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새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칼새과는 칼새, 바늘꼬리칼새, 흰집칼새 등을 포함하는 조류 과이다. 형태가 유사한 종이 많아 분류에 어려움이 있으며, 약 70~100종으로 구성된다. 칼새과는 검은칼새아과와 칼새아과로 나뉘며, 칼새아과는 흰집칼새족, 바늘꼬리칼새족, 칼새족으로 세분된다. 칼새는 날개가 길고 좁으며, 공중에서 곤충을 잡아먹고, 절벽이나 동굴 등에 둥지를 짓는다. 일부 종의 둥지는 식용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수가 감소하는 종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칼새과 - 바늘꼬리칼새
바늘꼬리칼새는 몸길이 21cm, 바늘처럼 노출된 꼬리깃이 특징이며, 곤충을 먹고 최고 시속 170km로 비행하며, 유라시아 대륙 동부와 주변 지역에 분포하여 절벽 틈새나 수목 공동에 둥지를 짓는 조류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칼새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Apodidae |
명명자 | Hartert, 1897 |
분포 | 에오세부터 현재까지 |
하위 분류 | |
아과 | Cypseloidinae Apodinae |
2. 분류
칼새과의 분류는 복잡하며, 학자마다 의견이 다르다. 형태, 행동, DNA 염기 서열 분석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지만, 수렴 진화와 모호한 결과로 인해 명확한 결론이 나지 않고 있다.[4]
분류학자들은 오랫동안 칼새와 나무칼새를 벌새의 친척으로 분류해 왔으며, 이는 융고르니티다이와 ''유로트로킬루스''와 같은 원시 벌새의 발견으로 뒷받침되었다. 전통적인 분류 체계는 벌새과(Trochilidae)를 칼새 및 나무칼새와 동일한 목에 배치한다. 시블리-알퀴스트 분류법은 이 그룹을 칼새목(Apodiformes)이 Trochiliformes라고 불리는 상목으로 취급했다.
에오세 동안 칼새목은 다양화되었으며, 그 끝에 현존하는 과가 존재했다. 화석 속은 오늘날의 덴마크와 프랑스 사이의 온대 유럽 전역에서 알려져 있으며, 원시 칼새와 같은 ''스카니압셀루스''[5] (초기-중기 에오세)와 더 현대적인 ''프로키프셀로이데스'' (후기 에오세/초기 올리고세 – 초기 마이오세)가 있다. 때때로 칼새에 할당되는 선사 시대 속 ''프리마푸스'' (영국 초기 에오세)는 더 먼 조상일 수도 있다.
형태가 유사한 종이 많아 동정이 어려워, 구성 종은 약 70~100종으로 변동이 크다. 칼새속(Apus)에는 유럽칼새, 집칼새, 칼새 등이, 바늘꼬리칼새속(Hirundapus)에는 바늘꼬리칼새 등이 속한다.
2. 1. 전체 종 목록
3. 형태
칼새류는 대부분 꼬리 깃털이 짧다. 날개는 매우 가늘고 길며, 손가락뼈와 손뼈도 길기 때문에 비행할 때 초승달 모양이나 낫 모양으로 보인다.
부리는 작지만, 입은 크다. 지상에 내려오는 것은 절벽, 나무 구멍 등의 수직면에 둥지를 틀거나 새끼를 키울 때뿐이며, 머리를 위로 향하게 하여 매달리는 듯이 멈춘다. 걷는 일은 거의 없다. 따라서 발가락 4개 모두 앞으로 향해 있고, 매우 작고 굽은 날카로운 발톱이 나 있다. 체내에는 많은 양의 지방이 축적되어 있어 며칠 동안 단식할 수 있다. 이는 고공에서의 먹이 양의 변동이 큰 것에 대한 적응으로 생각된다.[7]
4. 생태
칼새는 대부분 높은 고도에서 서식한다. 수면 시에도 짧은 시간 동안 자고 활공하기를 반복하며, 심지어 교미도 비행 중에 한다. 땅이나 나뭇가지 같은 곳에는 거의 내려앉지 않으며, 이런 곳에서는 날아오르기 힘들다.[14]
먹이는 주로 곤충이며, 하늘을 날면서 입을 크게 벌려 잡는다. 비가 오면 곤충이 적어지거나 낮은 곳으로 모이기 때문에, 비가 오는 지역을 피해 이동하거나 낮은 곳에서 먹이를 찾기도 한다.[14]
절벽, 동굴, 수목 구멍 등에 둥지를 만들고 흰색 알을 낳는다.
4. 1. 번식
칼새는 암수 모두 절벽이나 동굴, 수목 구멍에 둥지를 짓는데, 풀이나 나뭇잎, 깃털 등을 침(타액)으로 굳혀 만든다. 많은 종은 접시 모양의 둥지를 만든다. 칼새속( ''Aerodramus'')의 어떤 종들은 침만으로 둥지를 만들기도 하는데, 이것은 새둥지 수프의 재료가 된다.[14] 다른 칼새들은 벽의 구멍과 작은 틈새를 둥지로 선택한다.
알은 흰 껍질로 덮여 있으며, 19~23일 후에 부화한다. 새끼는 6~8주 후에 둥지를 떠나며, 암수 모두 새끼를 돌본다.[14]
칼새는 같은 크기의 알을 가진 참새목 조류보다 알을 적게 낳고, 부화 기간과 둥지를 떠나는 기간이 더 길고 가변적이다. 이러한 발달 요인은 바다제비류와 비슷하다. 어린 새는 부모보다 더 무거운 최대 체중에 도달하며, 오랫동안 먹이를 먹지 않아도 견딜 수 있다. 영양이 부족하면 깃털 성장이 지연되기도 한다. 칼새와 바닷새는 일반적으로 안전한 둥지 위치를 가지지만 먹이 공급원이 불안정한 반면, 참새목 조류는 둥지가 취약하지만 일반적으로 먹이가 풍부하다.[15][16]
5. 분포
칼새는 남극을 제외한 모든 대륙에서 발견되지만, 극북 지역, 넓은 사막, 많은 대양 섬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13] 온대 지역의 칼새는 강한 철새이며 열대 지역에서 겨울을 난다. 일부 종은 동면과 유사한 상태인 가사 상태에 들어가 짧은 기간 동안의 추위를 견딜 수 있다.[14]
6. 인간과의 관계
일부 종은 건물에 둥지를 틀기도 한다. 칼새류의 굳어진 침샘 둥지는 식용 칼새와 검은집칼새의 둥지로, 400년 이상 중국 요리에 사용되었으며, 주로 새 둥지 수프로 사용되었다.[20] '제비집'이라 불리는 이 둥지는 고가의 진미로 여겨져 과도하게 채취되면서 이 칼새들의 개체 수가 감소했다.[21][22] 특히 둥지가 건강에 좋고 최음제 효능이 있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둥지는 번식기에 수컷 칼새가 35일 동안 지어 만든다. 둥지는 동굴 벽에 붙어있는 얕은 컵 모양이다. 둥지는 침샘 시멘트의 얽힌 가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칼슘, 철, 칼륨 및 마그네슘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22]
개발에 의한 서식지 파괴, 인위적으로 이입된 동물에 의한 포식 등으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는 종도 있다.
7. 보존 상태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은 괌칼새를 멸종위기종으로, 아티우, 검은등, 세이셸, 타히티칼새를 취약종으로 분류하고 있다.[19] 그 외 12종은 위기 근접종이거나 분류에 필요한 데이터가 부족하다.[19]
8. 종 목록 (세부)
Papuan Spinetail|파푸안 스피네테일|영어 (''Mearnsia novaeguineae'')
| 필리핀, 파푸아뉴기니
|-
| ''Zoonavena''
| Malagasy Spinetail|말라가시 스피네테일|영어 (''Zoonavena grandidieri'')
Sao Tome Spinetail|상투메 스피네테일|영어 (''Zoonavena thomensis'')
White-rumped Needletail|흰엉덩이바늘꼬리|영어 (''Zoonavena sylvatica'')
| 마다가스카르, 상투메 프린시페, 인도
|-
| ''Telacanthura''
| Mottled Spinetail|얼룩 스피네테일|영어 (''Telacanthura ussheri'')
Black Spinetail|검은 스피네테일|영어 (''Telacanthura melanopygia'')
| 아프리카
|-
| ''Rhaphidura''
| Silver-rumped Needletail|은색엉덩이바늘꼬리|영어 (''Rhaphidura leucopygialis'')
Sabine's Spinetail|사빈 스피네테일|영어 (''Rhaphidura sabini'')
|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
| ''Neafrapus''
| Cassin's Spinetail|카신 스피네테일|영어 (''Neafrapus cassini'')
Bat-like Spinetail|박쥐모양 스피네테일|영어 (''Neafrapus boehmi'')
| 아프리카
|-
| ''Hirundapus''
| 바늘꼬리칼새 (''Hirundapus caudacutus'')
Silver-backed Needletail|은색등바늘꼬리|영어 (''Hirundapus cochinchinensis'')
Brown-backed Needletail|갈색등바늘꼬리|영어 (''Hirundapus giganteus'')
Purple Needletail|보라색바늘꼬리|영어 (''Hirundapus celebensis'')
| 아시아, 오세아니아
|-
| ''Chaetura''
| Band-rumped Swift|줄무늬엉덩이칼새|영어 (''Chaetura spinicauda'')
Lesser Antillean Swift|작은앤틸리스칼새|영어 (''Chaetura martinica'')
Gray-rumped Swift|회색엉덩이칼새|영어 (''Chaetura cinereiventris'')
Pale-rumped Swift|옅은엉덩이칼새|영어 (''Chaetura egregia'')
굴뚝칼새 (''Chaetura pelagica'')
Vaux's Swift|복스칼새|영어 (''Chaetura vauxi'')
Chapman's Swift|채프먼칼새|영어 (''Chaetura chapmani'')
Short-tailed Swift|짧은꼬리칼새|영어 (''Chaetura brachyura'')
Ashy-tailed Swift|잿빛꼬리칼새|영어 (''Chaetura andrei'')
|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
- 칼새족 (Apodini)

칼새족(Apodini)은 형태가 유사한 종이 많아 동정이 어렵고, 구성 종은 약 70~100종으로 변동이 크다.
속 | 종 | 한국어 명칭 | 비고 | ||||||||||||||||||||||||||||||||||||||||||||||||||||||||||||||||||||
---|---|---|---|---|---|---|---|---|---|---|---|---|---|---|---|---|---|---|---|---|---|---|---|---|---|---|---|---|---|---|---|---|---|---|---|---|---|---|---|---|---|---|---|---|---|---|---|---|---|---|---|---|---|---|---|---|---|---|---|---|---|---|---|---|---|---|---|---|---|---|---|
칼새속(Apus) | Apus acuticauda | 검은등칼새 | |||||||||||||||||||||||||||||||||||||||||||||||||||||||||||||||||||||
Apus apus | 유럽칼새 | ||||||||||||||||||||||||||||||||||||||||||||||||||||||||||||||||||||||
Apus affinis | 집칼새 | 본종을 서부집칼새로 하고 동부 개체군을 집칼새로 분할하는 설도 있음 | |||||||||||||||||||||||||||||||||||||||||||||||||||||||||||||||||||||
Apus barbatus | 아프리카검은칼새 | ||||||||||||||||||||||||||||||||||||||||||||||||||||||||||||||||||||||
Apus melba | 흰배칼새 | ||||||||||||||||||||||||||||||||||||||||||||||||||||||||||||||||||||||
Apus pacificus | 칼새 | ||||||||||||||||||||||||||||||||||||||||||||||||||||||||||||||||||||||
Collocalia | Collocalia brevirostris | 히말라야칼새 | |||||||||||||||||||||||||||||||||||||||||||||||||||||||||||||||||||||
Collocalia elaphra | 세이셸칼새 | ||||||||||||||||||||||||||||||||||||||||||||||||||||||||||||||||||||||
Collocalia leucophaea | 타히티칼새 | ||||||||||||||||||||||||||||||||||||||||||||||||||||||||||||||||||||||
Collocalia sawtelli | 쿡칼새 | ||||||||||||||||||||||||||||||||||||||||||||||||||||||||||||||||||||||
Collocalia vulcanorum | 화산칼새 | ||||||||||||||||||||||||||||||||||||||||||||||||||||||||||||||||||||||
Collocalia whiteheadi | 루손칼새 | ||||||||||||||||||||||||||||||||||||||||||||||||||||||||||||||||||||||
Cypseloides | Cypseloides lemosi | 흰가슴무지칼새 | |||||||||||||||||||||||||||||||||||||||||||||||||||||||||||||||||||||
바늘꼬리칼새속(Hirundapus) | Hirundapus caudacutus | 바늘꼬리칼새 | |||||||||||||||||||||||||||||||||||||||||||||||||||||||||||||||||||||
Hirundapus cochinchinensis | 은색등바늘꼬리 | ||||||||||||||||||||||||||||||||||||||||||||||||||||||||||||||||||||||
Panyptila | Panyptila cayennensis | 꼬리칼새 | |||||||||||||||||||||||||||||||||||||||||||||||||||||||||||||||||||||
Schoutedenapus | Schoutedenapus schoutedeni | 콩고연무칼새 | |||||||||||||||||||||||||||||||||||||||||||||||||||||||||||||||||||||
Tachornis | Tachornis squamata | 야자칼새 | |||||||||||||||||||||||||||||||||||||||||||||||||||||||||||||||||||||
Chaetura | Chaetura pelagica | 굴뚝새 | |||||||||||||||||||||||||||||||||||||||||||||||||||||||||||||||||||||
Aeronautes | Aeronautes saxatalis | 흰목칼새 | |||||||||||||||||||||||||||||||||||||||||||||||||||||||||||||||||||||
Aeronautes | Aeronautes montivagus | {{lang|en|White-tipped Swift|흰끝칼새|} | }
속 | 종 | 한국어 명칭 | 비고 |
---|---|---|---|
칼새속(Apus) | Apus acuticauda | 검은등칼새 | |
Apus apus | 유럽칼새 | ||
Apus affinis | 집칼새 | 본종을 서부집칼새로 하고 동부 개체군을 집칼새로 분할하는 설도 있음 | |
Apus barbatus | 아프리카검은칼새 | ||
Apus melba | 흰배칼새 | ||
Apus pacificus | 칼새 | ||
Collocalia | Collocalia brevirostris | 히말라야칼새 | |
Collocalia elaphra | 세이셸칼새 | ||
Collocalia leucophaea | 타히티칼새 | ||
Collocalia sawtelli | 쿡칼새 | ||
Collocalia vulcanorum | 화산칼새 | ||
Collocalia whiteheadi | 루손칼새 | ||
Cypseloides | Cypseloides lemosi | 흰가슴무지칼새 | |
바늘꼬리칼새속(Hirundapus) | Hirundapus caudacutus | 바늘꼬리칼새 | |
Hirundapus cochinchinensis | 은색등바늘꼬리 | ||
Panyptila | Panyptila cayennensis | 꼬리칼새 | |
Schoutedenapus | Schoutedenapus schoutedeni | 콩고연무칼새 | |
Tachornis | Tachornis squamata | 야자칼새 | |
Chaetura | Chaetura pelagica | 굴뚝새 |
- ''Aeronautes''
- * 흰목칼새(White-throated Swift), ''Aeronautes saxatalis''
- * White-tipped Swift, ''Aeronautes montivagus''
- * Andean Swift, ''Aeronautes andecolus''
- ''Tachornis''
- * Antillean Palm Swift, ''Tachornis phoenicobia''
- * Pygmy Swift, ''Tachornis furcata''
- * Fork-tailed Palm Swift, ''Tachornis squamata''
- ''Panyptila''
- * Lesser Swallow-tailed Swift, ''Panyptila cayennensis''
- * Great Swallow-tailed Swift, ''Panyptila sanctihieronymi''
- ''Cypsiurus''
- * Asian Palm Swift, ''Cypsiurus balasiensis''
- * African Palm Swift, ''Cypsiurus parvus''
- ''Tachymarptis''
- * 흰배칼새, ''Tachymarptis melba''
- ''Apus''
- * Mottled Swift, ''Apus aequatorialis''
- * Alexander's Swift, ''Apus alexandri''
- * 검은등칼새, ''Apus apus''
- * Plain Swift, ''Apus unicolor''
- * Nyanza Swift, ''Apus niansae''
- * Pallid Swift, ''Apus pallidus''
- * African Swift, ''Apus barbatus''
- * Forbes-Watson's Swift, ''Apus berliozi''
- * Bradfield's Swift, ''Apus bradfieldi''
- * Madagascar Swift, ''Apus balstoni''
- * 칼새, ''Apus pacificus''
- * 검은등칼새, ''Apus acuticauda''
- * Little Swift, ''Apus affinis''
- * 쇠칼새, ''Apus nipalensis''
- * Horus Swift, ''Apus horus''
- * White-rumped Swift, ''Apus caffer''
- * Bates' Swift ''Apus batesi''
참조
[1]
논문
Convergent evolution of the tradeoff between egg size and tail fork depth in swallows and swifts
https://onlinelibrar[...]
2018-06-12
[2]
문서
Jobling (2010) pp. 50–51.
[3]
문서
Kaufman (2001) p. 329.
[4]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st swifts and swiftlets: A multi locus approach
[5]
논문
A new Eocene swift-like bird with a peculiar feathering
http://www.senckenbe[...]
2013-10-27
[6]
문서
Chantler & Driessens (2000) pp. 19–20
[7]
뉴스
Supercharged swifts fly fastest
http://news.bbc.co.u[...]
2010-03-02
[8]
서적
Extraordinary Animals: An Encyclopedia of Curious and Unusual Animals
Greenwood Press
[9]
웹사이트
Consider the Swift
https://www.lrb.co.u[...]
2019-08-15
[10]
웹사이트
On Swift Wings
http://www.naturalhi[...]
[11]
서적
Birds of Venezuela – Steven L. Hilty
https://books.google[...]
[12]
웹사이트
Vortex wake and flight kinematics of a swift in cruising flight in a wind tunnel
http://jeb.biologist[...]
[13]
서적
The Firefly Encyclopedia of Birds
Firefly Books
[14]
서적
Encyclopaedia of Animals: Birds
Merehurst Press
[15]
논문
The breeding biology of the Swift Apus apus
[16]
논문
Why some birds take so long to hatch
[17]
서적
Pete Dunne's essential field guide companion
https://www.worldcat[...]
Houghton Mifflin Co
2006
[18]
웹사이트
Apodidae
http://www.hbw.com/f[...]
Lynx Edicions
2013-09-10
[19]
웹사이트
Apodidae
http://www.birdlife.[...]
BirdLife International
2013-10-27
[20]
논문
Problems in the harvest of edible birds' nests in Sarawak and Sabah, Malaysian Borneo
[21]
논문
Chronicle of a Foreseeable Tragedy: Birds' Nests Management in the Niah Caves (Sarawak)
[22]
논문
Characterization of the edible bird's nest the Caviar of the East
[23]
서적
The Bird Almana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