뿔칼새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뿔칼새류는 인도, 동남아시아, 뉴기니섬, 솔로몬 제도에 분포하는 조류이다. 뿔칼새속(Hemiprocne)에 속하며, 뿔칼새, 회색엉덩이뿔칼새, 수염뿔칼새, 수염달린뿔칼새 등 4종이 있다. 칼새과와 자매군이며, 칼새아목에 속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뿔칼새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 |
생물학적 분류 | |
종 | |
이미지 | |
2. 특징
뿔칼새류는 인도, 동남아시아, 뉴기니섬, 솔로몬 제도에 분포한다. 뿔칼새속에는 4종이 있으며, 각 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종 | 학명 | 분포 지역 | 그림 |
---|---|---|---|
관뿔칼새 | Hemiprocne coronata | 인도, 스리랑카, 부탄, 방글라데시, 네팔, 미얀마, 태국,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중국 | -- |
회색엉덩이뿔칼새 | Hemiprocne longipennis | 브루나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 -- |
수염뿔칼새 | Hemiprocne comata | 브루나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 -- |
수염달린뿔칼새 | Hemiprocne mystacea | 북부 몰루카스, 뉴기니, 비스마르크 제도, 솔로몬 제도 | -- |
3. 하위 종
3. 1. 뿔칼새속 (''Hemiprocne'')
'''뿔칼새속'''(''Hemiprocne'')은 칼새목 뿔칼새과의 한 속으로, 4종을 포함한다.[6]
이름 | 학명 | 그림 | 분포 지역 |
---|---|---|---|
관뿔칼새 | Hemiprocne coronata | -- | 인도, 스리랑카, 부탄, 방글라데시, 네팔, 미얀마, 태국,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중국 |
회색엉덩이뿔칼새 | Hemiprocne longipennis | -- | 브루나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
수염뿔칼새 | Hemiprocne comata | -- | 브루나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
수염달린뿔칼새 | Hemiprocne mystacea | -- | 북부 몰루카스, 뉴기니, 비스마르크 제도, 솔로몬 제도 |
4. 계통 분류
다음은 수좌류의 계통 분류이다.[9][10]
{| class="wikitable"
|-
! 수좌류
|-
|
{| class="wikitable"
|-
! 확장된 칼새목
|-
|
{| class="wikitable"
|-
! 전통적인 칼새목
|-
|
{| class="wikitable"
|-
| 벌새과
|-
|
|}
|}
|-
| 부엉이쏙독새과
|}
|-
| 넓은부리쏙독새과
|-
| 쏙독새과
|-
| 기름쏙독새과
|-
| 포투쏙독새과
|}
칼새과와 자매군이며[4], 함께 칼새아목을 구성한다[5]。시블리-알퀴스트 분류에서는 칼새목(칼새아목에 해당)에 분류되었다.
4. 1. 칼새목 내 계통 분류
칼새과와 자매군이며[4], 함께 칼새아목을 구성한다[5]。시블리-알퀴스트 분류에서는 칼새목(칼새아목에 해당)에 분류되었다.
다음은 수좌류의 계통 분류이다.[9][10]
{| class="wikitable"
|-
! 수좌류
|-
|
{| class="wikitable"
|-
! 확장된 칼새목
|-
|
{| class="wikitable"
|-
! 전통적인 칼새목
|-
|
{| class="wikitable"
|-
| 벌새과
|-
|
|}
|}
|-
| 부엉이쏙독새과
|}
|-
| 넓은부리쏙독새과
|-
| 쏙독새과
|-
| 기름쏙독새과
|-
| 포투쏙독새과
|}
{| class="wikitable"
|-
! 전통적인 칼새목
|-
|
{| class="wikitable"
|-
! 칼새아목
|-
|
칼새과 |
뿔칼새과 |
|-
| 벌새과
|}
|}
4. 2. 시블리-알퀴스트 분류
시블리-알퀴스트 분류에서는 칼새목(칼새아목에 해당)으로 분류되었다.다음은 수좌류의 계통 분류이다.[9][10]
{| class="wikitable"
|-
! 전통적인 칼새목
|-
|
{| class="wikitable"
|-
! 칼새아목
|-
|
칼새과 |
뿔칼새과 |
|-
| 벌새과
|}
|}
참조
[1]
학술지
Revision of the Classification of the Kingfishers
http://digitallibrar[...]
[2]
학술지
Phylogenetic Analysis of Wing Feather Taxis in Birds: Macroevolutionary Patterns of Genetic Drift?
[3]
서적
Encyclopaedia of Animals: Birds
Merehurst Press
[4]
학술지
A Phylogenomic Study of Birds Reveals Their Evolutionary History
[5]
서적
バイオディバーシティ・シリーズ 7 脊椎動物の多様性と系統
裳華房
[6]
웹사이트
IOC World Bird List 2.4: Swifts
http://www.worldbird[...]
[7]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Volume 5: Barn-Owls to Hummingbirds
Lynx Edicions
[8]
웹인용
Owlet-nightjars, treeswifts, swifts
https://www.worldbir[...]
IOC World Bird List 10.2
2020-07-27
[9]
서적
Systematics and Taxonomy of Australian Birds
CSIRO Publishing
[10]
웹인용
A Phylogenomic Study of Birds Reveals Their Evolutionary History
http://www26.atwiki.[...]
2013-09-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