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여호수아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호수아기는 야훼의 지시로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 땅을 정복하고 정착하는 과정을 기록한 성경의 한 권이다. 역사적 배경에 대한 학계의 다양한 견해와 함께, 가나안 정복 과정에서 발생한 신학적, 윤리적 문제들을 다룬다. 주요 내용으로는 가나안 정복, 땅 분배, 세겜 언약 등이 있으며, 순종과 불순종, 약속의 성취, 언약 공동체라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비임 - 이사야서
    이사야서는 기원전 8세기 예언자 이사야의 활동과 그 이후 시대에 기록된 구약성경 예언서로, 유다 왕국의 상황을 반영하며 유일신 신앙, 사회적 정의, 고난받는 종의 모습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예언으로 해석되어 기독교 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네비임 - 열왕기
    열왕기는 다윗 왕조의 계승과 이스라엘 왕국의 역사를 다루며, 솔로몬의 통치, 엘리야와 엘리사의 활동, 남유다 왕국의 멸망을 통해 하나님의 약속과 심판을 보여주는 성경의 한 부분이다.
  • 여호수아기 - 라합
    라합은 성경에 등장하는 여리고의 여인으로, 이스라엘 정탐꾼을 숨겨주고 가족과 함께 생명을 구원받았으며, 예수의 조상 중 한 명으로 언급되기도 한다.
  • 여호수아기 - 데라
    데라는 성경에 등장하는 인물로 아브라함의 아버지이며, 갈대아 우르를 떠나 하란에 머물다 205세에 사망했고, 종교적 전통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 기원전 7세기 책 - 레위기
    레위기는 토라의 세 번째 책으로, 이스라엘 제사장 레위인의 직무와 관련된 율법을 상세히 다루며, 제사 의식과 이스라엘 백성의 거룩한 삶을 위한 규례를 포함하고, 특히 거룩함을 강조하는 핵심 경전이다.
  • 기원전 7세기 책 - 열왕기
    열왕기는 다윗 왕조의 계승과 이스라엘 왕국의 역사를 다루며, 솔로몬의 통치, 엘리야와 엘리사의 활동, 남유다 왕국의 멸망을 통해 하나님의 약속과 심판을 보여주는 성경의 한 부분이다.
여호수아기
성경 정보
이름요슈아기
히브리어 이름סֵפֶר יְהוֹשֻׁעַ
히브리어 음역Sefer Yəhōšūaʿ
그리스어 이름Ιησούς του Ναυή
라틴어 이름Liber Iosue
구분구약성경
순서6번째
부분네비임 (선지서) - 역사서
내용 개요
주요 내용이스라엘 민족의 가나안 정복과 정착
주제야훼이스라엘에 대한 약속 이행, 순종과 불순종의 결과
저작 정보
전통적인 저자여호수아 (일부 구절 제외)
현대 학계 견해여러 저자에 의해 편집됨, 기원전 7세기 이후 최종 형태
역사적 논쟁
역사적 정확성학계에서 논쟁 중, 고고학적 증거와 불일치 주장 존재
현대 학계 평가역사적 가치가 낮으며, 후대의 역사적 시각 반영
기타 정보
관련 문서사무엘기, 열왕기

2. 역사적 배경

여호수아기는 기원전 13세기경을 배경으로 하며, 당시 북부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는 강력한 통치 체제가 없어 힘의 공백 상태였다. 전통적으로 이 책은 여호수아가 주로 기록하고(여호수아 24장 26절), 그의 사후 기록은 아론의 아들 엘르아살과 엘르아살의 아들 비느하스가 작성했다고 전해진다.[89]

성서학자들은 모세 오경에 여호수아기를 더해 "육서"로 보고 J, E, D, P 등의 자료로 구성되었다고 보기도 하지만, M. 노트 등은 신명기와 여호수기가 모두 D자료(신명기 자료)에 해당한다고 주장한다.[90]

1952년부터 1957년까지 캐슬린 M. 케니언 등의 고고학적 발굴 결과, 여리고 성벽 붕괴는 기원전 3000년기에 일어난 사건이며, 여호수아가 여리고에 도착했을 때는 이미 폐허였다는 사실이 밝혀졌다.[91] 따라서 여호수아기 6장의 여리고 함락 이야기는 역사적 사실이 아닌, 원인담으로 나중에(2~7장 이야기) 창작된 것으로 보인다.[92] 10장에 나오는 해와 달이 멈춘 사건도 가나안 민간 설화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 추정된다.[93]

2. 1. 가나안 정복의 신학적, 윤리적 문제

여호수아기는 이스라엘 사회에서 정치적으로 민감한 문제인 이스라엘 땅의 정복과 정착을 다룬다.[84] 이스라엘의 성서학자 레아 마조르는 여호수아기의 역사를 분석하고, 좁은 아량의 존경, 당혹감과 침묵, 쓰라리고 신랄한 비판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고 극단적인 반응으로 표현되는 복잡한 참조 체계를 밝혀냈다.[84] 여호수아기의 지위 변화는 이스라엘 사회가 문화 유산, 역사, 시오니즘, 정체성을 재정의해야 할 필요성에 대해 지속적으로 대화하는 것을 보여준다.

다비드 벤구리온은 여호수아의 전쟁 이야기를 공통의 적 아랍인에 맞서 이스라엘 국가를 통합하는 이상적인 신화적 기반으로 여겼다. 그는 성서학자 쉬마리야후 탈몬 등 정치인 및 학자들과 만나 여호수아의 정복에 대해 논의했고, 나중에 회의록을 책으로 출판했다. 벤구리온의 집에서 열린 강연에서 고고학자 이가엘 야딘하솔, 벧엘, 라기스의 정복을 지적하며 이스라엘 군사 작전의 역사성을 주장했다. 팔레스타인인 작가 누르 마살하는 시오니즘이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그 결과 이스라엘 국가가 건국됨)을 여호수아를 근거로 한 땅의 "기적적인" 정화로, 팔레스타인인 추방의 근거로 성경을 제시했다고 주장했다.

정복에 대한 성경적 서술은 시오니즘에 대한 비판의 도구로 사용되어 왔다. 예를 들어, 마이클 프라이어는 여호수아의 작전을 "식민지 사업" (시오니즘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을 지지하는 데 사용한 것을 비판하며, 이는 인종 청소를 정당화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85] 그는 팔레스타인인에 대한 학대를 더욱 도덕적으로 용인하기 위해 성경을 사용했다고 주장한다.[85] 교육부 장관으로 재임했던 이스라엘 좌파 정치인 슐라미트 알로니는 예언서에서 발견되는 인간적이고 보편적인 원칙의 부차성과 대조적으로 여호수아기가 교육 과정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에 대해 자주 불만을 표했다. 그녀의 성경 연구 프로그램 변경 시도는 실패했다.[88]

2. 2. 가나안 정복 이론

벤자민 웨스트가 1800년에 그린 그림, ''언약의 궤와 함께 요단강을 건너는 여호수아


여호수아서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 및 내용은 야훼의 땅에 입성하여 지파별로 기업을 분배하는 것이다. 평화적인 이주와 내부 혁명 세력과의 연대를 기록하고 있다.

# 평화적 이주 - 주변의 거주민들과 협약을 체결[6]

# 약속의 땅 도시국가의 지배층에 대해 불만을 가지고 있는 내부 혁명 세력과 연대함으로 입성[7] [8]

3. 주요 내용

여호수아기는 야훼의 자식들이 야훼의 지도를 받아 야훼의 땅에 들어가 정착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이스라엘 백성은 야훼의 인도 아래 가나안 땅을 분배받았다.

모세가 죽은 후, 하나님은 여호수아에게 요단강을 건너라고 명령했고, 여호수아는 백성에게 준비를 촉구한다.[97] 여리고로 두 명의 정찰병이 파견되었고, 라합의 도움으로 정탐꾼들은 무사히 돌아온다.[98]

사흘째 되는 날, 언약궤를 든 제사장들이 요단강으로 들어가자 강 상류에서 물이 막혀 요단강이 마르고, 모두가 강을 건넌다.[99] 하나님은 길갈에 기념비를 세우라고 명했고, 여호수아는 길갈과 요단강에 기념비를 세운다. 백성은 여호수아가 모세의 후계자임을 인정하게 된다.[101] 하나님은 백성에게 할례를 행하라고 여호수아에게 명했고,[102] 백성은 길갈에서 유월절을 지킨다.[103] 유월절 다음 날, 만나의 공급이 끝난다.[104] 여호수아는 "주님의 군대 장관"의 명령에 따라 신발을 벗는다.[105]

땅 분배는 각 지파별 소유, 레위 지파가 다른 지파와 함께 거주하는 과정 등을 포함한다. 이 과정에서 야훼의 담대함, 평등한 관계, 믿음, 평화를 위한 노력, 언약적 약속 등이 중요한 주제로 나타난다.

여호수아는 모든 이스라엘 백성을 세겜에 모아 하나님의 말씀을 전했다.[140] 백성은 야훼를 계속 섬길 것을 맹세했고, 그 증거로 큰 돌이 세워졌다.[141]

3. 1. 가나안 정복 (1-12장)

모세가 죽은 후, 하나님은 여호수아에게 요단강을 건너라고 명령하신다. 여호수아는 백성에게 준비를 촉구한다[97]。여리고로 두 명의 정찰병이 파견된다. 여리고 왕은 정찰병을 잡으려 하지만, 기생 라합은 정찰병들을 숨겨주고 자신과 친족의 안전을 보장해 달라고 간청한다. 정찰병들은 라합에게 몸을 지키는 방법을 알려주고, 여호수아에게 돌아가 보고한다[98]

''The Ark Passes Over the Jordan'' (c. 1896–1902, 제임스 티소의 수채화)


사흘째 되는 날, 여호수아는 요단강 앞에서 진을 친다. 그 다음 날, 하나님의 명령대로 언약궤를 든 제사장들을 요단강으로 들어가게 한다. 강 상류에서 물이 막혀 요단강이 마르고, 모두가 강을 건넌다[99]

하나님은 길갈에 기념비를 세우라고 명한다. 여호수아는 길갈과 요단강에 제사장들이 서 있던 곳에 각각 기념비를 세운다. 백성은 여호수아가 모세의 후계자임을 인정하게 된다[101]。하나님은 백성에게 할례를 행하라고 여호수아에게 명한다[102]。백성은 길갈에서 유월절을 지킨다[103]。유월절 다음 날, 만나의 공급이 끝난다[104]。여호수아는 거룩한 곳으로 발을 들여놓았고, 신발을 벗으라는 "주님의 군대 장관"의 명령을 받는다[105]

여호수아는 여리고 전투와 아이 성 전투에서 승리한 후, 가나안 북부의 에발 산에 야훼를 위한 제단을 짓고, 언약을 갱신하는 의식을 거행했는데, 이는 메소포타미아에서 알려진 신성한 토지 증여 의식과 유사하다.[8]

12장은 요단강 양쪽에 있는 정복된 왕들을 열거한다. 모세의 지도하에 정복된 요단강 동쪽에 살았던 두 왕(여호수아 12:1–6; cf. 민수기 21)과 여호수아의 지도하에 정복된 요단강 서쪽에 살았던 31명의 왕(여호수아 12:7–24)이 기록되어 있다.

요단강 서쪽의 왕
예루살렘 왕 한 명, 헤브론 왕 한 명
야르뭇 왕 한 명, 라기스 왕 한 명 (여호수아 12:10–11)


3. 1. 1. 여리고와 아이 성 전투

이스라엘 백성은 언약궤와 함께 하나님의 기적적인 개입을 통해 요단강을 건너고, 길갈(기브아 할랄롯으로 번역됨, '포피의 언덕')에서 할례를 받는다. 길갈은 "할례 언덕"으로 개명되었다. '길갈'은 "내가 제거했다"는 뜻의 '갈로티'와 발음이 비슷하지만, "선 돌의 원"으로 번역될 가능성이 더 높다.[101] 정복은 여리고 전투로 시작되었고, 그 다음 아이 (가나안 중부)가 이어진 후 여호수아는 가나안 북부의 에발 산에 야훼를 위한 제단을 짓고, 언약을 갱신하는 의식을 거행했는데, 이는 메소포타미아에서 알려진 신성한 토지 증여 의식과 유사하다.[8]

이야기는 남쪽으로 전환된다. 기브온 사람들은 자신들이 가나안 사람이 아니라고 말하며 이스라엘 백성을 속여 그들과 동맹을 맺게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 백성은 그들을 노예로 삼아 동맹을 유지하기로 결정한다.[113] 아모리인 왕국들의 연합은 예루살렘의 가나안 왕이 이끄는데, 기브온 사람들을 공격하지만, 야훼의 기적적인 도움으로 을 멈추게 하고 큰 우박을 쏟아지게 하여 패배한다(여호수아 10:10–14).[115] 적 왕들은 결국 나무에 매달렸다. 신명기 역사의 저자는 당시 최근에 일어난 앗시리아 왕 산헤립의 기원전 701년 유다 왕국 원정을 모델로 사용했을 수 있다; 포로로 잡힌 왕들을 매달아 놓는 것은 기원전 8세기 아시리아의 관행에 따른 것이다.[10]

여호수아는 여리고 전투에서 승리하지만, 아간이 여리고의 전리품을 숨겨둔 죄[107] 때문에 아이 성 전투에서 패배한다.[108] 하나님은 여호수아에게 여리고의 전리품을 숨겨둔 자가 있음을 알려주시고,[109] 아간이 지목되어 죄를 인정한다. 아간과 그의 가족, 소유 가축까지 돌로 쳐 죽임을 당한다.[110] 이후 여호수아는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아이 성을 함락하고 주민들을 모두 죽인다.[111]

3. 1. 2. 기브온 족속과의 조약

기브온 사람들은 자신들이 가나안 사람이 아니라고 속여 이스라엘 백성과 동맹을 맺는다. 이스라엘 백성은 기브온 사람들을 노예로 삼아 동맹을 유지하기로 결정한다.[10] 아모리인 왕국 연합은 예루살렘의 가나안 왕이 이끄는데, 기브온 사람들을 공격하지만, 야훼의 기적적인 도움으로 을 멈추게 하고 큰 우박을 쏟아지게 하여 물리친다(여호수아 10:10-14).[10]

기브온 주변에 사는 히위 사람들은 이스라엘 사람들을 속여 협정을 맺고 죽임을 면한다. 그러나 그 책략은 곧 발각되고, 그들은 제단의 "나무 패는 자와 물 긷는 자"로서 이스라엘 사람들을 섬기게 된다.[113] 아모리인의 다섯 왕이 기브온을 공격하자, 기브온 사람들은 여호수아에게 도움을 요청한다.[114] 이스라엘 사람들은 밤새 행군하여 아모리인을 기습하고, 도망치는 아모리인을 우박이 덮친다. 여호수아가 해와 달에게 명령하자, 해와 달은 "하루 종일" 멈춘다.[115]

3. 1. 3. 남부와 북부 가나안 정복

이스라엘 백성은 언약궤와 함께 하나님의 기적적인 개입을 통해 요단강을 건너고, 길갈(기브아 할랄롯으로 번역됨, '포피의 언덕')에서 할례를 받는다. 길갈은 "할례 언덕"으로 개명되었다. '길갈'은 "내가 제거했다"는 뜻의 '갈로티'와 발음이 비슷하지만, "선 돌의 원"으로 번역될 가능성이 더 높다.[8] 정복은 여리고 전투로 시작되었고, 그 다음 아이 (가나안 중부)가 이어진 후 여호수아는 가나안 북부의 에발 산에 야훼를 위한 제단을 짓고, 언약을 갱신하는 의식을 거행했는데, 이는 메소포타미아에서 알려진 신성한 토지 증여 의식과 유사하다.[8]

이야기는 남쪽으로 전환된다. 기브온 사람들은 자신들이 가나안 사람이 아니라고 말하며 이스라엘 백성을 속여 그들과 동맹을 맺게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 백성은 그들을 노예로 삼아 동맹을 유지하기로 결정한다. 아모리인 왕국들의 연합은 예루살렘의 가나안 왕이 이끄는데, 기브온 사람들을 공격하지만, 야훼의 기적적인 도움으로 을 멈추게 하고 큰 우박을 쏟아지게 하여 패배한다(여호수아 10:10–14). 적 왕들은 결국 나무에 매달렸다. 신명기 역사의 저자는 당시 최근에 일어난 앗시리아 왕 산헤립의 기원전 701년 유다 왕국 원정을 모델로 사용했을 수 있다; 포로로 잡힌 왕들을 매달아 놓는 것은 기원전 8세기 아시리아의 관행에 따른 것이다.[10]

남쪽을 정복한 후 이야기는 북부 원정으로 넘어간다. 하솔 왕이 이끄는 강력한 다민족 연합은 야훼의 도움으로 메롬 물가 전투에서 패배한다. 하솔 자체도 함락되어 파괴되었다. 11:16–23절은 정복의 범위를 요약한다. 여호수아는 거의 전적으로 군사적 승리를 통해 온 땅을 차지했고, 기브온 사람들만이 이스라엘과 평화로운 조건을 받아들였다. 그 후 땅은 "전쟁에서 평화를 얻었다"(여호수아 11:23, 14:15에서 반복).

기브온 주변에 사는 히위 사람들은 쳐들어온 이스라엘 사람들을 속여 협정을 맺는 데 성공하여 죽임을 면한다. 그러나 그 책략은 곧 발각되고, 그들은 제단의 "나무 패는 자와 물 긷는 자"로서 이스라엘 사람들을 섬기게 된다.[113] 아모리인의 다섯 왕"이 기브온을 공격하고, 기브온 사람들은 여호수아에게 도움을 요청한다.[114] 이스라엘 사람들은 밤새 행군하여 아모리인을 기습한다. 도망치는 아모리인을 우박이 덮친다. 여호수아가 해와 달에게 명령하자, 해와 달은 "하루 종일" 멈춘다. 다섯 왕은 포로가 되어 처형된다.[115] 여호수아는 요단강 서쪽 해안의 도시 길갈에서 지중해 연안의 도시 가사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그 남쪽에 펼쳐진 광야에 이르기까지 지역에 흩어져 있는 여러 도시들을 멸망시키고 가축 등을 빼앗는다.[116] 하솔 왕 야빈을 맹주로 하는 대군이 메롬 물가에 집결한다. 여호수아는 이들을 기습하여, 도망치는 적을 추격하여 전멸시킨다. 여호수아는 하솔을 멸망시키고 도시를 불태운다. 또한 다른 도시들도 멸망시키지만, 하솔 이외의 도시는 불태우지 않았다.[117] 북쪽은 헬몬산 기슭의 도시 바알갓에 이르기까지 요단강을 따라 있는 지역을 공략한다.[118]

3. 2. 땅 분배 (13-22장)

여호수아기는 야훼의 자식들이 야훼의 지도를 받아 야훼의 땅에 들어가 정착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이스라엘 백성은 야훼의 인도 아래 가나안 땅을 분배받았다.

땅 분배는 각 지파별 소유, 레위 지파가 다른 지파와 함께 거주하는 과정 등을 포함한다. 이 과정에서 야훼의 담대함, 평등한 관계, 믿음, 평화를 위한 노력, 언약적 약속 등이 중요한 주제로 나타난다.

여호수아 20~21장에 따르면, 이스라엘이 점령한 땅 여섯 곳에 도피성이 세워졌다. 이후 이스라엘 각 지파는 그들이 얻은 기업 내에서 레위인들이 거처할 성읍 48개를 야훼에게 돌려주었다. 야훼를 믿지 않는 이들은 야훼 앞에서 두려움에 떨었으나, 야훼는 그들에게 다시 한번 기회를 주고 함께 할 것을 약속했다.

지파별 토지 분배는 하나님의 지시에 따라 이루어졌다. 요르단 강 동쪽 지파와 서쪽 지파에게 각각 땅이 할당되었고, 도피성과 레위인의 성읍이 지정되었다.[135][136]

3. 2. 1. 요단 강 동쪽과 서쪽 지파

모세가 점령한 요르단 강 동쪽 지역[119]여호수아가 점령한 요르단 강 서쪽 지역, 그리고 왕의 목록이 제시된다.[120] 하나님은 나이 많은 여호수아에게 미정복지를 포함한 요르단 강 서쪽 땅을 아홉 지파와 므낫세 반 지파에게 분배하라고 명령한다.[121] 요르단 강 동쪽 땅을 상속받은 두 지파와 반 지파, 그리고 레위 지파가 상속지를 갖지 않는 이유에 대한 설명이 덧붙여진다. 상속지는 "제비"를 통해 결정되며,[122] 갈렙헤브론의 상속을 요구하여 허락받는다.[123]

이후 유다 지파의 상속지와 갈렙의 헤브론 공략,[124] 므낫세 지파와 에브라임 지파의 상속지, 그리고 상속지가 적다는 불만에 대한 여호수아의 조언이 이어진다.[125] 여호수아는 아직 상속지가 정해지지 않은 일곱 지파에게 미정복지 조사를 명령하고, 그 조사 기록을 바탕으로 땅을 분배한다.[126] 베냐민 지파,[127] 시므온 지파,[128] 스불론 지파,[129] 잇사갈 지파,[130] 아셀 지파,[131] 납달리 지파,[132] 단 지파[133]의 상속지가 차례로 결정된다. 여호수아는 딤낫-세라를 상속지로 받는다.[134]

마지막으로, 하나님은 여호수아에게 도피성을 정하도록 명령하여 여섯 개의 도시가 정해진다.[135] 상속지가 없는 레위 지파에게는 각 지파의 상속지에서 거주를 위한 도시가 주어진다.[136]

3. 2. 2. 레위 지파의 성읍

하나님은 여호수아에게 도피성을 정하도록 명령했고, 그 결과 여섯 개의 도시가 정해졌다.[135] 상속지가 없는 레위 지파에게는 각 지파의 상속지에서 거주할 수 있는 도시들이 주어졌다.[136]

3. 3. 세겜 언약 (23-24장)

여호수아는 모든 이스라엘 백성을 세겜에 모아 하나님의 말씀을 전했다.[140] 백성은 야훼를 계속 섬길 것을 맹세했고, 그 증거로 큰 돌이 세워졌다.[141]

4. 주요 등장인물

여호수아는 모세의 후계자로, 신명기 역사서에는 모세와 유사한 점이 많이 나타난다. יהושע|여호수아he의 주요 유사점은 다음과 같다.[2]

모세여호수아
광야에서 약속의 땅을 정찰하기 위해 정탐꾼을 보냄.[71]여리고 근처 땅을 정찰하도록 정탐꾼을 보냄.[71]
이스라엘 백성을 이집트에서 인도하며 홍해를 마른 땅처럼 건넘.[73]이스라엘 백성을 광야에서 약속의 땅으로 인도하며 요단강을 마른 땅처럼 건넘.[72]
출애굽 직전 유월절을 지킴.[74]요단강을 건넌 후 유월절을 지킴.[74]
불타는 떨기나무에서 신성한 계시를 받음.[75]"여호와의 군대 사령관" 환상을 통해 신성한 계시를 받음.[75]
백성을 벌하지 않도록 하나님을 자주 설득.[76]백성이 헤렘을 완전히 준수하지 못했을 때 이스라엘 백성을 위해 중재.[76]
하나님의 지팡이를 든 손을 뻗어 아말렉 사람들을 물리침.[78]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칼을 뻗어 아이 성 사람들을 물리침.[77]
약속의 땅을 보았지만 들어가지 못하고 늙어서 죽음.[79]이스라엘 백성이 약속의 땅에 정착하기 시작할 때 "늙고 나이가 많았음".[79]
시내산/호렙산에서 백성과 맺은 여호와의 언약의 중재자.[80]세겜에서 여호와와 이스라엘 사이의 갱신된 언약의 중재자.[80]
죽기 전에 이스라엘 백성에게 고별 연설.[82]죽기 전에 이스라엘 백성에게 고별 연설.[81]
120세까지 삶.[79]110세까지 삶.[83]



또한, 신명기 역사서는 여호수아와 요시야 왕 사이의 유사점도 보여준다. 여호수아에 대한 하나님의 명령은 왕의 즉위로 표현되고, 백성의 충성 서약은 왕실 관행을 연상시킨다. 여호수아가 주도한 언약 갱신 의식은 유다 왕들의 특권이었다. 율법책을 밤낮으로 묵상하라는 명령은 율법 연구에 특별한 관심을 가진 요시야 왕과 유사하다. 두 인물은 동일한 영토적 목표를 가졌으며, 요시야는 기원전 609년에 옛 이스라엘을 자신의 유다 왕국에 합병하려다 죽었다.[70]

5. 여호수아서의 메시지

여호수아서는 이스라엘이 하느님이 그들에게 주신 땅에서 야훼를 숭배하는 단일 민족이라는 신명기의 주제를 이어간다.[63] 야훼는 책의 주요 인물로서 땅을 정복하는 데 주도권을 가지며, 야훼의 힘이 전투에서 승리하게 한다. 예를 들어, 예리코의 성벽은 이스라엘인이 뛰어난 전투 능력을 보였기 때문이 아니라 야훼가 이스라엘을 위해 싸웠기 때문에 무너진다.

다비드 벤구리온은 여호수아의 전쟁 이야기를 공통의 적 아랍인에 맞서 이스라엘 국가를 통합하는 이상적인 신화적 기반으로 여겼다. 그는 쉬마리야후 탈몬과 같은 정치인 및 학자들과 만나 여호수아의 정복에 대해 논의했고, 나중에 회의록을 책으로 출판했다. 벤구리온의 집에서 열린 강연에서 고고학자 이가엘 야딘하솔, 벧엘, 라기스의 정복을 지적하며 이스라엘 군사 작전의 역사성을 주장했다.

모든 전쟁은 야훼께 속한 것으로, 야훼의 명령과 그 지시를 따르고 순종해야 승리할 수 있었다. 그 명령과 지시를 어기거나 무시할 경우 패배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므로 이 전투는 침략전이나 약탈전이 아니었다.

5. 1. 순종과 불순종

여호수아서의 끊임없는 주제는 순종과 불순종이다.[69]

순종은 요단강 도하, 여리고와 아이의 정복, 할례유월절, 그리고 율법의 공적인 낭독과 연결된다. 야훼의 말씀을 듣고 그대로 행할 때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었다.

불순종은 아간의 이야기(''헤렘'' 명령을 어긴 죄로 돌로 쳐 죽임), 기브온 사람들, 그리고 요단 강 동쪽 지파들이 세운 제단에서 나타난다. 야훼의 말씀을 듣지 않을 때에는 충분히 이길 수 있는 전투에서도 패하게 되며, 형제들의 죄와 악이 제거되지 않는 한 더 이상 야훼의 전쟁을 진행시켜 나갈 수 없음을 보여준다.

여호수아의 마지막 두 연설은 미래의 이스라엘(이야기의 독자)에게 가장 중요한 명령인 야훼만을 숭배하고 다른 신은 숭배하지 말라는 명령에 순종할 것을 촉구한다. 여호수아는 순종이 성공으로 이끌고 불순종이 파멸로 이끈다는 중심적인 신명기적 메시지를 보여준다.[55]

라합은 이스라엘의 정탐꾼을 살려주고, 여리고 성민의 심리 상태를 전해 준 대가로 구원을 받았다. 그러나 이는 이스라엘 백성이 약속에 대해 믿음을 지킴으로써 구원의 대상이 혈연이나 민족성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모든 전쟁은 야훼께 속한 것으로 야훼의 명령과 그 지시를 따르고 순종해야 승리할 수 있었다. 그 명령과 지시를 어기거나 무시할 경우 패할 수밖에 없었다.

5. 2. 약속의 성취

야훼는 여호수아기의 주요 인물로서 땅을 정복하는 데 주도권을 가지며, 야훼의 힘이 전투에서 승리하게 한다. 예를 들어, 예리코의 성벽은 이스라엘인이 뛰어난 전투 능력을 보였기 때문이 아니라 야훼가 이스라엘을 위해 싸웠기 때문에 무너진다. 이스라엘의 잠재적인 분열은 끊임없이 나타나는 주제이며, 분열의 가장 큰 위협은 요르단강 동쪽의 지파들로부터 온다. 22장 19절은 요르단 강 건너편의 땅이 부정한 곳이며 거기에 사는 지파들이 부차적인 지위를 가지고 있음을 암시하기까지 한다.

여호수아서의 내용은 야훼의 자녀들의 이주 및 정착에 관한 것이다. 이주는 어떠한 방법도 아닌 야훼가 그들의 선조들과 맺으셨던 언약의 성취이며, 야훼 약속의 이행의 결과로 얻게 된 것임을 강조한다. 야훼의 땅에서 안주하려면 야훼에 대한 신앙과 야훼가 가족들에게 야훼를 통해 주신 계약을 지킴으로써만 가능하며, 동시에 새로이 서약한 야훼 계명에 대해 진실성을 상실하지 않아야 함을 강조한다.

모든 야훼의 자식은 야훼가 함께 하심을 믿고 다같이 기도해야 한다. 즉, 기도가 군사적 숫자나 전술이나 전략이 아닌 철저한 야훼의 믿음에 기인한 것이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라합은 이스라엘의 정탐꾼을 살려주고, 여리고 성민의 심리 상태를 전해 준 대가로서 구원을 받았다. 그러나 이는 이스라엘 백성이 약속에 대해 믿음을 지킴으로써 구원의 대상이 어떤 혈연성이나 민족성에 한하여 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야훼를 믿고 구원을 얻게 되는 것은 육정으로나 혈통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야훼로 말미암아 주어지는 구원의 은총을 받아들이려는 마음을 갖고 새로운 삶을 살아가려는 결단과 선택을 자신이 받아들일 경우 지금도 그 구원의 역사가 진행될 수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여호수아 9 : 1~2의 내용에 따르면 “야훼를 믿은 자 만이 인간과 똑같은 형상으로 함께 살 수 있다”, “야훼의 땅 안에 함께 살 수있다” 라는 질문이 제기 되지만, 그 약속은 야훼의 이름으로 체결된 것이므로 파기 할 수 없다.

모든 전쟁은 야훼께 속한 것으로 야훼의 명령과 그 지시를 따르고 순종해야 승리를 할 수 있었다. 그 명령과 지시를 어기거나 무시할 경우 패할 수밖에 없는 전쟁이었다. 그러므로 이 전투는 침략전이나 약탈전은 아니었다.

여호수아가 기브온 위에 해를 멈추라고 명령하다 (존 마틴)


예리코 정복 (제임스 티소의 수채화, c. 1896–1902)

5. 3. 언약 공동체

신명기 역사서의 전반적인 신학적 주제는 신실함과 하나님의 자비, 그리고 그 반대인 불신앙과 하나님의 진노이다. 판관기, 사무엘기, 열왕기에서 이스라엘은 불신앙적이 되었고, 하나님은 마침내 당신의 백성을 유배시키는 것으로 당신의 분노를 보이신다.[62] 그러나 여호수아서에서 이스라엘은 순종적이고, 여호수아는 신실하며, 하나님은 그 약속을 이루시어 그들에게 땅을 주신다.[54] 가나안에서의 야훼의 전쟁은 이스라엘이 그 땅을 차지할 자격을 입증하고[63] 이스라엘이 그곳에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모범을 제시한다. 열두 지파는 지정된 지도자와 함께 언약으로 연합하여 전쟁을 수행하고, 야훼만을 숭배하며 단일 성소에서 숭배하며, 신명기에 나오는 모세의 명령에 모두 순종한다.[64]

순종과 불순종은 이 작품의 끊임없는 주제이다.[69] 순종은 요단 강 도하, 여리고와 아이의 정복, 할례와 유월절, 그리고 율법의 공적인 낭독과 연결된다. 불순종은 아간의 이야기(''헤렘'' 명령을 어긴 죄로 돌로 쳐 죽임), 기브온 사람들, 그리고 요단 강 동쪽 지파들이 세운 제단에서 나타난다. 여호수아의 마지막 두 연설은 미래의 이스라엘(이야기의 독자)에게 가장 중요한 명령인 야훼만을 숭배하고 다른 신은 숭배하지 말라는 명령에 순종할 것을 촉구한다. 여호수아는 순종이 성공으로 이끌고 불순종이 파멸로 이끈다는 중심적인 신명기적 메시지를 보여준다.[55]

참조

[1] 서적 The Tiberian Pronunciation Tradition of Biblical Hebrew, Volume 1. Open Book Publishers
[2] 서적 Reconstructing the Society of Ancient Israel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3] 서적 The Harper Collins Bible Dictionary Harper San Francisco
[4] 서적 Joshua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5] 서적 Ritual Violence in the Hebrew Bib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6] 성경 Joshua 1:1
[7] 서적 Israel Constructs its History: Deuteronomistic Historiography in Recent Research Sheffield Academic Press
[8] 서적 Eerdmans Commentary on the Bible Eerdmans
[9] 서적 Reading the women of the Bible https://archive.org/[...] Schocken Books 2002
[10] 서적 Ancient Israel and Its Neighbors: Collected Essays https://books.google[...] Eisenbrauns
[11] 서적 Facsimile-atlas to the Early History of Cartography: With Reproductions of the Most Important Maps Printed in the XV and XVI Centuries https://books.google[...] Kraus
[12] 성경 Joshua 13:1
[13] 성경 Joshua 13:8–32; cf. Numbers 32:1–42 (NKJV)
[14] 서적 Jewish Encyclopedia 1906
[15] 서적 Joshua 14 in The Cambridge Bible for Schools and Colleges http://biblehub.c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서적 The Roads and Highways of Ancient Israel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7] 성경 Joshua 18:1–4 (NKJV)
[18] 성경 Joshua 21:1–41 (NKJV), cf. Numbers 35:7 (NKJV)
[19] 서적 Pulpit Commentary Bible Hub
[20] 성경 Joshua 21:43–45
[21] 서적 Notes on the Bible: Joshua 22 http://biblehub.com/[...] Bible Hub
[22] 성경 Joshua 22:3, English Revised Version
[23] 성경 Joshua 22:1–9
[24] 성경 Joshua 23:14
[25] 성경 Joshua 23:11
[26] 성경 Joshua 1:7
[27] 성경 Joshua 23:6
[28] 서적 Commentary on the Holy Bible Robert Carter & Bros.
[29] 성경 Joshua 24:2 (NIV)
[30] 성경 Joshua 24:1–27
[31] 성경 Genesis 12:6
[32] 서적 Pulpit Commentary BibleHub
[33] 성경 Joshua 24:28
[34] 성경 Jerusalem Bible, heading of Joshua 24:29–33
[35] 성경 Joshua 24:29–31
[36] 성경 Joshua 24:32
[37] 성경 Joshua 24:33
[38] 서적 Biblic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Joshua 24 http://biblehub.com/[...] BibleHub
[39] 서적 Eerdmans Dictionary of the Bible Eerdmans
[40] 서적 Joshua https://books.google[...] Eerdmans
[41] 서적 A History of Ancient Israel and Judah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42]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Biblical Studie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43] 서적 Archaeology in the 'Land of Tells and Ruins': A History of Excavations in the Holy Land Inspired by the Photographs and Accounts of Leo Boer https://books.google[...] Oxbow Books 2014-02-28
[44] 학술지 The Israelite Conquest of Canaan in the Light of Archaeology 1939
[45] 학술지 4QJOSHª and the History of Tradition in the Book of Joshua
[46] 학술지 The Date of the Exodus and the Conquest/Settlement: The Case for the 1100S 1992
[47] 서적 How Israel Became a People https://books.google[...] Abingdon 2017-01-26
[48] 학술지 Jericho 1967
[49] 학술지 Some Notes on the History of Jericho in the Second Millennium B.C. 2013
[50] 학술지 Archaeological News and Views: Hazor and the Conquest of Canaan 1955
[51] 웹사이트 The Hazor Excavations Project https://web.archive.[...] unixware.mscc.huji.ac.il 2015-09-03
[52] 학술지 Who Destroyed Canaanite Hazor? https://www.academia[...] 2013-01-01
[53] 뉴스 A 3,400-year-old mystery: Who burned the palace of Canaanite Hatzor http://www.haaretz.c[...] Haaretz
[54] 서적 Joshua, Judges and Ruth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55] 서적 Joshua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56] 웹사이트 The Dead Sea Scrolls – 4Q Joshua https://www.deadseas[...]
[57] 서적 The Rewritten Joshua Scrolls from Qumran: Texts, Translations, and Commentary https://books.google[...] De Gruyter 2014
[58] 웹사이트 Discrepancies in manuscripts show how Old Testament scribes edited the Book of Joshua https://www.helsinki[...] 2018-01-29
[59] 학술지 The septuagint-version of the book of Joshua 2002-01-01
[60] 웹사이트 Scholars search for pages of ancient Hebrew Bible https://www.latimes.[...] 2008-09-28
[61] 웹사이트 The Aleppo Codex https://web.archive.[...] 2020-09-03
[62] 서적 An introductory dictionary of theology and religious studies Liturgical Press
[63] 서적 Oxford Bible Commentar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64] 서적 A Brief 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65] 서적 Deuteronom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6] 서적 Who Were the Early Israelites and Where Did They Come From? https://books.google[...] Eerdmans
[67] 학술지 On Vomiting: Leviticus, Jonah, Ea(a)rth https://www.jstor.or[...] 2012
[68] 학술지 The Authorship of Ezra and Nehemiah in Light of Differences in Their Ideological Background https://www.jstor.or[...] 2018
[69] 서적 Joshua https://books.google[...] Sheffield Academic Press
[70] 서적 The Bible Unearthed https://books.google[...] Free Press
[71] 성경 민수기 13장; 신명기 1:19–25
[72] 성경 출애굽기 3:16
[73] 성경 출애굽기 14:22
[74] 성경 출애굽기 12장
[75] 성경 출애굽기 3:1–6
[76] 성경 출애굽기 32:11–14, 민수기 11:2, 14:13–19
[77] 성경 여호수아 8:18
[78] 성경 출애굽기 17:8–13
[79] 성경 신명기 34:7
[80] 성경 여호수아 8:30–35; 24장
[81] 성경 여호수아 23-24장
[82] 성경 신명기 32-33장
[83] 성경 여호수아 24:29
[84] 서적 הבנת המקרא בימינו: סוגיות בהוראתו, עיונים בחינוך היהודי ט, ירושלים תשס"ד
[85] 학술지 Ethnic Cleansing and the Bible: A Moral Critique 2002
[86] 학술지 The political sacralization of imperial genocide: contextualizing Timothy Dwight's The Conquest of Canaan 2006-12-01
[87] 서적 Palestine and Jewish History: Criticism at the Borders of Ethnograph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96
[88] 웹사이트 The Book of Joshua: Chap. 12 https://www.israelna[...] 2012-01-30
[89] 서적 新聖書辞典 いのちのことば社
[90] 서적 新聖書辞典 いのちのことば社
[91] 서적 聖書大辞典 「エリコ」の項目 教文館
[92] 서적 聖書大辞典 「ヨシュア記」の項目 教文館
[93] 서적 聖書大辞典 教文館
[94] 성경 민수기 14장
[95] 성경 민수기 20:1-13, 신명기 32:48-52
[96] 성경 민수기 32장
[97] 성경 1장
[98] 성경 2장
[99] 성경 3장
[100] 성경 4:12-13
[101] 성경 4장
[102] 성경 5:2-9
[103] 성경 5:10
[104] 성경 5:11-12
[105] 성경 5:13-15
[106] 문서 6장
[107] 문서 7:1
[108] 문서 7:2-9
[109] 문서 7:10-15
[110] 문서 7:16-26
[111] 문서 8:1-29
[112] 문서 8:30-35、『申命記』27章
[113] 문서 9장
[114] 문서 10:1-6
[115] 문서 10:7-27
[116] 문서 10:28-43
[117] 문서 11:1-15
[118] 문서 11:16-23
[119] 문서 12:1-6
[120] 문서 12:7-24
[121] 문서 13:1-7
[122] 문서 13:8-14:5
[123] 문서 14:6-15
[124] 문서 15장
[125] 문서 16-17장
[126] 문서 18:1-10
[127] 문서 18:11-28
[128] 문서 19:1-9
[129] 문서 19:10-16
[130] 문서 19:17-23
[131] 문서 19:24-31
[132] 문서 19:32-39
[133] 문서 19:40-48
[134] 문서 19:49-50
[135] 문서 20장
[136] 문서 21장
[137] 문서 22:1-12
[138] 문서 22:13-34
[139] 문서 23장
[140] 문서 24:1-13
[141] 문서 24:14-28
[142] 문서 24:29-33
[143] 서적 The Harper Collins Bible Dictionary Harper San Francisco
[144] 서적 Biblical Peoples and Ethnicity: An Archaeological Study of Egyptians, Canaanites, and Early Israel, 1300–1100 B.C.E https://books.google[...]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