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환은 춘추 시대 노나라의 세 가문, 즉 계손씨, 숙손씨, 맹손씨를 일컫는 말이다. 이들은 노 환공의 아들들의 후손으로, 노나라 공작가의 가신 가문이었다. 삼환은 노나라에서 막강한 권력을 행사하며 공작의 권위를 약화시켰고, 공자의 시대에 이르러 세 가문 간의 경쟁이 주요 충돌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춘추 시대 말기에는 노 애공이 삼환을 폐위시키려 했으나 실패하고, 그의 후손은 삼환의 꼭두각시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공 - 공자
공자는 기원전 551년에 태어난 유교의 창시자이며, 덕치주의와 사회 질서를 중시하고 인과 예를 통해 사회적 조화를 추구했으며, 동아시아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사공 - 담계 재
주나라 문왕의 아들이자 무왕의 동복 형인 담계 재는 주나라 초기에 심에 봉해졌고, 삼감의 난 평정 후 사공이 되었으며, 그의 후손들이 심씨를 칭하게 되었다. - 중국의 귀족 - 여불위
여불위는 전국 시대 말기 위나라 출신 상인이자 진나라의 정치가로서, 자초를 왕위에 옹립하고 승상이 되었으며 《여씨춘추》 편찬과 '일자천금' 고사로 명성을 얻었으나, 몰락하여 자살했고 진시황의 친부 논란 등 복잡한 면모로 대중문화 작품에서 재해석된다. - 중국의 귀족 - 제후
제후는 고대 중국에서 왕에게 봉토를 받아 통치하는 세습적 수장으로, 동아시아와 유럽의 봉건 제도에서 유래되었으며,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이묘, 귀족 등으로 불렸다.
삼환 | |
---|---|
개요 | |
명칭 | 삼환 (三桓) |
구분 | 계손씨, 맹손씨, 숙손씨 |
위치 | 노나라 |
역사적 배경 | |
기원 | 노 환공의 세 아들 |
삼환의 발호 | 환공의 후손들이 세력을 키워 노나라의 정권을 장악함. 이들은 각각 계손씨, 맹손씨, 숙손씨로 불림. |
영향력 | 노나라의 군주를 허수아비로 만듦. 노나라의 정치, 경제, 군사권을 장악함. |
쇠퇴 | 삼환씨 내부의 권력 다툼과 갈등으로 인해 세력이 약화됨. 계손씨의 권력이 가장 강성해짐. |
종말 | 계손씨가 전씨에 의해 멸망하면서 삼환씨 시대는 종결됨. |
삼환 가문의 구성 | |
계손씨 | 노 환공의 아들 공자 우(公子友)의 후손 맹손씨, 숙손씨와 함께 노나라의 유력 가문 |
맹손씨 | 노 환공의 아들 경보(慶父)의 후손 삼환 중 하나 |
숙손씨 | 노 환공의 아들 숙아(叔牙)의 후손 삼환 중 하나 |
삼환의 활동 | |
권력 장악 | 노나라의 군주를 허수아비로 만들고 국정을 좌지우지함. |
세력 확장 | 자신들의 사병을 거느리고 영지를 확장함. |
문화적 영향 | 노나라의 문화와 풍습에 큰 영향을 미침. |
2. 어원
"伯(Bo)", "孟(Meng)", "仲(Zhong)", "叔(Shu)", "季(Ji)"는 본래 자(字)에서 성인이 된 같은 성씨를 가진 형제들 간의 서열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 기수였다. 장남의 자는 "伯(Bo)"(또는 첩에게서 태어난 경우 "孟(Meng)"), 차남은 "仲(Zhong)", 막내는 "季(Ji)", 그 외는 "叔(Shu)"로 시작했다. 예를 들어, 공자의 자는 중니(仲尼)였다.[1]
노 환공의 네 아들 중 적장자 노 장공이 뒤를 이어 노후가 되었고, 장공의 동복 아우 공자 우와 서장자 공자 경보, 경보의 동복 아우 공자 아는 모두 경이 되었다. 공자 경보와 아는 공자 경보를 장공의 뒤로 삼으려고 했기 때문에 장공의 아들들을 지지한 공자 우에게 각각 주살당했으나, 노나라는 공자 경보의 아들 공손오와 공자 아의 아들 공손자에게 각각 그 아버지의 뒤를 잇게 했다. 노 희공은 자신을 임금 자리에 올린 계우에게 문양과 비 두 땅을 주고 재상으로 삼았다. 공손자는 숙손씨가 되었고, 공손오는 맹손씨가 되었으며, 일찍 죽은 제중무질(계우의 아들)을 대신해 손자 계손행보가 뒤를 잇고 계손씨가 되었다. 이 세 집안이 바로 '''삼환'''이다.[1]
노 환공(기원전 711년 ~ 694년)의 세 아들 경보(慶父), 숙아(叔牙), 계우(季友)는 각각 맹손씨(孟孫氏), 숙손씨(叔孫氏), 계손씨(季孫氏)의 시조가 되었으며, 이들을 삼환(三桓)이라 불렀다. 이들은 노나라의 유력 가문으로 성장하여 노 장공 재위 기간 동안 중요한 관직을 맡으며 상당한 권력을 얻었다.[1]
노 소공, 노 애공은 삼환씨에게 쫓겨나 국외로 망명했고, 노 도공 시기에는 노후가 삼환보다도 낮은 지위에 처했다.[1] 삼환은 주 왕조의 지류인 노나라 공작가의 가신 가문이었다. 이들의 권력은 공작의 후계자 문제로 인한 갈등 과정에서 더욱 강해졌다.
노 환공의 아들들로부터 비롯된 세 가문인 계손씨, 숙손씨, 맹손씨를 삼환이라고 한다. 노 장공은 노나라의 임금이 되었고, 장공의 동복 아우 공자 우와 서장자 공자 경보, 경보의 동복 아우 공자 아는 모두 경이 되었다. 공자 경보와 아는 공자 경보를 장공의 뒤를 이을 임금으로 삼으려고 했기 때문에, 장공의 아들들을 지지한 공자 우에게 각각 주살당했다. 그러나 노나라는 공자 경보의 아들 공손오와 공자 아의 아들 공손자에게 각각 그 아버지의 뒤를 잇게 했다.[1] 노 희공은 자신을 임금 자리에 올린 계우에게 문양과 비 두 땅을 주고 재상으로 삼았다.[1] 공손자는 숙손씨가 되었고, 공손오는 맹손씨가 되었으며, 일찍 죽은 제중무질(계우의 아들)을 대신해 손자 계손행보가 뒤를 잇고 계손씨가 되었다.
삼환(三桓)의 세력이 세습되면서, 노 장공의 형제들의 후손들은 계씨(季氏) 가문의 분파를 구분하기 위해 이 기수를 씨족명으로 사용했다.[1]
3. 성립
세 가문은 주 왕조의 지류인 노나라 공작가의 가신 가문이었다. 노 환공(기원전 711–694년)은 네 아들을 두었다. 본부인 문강의 장남이 계승자가 되어 노 장공이 되었고, 나머지 세 아들인 경부(慶父), 숙아(叔牙), 계우(季友)는 모두 장공 재위 기간 동안 중요한 관리가 되어 국가에서 상당한 권력을 얻었다.
그들의 영향력은 장공의 후계 문제로 인해 공작가 권력을 약화시키게 되었다. 심각한 병을 앓고 있던 공작은 아들 자반을 후계자로 삼고 싶어 했고, 숙아는 경부의 계승을 옹호했지만, 자반을 지지했던 계우에게 독살당했다. 계우의 보호 아래 자반은 공작이 되었지만, 곧 장공의 부인과 공모한 경부에 의해 살해되었다. 계우는 노나라에서 추방되었고, 자반의 동생인 노 민공이 왕위에 올랐다.
기원전 660년, 경부는 민공마저 살해하고 스스로 노나라 공작으로 통치하려 했지만, 여론의 반발에 직면하여 거나라로 도망가야 했다. 이후 계우는 제나라에서 추방된 후 민공의 동생과 함께 돌아왔고, 그는 노 희공으로 통치했다. 경부는 자결해야 했고, 계우는 노나라의 재상이 되었으며, 16년 동안 그 자리를 유지했는데 이는 강력한 제나라의 지원을 확보했기 때문이었다.
노나라 제15대 환공의 아들로 태어난 3형제 경보, 숙아, 계우는 훗날 적형인 제16대 장공의 중신이 되었고, 경보로부터는 '''맹손씨''' ('''중손씨'''), 숙아로부터는 '''숙손씨''', 계우로부터는 '''계손씨'''로 각각 나뉘어 대대로 노나라의 실권을 장악하게 된다. 그중에서도 특히 권력을 극에 달했던 것이 계손씨이다.
4. 발전
장공의 후계 문제를 두고 삼환 간의 갈등이 심화되면서 공실(公室)의 권력은 약화되었다. 병을 앓던 장공은 아들 자반을 후계자로 삼으려 했으나, 숙아는 경보를 옹호했고, 결국 계우가 자반을 지지하며 숙아를 독살했다. 계우의 보호 아래 자반이 공작이 되었지만, 경부가 장공의 부인과 공모하여 자반을 살해했다. 계우는 노나라에서 추방되었고, 자반의 동생인 노 민공이 즉위했다.[1]
기원전 660년, 경부는 민공마저 살해하고 스스로 공작이 되려 했으나 실패하고 거나라로 도망갔다. 이후 계우는 제나라에서 추방된 민공의 동생과 함께 돌아와 노 희공으로 옹립했다. 경부는 자결했고, 계우는 노나라의 재상이 되어 16년간 재직하며 제나라의 지원을 받았다.[1]
삼환 가문은 노 소공, 노 애공을 국외로 쫓아내기도 했으며, 노 도공 시기에는 노후(魯侯)가 삼환보다 낮은 지위에 놓이게 되었다.[1]
공자 시대에 삼환 간의 경쟁은 주요 갈등의 원인이 되었다. 공자의 제자 염옹, 염구, 자로는 계손씨의 신하였고, 공자 자신은 노 정공의 재상인 계환자의 부하였다. 노나라는 반란군에 의해 거의 멸망할 뻔했고, 공자는 삼환을 약화시키고 통치자의 지위를 강화하는 데 참여했다고 전해지지만, 기원전 497년에 노나라에서 추방되어 기원전 484년까지 망명 생활을 했다.[1]
춘추 시대 말기, 노 애공은 자신의 군대를 통제하지 못하고 월나라와 비밀리에 협상하여 삼환을 제거하고 공작에게 권력을 되돌려주려 했다. 그러나 음모가 발각되어 애공은 국외로 도망갔고, 그의 아들 노 도공이 뒤를 이었지만 삼환의 꼭두각시로 남았다.[1]
제22대 양공의 아들인 제23대 소공은 기원전 517년에 계손씨 당주 계손의여를 공격했지만, 삼환씨의 군사력에 굴복하여 국외로 추방되었다. 제24대 정공 8년인 기원전 502년에는 계손씨의 가신 양호가 반란을 일으켰지만 실패하고 국외로 추방되었다.[1]
기원전 498년 (정공 12년), 계손씨의 재상 자로는 삼환의 거성을 파괴하려 했으나 실패했다.[1]
정공 다음의 애공은 삼환씨를 제거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노나라에서 추방되어 월나라 땅에서 사망했다. 이후 삼환씨는 도공을 세웠지만, 노공의 권력은 극도로 약해져 있었다.[1]
5. 쇠퇴
기원전 517년, 소공이 계손의여를 공격했지만, 삼환씨의 군사력에 굴복하여 국외로 추방되었다. 기원전 502년에는 계손씨의 가신 양호가 반란을 일으켰지만 실패하고 국외로 추방되었다.
기원전 498년, 계손씨의 재상 자로는 삼환의 거성 파괴를 명했으나 실패했다.[1]
애공은 삼환씨를 제거하려 했으나 실패하여 월나라로 망명하여 그곳에서 사망했다. 이후 삼환씨는 도공을 옹립했지만, 노공의 권력은 극도로 약해져 있었다.
6. 삼환 가계도
6. 1. 계손씨
노 환공의 아들들로부터 비롯된 세 가문 중 하나로, 계우가 시조이다. 노 희공은 자신을 임금 자리에 올린 계우에게 문양과 비 두 땅을 주고 재상으로 삼았다. 공손자의 숙손씨, 공손오의 맹손씨와 함께 삼환이 되었다.[1] 계손씨의 계보는 다음과 같다.
이름 | 비고 |
---|---|
계우 (성계) | |
계손행보 (계문자) | |
계손숙 (계무자) | |
계손골 (계도자) | |
계손의여 (계평자) | 영화 《공자》에 등장한다. |
계손사 (계환자) | |
계손비 (계강자) | |
계손타 (계선자) | |
계손거 (계의자) | |
계손강 (계소자) |
6. 2. 숙손씨
노 환공의 아들 중 노 장공의 서장자 공자 경보의 아들 공손오는 맹손씨가 되었고, 공자 아의 아들 공손자는 숙손씨가 되었다. 노 희공은 계우에게 문양과 비 두 땅을 주고 재상으로 삼았다. 이 세 집안이 바로 '''삼환'''이다. 숙손씨의 계보는 다음과 같다.[1]이름 | 비고 |
---|---|
숙아 (희숙) | |
공손자 (숙손대백) | |
숙손득신 (숙손장숙) | |
숙손교여 (숙손선백) | |
숙손표 (숙손목자) | |
숙손약 (숙손소자) | |
숙손불감 (숙손성자) | |
숙손주구 (숙손무숙) | |
숙손서 (숙손문자) |
6. 3. 맹손씨
노 환공의 아들들 중 노 장공이 노나라의 임금이 되었고, 장공의 동복 아우 공자 우와 서장자 공자 경보, 경보의 동복 아우 공자 아는 모두 경이 되었다. 공자 경보와 아는 공자 경보를 장공의 뒤를 이을 임금으로 삼으려고 했기 때문에 장공의 아들들을 지지한 공자 우에게 각각 주살당했으나, 노나라는 공자 경보의 아들 공손오와 공자 아의 아들 공손자에게 각각 그 아버지의 뒤를 잇게 했다. 노 희공은 자신을 임금 자리에 올린 계우에게 문양과 비 두 땅을 주고 재상으로 삼았다. 공손자는 숙손씨가 되었고, 공손오는 맹손씨가 되었으며, 일찍 죽은 제중무질(계우의 아들)을 대신해 손자 계손행보가 뒤를 잇고 계손씨가 되었다. 이 세 집안이 바로 '''삼환'''이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