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상모솔새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모솔새류는 상모솔새과에 속하는 조류의 한 무리이다. 상모솔새, 흰눈썹상모솔새, 마데이라상모솔새, 노랑허리상모솔새, 노랑관상모솔새, 붉은관상모솔새 등이 있다. 상모솔새류는 과거에는 휘파람새상과 또는 휘파람새과에 포함되었으나, 현재는 단독으로 상과를 이룬다. 이들은 넓은 서식지와 개체수를 가지며,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필요종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르주 퀴비에가 명명한 분류군 - 망둑어과
    망둑어과는 전 세계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며 좌우 배지느러미가 합쳐진 흡반과 독특한 번식 전략이 특징인 농어목의 저서어류로, 식용이나 관상어로 이용되기도 하며 일부 종은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 조르주 퀴비에가 명명한 분류군 - 놀래기과
    놀래기과는 베라과에 속하는 어류로,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분포하며 돌출 가능한 입과 턱니, 두꺼운 입술이 특징이고 육식성이며, 한국에서는 식용, 낚시 대상, 청소 물고기로 이용되기도 한다.
상모솔새류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학명Regulus Cuvier, 1800
Kinglet
하위 분류
본문 참조

2. 하위 종

상모솔새류에는 다음 종들이 속한다.[20]


  • 상모솔새 (''R. regulus'')[16]
  • 흰눈썹상모솔새 (''R. ignicapillus'')
  • 마데이라상모솔새 (''R. madeirensis'')[12]
  • 노랑허리상모솔새 (''R. goodfellowi'')[14][15]
  • 노랑관상모솔새 (''R. satrapa'')[13]
  • 붉은관상모솔새 (''R. calendula'')


분류학적 순서에 따른 종
일반명 및 학명사진설명분포
불사조 상모솔새
226x226px
밝은 올리브 녹색의 윗면과 청동색 어깨 반점, 갈색 회색 가슴과 옆구리에 흰색 아랫면을 가지고 있다. 머리에는 검은 눈 선, 긴 흰색 눈썹이 있으며, 암컷은 밝은 노란색, 수컷은 주로 주황색인 볏을 가지고 있다.남유럽 및 북아프리카
마데이라 상모솔새
185x185px
불사조 상모솔새에 비해 이 종은 부리와 다리가 더 길고, 흰색 눈썹이 짧으며, 날개에 검은색이 더 많고, 어깨 반점은 더 깊은 금색 청동색을 띈다. 수컷의 볏은 더 칙칙한 주황색이다.마데이라
왕관상모솔새
200x200px
올리브 회색 윗면과 흰색 아랫면을 가지고 있다. 흰색 날개 띠, 눈을 가로지르는 검은 줄무늬, 검은색으로 둘러싸인 노란색 왕관을 가지고 있다. 다 자란 수컷은 노란색 왕관 가운데에 주황색 반점이 있다.북아메리카
대만 상모솔새 또는 타이완 상모솔새
150x150px
윗면은 녹색, 엉덩이와 옆구리는 노란색, 아랫면은 황갈색이다. 흰색 날개 띠가 있다. 왕관에는 검은 줄무늬와 볏이 있으며, 수컷은 주황색-노란색, 암컷은 노란색이다. 눈 주위는 흰색이고 눈썹이 흰색이다. 목과 목 측면은 회색이다.타이완
상모솔새
217x217px
올리브 녹색 윗면, 황갈색 흰색 아랫면, 뚜렷한 검은색 홍채를 가진 단순한 얼굴을 가지고 있다. 머리 왕관은 검은색 측면과 좁은 검은색 앞면, 밝은 볏을 가지고 있으며, 수컷은 노란색에 주황색 중심을 가지고 있으며, 암컷은 완전히 노란색이다.유럽과 아시아 대부분 지역


3. 계통 분류

상모솔새류의 속명은 라틴어 ''regulus''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왕"을 뜻하는 ''rex''의 축소형으로, 상모솔새류 성체의 특징적인 주황색 또는 노란색 볏을 가리킨다.[3]

마데이라 불새는 이전에는 불새 ''R. ignicapillus''의 아종 ''R. i. madeirensis''로 여겨졌으나, 사이토크롬 b 유전자를 기반으로 한 계통 발생 분석 결과, 마데이라 형태가 불새 명칭 아종 ''R. i. ignicapillus''와 종 수준에서 구별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마데이라 불새와 유럽 새 사이의 사이토크롬 ''b'' 유전자 분화는 8.5%로, 상모솔새와 금관솔새 사이의 9%와 같이 다른 인식된 ''Regulus'' 종 사이의 분화 수준과 비슷하다.[3] 이러한 발견은 2003년 유럽 희귀 위원회 연합(AERC)에 의해 받아들여졌다.[4]

금관솔새는 외관상 불새와 유사하여 신세계에 해당하는 종으로 여겨져 왔지만, 실제로는 상모솔새와 더 가깝다.[3] 카나리아 제도에서 온 상모솔새는 검은 이마, 분홍빛을 띤 베이지색 아랫부분, 더 어두운 접힌 날개를 가지고 있어 눈에 띄며,[5] 불새의 아종 또는 완전히 다른 ''Regulus'' 종으로 취급되기도 한다.[6] 2006년 연구에 따르면, 이 새들은 음성으로 구분할 수 있는 두 개의 상모솔새 아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테네리페 섬에는 ''R. r. teneriffae''가, 라 팔마 섬과 엘 이에로 섬에는 ''R. r. ellenthalerae''가 서식한다.[7] 아조레스 제도의 세 상모솔새 분류군인 산타 마리아 상모솔새, 상 미겔 상모솔새, 서부 아조레스 상모솔새는 유럽에서 최근에 정착한 것으로, 아종으로 취급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8]

불꽃새(대만 불새, ''Regulus goodfellowi'')는 히말라야 상모솔새의 소리와 유사하며, 유전자 데이터는 이 종이 그 종과 가장 가까운 친척이고, 불새와는 거리가 멀다는 것을 보여준다.[9] 불꽃새는 상모솔새로부터 3.0–3.1 mya (백만 년 전)에 분화되었다.[10]

상모솔새과는 과거에 휘파람새상과(Sylvioidea)나 휘파람새과(Sylviidae)에 포함되었으나, 현재는 단독으로 상과에 상당하는 고립된 계통을 이룬다.[19]

다음은 2019년 올리버로스(Oliveros) 등의 연구에 의한 딱새소목의 계통 분류이다.[21] 상모솔새류는 딱새소목 내에서 상모솔새과를 이루며, 나무발바리상과와 자매군이다.

3. 1. 분자 계통학

상모솔새류의 속명은 라틴어 ''regulus''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왕"을 뜻하는 ''rex''의 축소형으로, 상모솔새류 성체의 특징적인 주황색 또는 노란색 볏을 가리킨다.[3]

마데이라 불새는 이전에는 불새 ''R. ignicapillus''의 아종 ''R. i. madeirensis''로 여겨졌으나, 사이토크롬 b 유전자를 기반으로 한 계통 발생 분석 결과, 마데이라 형태가 불새 명칭 아종 ''R. i. ignicapillus''와 종 수준에서 구별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마데이라 불새와 유럽 새 사이의 사이토크롬 ''b'' 유전자 분화는 8.5%로, 상모솔새와 금관솔새 사이의 9%와 같이 다른 인식된 ''Regulus'' 종 사이의 분화 수준과 비슷하다.[3] 이러한 발견은 2003년 유럽 희귀 위원회 연합(AERC)에 의해 받아들여졌다.[4]

금관솔새는 외관상 불새와 유사하여 신세계에 해당하는 종으로 여겨져 왔지만, 실제로는 상모솔새와 더 가깝다.[3] 카나리아 제도에서 온 상모솔새는 검은 이마, 분홍빛을 띤 베이지색 아랫부분, 더 어두운 접힌 날개를 가지고 있어 눈에 띄며,[5] 불새의 아종 또는 완전히 다른 ''Regulus'' 종으로 취급되기도 한다.[6] 2006년 연구에 따르면, 이 새들은 음성으로 구분할 수 있는 두 개의 상모솔새 아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테네리페 섬에는 ''R. r. teneriffae''가, 라 팔마 섬과 엘 이에로 섬에는 ''R. r. ellenthalerae''가 서식한다.[7] 아조레스 제도의 세 상모솔새 분류군인 산타 마리아 상모솔새, 상 미겔 상모솔새, 서부 아조레스 상모솔새는 유럽에서 최근에 정착한 것으로, 아종으로 취급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8]

불꽃새(대만 불새, ''Regulus goodfellowi'')는 히말라야 상모솔새의 소리와 유사하며, 유전자 데이터는 이 종이 그 종과 가장 가까운 친척이고, 불새와는 거리가 멀다는 것을 보여준다.[9] 불꽃새는 상모솔새로부터 3.0–3.1 mya (백만 년 전)에 분화되었다.[10]

상모솔새과는 과거에 휘파람새상과(Sylvioidea)나 휘파람새과(Sylviidae)에 포함되었으나, 현재는 단독으로 상과에 상당하는 고립된 계통을 이룬다.[19]

다음은 2019년 올리버로스(Oliveros) 등의 연구에 의한 딱새소목의 계통 분류이다.[21] 상모솔새류는 딱새소목 내에서 상모솔새과를 이루며, 나무발바리상과와 자매군이다.

4. 분포 및 서식지

5. 보존 상태

상모솔새 종은 모두 매우 넓은 서식지와 개체수를 가지고 있다. 두 개의 단일 섬 고유종은 서식지 내에서 흔하며 위험에 처해 있다고 생각되지 않는다. 따라서 모든 상모솔새는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필요로 분류된다.[18]

참조

[1] 논문 Sixty-second Supplement to the American Ornithological Society's Check-list of North American Birds 2021
[2] 서적 The Chambers Dictionary, ninth edition Chambers
[3]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Volume 11: Old World Flycatchers to Old World Warblers Lynx Edicions
[4] 서적 AERC TAC's Taxonomic Recommendations http://www.aerc.eu/D[...] Association of European Rarities Committees
[5] 서적 Collins Bird Guide London: Collins
[6] 논문 Status and behaviour of the Tenerife Kinglet 1996-09
[7] 논문 Song dialects as diagnostic characters—acoustic differentiation of the Canary Island Goldcrest subspecies ''Regulus regulus teneriffae'' Seebohm 1883 and ''R. r. ellenthalerae'' Päckert ''et al. '' 2006 (Aves: Passeriformes: Regulidae) http://www.mapress.c[...]
[8] 논문 Radiation of Atlantic goldcrests ''Regulus regulus'' spp.: evidence of a new taxon from the Canary Islands
[9] 논문 The Taiwan Firecrest (''Regulus goodfellowi'') belongs to the goldcrest assemblage (''Regulus regulus'' s. l.): evidence from mitochondrial DNA and the territorial song of the Regulidae
[10] 서적 Biodiversität und Naturausstattung im Himalaya/Biodiversity and natural heritage of the Himalaya III Verein der Freunde & Förderer des Naturkundemuseums Erfurt
[11] 서적 Warblers of Europe, Asia and North Africa (Helm Identification Guides) Helm
[12] 서적 Collins Bird Guide London: Collins
[13] 서적 The Sibley Guide to Birds https://archive.org/[...] Alfred A. Knopf
[14] 서적 Birds of East Asia Christopher Helm
[15] 논문 125th meeting, 20 June 1906 https://archive.org/[...]
[16] 서적 The Birds of the Western Palearctic concise edition (2 volumes) Oxford University Press
[17] 논문 "Regulus bulgaricus sp. n. – the first fossil Kinglet (Aves: Sylviidae) from the Late Pliocene of Varshets, Western Bulgaria" http://biostor.org/c[...]
[18] 웹사이트 BirdLife International: ''Regulus '' http://www.birdlife.[...] BirdLife International 2010-12-28
[19] 간행물 Phylogenetic relationships within Passerida (Aves: Passeriformes): A review and a new molecular phylogeny based on three nuclear intron markers http://www.nrm.se/do[...]
[20] 간행물 IOC World Bird Names http://www.worldbird[...]
[21] 저널인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