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갈은 판관기에 두 번 언급되는 인물로, 에훗 다음으로 이스라엘의 사사가 되어 소몰이 막대기로 블레셋인 600명을 쳐죽여 이스라엘을 구원했다. 다른 사사들과 달리 짧게 언급되며, 일부 학자들은 삼손 다음에 위치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또한, 다윗 왕의 용사 삼마와 동일 인물이라는 설, 유대교에서 이스라엘을 지배한 외국인으로 해석하는 등 삼갈의 기원과 정체성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성경에서 삼갈은 판관기 3장 31절과 5장 6절에 짧게 언급된다.
에훗 다음으로 사사가 되었다고 기록된 삼갈에 대한 기록은 다른 판관들과 달리 서두나 결론, 평화를 유지한 기간[11] 등이 서술되어 있지 않고, 아주 짧게 그 행적만이 기록되어 있다.[12] 오래된 일부 사본들에서는 삼갈의 이야기가 에훗 다음이 아닌 삼손의 다음에 배치되어 있는데, 맥락을 볼 때 삼갈의 이야기가 원래 삼손의 이야기 직후에 배치되어 있었을 것이라고 추정하는 학자들도 있다.[11][12]
판관기에 따르면, 아낫의 아들 삼갈은 에훗 다음으로 사사가 되었으며, 소몰이 막대로 불레셋인 600명을 쳐죽여 이스라엘 민족을 구원했다.[11] 드보라와 바락의 노래에는 삼갈의 시대에 큰길이 버려지고 사람들이 오솔길로 다녔다는 내용이 나온다.[12]
2. 성경에서의 언급
에훗 다음으로 판관이 된 삼갈은 소몰이 막대로 불레셋인 600명을 쳐죽여 이스라엘 민족을 구원하였다고 한다.[11] 드보라와 바락의 노래에서는 삼갈의 시대에 큰길은 버려졌고 오솔길로 사람들이 다녔다고 한다.[11]
다른 판관들과 달리 삼갈에 대해서는 서두나 결론, 평화를 유지한 기간[11] 등이 서술되어 있지 않고, 아주 짧게 그 행적만이 기록되어 있다.[12] 오래된 일부 사본들에서는 삼갈의 이야기가 에훗 다음이 아닌 삼손의 다음에 배치되어 있는데, 학자들은 맥락을 볼 때 삼갈의 이야기가 원래 삼손의 이야기 직후에 배치되어 있었을 것이라고 추정하기도 한다.[11][12]
삼갈의 행적은 사무엘하 23장 11절에 등장하는 아게의 아들 삼마와도 비슷하다는 지적이 있다. 삼마는 다윗 왕의 삼십 용사들 중 한 명이다.[13] 일각에서는 삼마와 삼갈이 동일인물이며, 드보라와 바락의 노래에 등장하기 때문에 드보라의 이야기 직전에 의도적으로 배치하였고, 삼마에 대한 전승에 드보라의 노래 내용을 섞어서 기록한 것이라는 해석도 제기된다.[12]
반면 유대교에서는 삼갈을 이스라엘 민족의 정당한 지배자가 아니라, 이스라엘 민족을 지배한 외국인으로 해석하기도 한다.[12] 이러한 해석은 그 이름에서 기인한다. 히타이트 카르케미시의 왕들 중 한 명인 상가라와 삼갈이라는 이름이 비슷하고, 아낫의 아들은 당시 가나안 지역에서 숭배하던 여신인 아나트의 아들이라는 뜻으로 고귀한 혈통을 나타내는 일반적 표현이라는 것이다.[12][11] 실제로 여호수아기에 등장하는 베다낫, 아나돗의 어원도 아나트로 보기도 한다.
2. 1. 판관기 3장 31절
에훗의 뒤를 이어 이스라엘의 판관이 된 삼갈은 소몰이 막대로 블레셋 사람 600명을 죽이고 이스라엘을 구원했다는 내용이 판관기 3장 31절에 기록되어 있다.[11]
2. 2. 판관기 5장 6절
드보라와 바락의 노래에서 삼갈은 과거의 통치자 중 한 명으로 언급된다. 삼갈의 시대에는 큰길이 버려졌고, 사람들은 오솔길로 다녔다고 한다.[11]
3. 다른 판관들과의 차이점
삼갈의 행적은 사무엘하 23장 11절에 등장하는 아게의 아들 삼마와도 비슷하다는 지적이 있다. 삼마는 다윗 왕의 삼십 용사들 중 한 명이다.[13] 삼마와 삼갈이 동일 인물이며, 드보라와 바락의 노래에 등장하기 때문에 드보라의 이야기 직전에 의도적으로 배치하였고, 삼마에 대한 전승에 드보라의 노래 내용을 섞어서 기록한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12]
반면 유대교에서는 삼갈을 이스라엘 민족의 정당한 지배자보다, 이스라엘 민족을 지배한 외국인이라는 해석도 존재한다.[12] 이러한 해석은 그 이름에서 기인한다. 히타이트 카르케미시의 왕들 중 한 명인 상가라와 삼갈이라는 이름이 비슷하고, 아낫의 아들은 당시 가나안 지역에서 숭배하던 여신인 아나트의 아들이라는 뜻으로 고귀한 혈통을 나타내는 일반적 표현이라는 것이 그 주장이다.[12][11] 실제로 여호수아기에 등장하는 베다낫, 아나돗의 어원도 아나트로 보기도 한다.
4. 삼갈의 기원과 정체성에 대한 논란
다른 판관들과 달리 삼갈에 대해서는 서두나 결론, 평화 유지 기간[11] 등이 기록되지 않았고, 행적만 짧게 언급된다.[12] 일부 오래된 사본에는 삼갈의 이야기가 에훗 다음이 아닌 삼손 다음에 배치되어 있어, 원래 삼손 이야기 직후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기도 한다.[11][12]
삼갈의 이름과 출신에 대해서는 여러 해석이 존재한다.
4. 1. 이스라엘의 구원자라는 견해
대다수의 한국 개신교계에서는 삼갈을 블레셋으로부터 이스라엘 민족을 구원한 영웅적인 판관으로 본다. 판관기 3장 31절에는 삼갈이 에훗 다음으로 사사가 되었으며, 소몰이 막대로 블레셋인 600명을 쳐죽여 이스라엘 민족을 구원했다고 기록되어 있다.[11] 판관기 5장 6절의 드보라와 바락의 노래에서는 삼갈의 시대에 큰길이 버려지고 사람들이 오솔길로 다녔다고 언급된다.[12]
다른 판관들과 달리 삼갈에 대한 이야기는 서두나 결론, 평화 유지 기간 등이 서술되지 않고, 그의 행적만이 짧게 기록되어 있다.[11][12] 일부 학자들은 오래된 사본에서 삼갈의 이야기가 에훗 다음이 아닌 삼손 다음에 배치된 것을 근거로, 원래 삼갈의 이야기가 삼손 직후에 있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11][12]
삼갈의 행적은 사무엘하 23장 11절에 등장하는, 다윗 왕의 삼십 용사 중 한 명인 아게의 아들 삼마와 비슷하다는 지적도 있다.[13] 일각에서는 삼마와 삼갈이 동일인물이며, 드보라와 바락의 노래에 등장하기 때문에 드보라 이야기 직전에 의도적으로 배치되었고, 삼마 전승에 드보라 노래 내용을 섞어 기록했다는 해석도 제기된다.[12]
반면 유대교에서는 삼갈을 이스라엘 민족의 정당한 지배자가 아닌, 이스라엘을 지배한 외국인으로 보는 해석도 있다.[12] 이는 히타이트 카르케미시 왕들 중 한 명인 상가라와 삼갈의 이름이 비슷하고, '아낫의 아들'은 당시 가나안 지역에서 숭배하던 여신 아나트의 아들이라는 뜻으로 고귀한 혈통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표현이라는 주장에 근거한다.[12][11] 여호수아기에 등장하는 베다낫, 아나돗의 어원도 아나트로 추정되기도 한다.
4. 2. 이방인 통치자라는 견해
삼갈의 이름은 히타이트 카르케미시의 왕들 중 한 명인 상가라와 비슷하고, '아낫의 아들'은 당시 가나안 지역에서 숭배하던 여신인 아나트의 아들이라는 뜻으로 고귀한 혈통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표현이라는 주장이 있다.[12][11] 실제로 여호수아기에 등장하는 베다낫, 아나돗의 어원도 아나트로 보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유대교에서는 삼갈을 이스라엘 민족의 정당한 지배자라기보다 이스라엘 민족을 지배한 외국인으로 해석하기도 한다.[12]
4. 3. 다윗 왕의 용사 삼마와의 동일인물설
사무엘하 23장 11절에 등장하는 다윗 왕의 삼십 용사 중 한 명인 아게의 아들 삼마와 삼갈이 동일인물이라는 주장이 있다.[13] 삼마와 삼갈의 행적이 비슷하며, 드보라와 바락의 노래에 등장하기 때문에 드보라의 이야기 직전에 의도적으로 배치하였고, 삼마에 대한 전승에 드보라의 노래 내용을 섞어서 기록한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12]
참조
[1]
bibleverse
Judges 3:31
[2]
bibleverse
Judges 5:6
[3]
서적
Peake's Commentary on the Bible
[4]
웹사이트
Shamgar {{!}}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2024-08-10
[5]
bibleverse
Judges 4
[6]
JewishEncyclopedia
Shamgar
http://www.jewishenc[...]
[7]
서적
All the People in the Bible: An A-Z Guide to the Saints, Scoundrels, and Other Characters in Scripture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008-05-13
[8]
서적
Judges 1: A Commentary on Judges 1:1 Ð 10:5
https://books.google[...]
Fortress Press
2022-07-29
[9]
서적
New Inscriptions and Seals Relating to the Biblical World
https://books.google[...]
Society of Biblical Lit.
2022-07-29
[10]
서적
Judges 1: A Commentary on Judges 1:1 Ð 10:5
https://books.google[...]
Fortress Press
2022-07-29
[11]
서적
Peake's Commentary on the Bible
[12]
JewishEncyclopedia
Shamgar
http://www.jewishenc[...]
[13]
서적
All the People in the Bible: An A-Z Guide to the Saints, Scoundrels, and Other Characters in Scripture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008-05-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