlm[...] 1991-12-01
[10] 논문 Anatomical variation of left internal jugular vein
[11] 웹인용 Cardiovascular {{!}} Reference {{!}} JVP http://www.clinicale[...] 2007-02-05
[12] 논문 Central venous cannul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